KR102211690B1 - 원형문합기를 사용한 문합을 위한 복강경용 자동쌈지봉합기 - Google Patents

원형문합기를 사용한 문합을 위한 복강경용 자동쌈지봉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690B1
KR102211690B1 KR1020190005157A KR20190005157A KR102211690B1 KR 102211690 B1 KR102211690 B1 KR 102211690B1 KR 1020190005157 A KR1020190005157 A KR 1020190005157A KR 20190005157 A KR20190005157 A KR 20190005157A KR 102211690 B1 KR102211690 B1 KR 102211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r
clamp
cores
threa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632A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5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6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61B17/1155Circular staplers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1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he digestive tract, e.g. bowels or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61B17/1152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applying the staples on the outside of the lu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42Purse-string su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문합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대상에 자동으로 쌈지봉합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쌈지봉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실; 상부죠(upper jaw)와 하부죠(lower jaw)가 맞물려 대상(object)을 클램프(clamp)시키기 위한 클램프부; 상기 상부죠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을 수용할 수 있는 제 1 철심 수용부; 상기 하부죠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을 수용할 수 있는 제 2 철심 수용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클램프를 수행하도록 상기 클램프부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스테이플러 철심은, 'ㄷ'자 형상에 상기 실을 꿰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쌈지봉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형문합기를 사용한 문합을 위한 복강경용 자동쌈지봉합기{LAPAROSCOPIC AUTO PURSE STRING SUTURE DEVICE FOR ANASTOMOSIS USING CIRCULAR STAPLER}
본 발명은 원형문합기를 사용하기 전에 쌈지 봉합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자동쌈지봉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상 부위를 실로 졸라매기 위하여 표면에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을 손쉽게 박을 수 있는 자동쌈지봉합기에 관한 것이다.
위암, 직장암 등 위장관 수술 시 원형문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쌈지봉합(Purse string suture)이 필요하다.
개복 위전절제술에서는 쌈지봉합클램프(Purse string clamp)를 이용하여 쌈지봉합을 하고 원형문합기를 이용하여 문합을 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위전절제술에서도 복강경수술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데, 복강경 위전절제술에서 문합방법은 개복에 비하여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그 이유는, 쌈지봉합클램프의 사용이 복강경에서는 용이하지 않으며, 쌈지봉합클램프를 이용하거나 직접 꿰매서 쌈지봉합을 하더라도 식도로 원형문합기의 모루(Anvil)을 삽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모루를 넣은 다음에 결찰을 해야 하는데, 이 또한 복강경 하에서 쉽지 않은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예 선형문합기를 이용하거나, 식도를 선형문합기로 자르면서 모루를 넣어서 원형문합기로 문합하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선형문합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식도의 길이가 충분해야 시행할 수 있다. 식도를 선형문합기로 자르면서 모루를 넣어서 문합하는 방법은 원형문합기로 봉합되는 부위에 식도의 선형문합기 봉합부위가 물려서 반-이중스태플링(hemi double stapling)이 되어 이후에 협착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개복 수술용 자동쌈지봉합기는 있지만, 복강경 수술 시에는 개복 수수용 자동쌈지봉합기를 사용할 수가 없는 구조이다.
복강경 위전절제술에서는 자동쌈지봉합기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선형문합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을 통하여 원형문합기를 이용한다.
선형문합기를 사용하는 첫 번째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중스태플링이 되기 때문에 나중에 협착 가능성이 있다.
선형문합기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은 직접 쌈지봉합을 시행하는 방법과 복강경용 쌈지봉합클램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직접 봉합을 하는 방법은 복강경하에서 바늘로 꿰매는 작업이 시간이 많이 드는 어려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원형문합기의 모루를 식도에 삽입하는 방법의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복강경용 쌈지봉합클램프를 이용하는 경우, 쌈지봉합 자체는 다소 용이할 수 있는데, 직접 봉합과 마찬가지로 원형문합기의 모루를 삽입하는 것은 여전히 어렵다. 그뿐만 아니라 넣은 다음에 실을 묶을 때도 복강경 도구를 사용해서 시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복강경을 복강경 수술 시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쌈지봉합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루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자동쌈지봉합기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목적은 복강경 수술 시 원형문합기 사용을 위하여 자동쌈지봉합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동쌈지봉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자동쌈지 봉합을 하더라도 모루를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배치가 가능한 자동쌈지봉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실; 상부죠(upper jaw)와 하부죠(lower jaw)가 맞물려 대상(object)을 클램프(clamp)시키기 위한 클램프부; 상기 상부죠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을 수용할 수 있는 제 1 철심 수용부; 상기 하부죠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을 수용할 수 있는 제 2 철심 수용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클램프를 수행하도록 상기 클램프부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스테이플러 철심은, 'ㄷ'자 형상에 상기 실을 꿰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쌈지봉합기를 제공한다.
상기 스테이플러 철심은, 'ㄷ'자 형상의 양단부에 미늘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은, 튜브 형태의 신체 장기(organ)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식도, 위장관 또는 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이 상기 튜브 형태의 신체 장기에 클램프되면, 상기 실이 상기 장기의 표면을 두르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실이 표면을 두르고 있는 상태에서 실을 당길 경우, 상기 장기를 졸라 맬 수 있을 것이다.
일단에는 상기 클램프부가 체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손잡이가 체결되어, 상기 손잡이를 통하여 조작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상기 클램프부에 전달하는 막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 몸체; 및 상기 손잡이 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움켜쥘 수 있는 방아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아쇠부가 회동되는 움직임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전환부; 및 상기 전환부와 고정되어 상기 직선운동을 상기 클램프부에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쌈지봉합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강경 하에서도 간편하게 쌈지봉합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자동으로 쌈지 봉합을 수행하더라도 모루를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쌈지봉합기(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클램프부(1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클램프부(110)의 클램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조작 장치(911)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조작 장치(911)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조작 장치(911)의 손잡이(101')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103)의 개폐 매커니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죠(112)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 철심(40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스테이플러 철심(401-1)과 하부 스테이플러 철심(401-2)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동작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쌈지봉합기(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클램프부(1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쌈지봉합기(100)는, 클램프부(110), 막대부(102), 클립(103) 및 손잡이(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막대부(102), 클립(103) 및 손잡이(10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독 집게(clip applier)일 수 있으며, 이하 막대부(102), 클립(103) 및 손잡이(101)로 구성되는 장치를 제 1 조작 장치(910)라 한다.
클램프부(110)는 상기 클립(103)에 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손잡이(101)를 통하여 상기 클립(103)으로 상기 클램프부(110)를 집을 수 있으며, 클램프부(110)를 집은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에 클램프부(110)를 위치시킨 후 클립(103)을 놓아 클램프부(110)를 탈거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램프부(110)는 상부죠(111, upper jaw)와 하부죠(112, lower jaw)가 맞물려 대상(object)을 클램프(clamp)시킨다. 상기 상부죠(111)는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을 수용할 수 있는 제 1 철심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죠(112)는 제 2 철심 수용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이란, 튜브 형태의 신체 장기(organ)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식도, 위장관 또는 장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및 제 2 철심 수용부(115, 116)는,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이 소정 간격을 두고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철심 슬롯(18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죠(111)와 하부죠(112)에 수용되어 있는 철심들은, 클램프 시 대상에 박힐 수 있으며, 대상에 박힌 상태에서 고정되어 쌈지봉합될 수 있다. 특히, 이하에서 후술하겠지만, 각 스테이플러 철심은 실(201)에 의해서 꿰어져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죠(111)가 하부죠(112)가 맞물려 클램프가 이루어지게 되면,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이 대상에 박힐 수 있도록, 스테이플러 철심을 위아래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프레스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스부(113)는, 상부죠(111) 및 하부죠(112) 각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죠(111)에서는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하부죠(112)에서는 위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대상에 스테이플러 철심이 위아래로 박힐 수 있을 것이다.
상부죠(111)와 하부죠(112)는 클램프 동작을 위하여 회동축(120)에 회동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210)를 구비하여, 클램프부(110)가 상기 클립(103)으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대상에 클램프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210)는, 상부죠(111)와 하부죠(112)가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3은 클램프부(110)의 클램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클램프부(110)는 사용자의 손잡이(101)를 통한 클립(103) 조작에 따라서, 도 3 (a) 및 도 3 (b)에서와 같이 클램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3 (a)에서와 같이 클립(103)에 클램프부(110)가 체결되면, 클립(103)이 클램프부(110)의 상부죠(111) 및 하부죠(112)가 열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립(103)이 상기 탄성부(21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부죠(111) 및 하부죠(112)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 3 (b)에서와 같이, 손잡이(101) 조작에 의해서 클립(103)으로부터 클램프부(110)가 탈거되면, 상술한 탄성부(210)에 의해서 상부죠(111)와 하부죠(112)가 맞물리도록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상기 클램프부(1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클립(103)을 조작하여 클램프부(110)를 탈거시키면, 탄성부(210)에 의해서 대상에 클램프가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대상에 클램프 되어 있는 상태에서, 프레스부(113)에 위아래로 압력을 가하여 스테이플러 철심(401)을 대상 표면에 박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프레스부(113)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제 2 조작 장치를 제안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조작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조작 장치(911)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제 2 조작 장치(911) 역시 클립(103'), 막대부(102') 및 손잡이(10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 1 조작 장치(910)와 클립의 형태나 클립의 조작 방식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제 2 조작 장치(911)는 클램프부(110)의 프레스부(113)에 위아래로 압력을 가하여 상술한 스테이플러 철심(401)을 대상 표면에 박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제 2 조작 장치(911)의 클립(103')은, 제 1 조작 장치(910)의 클립(103)보다 상대적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 2 조작 장치(911)는 두 단계로 조작 가능하도록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손잡이(101')는 제 1 레버(951) 및 제 2 레버(9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두 단계는, 상기 클립(103')을 통하여 상기 클램프부(110)를 집는 동작과, 클램프부(110)를 집은 상태에서 스태이플러 철심을 박기 위하여 힘을 가하는 동작(이하 파이어링 동작이라 함)을 구분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복강경수술의 경우 그 수술 난이도가 상당히 높고, 상당히 작은 크기의 구멍을 통하여 조작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그렇기 때문에, 클램프부(110)를 통하여 파이어링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클램프부(110)를 고정시키는 동작이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2 조작 장치(911)는 제 1 및 제 2 레버(951, 952)를 구분하여, 제 2 레버(952)를 통하여 클램프부(110)가 제대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집고, 클램프부(110)를 집은 상태에서 제 1 레버(951)를 통하여 파이어링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특히, 조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 2 레버(952)의 경우 클램프부(110)를 집은 상태에서 레버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레버 고정부(9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레버 고정부(953)는, 제 2 레버(952)가 조작된 상태에서 풀리지 않고 고정을 유지하여,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제 1 레버(951)를 조작하기 쉽게 해준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제 2 조작 장치(911)의 조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조작 장치(911)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a)를 참조하면, 클램프부(110)는 대상에 클램프 된 상태로 대상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대상의 표면에 스테이플러 철심(401)을 박기 위하여 제 2 조작 장치(911)가 사용된다.
도 5 (b)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클립(103')을 클램프부(110)가 고정되어 있는 위치에 이동시킨 후, 제 2 레버(952)의 조작을 통하여 클램프부(110)를 집는다. 그 후 프레스부(113)에 추가 압력을 가하여 파이어링 동작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제 1 레버(951)를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클립(103')은 프레스부(113)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부(961)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프레스부(113)에 압력이 가해지면, 클램프된 위치에 스테이플러 철심이 박힐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조작 장치(911)의 손잡이(101')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101')는, 원격에 위치하는 클램프부(110)를 조작하기 위하여, 제 1 레버(951), 제 2 레버(952), 샤프트(1104), 전환부(1105) 및 방아쇠부(110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몸체(1106)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951, 952)를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레버(952)는 클립(103')의 집기 동작을 위하여 조작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 레버(952)를 조작할 경우, 샤프트(1104)를 통하여 조작 힘이 전달되어 클립(103')이 클램프부(110)를 잡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 2 레버(952)를 움켜쥘 경우, 지뢰대 작용에 의해서 샤프트(1104)가 뒤로 당겨져 클램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클립(103')을 통하여 클램프부(110)를 잡은 후, 사용자는 제 1 레버(951)를 조작하여 스테이플러 철심(401)을 파이어링 할 수 있다. 파이어링 동작은 상대적으로 센 힘이 요구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1 레버(951)를 반복적으로 조작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즉, 제 1 레버(951)를 한 번 조작하여 파이어링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레버(951)을 반복 조작하여 여러번의 동작으로 나누어 파이어링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 1 레버(951)는 몸체(1102)에 회동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 레버(951)가 회동되는 운동은 전환부(1105)에 의해서 직선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전환부(1105)에 의해서 전환된 직선운동은 샤프트(1104)를 통하여 상기 클램프부(110)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전환부(1105)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전환부(1105)에 의해서 회동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전환될 경우, 거리에 상관 없이 원격에 위치하는 클램프부(110)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파이어링 동작을 여러번의 동작으로 나누어 수행하기 위하여 전환부(1105)는, 복수 개의 기어(1103-1 ~ 1103-3) 및 랙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복수 개의 기어(1103-1 ~ 1103-3) 중 일부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구비(예를 들면, one-way clutch 를 구비)되어,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제 1 레버(951)를 움켜쥐는 조작을 통하여 여러번에 동작으로 나누어 파이어링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전환부(1105)가 전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여러 동작으로 구분되어 전진되는 전환부(1105)는, 파이어링 동작에 필요한 충분한 힘을 클램프부(110)에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 1 레버(951)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1104)가 클램프부(11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샤프트(1104)의 이동을 통하여 파이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파이어링이 완료된 후, 샤프트(1104)는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시켜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샤프트(1104)를 원래 상태로 후방 슬라이드 시킬 수 있도록, 샤프트(1104)에 후진 손잡이(1110)를 더 구비하도록 제안한다.
더 나아가, 복수 개의 기어(1103-1 ~ 1103-3) 중 다른 하나는,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후진 손잡이(1110)를 사용 시 기어를 탈거하여 다른 기어들과의 결합을 해지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 고정부(953)의 고정이 해제된 후, 제 2 레버(952)가 원래 상태로 손쉽게 돌아갈 수 있도록 탄성부(954)가 제 2 레버(952)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103)의 개폐 매커니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샤프트(1104)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샤프트(1104)의 일단에 회동체결되어 있는 어퍼암(1201) 및 로어암(1202)에 힘이 전달될 수 있다.
어퍼암(1201) 및 로어암(1202) 각각은 상부클립(791) 및 하부클립(792)에 회동체결되어 있어, 어퍼암(1201) 및 로어암(1202)이 후방으로 후퇴할 경우 위아래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부클립(791) 및 하부클립(792)이 닫힐 것이다.
반대로, 샤프트(1104)가 전방으로 밀릴 경우, 어퍼암(1201)과 로어암(1202)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부클립(791) 및 하부클립(792)이 열릴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죠(112)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는 하부죠(112)의 분해 사시도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상부죠(111) 역시 동일한 구조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하부죠(112)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형성되는 공간에 제 2 철심 수용부(116)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철심 수용부(116)에는 복수 개의 철심 슬롯(181)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철심 슬롯(181) 각각에는 상술한 스테이플러 철심(401)이 수용된다. 도 9을 참조하여, 스테이플러 철심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 철심(40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스테이플러 철심(401)은 'ㄷ'자 형상(501)이며, 양단이 미늘형태의 바늘(50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미늘형태의 바늘(502)은, 대상에 박힌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401) 간에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실 관통홀(118)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401)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수용될 수 있으며, 스테이플러 철심(401)간에는 서로 연결되도록 실(201)에 의해서 꿰어질 수 있다.
특히 하부죠(112)에 수용되는 스테이플러 철심(401)뿐만 아니라, 상부죠(111)에 수용되는 스테이플러 철심(401)까지 하나의 실(201)에 의해서 꿰어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실(201)은, 외주면에 복수 개의 미늘을 구비하고 있어, 실이 당겨지게 되면 대상을 졸라맨 상태에서 별도의 매듭이 없이도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스테이플러 철심(401-1)과 하부 스테이플러 철심(401-2)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실(201)은 복수 개의 상부 스테이플러 철심(401-1)를 차례로 꿴 다음, 다시 복수 개의 하부 스테이플러 철심(401-2)를 차례로 꿸 수 있다. 이 상태로 대상을 클램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401)이 대상에 고정되면 실(201)은 대상의 표면을 둘러싸는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동작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클램프부(110)는 도 3과 함께 상술한 방식으로 대상(701)에 클램프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프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2 조작 장치(911)을 통하여 스테이플러 철심을 박기 위하여 위아래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도 5에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이때 상부죠(111)에서는 상부에서 하부로 스테이플러 철심(401)을 박고, 하부죠(112)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스테이플러 철심(401)을 박기 때문에, 대상(701) 표면을 둘르는 형태로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401)이 박힐 수 있다.
대상(7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식도나 장과 같은 관형태의 장기일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 동작에 의해서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401)이 대상(701)의 표면에 박혀 있다. 그리고, 스테이플러 철심(401)들은 관통홈에 실(201)이 꿰어져 있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실을 당기게 될 경우, 도 13에서와 같이 대상(701)을 졸라 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대상(701)을 졸라 매기 전에 상술한 모루를 미리 집어 넣은 상태에서 졸라 맬 경우, 식도 등을 통하여 모루를 어렵게 삽입하지 않아도 손쉽게 모루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대상(701)이 잘린 부위가 아닌 중간 부분에서 클램프한 상태를 도시하지만, 잘린 부위에서 클램프시킬 경우 잘려진 입구를 통하여 모루가 손쉽게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복강경 수술(시술) 상태에서 쌈지봉합을 하기 위해서는, 구멍으로부터 대상(701)까지 클램프부(110)를 신체 내부 깊숙히 밀어 넣어야 하기 때문에, 상술한 막대부(102)를 통하여 손잡이(101)가 클램프부(110)를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제안한다. 즉, 막대부(102)의 길이를 필요한 만큼 길게 형성시키면, 뱃속 깊숙히 위치하는 장기라고 하더라도 클램프부(110)를 어렵지 않게 해당 장기로 위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쌈지봉합기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0)

  1.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실;
    상부죠(upper jaw)와 하부죠(lower jaw)가 맞물려 대상(object)을 클램프(clamp)시키기 위한 클램프부;
    상기 상부죠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을 수용할 수 있는 제 1 철심 수용부;
    상기 하부죠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을 수용할 수 있는 제 2 철심 수용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원하는 위치에 상기 클램프부를 위치시킨 후 상기 클램프부를 탈거시키는 제 1 조작 장치;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을 상기 대상의 표면에 박히도록, 상기 클램프부에 압력을 가하는 제 2 조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테이플러 철심은,
    'ㄷ'자 형상에 상기 실을 꿰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쌈지봉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 철심은,
    'ㄷ'자 형상의 양단부에 미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쌈지봉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튜브 형태의 신체 장기(org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쌈지봉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형태의 신체 장기는, 식도, 위장관 또는 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쌈지봉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철심이 상기 튜브 형태의 신체 장기에 클램프되면,
    상기 실이 상기 장기의 표면을 두르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쌈지봉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이 표면을 두르고 있는 상태에서 실을 당길 경우, 상기 장기를 졸라 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쌈지봉합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표면에 복수 개의 미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쌈지봉합기.
KR1020190005157A 2019-01-15 2019-01-15 원형문합기를 사용한 문합을 위한 복강경용 자동쌈지봉합기 KR102211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57A KR102211690B1 (ko) 2019-01-15 2019-01-15 원형문합기를 사용한 문합을 위한 복강경용 자동쌈지봉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57A KR102211690B1 (ko) 2019-01-15 2019-01-15 원형문합기를 사용한 문합을 위한 복강경용 자동쌈지봉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632A KR20200088632A (ko) 2020-07-23
KR102211690B1 true KR102211690B1 (ko) 2021-02-03

Family

ID=7189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157A KR102211690B1 (ko) 2019-01-15 2019-01-15 원형문합기를 사용한 문합을 위한 복강경용 자동쌈지봉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37B1 (ko) 2021-02-08 2023-05-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압축 원형 문합기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1988A (ja) 2000-02-09 2003-07-22 アンソン メディカル リミテッド 動脈を修復するため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4451A (en) * 1992-05-08 1996-01-16 Ethicon, Inc.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and staples for applying purse string sutures
US8894669B2 (en) * 2009-05-12 2014-11-25 Ethicon, Inc. Surgical fasteners, applicator instruments, and methods for deploying surgical fasteners
KR101668663B1 (ko) * 2015-03-04 2016-10-24 (주)제이월드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1988A (ja) 2000-02-09 2003-07-22 アンソン メディカル リミテッド 動脈を修復するため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632A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93672B (zh) 缝合装置、系统及方法
JP6346358B2 (ja) 内視鏡巾着縫合糸外科用デバイス
JP6258218B2 (ja) ジョーが尚早に開くのを防止するための組織ステープラー安全スイッチ機構
EP1863389B1 (en) Tissue manipulation and securement system
AU2011270654B2 (en) Endoscopic sutu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0802282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lumenal closure in natural orifice surgery
JP4024344B2 (ja) 外科用器具及びその使用方法
US8500777B2 (en) Methods for approximation and fastening of soft tissue
JP6258335B2 (ja) ハーフループクリップを有する吻合クリップツール
US20100249498A1 (en) Endoscopic Apparatus for Manipulating Tissue
WO1995019139A1 (en) Knot ty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3021795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he endolumenal treatment of obesity
CN212346609U (zh) 缝合器、具有缝合器的治疗装置以及治疗系统
WO2014040369A1 (zh) 一种可自动打荷包的圆形荷包钳
JP6891185B2 (ja) 縫合糸の結び目形成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11690B1 (ko) 원형문합기를 사용한 문합을 위한 복강경용 자동쌈지봉합기
WO2014040368A1 (zh) 一种可自动打荷包的圆形荷包钳
US9561028B1 (en) Automatic laparoscopic knot tying instrument
US11779342B2 (en) Laparoscopic purse string suture device
WO2021217373A1 (zh) 缝合器、具有缝合器的治疗装置以及治疗系统
TWI458459B (zh) 打結裝置及打結方法
RU70111U1 (ru) Ушиватель диафрагмы
CN111419312A (zh) 缝合器、具有缝合器的治疗装置以及治疗系统
AU696811B2 (en) Knot tying method and apparatus
AU2013205784B2 (en) Sutu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