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296B1 -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 Google Patents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296B1
KR102174296B1 KR1020200004862A KR20200004862A KR102174296B1 KR 102174296 B1 KR102174296 B1 KR 102174296B1 KR 1020200004862 A KR1020200004862 A KR 1020200004862A KR 20200004862 A KR20200004862 A KR 20200004862A KR 102174296 B1 KR102174296 B1 KR 102174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kit
barbs
unit
bar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서
Original Assignee
(주)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제이월드
Priority to KR1020200004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2017/061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hollow or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봉합사, 제2 봉합사, 및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를 커플링하는 병합부를 포함하는 봉합사 유닛; 및 상기 병합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봉합사 유닛이 삽입되는 스페이스를 내부에 포함하며, 폐쇄된 팁부를 포함하는 니들부를 포함하여, 봉합사의 체내 삽입 후 조직 내 고정력이 뛰어나 봉합 및 리프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감염의 우려가 감소한 의료용 봉합사 키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SUTURE AND SUTURE KI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봉합 및 리프팅에 사용되는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에 관한 것이다.
봉합사는 의료적 목적에서 벌어진 신체 부위를 봉합하거나, 미용적 목적으로 쳐진 조직을 끌어당기는데(리프팅 시술) 사용된다.
종래의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법은 봉합사를 바늘에 꿰어 바느질을 통해 벌어진 부위를 오므려 고정하고, 봉합한 부위의 말단에 매듭을 지어 봉합사를 고정시킴으로써 수행되어 왔다.
또한, 바느질 및 매듭법에 의한 봉합의 경우, 시술자의 숙련도 및 상태에 따라 그 정밀도 및 완성도에 차이가 발생해 왔다.
예를 들면, 시술자의 숙련도 및 상태의 차이에 따라 벌어진 부위를 완전히 봉쇄하지 못하거나, 과도한 힘으로 봉합이 수행되어 조직이 괴사하거나, 매듭이 풀려 봉합이 해제되는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바느질 과정에서 시술자가 필연적으로 봉합사에 접촉하게 되고, 시술자의 손으로부터 봉합사를 통하여 조직 내부로 병원체가 침투하여 감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이에, 봉합의 정밀도 및 완성도를 균일화하고, 봉합사를 통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835763호에서는 걸림미늘을 포함하는 봉합사를 개시하고 있으나, 종래의 바느질법을 이용하여 봉합을 수행할 뿐이며, 감염을 방지하는 수단에 대하여는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835763호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활용성을 갖는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제1 봉합사, 제2 봉합사, 및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를 커플링하는 병합부를 포함하는 봉합사 유닛; 및 상기 병합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봉합사 유닛이 삽입되는 스페이스를 내부에 포함하며, 폐쇄된 팁부를 포함하는 니들부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2. 위 1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는 상기 팁부에 인접한 전단부에 상기 스페이스와 연결된 리세스부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3. 위 2에 있어서, 상기 병합부는 상기 리세스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페이스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 봉합사 키트.
4. 위 2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팁부와 인접한 경사진 측벽을 갖는, 봉합사 키트.
5. 위 1에 있어서, 상기 병합부는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의 말단부들과 융착된 일체의 구조를 갖는, 봉합사 키트.
6. 위 1에 있어서, 상기 병합부는 상기 제1 및 제2 봉합사들의 말단부들을 병합하는 콘 형상을 갖는, 봉합사 키트.
7.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봉합사들은 상기 니들부의 상기 스페이스로 삽입되어 상기 니들부의 후단부에서 인출되는, 봉합사 키트.
8. 위 1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의 상기 후단부를 고정하며 인출된 상기 제1 및 제2 봉합사 부분들을 수용하는 관형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9.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는 각각 봉합사 바디 및 상기 봉합사 바디로부터 돌출된 미늘들을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10. 위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늘들은 상기 봉합사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봉합사 키트.
11. 위 7에 있어서, 상기 미늘들은 상기 병합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1 미늘들 및 상기 병합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2 미늘들을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12. 위 9에 있어서,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는 각각 상기 상기 봉합사 바디 중 상기 제1 미늘들이 형성된 제1 미늘 영역, 상기 제2 미늘들이 형성된 제2 미늘 영역, 및 상기 미늘이 형성되지 않은 중심 영역을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13. 위 12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제1 미늘 영역 및 상기 제2 미늘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봉합사 키트.
14. 위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봉합사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 미늘의 끝부분 및 상기 제2 미늘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2 미늘의 끝부분이 각각 상기 중심 영역을 향하도록 대향 형성된, 봉합사 키트.
15. 위 1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생흡수성 소재로 형성된, 봉합사 키트.
16. 위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는 각각 상기 봉합사 바디를 관통하는 통공을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17. 제1 봉합사, 제2 봉합사, 및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를 커플링하는 병합부를 포함하는, 봉합사 유닛.
18. 위 17에 있어서,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는 각각 봉합사 바디 및 상기 봉합사 바디로부터 돌출된 미늘들을 포함하는, 봉합사 유닛.
19. 위 18에 있어서, 상기 미늘들은 상기 병합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1 미늘들 및 상기 병합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2 미늘들을 포함하는, 봉합사 유닛.
20. 위 18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는 각각 상기 봉합사 바디를 관통하는 통공을 포함하는, 봉합사 유닛.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봉합사 키트의 봉합사 유닛은 제1 봉합사 및 제2 봉합사를 커플링하는 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된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가 동시에 조직 내로 삽입되므로 봉합사 유닛의 고정력 및 리프팅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합사 유닛은 상기 병합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스페이스에 삽입되어, 상기 봉합사 유닛을 상기 니들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니들부는 폐쇠된 팁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팁부는 상기 니들부를 피부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봉합사가 니들부 내부에 포함된 스페이스로 봉합사 유닛이 수용됨으로써, 봉합사가 피부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합사 유닛을 생흡수성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봉합사 제거 시술을 생략할 수 있으며, 봉합사가 조직 내에 장기간 체류함으로써 야기되는 염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키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니들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봉합사 및 제2 봉합사를 커플링하는 병합부를 포함하는 봉합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병합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봉합사 유닛이 니들부 내부로 삽입되여, 체내 삽입 된 상기 봉합사 유닛의 고정력 및 리프팅력이 우수하며, 상기 니들부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는 봉합사 키트를 제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봉합사"는 상처 봉합과 같은 치료 용도뿐만 아니라, 리프팅과 미용 용도로 사용되는 의료용 섬유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예시적으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 및 "제2"의 의미는 "제1" 및 "제2"에 의해 수식되는 대상의 개수, 또는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수식되는 대상을 구별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키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봉합사 키트(10)는 봉합사 유닛(100) 및 니들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합사 유닛(100)은 제1 봉합사(110), 제2 봉합사(120), 및 병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합사 키트(10)를 사용하여, 봉합사 유닛(100)을 피부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가 체내 조직으로 동시에 삽입되므로 봉합사 유닛(100)의 피부 고정력 및 리프팅력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병합부(130)는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를 커플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를 커플링하는 방법의 비제한적 예시로서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과 같은 융착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는 하나의 긴 봉합사를 반으로 접은 후, 접혀진 영역에 병합부(130)를 형성함으로써, 병합부(130)에 의해 커플링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병합부(130)는 하나의 긴 봉합사를 반으로 접은 후, 접혀진 영역에 매듭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병합부(130)는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의 말단부들과 융착된 일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융착된 일체의 구조는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120)의 말단부들을 융착한 후, 상기 융착된 영역에 다시 병합부를 융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병합부(130) 형상의 비제한적 예시로서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의 말단부들을 병합시키는 콘 형상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콘 형상에 의해 봉합사 유닛(100)의 체내 삽입 및 봉합사 유닛(100)을 니들부(20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합사 유닛(100) 중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는 체내로 삽입되어, 세포 또는 조직을 고정하거나 당기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에 의해 봉합사 유닛(100)의 고정력이 50N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피부 고정 및 리프팅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피부 내부로 삽입되는 봉합사 유닛(100)의 총 개수 및 시술 횟수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봉합사 유닛(100) 삽입을 위한 전체 시술 시간이 단축되고, 시술 대상자의 피로감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합사 유닛(100)은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외에 제3 봉합사, 제4 봉합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봉합사 유닛(100)은 봉합사의 개수를 봉합사 유닛(100)이 삽입되는 영역 및 봉합사 유닛(100)이 수행할 기능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봉합 부위를 충분히 봉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의 두께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봉합사 유닛(100)의 가요성을 상실하지 않으면서, 강도 및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의 직경은 각각 약 0.3 내지 3mm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봉합사 유닛(100)는 생체적합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봉합사(110), 제2 봉합사(120) 또는 병합부(130)는 생체적합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봉합사 유닛(100)은 신체 조직 내로 삽입되는 바, 신체 조직 내에서 각종 면역 및 항체 반응에 대하여 염증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생체적합성 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나일론(nylo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봉합사 유닛(100)는 생흡수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봉합사(110), 제2 봉합사(120) 또는 병합부(130)는 생흡수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생흡수성 재료는 체내에 삽입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분해되어 조직 내로 흡수되는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체내에 삽입된 봉합사 유닛(100)을 다시 제거하는 시술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봉합사 유닛(100)이 조직 내에서 장기간 체류함에 따라 염증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데, 봉합사 유닛(100)를 경시 분해됨으로써 염증 반응이 억제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생흡수성 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트산(poly(L-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마그네슘, 아연, 칼슘을 포함하는 생흡수성 금속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흡수성 재료와 제1 및 제2 봉합사(110, 120)의 두께를 조절함에 따라, 봉합사 유닛(100)이 조직 내에서 분해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합사 유닛(100)의 분해 속도가 조직 내에서 수 시간, 수 일, 수 개월 또는 수 년이 걸리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봉합 후 상처가 아무는 데 걸리는 시간을 유추하여 분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봉합사 유닛(100)를 이용한 리프팅 시술 후 조직이 리프팅 된 위치에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시간 여유를 두면서 분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는 각각의 봉합사 바디(140)로부터 돌출된 미늘들(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늘들(150)은 봉합사 바디(14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늘들(150)은 봉합사 바디(140)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봉합사 유닛(100)의 고정력 및 리프팅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미늘들(150)은 봉합사 바디(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약 1 내지 10mm를 포함할 수 있다. 미늘들(15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봉합사 유닛(100)이 전반적으로 조직에 균일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봉합사 바디(140) 표면에 미늘들(130)이 형성됨에 따라, 봉합사 유닛(100)을 체내 삽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포 및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미늘들(150)은 봉합사 바디(140) 측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늘(150)들이 봉합사 바디(140)의 양 측부로부터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미늘 쌍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봉합사 바디(140)의 중심에 대하여 약 180° 각도를 이루면서 미늘들(1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늘들(130)은 두 쌍, 세 쌍 등 여러 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의료용 봉합사(10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봉합사 유닛(100)를 이용한 리프팅 시술 시, 미늘들(150)에 의해 고정된 조직이 균일한 방향으로 리프팅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늘들(150)은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미늘(150)은 봉합사 바디(140)에 접하는 뿌리 부분과 미늘(150)의 말단에 형성된 뾰족한 끝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미늘(150)의 끝부분이 봉합사 바디(140)의 일 말단을 향하여 기울어진 것일 수 있다. 기울어진 경사(각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봉합사 바디(140)와 약 10 내지 80°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일 말단으로 기울어진 미늘(150)에 의해 봉합사 유닛(100)이 조직 내로 삽입된 후, 미늘(150)이 조직 사이 사이로 침투하여 조직 내에 앵커링 될 수 있다. 미늘(150)이 조직 내에 앵커링 됨로써, 의료용 봉합사(100)가 삽입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봉합 후 매듭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봉합사 유닛(100)이 봉합된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봉합사 유닛(100)을 늘어진 조직에 삽입한 후, 삽입 반대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늘어진 조직을 끌어당겨 리프팅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미늘들(150)은 병합부(130)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1 미늘들(152) 및 병합부(13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2 미늘들(1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1 미늘들(152) 및 제2 미늘들(154)에 의해 봉합사 유닛(100)의 고정력 및 리프팅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 각각은 제1 미늘들(152)이 형성된 제1 미늘 영역(142), 제2 미늘들(154)이 형성된 제2 미늘 영역(144) 및 미늘(150)이 형성되지 않은 중심 영역(14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심 영역(146)은 제1 미늘 영역(142) 및 제2 미늘 영역(14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미늘 영역(142)의 제1 미늘(152)의 끝부분 및 제2 미늘 영역(144)의 제2 미늘(154) 끝부분은 중심 영역(146)을 향하도록 대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늘들(130)에 의한 리프팅력 및 고정력이 양 쪽으로 균형있게 향상되어, 봉합사(100)를 체내로 삽입하는 과정하여 발생할 수 있는 세포 및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예시적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 각각은 봉합사 바디(140)를 관통하는 통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공(160)은 봉합사 유닛(100)이 체내에 삽입 된 후, 봉합사 유닛(100) 주변 세포 및 조직이 재생되는 과정에서, 통공(160) 내부로 세포 및 조직이 유입되어, 봉합사 유닛(100)의 고정력이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공(160)은 봉합사 바디(140)의 영역 중 미늘(140)이 형성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공(160)은 봉합사 바디(140)의 영역 중 미늘(14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미늘(140)이 형성된 영역에 형성된 통공(160)을 제1 통공으로, 미늘(14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된 통공(160)을 제2 통공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2 통공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2 통공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통공의 직경이 상기 제2 통공의 직경보다 큼에 따라, 통공(160)에 의한 봉합사 유닛(1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통공(160)에 의한 봉합사 유닛(100)의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늘들(150)도 생체적합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생흡수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생체적합성 재료 및 생흡수성 재료는 봉합사 바디(140)를 형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미늘들(150)을 형성하는 재료와 봉합사 바디(140)를 형성하는 재료는 동일할 수 있으며 상이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늘들(150)과 봉합사 바디(140)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경우 미늘(150)와 봉합사 바디(140)의 결합력을 강화하고 분해 속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니들부(200)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니들부(200)는 병합부(13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봉합사 유닛(100)이 삽입되는 스페이스(210)를 내부에 포함하며, 폐쇄된 팁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합사 키트(10)는 병합부(13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므로, 니들부(200)와 봉합사 유닛(100)을 체내로 함께 삽입한 후, 니들부(200) 외부에 노출된 병합부(130)를 추가적인 외력을 사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니들부(200)로부터 봉합사 유닛(10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스페이스(210)는 니들부(200) 내부의 영역으로 긴 관 형상을 갖는 니들부(200)의 내부 빈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스(210)에는 봉합사 유닛(100)이 삽입되며, 스페이스(210)에 삽입된 봉합사 유닛(100)은 니들부(200)에 의해 체내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스(210)의 길이는 봉합사 유닛(100)의 길이 및 삽입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니들부(200)는 팁부(220)에 인접한 전단부에 스페이스(210)와 연결된 리세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부(230)는 스페이스(210) 보다 전단부에 위치하며, 봉합사 유닛(100)를 스페이스(210)로 수용하기 위한 출입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병합부(130)는 리세스부(230)에 위치하며, 스페이스(210)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스(210) 내로 삽입되지 않은 병합부(130)는 봉합사 키트(10)를 사용하여, 봉합사 유닛(100)을 체내 삽입하는 과정에서, 스페이스(21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병합부(130)를 고정시킴으로써, 봉합사 유닛(100)을 니들부(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팁부(216)는 니들부(200)의 전단부에 위치하며, 니들부(210)를 체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팁부(220)는 내부가 체워진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팁부(220)의 강도가 향상되어, 니들부(200)를 체내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병합부(130)의 직경은 스페이스(21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병합부(130)의 직경이 스페이스(210)의 직경보다 클 경우, 병합부(130)가 스페이스(210) 내로 완전히 삽입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봉합사 키트(10)를 체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병합부(130)가 임의로 스페이스(210) 내부로 삽입되면서, 봉합사 유닛(100)과 니들부(200)가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스(210)의 직경에 대한 병합부(130)의 직경 비는 약 1.1 내지 1.3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직경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병합부(130)가 스페이스(21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병합부(130)가 지나치게 커짐에 따라, 봉합사 유닛(100)을 체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포 및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리세스부(230)는 팁부(220)와 인접한 경사진 측벽을 가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벽에 의해 봉합사 유닛(100)을 스페이스(210) 내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 및 분리 과정에서 병합부(130)가 팁부(220)에 걸리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니들부(200)는 관형 지지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형 지지부(240)는 니들부(200)의 후단부를 고정하며, 스페이스(210)의 후단부로 인출된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 부분들을 수형할 수 있다. 이 경우, 관형 지지부(240)에 의해 니들부(200)를 체내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 및 제거할 수 있으며,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도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니들부(200)는 니들부(200)의 후단부에는 위치하며, 관형 지지부(240)에 수용된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 부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230)는 봉합사 유닛(100)을 체내 삽입 과정에서 관형 지지부에 수용된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120) 부분들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봉합사(110) 및 제2 봉합사의 움직임에 의한 체내 세포 또는 조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10: 봉합사 키트
100: 봉합사 유닛 110: 제1 봉합사
120: 제2 봉합사 130: 병합부
140: 봉합사 바디 150: 미늘
160: 통공 200: 니들부
210: 스페이스 220: 팁부
230: 리세스부 240: 관형 지지부
250: 고정부

Claims (20)

  1. 제1 봉합사, 제2 봉합사, 및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를 커플링하는 병합부를 포함하는 봉합사 유닛; 및
    상기 병합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봉합사 유닛이 삽입되는 스페이스를 내부에 포함하는 니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병합부는 상기 제1 및 제2 봉합사들의 말단부들을 병합하는 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페이스 내로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스페이스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봉합사 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는 폐쇄된 팁부 및 상기 팁부에 인접한 전단부에 상기 스페이스와 연결된 리세스부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병합부는 상기 리세스부에 위치하는, 봉합사 키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팁부와 인접한 경사진 측벽을 갖는, 봉합사 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병합부는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의 말단부들과 융착된 일체의 구조를 갖는, 봉합사 키트.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봉합사들은 상기 니들부의 상기 스페이스로 삽입되어 상기 니들부의 후단부에서 인출되는, 봉합사 키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의 상기 후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니들부의 상기 후단부에서 인출된 상기 제1 및 제2 봉합사 부분들을 수용하는 관형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는 각각 봉합사 바디 및 상기 봉합사 바디로부터 돌출된 미늘들을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늘들은 상기 봉합사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봉합사 키트.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미늘들은 상기 병합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1 미늘들 및 상기 병합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2 미늘들을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는 각각 상기 봉합사 바디 중 상기 제1 미늘들이 형성된 제1 미늘 영역, 상기 제2 미늘들이 형성된 제2 미늘 영역, 및 상기 미늘이 형성되지 않은 중심 영역을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제1 미늘 영역 및 상기 제2 미늘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봉합사 키트.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봉합사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 미늘의 끝부분 및 상기 제2 미늘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2 미늘의 끝부분이 각각 상기 중심 영역을 향하도록 대향 형성된, 봉합사 키트.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생흡수성 소재로 형성된, 봉합사 키트.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봉합사 및 상기 제2 봉합사는 각각 상기 봉합사 바디를 관통하는 통공을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0004862A 2020-01-14 2020-01-14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KR102174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862A KR102174296B1 (ko) 2020-01-14 2020-01-14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862A KR102174296B1 (ko) 2020-01-14 2020-01-14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296B1 true KR102174296B1 (ko) 2020-11-04

Family

ID=7357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862A KR102174296B1 (ko) 2020-01-14 2020-01-14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6371A (zh) * 2020-11-24 2021-02-23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瓣膜置换线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580A (ko) * 2015-03-04 2016-09-19 (주)제이월드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KR20170099747A (ko) * 2016-11-21 2017-09-01 조승현 의료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835763B1 (ko) 2017-04-11 2018-03-08 주식회사 유진코리아 봉합사
KR20190059673A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지엠디 피부 리프팅용 수술 도구
KR20200000114A (ko) * 2018-06-22 2020-01-02 주식회사 와이제이콥스메디칼 의료용 실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580A (ko) * 2015-03-04 2016-09-19 (주)제이월드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KR20170099747A (ko) * 2016-11-21 2017-09-01 조승현 의료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835763B1 (ko) 2017-04-11 2018-03-08 주식회사 유진코리아 봉합사
KR20190059673A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지엠디 피부 리프팅용 수술 도구
KR20200000114A (ko) * 2018-06-22 2020-01-02 주식회사 와이제이콥스메디칼 의료용 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6371A (zh) * 2020-11-24 2021-02-23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瓣膜置换线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8392B2 (en) Method of making a continuous loop
KR101132841B1 (ko) 봉합사
RU2535616C2 (ru) Шовные нити с зазубринами и стопорами для тампонов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JP6419818B2 (ja) 靭帯結合固着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TWI605842B (zh) 用於插入醫療縫線的裝置及含有其的用於插入醫療縫線的手術套組
KR101185583B1 (ko) 매듭짓는 작업이 필요 없는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US9011489B2 (en) Surgical composite barbed suture
EP0559429A1 (en) Suture-needle combination
US10194900B2 (en) Tri-lock adjustable button loop
US11589870B2 (en) Implant devices with a pre-set pulley system
RU264427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лижения тканей
KR102174296B1 (ko)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KR102184634B1 (ko) 봉합사 키트
US20230200808A1 (en) Bidirectional barbed suture having needl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US20070162054A1 (en) Suture thread shifting device
KR20180123273A (ko) 봉합고정앵커 및 리프팅고정앵커 겸용 고정앵커후크 및 바늘을 구비한 봉합사
KR102184638B1 (ko) 의료용 봉합사 및 의료용 봉합사 키트
US20170224329A1 (en) Anatomical-structure-ligating device
KR20200000114A (ko) 의료용 실 장치
TWI528934B (zh) 縫合線、縫合線支撐體以及縫合線的製造方法
KR20160003529U (ko)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US11925542B1 (en) Mesh assembly for cosmetic surgery
KR102144785B1 (ko) 반자동 매듭 봉합사
JP2005230482A (ja) 眼内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