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798B1 -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798B1
KR102165798B1 KR1020200017634A KR20200017634A KR102165798B1 KR 102165798 B1 KR102165798 B1 KR 102165798B1 KR 1020200017634 A KR1020200017634 A KR 1020200017634A KR 20200017634 A KR20200017634 A KR 20200017634A KR 102165798 B1 KR102165798 B1 KR 102165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cog
anchoring
grip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달
Original Assignee
김홍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달 filed Critical 김홍달
Priority to PCT/KR2020/00820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26295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을 포함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은,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은 각각, 사람의 시술 부위 피부 상의 절개부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파지하여, 상기 파지된 피하 조직을 상기 절개부 측으로 당기기 위한 그립 코그가 형성된 그립부; 및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그립부보다 근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에 고정되어, 상기 그립 코그가 상기 절개부로부터 원위 방향을 향하여 침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앵커링 코그가 형성된 앵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LIFTING THREAD FOR MULTI FIXING AND LIFTING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아래의 설명은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를 탄력 있게 유지하기 위한 시술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술법으로는 안면 거상술, 필러 삽입술, 보톡스 주사술 및 레이저 피부 재생술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안면 등에 있어서의 피하조직에 의료용 실을 삽입하고 피부 또는 근육이 팽팽해지도록 당겨서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조직을 탄력 있는 상태로 유지하는 리프팅 시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프팅 시술은 바늘과 실로써 얼굴, 턱, 목, 복부, 질, 가슴 및/또는 힙 등의 늘어진 피부 및 조직을 올려주고 주름을 당기고 펴주는 시술로서, 피부를 과다하게 절개할 필요가 없으며, 흉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술로 인한 출혈이나 부기가 적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피부 시술에 사용되는 리프팅 실을 이용하여 시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술 부위 피부(A)는 예를 들어, 사람의 안면의 처진 피부가 될 수 있다. 종래 피부 시술에 사용되는 리프팅 실을 이용하면, 시술 부위 피부(A)의 절개부(A1)를 통하여 각각 분리하여 삽입하여야 했다. 즉, 시술자는, 바늘 등 리프팅 장치에 리프팅 실을 1개씩 개별적으로 장착시킨 다음, 리프팅 실을 시술 부위 피부(A) 내 특정 영역에 삽입하고, 리프팅 실 중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단순히 잘라내거나, 매듭을 짓고, 잘라 냄으로써, 해당 영역에 시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술한 시술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시술 부위 피부(A) 내에서 필요한 여러 영역에 대한 시술을 개별적으로 수행하여야 했다.
따라서, 실제 시술 과정에 있어서, 부수적인 작업에 시간이 오래동안 소요되고, 절개부(A1)가 다수로 발생되며, 시술 부위 피부(A) 중 인접한 영역에서 다수의 리프팅이 요구될 경우에는, 리프팅 실 및 그 매듭이 서로 겹쳐지는 문제도 있고, 견고한 고정점이 없거나 매듭이 쉽게 풀려서 리프팅된 피부가 짧은 시간내에 원위치되거나, 정밀한 시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하나의 연속적인 리프팅 실을 이용하여 넓은 영역에 걸쳐 리프팅 시술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을 포함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은,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은 각각, 사람의 시술 부위 피부 상의 절개부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파지하여, 상기 파지된 피하 조직을 상기 절개부 측으로 당기기 위한 그립 코그가 형성된 그립부; 및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그립부보다 근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에 고정되어, 상기 그립 코그가 상기 절개부로부터 원위 방향을 향하여 침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앵커링 코그가 형성된 앵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실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에 각각 형성된 그립 코그가 돌출된 방향은,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에 각각 형성된 앵커링 코그가 돌출된 방향과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실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에 각각 형성된 그립 코그가 돌출된 방향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에 각각 형성된 앵커링 코그가 돌출된 방향과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은 각각, 상기 리프팅 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그립부를 중심으로 상기 앵커링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 중, 상기 절개부로 선행하여 삽입되는 단위 영역을 상류 단위 영역이라고 하고, 상기 상류 단위 영역보다 후행하여 상기 절개부로 삽입되는 단위 영역을 하류 단위 영역이라고 할 때,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의 삽입부는, 상기 절개부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파지함으로써, 상기 상류 단위 영역의 앵커링부가 상기 절개부 측으로 당겨지게 하는 장력을 제공하는 삽입 코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류 단위 영역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의 그립부의 상류측 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하류 단위 영역 중 삽입부를 제외한 부분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은 각각, 상기 리프팅 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그립부를 중심으로 상기 앵커링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 중, 상기 절개부로 선행하여 삽입되는 단위 영역을 상류 단위 영역이라고 하고, 상기 상류 단위 영역보다 후행하여 상기 절개부로 삽입되는 단위 영역을 하류 단위 영역이라고 할 때,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의 삽입부는, 상기 상류 단위 영역 및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상류 단위 영역의 앵커링부의 앵커링 코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 코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 중 연속하여 배열된 2개의 단위 영역을 각각 상류 단위 영역 및 하류 단위 영역이라고 할 때, 상기 리프팅 실은, 상기 상류 단위 영역 및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중간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은, 상기 리프팅 실을 이용하여 리프팅 시술을 수행한 상태에서, 상기 중간 영역이 절단되더라도,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은 각각 상기 그립 코그 및 상기 앵커링 코그에 의해 장력이 유지됨으로써, 리프팅 시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영역 및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중간 영역에는,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의 그립 코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코그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중간 영역에는, 코그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중간 영역 및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중간 영역에는,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의 앵커링 코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코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실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가장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그립부에 형성된 그립 코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코그를 포함하지 않는 종결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결 영역은, 상기 리프팅 실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앵커링 코그가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 코그가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결 영역은, 상기 리프팅 실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연장되고, 코그가 형성되지 않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결 영역은, 상기 리프팅 실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고정부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연장되고, 고정 코그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 코그가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실은,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코그가 형성되지 않는 중간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에는 상기 그립 코그가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앵커링부에는 상기 앵커링 코그가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 영역의 길이는, 복수 개의 그립 코그 중,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3개의 그립 코그가, 상기 그립부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고, 복수 개의 앵커링 코그 중,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3개의 앵커링 코그가, 상기 앵커링부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상기 앵커링부에는 상기 앵커링 코그가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앵커링부의 양 단부 중 상기 앵커링부에 가장 인접한 상기 그립부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일 단부에는, 앵커링 코그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일 단부에서 앵커링 코그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는,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3개의 앵커링 코그가, 상기 앵커링부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은 각각, 상기 그립부 및 상기 앵커링부 사이에 위치하고, 코그가 형성되지 않는 이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의 길이는, (i)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2개의 그립 코그가, 상기 그립부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고, (ii)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2개의 앵커링 코그가, 상기 앵커링부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의 양 단부 중 상기 앵커링부에 가까운 일 단부는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은 각각, 상기 리프팅 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그립부를 중심으로 상기 앵커링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및 상기 그립부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 코그 및 상기 앵커링 코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그는, 상기 리프팅 실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제 1 방향을 향하여 제 1 경사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 1 돌기; 및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 1 경사보다 낮은 제 2 경사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돌기를 포함하는 이중 코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돌기는, 리프팅 시술시 상기 리프팅 실이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돌기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의 각각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앵커링부의 길이는, 상기 그립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은, 사람의 시술 부위 피부 상의 절개부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파지하여, 상기 파지된 피하 조직을 상기 절개부 측으로 당기기 위한 제 1 그립 코그가 형성된 제 1 그립부;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제 1 그립부보다 근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그립 코그가 상기 절개부로부터 원위 방향을 향하여 침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앵커링 코그가 형성된 제 1 앵커링부;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제 1 앵커링 코그보다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파지하여, 상기 파지된 피하 조직을 상기 절개부 측으로 당기기 위한 제 2 그립 코그가 형성된 제 2 그립부; 및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제 2 그립부보다 근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그립 코그가 상기 절개부로부터 원위 방향을 향하여 침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앵커링 코그가 형성된 제 2 앵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실은, 상기 제 1 앵커링부 및 상기 제 2 그립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실은, 상기 중간 영역 및 상기 제 2 그립부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제 1 앵커링 코그보다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파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앵커링 코그가 상기 절개부 측으로 당겨지게 하는 장력을 제공하는 삽입 코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실은, 상기 제 1 앵커링부 및 상기 중간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근위 절곡부; 및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제 2 그립부 사이에 위치하는 원위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위 절곡부 및 상기 원위 절곡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의 두께는, 상기 리프팅 실 중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최소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장치는, 사람의 시술 부위 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바늘과, 상기 바늘을 고정하고 시술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부를 구비하는 수술 도구; 상기 바늘을 통하여 시술 부위 피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리프팅 실; 및 상기 리프팅 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술 도구에 탈부착 가능한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의 양 단부 중, 상기 수술 도구에 탈부착 가능한 일 단부는 개방된 형상을 갖고, 타 단부는 상기 리프팅 실이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상기 파지부의 후방에 함몰 형성되는 탈부착 홈에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실은, 복수 회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튜브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상기 리프팅 실이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까지 상기 튜브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팅 실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튜브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튜브의 양 단부 중 상기 수술 도구로부터 먼 방향을 단부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튜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연속적인 리프팅 실을 이용하여 넓은 영역에 걸쳐 리프팅 시술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시술 방식과 같이, 개별적으로 분리된 복수 개의 리프팅 실을 각각의 시술 부위 피부에 삽입하여 시술하는 과정에 대비하여, 시술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중 고정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리프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술된 피부 상의 특정한 영역에 과도한 부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하를 밸런스 있게 분포시킴으로써, 리프팅 효과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프팅 시술의 마지막 작업으로 요구되었던 매듭의 수를 줄이거나, 나아가 매듭을 짓는 과정이 완전히 필요 없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여분의 실을 제거하는 과정이나 매듭을 짓는 과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술 부위 피부가 매끈해지고, 피시술자의 불편함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프팅 시술이 완료되거나, 진행 중인 상황에서, 하나의 연속적인 리프팅 실 중 특정 영역이 절단된 경우에도, 상호 분리된 복수 개의 부분들이 각각 리프팅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피부 시술에 사용되는 리프팅 실을 이용하여 시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도 2의 P1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P2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을 이용하여 시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시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시술한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실 포장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특허출원은 2019년 6월 24일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9-0075015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한 것이고, 해당 출원의 전체 내용이 본 특허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는 도 2의 P1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P2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리프팅 실(1)은 절개부(A1, 도 6 참조)를 통하여, 하나의 실이 피부 속에서 지그재그형태로 연속하여 삽입되어 피부의 처짐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도 6 등에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절개부(A1)가 확대 도시되어 있으나, 절개부(A1)는 리프팅 시술에 사용되는 바늘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수준의 직경을 갖는 하나의 작은 구멍일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리프팅 실(1)은 복수 개의 단위 영역(11), 중간 영역(12), 종결 영역(13) 및 절곡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실(1)에는 피부의 피하 조직을 파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코그(c)가 형성된다.
여기서, 코그(c)란, 리프팅 실(1)의 실 표면(t)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으로, 피하 조직 내부에서 리프팅 실(1)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유효한 장력을 발생시켜 피부를 당기는 부분이다. 이하,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코그(c)에 대한 설명은 c1 내지 c5로 지칭되는 코그(c)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둔다.
도 4와 같이, 실 표면(t)의 둘레에 형성된 코그(c)는 돌기가 한 개일 수도 있고, 전방부 및 후방부 돌기를 갖는 이중 코그(c)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c1 내지 c5로 지칭되는 코그(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그(c)는, 제 1 돌기(c_f) 및 제 2 돌기(c_r)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돌기(c_f)는 리프팅 실(1)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제 1 방향을 향하여 제 1 경사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제 1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 1 경사보다 낮은 제 2 경사를 갖도록(날카로운 형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돌기(c_r)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시술시 리프팅 실(1)이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돌기(c_f)는, 제 2 돌기(c_r)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그(c)를 상호 다른 경사를 갖는 복수 개의 돌기로 구성함으로써, 높은 장력을 확보함은 물론, 피부 중 원치 않는 방향으로 코그(c)가 침습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이중 코그(c)의 형상은 코그(c)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코그(c)의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단위 영역(11)은 리프팅 실(1)을 구성하는 단위체로써, 리프팅 실(1)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 영역(11)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는 총 3개의 단위 영역(11)을 포함하고 있는 리프팅 실(1)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단위 영역(11)의 개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단위 영역(11)은 각각 동일한 길이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위 영역(11)은, 그립 코그(c1)와, 앵커링 코그(c2)와, 삽입 코그(c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 코그(c1) 및 삽입 코그(c3)는, 시술이 완료된 상태를 기준으로, 절개부(A1)를 향하여, 리프팅 실(1)의 표면(t)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앵커링 코그(c2)는, 시술이 완료된 상태를 기준으로, 절개부(A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리프팅 실(1)의 표면(t)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중간 영역(12)은, 복수 개의 단위 영역(11)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 인접한 복수 개의 단위 영역(11)을 상호 연결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한 것처럼, 중간 영역(12)에는 코그(c)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방향의 코그(c)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종결 영역(13)은 리프팅 실(1)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리프팅 실(1)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시술 부위 피부에 먼저 삽입되는 쪽을 상류(upstream)라고 지칭할 때, 종결 영역(13)은 리프팅 실(1)의 가장 하류(downstream)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결 영역(13) 상에는 고정 코그(c4) 및 연장 코그(c5) 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코그(c4)는, 시술이 완료된 상태를 기준으로, 절개부(A1)를 향하여, 리프팅 실(1)의 표면(t)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장 코그(c5)는, 시술이 완료된 상태를 기준으로, 절개부(A1)를 향하여, 리프팅 실(1)의 표면(t)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절곡부(14)는 (i) 단위 영역(11)의 내부에서, 또는 (ii) 단위 영역(11) 및 중간 영역(12) 사이에서 인접한 양측을 절곡된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절곡부(14)는 절곡을 용이하게 하도록, 절곡되는 중간부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곡부(14)의 두께는, 리프팅 실(1) 중 절곡부(14)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최소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절곡부(14)가 반드시 이와 같은 구조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리프팅 실(1) 중 코그(c)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또는 직경)는 모두 동일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절곡부(14)란, 제작이 완료된 리프팅 실(1) 중 절곡되어 있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는 점을 밝혀 둔다.
한편, 복수 개의 단위 영역(11) 중 연속하여 배열된 2개의 단위 영역(11)을 각각 "상류 단위 영역" 및 "하류 단위 영역"으로 명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부(A1)로 선행하여 삽입되는 단위 영역(11)을 "상류 단위 영역"이라고 하고, 상류 단위 영역보다 후행하여 절개부(A1)로 삽입되는 단위 영역(11)을 "하류 단위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류 단위 영역 및 하류 단위 영역은 상대적이다. 예를 들어, 상류 단위 영역에 후행하여 삽입된 하류 단위 영역이, 하류 단위 영역에 후행하여 삽입되는 단위 영역에 대해서는 상류 단위 영역이 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한다. 리프팅 실(1)의 중간 영역(12)은 상류 단위 영역 및 하류 단위 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프팅 실(1)이 일 직선 상에 배열된 상태에서, 단위 영역(11), 중간 영역(12), 종결 영역(13) 및 절곡부(14)의 배열을 니타낸다. 도 5에는, 총 2개의 단위 영역(11)이 구비된 리프팅 실(1)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복수 개의 단위 영역(11)은 각각 그립부(111), 앵커링부(112), 삽입부(113) 및 이격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 영역(11)의 양 단부 중 앵커링부(112)에 가까운 일 단부는 절곡되고, 중간 영역(12)에 가까운 타 단부는 절곡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립부(111)에는, 사람의 시술 부위 피부(A) 상의 절개부(A1)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파지하여, 파지된 피하 조직을 절개부(A1) 측으로 당기기 위한 그립 코그(c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단위 영역(11)에 각각 형성된 그립 코그(c1)가 돌출된 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부(111)에는 그립 코그(c1)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앵커링부(112)에는, 절개부(A1)로부터 그립부(111)보다 근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에 고정되어, 그립 코그(c1)가 절개부로부터 원위 방향을 향하여 침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앵커링 코그(c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단위 영역(11)에 각각 형성된 앵커링 코그(c2)가 돌출된 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단위 영역(11)에 각각 형성된 그립 코그(c1)가 돌출된 방향은, 복수 개의 단위 영역(11)에 각각 형성된 앵커링 코그(c2)가 돌출된 방향과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링부(112)에는 앵커링 코그(c2)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앵커링부(112)의 양 단부 중 앵커링부(112)에 가장 인접한 그립부(111)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일 단부에는, 앵커링 코그(c2)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상기 일 단부에서 앵커링 코그(c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는,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3개의 앵커링 코그(c2)가, 앵커링부(112)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따르면, 도 18을 통하여 후술하는 것처럼, 시술자의 필요에 따라서, 부위별 리프팅 실(1)의 삽입 길이를 달리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앵커링부(112)의 길이는, 그립부(111)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앵커링 코그(c2)의 개수는, 그립 코그(c1)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그립부(111)가 시술 부위에 인가하는 힘이, (i) 앵커링부(112)가 시술 부위에 인가하는 힘 및 (ii) 절곡부(14)가 걸려있는 부위에 인가하는 힘, 즉, 양쪽으로 분산되어, 적절한 균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을 통하여 후술하는 것처럼, 최종 시술 상태가 절개부(A1)로부터 방사상으로 증가되는 형상을 갖는 만큼,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근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 보다 더 많은 수의 코그(c)를 이용하여 당김으로써, 피부를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끌어올릴 수 있고, 그 결과, 밸런싱이 뛰어난 리프팅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삽입부(113)는 리프팅 실(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그립부(111)를 중심으로 앵커링부(112)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류 단위 영역의 삽입부(113)는 절개부(A1)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파지 하는 삽입 코그(c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코그(c3)는, 상류 단위 영역의 앵커링부(112)가 절개부(A1)측으로 당겨지게 하는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류 단위 영역의 삽입부(113)는, 상류 단위 영역 및 하류 단위 영역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류 단위 영역(11)의 앵커링부(112)의 앵커링 코그(c2)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 코그(c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류 단위 영역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하류 단위 영역의 그립부(111)의 상류측 단부까지의 길이(L2)는, 하류 단위 영역 중 삽입부(113)를 제외한 부분의 길이(L1)와 동일할 수 있다.
이격부(114)는 복수 개의 단위 영역(11)에서, 그립부(111) 및 앵커링부(112) 사이에 위치하고, 코그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부(114)의 길이는, (i)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2개의 그립 코그(c1)가, 그립부(111)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고, (ii)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2개의 앵커링 코그(c2)가, 앵커링부(112)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중간 영역(12)에는, 중간 영역(12) 및 하류 단위 영역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류 단위 영역의 그립 코그(c1)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코그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하류 단위 영역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피부가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등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영역(12)에는, 코그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중간 영역(12)에는, 하류 단위 영역의 삽입 코그(c3)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코그가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종결 영역(13)은, 리프팅 실(1)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가장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종결 영역(13)의 길이는, 복수 개의 그립 코그(c1) 중,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3개의 그립 코그(c1)가, 그립부(111)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고, 복수 개의 앵커링 코그(c2) 중,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3개의 앵커링 코그(c2)가, 앵커링부(112)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종결 영역(13)은, 고정부(131) 및 연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1)에는, 리프팅 실(1)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앵커링 코그(c2)가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 코그(c4)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1)는, 리프팅 실(1)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그립부(111)에 형성된 그립 코그(c1)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코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6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고정부(131)에 의하여 별도로 매듭을 만들지 않고 시술할 수 있고, 커팅을 하지 않고 시술할 수 있다.
연장부(132)는 고정부(131)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연장되고, 연장부(132)에는, 리프팅 실(1)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고정 코그(c4)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 코그(c5)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132)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고정 코그(c4)가 피부 근육의 움직임에 의하여 미세하게 전진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리프팅 실(1)의 단부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연장부(132)에 의하면, 피부 근육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고정 코그(c4)가 전진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한 바와 달리, 연장부(132)에는, 코그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밝혀 둔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을 이용하여 시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리프팅 실(1)은, 제 1 단위 영역(11a), 중간 영역(12a), 제 2 단위 영역(11b), 근위 절곡부(142a) 및 원위 절곡부(141a)를 포함하고, 절개부(A1)를 통해 선행하여 삽입되는 순으로 제 1 단위 영역(11a), 중간 영역(12a) 및 제 2 단위 영역(11b)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정의에 따라서, 제 1 단위 영역(11a) 및 제 2 단위 영역(11b)은, 상대적인 관점에서 각각 "상류 단위 영역(11a)" 및 "하류 단위 영역(11b)"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제 1 단위 영역(11a)은, 절개부(A1)로 선행하여 삽입되는 순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1 삽입부(113a), 제 1 그립부(111a), 제 1 이격부(112a), 및 제 1 앵커링부(114a)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단위 영역(11b)은, 절개부(A1)로 선행하여 삽입되는 순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2 삽입부(113b), 제 2 그립부(111b), 제 2 이격부(112b), 제 2 앵커링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그립부(111a)에는, 사람의 시술 부위 피부 상의 절개부(A1)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파지하여, 파지된 피하 조직을 절개부(A1) 측으로 당기기 위한 제 1 그립 코그(c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앵커링부(114a)에는, 절개부(A1)로부터 제 1 그립부(113a)보다 근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에 고정되어, 제 1 그립 코그(c1a)가 절개부(A1)로부터 원위 방향을 향하여 침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앵커링 코그(c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그립부(111b)에는, 절개부(A1)로부터 제 1 앵커링 코그(c1a)보다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파지하여, 파지된 피하 조직을 절개부(A1) 측으로 당기기 위한 제 2 그립 코그(c1b)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앵커링부(114b)에는, 절개부(A1)로부터 제 2 그립부(111b)보다 근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에 고정되어, 제 2 그립 코그(c1b)가 절개부(A1)로부터 원위 방향을 향하여 침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앵커링 코그(c2b)가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영역(12a)은 제 1 앵커링부(114a) 및 제 2 그립부(11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부(113b)는 중간 영역(12a) 및 제 2 그립부(11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부(113b)는 삽입 코그(c3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삽입 코그(c3)는 절개부(A1)로부터 제 1 앵커링 코그(c2a)보다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파지함으로써, 제 1 앵커링 코그(c2a)가 절개부(A1) 측으로 당겨지게 하는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근위 절곡부(142a)는 시술한 상태를 기준으로, 절개부(A1)에 가까이 위치하는 절곡부(14)를 의미한다. 근위 절곡부(142a)는, 제 1 앵커링부(114a) 및 중간 영역(12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원위 절곡부(141a)는 시술한 상태를 기준으로, 절개부(A1)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절곡부(14)를 의미한다. 원위 절곡부(141a)는, 삽입부(113b) 및 제 2 그립부(11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절곡부(142a) 및 원위 절곡부(141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14)의 두께는, 리프팅 실(1) 중 절곡부(14)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최소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리프팅 실(1)은 피부(A) 내에 삽입되어, 절개부(A1)에 가까운 근위 측 피하 조직(B)과 절개부(A1)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진 원위 측 피하 조직(B)을 끌어당길 수 있다. 여기에서 절개부(A1)는 예를 들어, 하나의 구멍일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둔다. 즉, 하나의 리프팅 실(1)이 하나의 절개부(A1)를 통하여 피부 밖으로 노출하였다가 피부 내에 삽입되어 당겨지는 과정을 통하여,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B)은 넒은 반경에서 끌어당겨지므로, 근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B) 보다 더 많은 수의 코그(c)에 의하여 당겨져야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B)은, 그립부(111)의 그립 코그(c1) 및 삽입부(113)의 삽입 코그(c1)에 의하여 근위 피하 조직(B) 쪽으로 당겨지고, 근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B)은, 앵커링부(112)의 앵커링 코그(c2)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코그(c)의 수를 고려한 리프팅 실(1)을 배치하면, 피부가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끌어올려질 수 있어 리프팅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좁은 영역에 코그(c)가 집중됨에 따라서, 코그(c)가 사람에게 이물감을 주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7의 최종 시술 상태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프팅 실(1)을 이용하여 리프팅 시술을 수행한 상태에서, 중간 영역(12)이 절단되더라도, 각각의 단위 영역(11)은 피부에 가하는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 영역(12)이 절단된 상태에서도, 복수 개의 단위 영역(11)은, 각각 그립 코그(c1) 및 앵커링 코그(c2)에 의해 장력이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간 영역(12)이 절단된 상태에서도, 마치 도 1에서 서술한 종래의 리프팅 시술 방식처럼, 복수 개의 리프팅 실을 각각 삽입 시술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리프팅 시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리프팅 장치(10)는 리프팅 실(1)을 피하 조직 내로 삽입하여 시술 부위에 리프팅 실(1)을 위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고정용 리프팅 장치(10)는 수술 도구(3), 리프팅 실(1) 및 튜브(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술 도구(3)는 사람의 시술 부위 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바늘(31)과, 바늘(31)을 고정하고 시술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부(32)와, 파지부(32)의 후방에 함몰 형성되는 탈부착 홈(33)을 구비할 수 있다.
탈부착 홈(33)으로는, 튜브(2)의 단부가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리프팅 실(1)은 바늘(31)을 통하여 시술 부위 피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튜브(2)는 리프팅 실(1)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수술 도구(3)에 탈부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2)의 양 단부 중, 수술 도구(3)에 탈부착 가능한 일 단부는 개방된 형상을 갖고, 타 단부는 리프팅 실(1)이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길이가 긴 리프팅 실(1)을 이용하여, 리프팅 시술을 하는 과정에서, 리프팅 실(1)이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피부(A)의 처짐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부위에 리프팅 장치(10)를 이용하여 리프팅 실(1)을 삽입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리프팅 장치(10) 내에 수용된 리프팅 실(1)의 일부가 절곡부(14)까지 빠져나온 상태, 즉, 절곡부(14)가 바늘(31)의 끝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시술을 시작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바늘(31)이 피부(A)를 뚫고 피하 조직(B)으로 들어가는 경우에, 바늘(31)의 강성과 피부(A)에 가하는 압력을 충분히 이용하여 리프팅 실(1)을 삽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빠져나와 있는 실의 일부에는 삽입 코그(c3)가 형성될 수 있다. 튜브(2) 내에 있는 리프팅 실(1)의 일부를 필요한 정도로 빼낼 수 있다. 시술자는 파지부(32)를 잡고 리프팅 장치(10)를 밀어 넣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술자가 바늘(31)을 피하 조직(B)까지 찔러 넣으면, 삽입 코그(c3)는 피하 조직(B)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팅 실(1)을 피하 조직(B) 내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파지부(32)를 잡고 당기면, 리프팅 실(1)을 제외한 리프팅 장치(10)가 피부(A)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튜브(2)에서 리프팅 실(1)이 빠져나와 피하 조직(B)에 위치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리프팅 실(1)의 삽입 코그(c3), 그립 코그(c1) 및 앵커링 코그(c2)가 피하 조직(B)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시술자는 리프팅 실(1)을 적절히 당겨서 리프팅 실(1)이 피하 조직(B)을 끌어올리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각 코그의 돌출 형상에 따르면, 그립 코그(c1)는 피하 조직(B)을 그립하여 장력을 인가할 수 있고, 앵커링 코그(c2)는 리프팅 실(1)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시술자가 희망하는 수준으로 장력을 인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적절한 장력을 피하 조직(B)에 인가한 뒤 절개부(A1)의 외부로 노출된 리프팅 실(1)을 더 이상 당기지 않아도, 리프팅 실(1)은 앵커링 코그(c2)로 인하여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앵커링 코그(c3) 및 그립 코그(c1) 사이에서 발생되는 장력이 피부를 끌어올릴 수 있다.
시술자는 계속하여 파지부(32)를 잡고 바늘(31)을 피부(A)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하여, 리프팅 실(1)의 중간 영역(12), 삽입부(113) 및 절곡부(14)까지 피부(A) 외부에서 노출되도록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동일한 절개부(A1)를 통하여 바늘(31)을 피하 조직(B)까지 찔러 넣을 수 있다. 이 때, 피하 조직(B)으로 진입하는 삽입 코그(c3)는,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리프팅 실(1)을 일 직선상으로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앵커링 코그(c2)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도 12처럼 절개부(A1)를 통해 진입할 때에, 삽입 코그(c3)가 피부(A) 또는 피하 조직(B)을 손상시키지 않고, 수월하게 바늘(31)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와 같이, 단위 영역의 수에 대응하여, 도 1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리프팅 장치(10)를 피부(A)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할 때, 리프팅 실(1)의 종결 영역(13)이 빠져나올 수 있다. 종결 영역(13)는 하류 단위 영역이 없으므로, 도 15의 과정에서는, 절곡부(14)가 바늘(31)의 끝단에 오도록 할 필요가 없다. 다만, 종결 영역(13)의 고정부(131)를 지나 연장부(132)의 일부까지만 바늘(3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절개부(A1)를 이용하여 바늘(31)을 피하 조직(B)까지 찔러 넣을 수 있다. 이 때, 고정 코그(c4)는, 도 15에 도시한 것처럼, 리프팅 실(1)을 일 직선상으로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앵커링 코그(c2)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고정 코그(c4)는, 바늘(31)의 진입 방향에 대하여 저항성이 작은 방향으로 돋아 있으므로 피하 조직(B)까지 용이하게 바늘(31)을 찔러 넣을 수 있다. 도 16의 상태에서, 리프팅 장치(10)를 후퇴시키면, 리프팅 실(1)의 연장부(132, 도 17 참조)가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피부 근육의 움직임에 의하여 리프팅 실(1)이 피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132)에 연장 코그(c5, 도 17 참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면, 고정부(131)에 의하여 별도로 매듭을 만들지 않고 시술할 수 있고, 매듭이 필요한 경우에도 그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리프팅 실(1)을 커팅하지 않고 시술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시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B)은 그립부(111)의 그립 코그(c1) 및 삽입부(113)의 삽입 코그(c3)에 의하여 근위 피하 조직(B) 쪽으로 당겨지고, 근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B)은 앵커링부(112)의 앵커링 코그(c2)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된다.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B)은 넒은 반경에서 끌어당겨지므로, 근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B)보다 더 많은 수의 코그(c)에 의하여 당겨져야 할 필요가 있다. 종결 영역(13)의 고정부(131) 및 연장부(132)에 의하여 매듭없이 시술을 마무리 지을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시술한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피부 상태 등에 따라, 리프팅 시술이 집중되어야 할 부위까지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도, 리프팅 실(1)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리프팅 실(1)이 삽입되는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것처럼, 앵커링부(112)의 하류 측에 앵커링 코그(c2)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충분히 확보하고, 중간 영역(12)의 상류측에 코그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가능하다.
이하,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17에 도시한 절곡부(14)의 위치를 기준으로, 도 17 및 도 18을 비교 서술하지만, 시술 전 상태의 리프팅 실(1)은 절곡부(14)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리프팅 실(1)은 절곡부(14)가 아닌 부분에서 접히고, 절곡부(14)는 곧게 뻗은 상태에서 시술될 수 있다. 절곡부(14)에서 다음 절곡부(14)까지의 길이에 한정되지 않고, 앵커링부(112) 및 삽입부(113)가 피부 내에 존재하도록 하는 한, 리프팅 실(1)이 삽입되는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류 단위 영역의 앵커링부(112) 중에서 앵커링 코그(c4)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절곡부(14)가 아니라도 접혀지고, 하류 단위 영역은 상류 단위 영역보다 피하 조직(B) 내 더 깊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근위 절곡부(14)는 도 17과 비교하여 피하 조직(B) 내로 더 깊이 삽입된다. 깊이 삽입된 단위 영역을 상류 단위 영역으로 하는, 하류 단위 영역의 중간 영역(12)은, 절곡부(14)가 아니라도 접혀서 시술될 수 있다. 그 결과, 종결 영역(13)의 고정부(131) 및 연장부(132)가 피하 조직 내로 더 깊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실 포장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리프팅 실 포장체(20)는 리프팅 실(1)이 오염되지 않도록 유통할 수 있으며, 리프팅 장치(10)의 바늘(31)과 별도로 유통 및 보관될 수 있어, 품질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팅 실 포장체(20)는 포장재(4), 튜브(2) 및 리프팅 실(1)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재(4)는, 튜브(2) 및 리프팅 실(1)을 밀봉할 수 있는 구조로, 예를 들면, 비닐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프팅 실(1)은 복수 회로 절곡된 상태로 튜브(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튜브(2)의 길이가 리프팅 실(1)의 전체 길이보다 수배 짧아질 수 있으므로, 리프팅 실(1)의 사용 및 유통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튜브(2)는 리프팅 실(1)이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까지 튜브(2)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리프팅 실(1)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는, 튜브(2)의 중심을 기준으로, 튜브(2)의 양 단부 중 수술 도구(3)로부터 먼 방향의 단부에 가까이 위치하는 제 1 가이드(21)와, 수술 도구(3)에 가까운 방향의 단부에 가까이 위치하는 제 2 가이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21)로는, 리프팅 실(1) 중 절곡된 부분(14)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롤러 형태의 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21)는, 튜브(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이드(22)로는, 제조 비용 및 노력이 적게 필요한 고리 형태의 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이드(22)는 리프팅 실(1)이 풀리는 과정에서, 리프팅 실(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21, 22)를 이용하면, 복수 회 절곡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리프팅 실(1)을 한가닥씩 풀리도록 하여, 리프팅 실(1)이 수술 도구(3)의 바늘(31)을 통하여 배출되기 전에 튜브(2) 내에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1)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10)에 따르면, 하나의 연속적인 리프팅 실(1)을 이용하여 넓은 영역에 걸쳐 리프팅 시술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시술 방식과 같이, 개별적으로 분리된 복수 개의 리프팅 실을 각각의 시술 부위 피부(A)에 삽입하여 시술하는 과정에 대비하여, 시술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중 고정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리프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시술된 피부(A) 상의 특정한 영역에 과도한 부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하를 밸런스 있게 분포시킴으로써, 리프팅 효과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프팅 시술의 마지막 작업으로 요구되었던 매듭의 수를 줄이거나, 나아가 매듭을 짓는 과정이 완전히 필요 없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여분의 실을 제거하거나 매듭을 짓는 과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술 부위 피부가 매끈해지고, 피시술자의 불편함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시술이 완료되거나, 진행 중인 상황에서, 하나의 연속적인 리프팅 실(1) 중 특정 영역이 절단된 경우에도, 상호 분리된 복수 개의 부분들이 각각 리프팅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38)

  1.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을 포함하는 리프팅 실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은 각각,
    사람의 시술 부위 피부 상의 절개부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파지하여, 상기 파지된 피하 조직을 상기 절개부 측으로 당기기 위한 그립 코그가 복수 개로 형성된 그립부; 및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그립부보다 근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에 고정되어, 상기 그립 코그가 상기 절개부로부터 원위 방향을 향하여 침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앵커링 코그가 복수 개로 형성된 앵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 중 연속하여 배열된 2개의 단위 영역 중, 상기 절개부로 선행하여 삽입되는 단위 영역을 상류 단위 영역이라고 하고, 상기 상류 단위 영역보다 후행하여 상기 절개부로 삽입되는 단위 영역을 하류 단위 영역이라고 할 때, 상기 리프팅 실은, 상기 상류 단위 영역 및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중간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 영역의 길이는, (i) 복수 개의 그립 코그 중,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3개의 그립 코그가, 상기 그립부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고, (ii) 복수 개의 앵커링 코그 중,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3개의 앵커링 코그가, 상기 앵커링부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고,
    상기 중간 영역 및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중간 영역에는,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의 그립 코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코그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실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에 각각 형성된 그립 코그가 돌출된 방향은,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에 각각 형성된 앵커링 코그가 돌출된 방향과 서로 다르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에 각각 형성된 그립 코그가 돌출된 방향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에 각각 형성된 앵커링 코그가 돌출된 방향과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단위 영역 및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은 각각,
    상기 리프팅 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그립부를 중심으로 상기 앵커링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의 삽입부는,
    상기 상류 단위 영역 및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상류 단위 영역의 앵커링부의 앵커링 코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 코그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코그는, 상기 절개부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파지함으로써, 상기 상류 단위 영역의 앵커링부가 상기 절개부 측으로 당겨지게 하는 장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단위 영역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의 그립부의 상류측 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하류 단위 영역 중 삽입부를 제외한 부분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에는, 코그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 및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중간 영역에는, 상기 하류 단위 영역의 앵커링 코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코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실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가장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그립부에 형성된 그립 코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코그를 포함하지 않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종결 영역을 더 포함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리프팅 실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앵커링 코그가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 코그를 포함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 영역은,
    상기 리프팅 실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연장되고, 코그가 형성되지 않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 영역은,
    상기 리프팅 실을 일 직선상에 배열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연장되고, 고정 코그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 코그가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16. 삭제
  17. 삭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부의 양 단부 중 상기 앵커링부에 가장 인접한 상기 그립부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일 단부에는, 앵커링 코그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일 단부에서 앵커링 코그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는,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3개의 앵커링 코그가, 상기 앵커링부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은 각각,
    상기 그립부 및 상기 앵커링부 사이에 위치하고, 코그가 형성되지 않는 이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의 길이는, (i)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2개의 그립 코그가, 상기 그립부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고, (ii) 연속적으로 배열된 어느 2개의 앵커링 코그가, 상기 앵커링부 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20. 삭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실은,
    상기 상류 단위 영역 및 상기 중간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절곡된 부분인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은 각각,
    상기 리프팅 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그립부를 중심으로 상기 앵커링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및 상기 그립부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23.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을 포함하는 리프팅 실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영역은 각각,
    사람의 시술 부위 피부 상의 절개부로부터 원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을 파지하여, 상기 파지된 피하 조직을 상기 절개부 측으로 당기기 위한 그립 코그가 형성된 그립부; 및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그립부보다 근위 측에 위치하는 피하 조직에 고정되어, 상기 그립 코그가 상기 절개부로부터 원위 방향을 향하여 침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앵커링 코그가 형성된 앵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 코그 및 상기 앵커링 코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그는,
    상기 리프팅 실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제 1 방향을 향하여 제 1 경사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 1 돌기; 및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 1 경사보다 낮은 제 2 경사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돌기를 포함하는 이중 코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24. 제 23 항에 있어서,
    리프팅 시술시 상기 리프팅 실이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돌기는, 상기 제 2 돌기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25. 삭제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부의 길이는, 상기 그립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두께는, 상기 리프팅 실 중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최소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32. 사람의 시술 부위 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바늘과, 상기 바늘을 고정하고 시술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부를 구비하는 수술 도구;
    상기 바늘을 통하여 시술 부위 피부의 내부로 삽입되고, 제 1 항에 기재된 리프팅 실; 및
    상기 리프팅 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술 도구에 탈부착 가능한 튜브를 포함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장치.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사람의 시술 부위 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바늘과, 상기 바늘을 고정하고 시술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부를 구비하는 수술 도구;
    상기 바늘을 통하여 시술 부위 피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리프팅 실; 및
    상기 리프팅 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술 도구에 탈부착 가능한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실은, 복수 회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튜브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튜브는, 상기 리프팅 실이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까지 상기 튜브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팅 실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튜브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튜브의 양 단부 중 상기 수술 도구로부터 먼 방향을 단부에 가까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튜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다중 고정용 리프팅 장치.
KR1020200017634A 2019-06-24 2020-02-13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KR102165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8204 WO2020262950A1 (ko) 2019-06-24 2020-06-23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5015 2019-06-24
KR1020190075015 2019-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798B1 true KR102165798B1 (ko) 2020-10-13

Family

ID=7288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634A KR102165798B1 (ko) 2019-06-24 2020-02-13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5798B1 (ko)
WO (1) WO20202629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627B1 (ko) *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11628B1 (ko) *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3336A1 (en) * 2007-08-06 2009-02-12 Jie Jenny Yuan Barbed suture with non-symmetric barbs
KR101668663B1 (ko) * 2015-03-04 2016-10-24 (주)제이월드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KR20170095162A (ko) * 2016-02-12 2017-08-22 김기원 실 삽입기
KR20180133111A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372B1 (ko) * 2012-03-13 2014-07-01 류시대 주름 제거 시술용 가시매선
KR101935681B1 (ko) * 2017-07-14 2019-01-04 남성한 수술사 및 그 수술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3336A1 (en) * 2007-08-06 2009-02-12 Jie Jenny Yuan Barbed suture with non-symmetric barbs
KR101668663B1 (ko) * 2015-03-04 2016-10-24 (주)제이월드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KR20170095162A (ko) * 2016-02-12 2017-08-22 김기원 실 삽입기
KR20180133111A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627B1 (ko) *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11628B1 (ko) *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950A1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14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rapericardial access and inserting intrapericardial electrodes
US10736624B2 (en)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uturing device for papillary muscles and methods thereof
US50334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rapericardial access and inserting intrapericardial electrodes
EP1834591B1 (en) Suture pushing apparatus
JP5457346B2 (ja) 外科用縫合糸装置、方法、およびそれと共に用いるツール
KR102165798B1 (ko) 다중 고정용 리프팅 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KR101533074B1 (ko)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
KR20180108659A (ko) 봉합사 배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1130653A1 (en) Lateral and anterior lateral retractor system
US20220257282A1 (en) Skin Lifting Thread Inserting Device
CN106388887B (zh) 一种跟腱缝合设备
KR101751504B1 (ko) 피부 리프팅용 생분해 실 및 그 삽입키트
KR101682419B1 (ko) 분기점이 마련된 리프팅용 수술도구
JP6396480B2 (ja) 体内組織を治療するためのクリップシステム
US20030187466A1 (en) Guides to prevent tangling sutures
KR102620104B1 (ko) 의료용 실을 포함한 실 삽입기
KR20240002549A (ko) 연결끈을 이용한 비침습형 피부 봉합 유지기
WO2014136147A1 (ja) 生体内導入器具
US10213222B2 (en) Methods for thread transection of a soft tissue
KR100563593B1 (ko) 심장 수술을 위한 흉골 견인기
KR20230123204A (ko) 리프팅 시술 도구 및 이를 이용한 리프팅 시술 방법
CN219126493U (zh) 一种用于肩锁关节脱位手术的导向过线器
JP5315534B2 (ja) 施術具
EP3297540B1 (en)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uturing device for papillary muscles
US20230414934A1 (en) Surgical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