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14A - 의료용 실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114A
KR20200000114A KR1020180072017A KR20180072017A KR20200000114A KR 20200000114 A KR20200000114 A KR 20200000114A KR 1020180072017 A KR1020180072017 A KR 1020180072017A KR 20180072017 A KR20180072017 A KR 20180072017A KR 20200000114 A KR20200000114 A KR 20200000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thread
hook member
yarn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제이콥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제이콥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제이콥스메디칼
Priority to KR1020180072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114A/ko
Priority to PCT/KR2019/007496 priority patent/WO2019245319A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 시술의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그 효과가 잘 유지될 수 있는 의료용 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미늘이 마련되는 제1 및 제2 의료용 실; 및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피부 조직 내에 있을 때 상기 피부 조직에 걸려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에 걸리는 장력을 상기 피부 조직에 전달하기 위한 후크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의료용 실의 미늘은 상기 후크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2 의료용 실의 미늘은 상기 후크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의료용 실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의료용 실 장치{MEDICAL THREAD DEVICE}
본 발명은 미늘이 마련된 의료용 실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미용 시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실은 상처나 외과 수술시 절개된 부분을 봉합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실의 외주면에 미늘이 마련된 의료용 실의 경우, 아래 특허 문헌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의료용 실 장치를 구성하여, 봉합 이외 다른 시술, 예를 들어 얼굴 등의 피부의 주름을 펴거나, 또는 쳐지거나 늘어진 피부를 리프팅하기 위한 미용 시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미용, 예를 들어, 피부 리프팅 시술을 위한 의료용 실 장치의 향상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26763 (2013년 11월 0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41955 (2013년 03월 1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54659 (2014년 10월 27일)
본 발명은 미용 시술의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그 효과가 잘 유지될 수 있는 의료용 실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 의료용 실 장치를 사용하는 미용 시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미늘이 마련되는 제1 및 제2 의료용 실; 및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피부 조직 내에 있을 때 상기 피부 조직에 걸려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에 걸리는 장력을 상기 피부 조직에 전달하기 위한 후크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의료용 실의 미늘은 상기 후크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2 의료용 실의 미늘은 상기 후크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의료용 실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 부재의 상기 일단부 측을 향하는 제1 단부의 직경이 상기 일단부 측의 반대를 향하는 제 2 단부의 직경보다 더 작은 원뿔대 형상의 콘(cone)이고, 상기 콘에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에서 개방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의 상기 일단부 각각에는 매듭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의료용 실 및 상기 제2 의료용 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후크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미늘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의료용 실 및 상기 제2 의료용 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부에는 바늘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미늘은 상기 제1 의료용 실 또는 상기 제2 의료용 실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의료용 실 또는 상기 제2 의료용 실의 상기 미늘은 이 미늘이 형성되는 상기 제1 의료용 실 또는 상기 제2 의료용 실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평면은 2개이며, 상기 2개의 평면은 서로 평행하고, 서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의료용 실의 길이와 상기 제2 의료용 실의 길이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의료용 실 및 제2 의료용 실 중 길이가 큰 쪽의 의료용 실의 타단부에 바늘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 및 상기 후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생체에 흡수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미늘은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을 상기 실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커팅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 부재의 상기 일단부 측을 향하는 제1 단부의 직경이 상기 일단부 측의 반대를 향하는 제 2 단부의 직경보다 더 작은 원뿔대 형상의 콘이고, 상기 콘에서 상기 제1 단부는 폐쇄되고, 상기 제2 단부는 개방되고, 상기 콘의 내부는 비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 부재의 상기 일단부 측을 향하는 제1 단부의 직경과 상기 일단부 측의 반대를 향하는 제 2 단부의 직경이 같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횡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후크 부재는 중공의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의 바디의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술된 실 장치를 사용하는 미용 시술 방법으로서, 의료용 실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의료용 실 장치를 피부 조직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용 실 장치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피부 조직을 상기 의료용 실 장치가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리결정된 만큼 상기 피부 조직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행해지는, 의료용 실 장치를 사용하는 미용 시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피부 조직은 목에 있는 피부 조직일 수도 있다.
상기 의료용 실 장치를 삽입하는 단계 전에, 상기 목의 측면 또는 후방 부위에 의료용 실 삽입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실 삽입구를 통해서 복수의 의료용 실 장치를 삽입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의료용 실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의 사용 방법 및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종래 기술의 의료용 실 장치의 종래의 사용 방법 및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의 후크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의 후크 부재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또한, 비록 설명되지는 않으나, 각 실시형태의 특징이 단독으로 또는 다양하게 조합되어 다른 실시형태를 구성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는 미늘(12, 22)을 구비하는 예를 들어, 2개의 의료용 실(10, 20), 및 의료용 실(10, 20)의 일단부(15, 25)에 연결되는 후크 부재(30)를 포함한다.
제1 의료용 실(10)의 미늘(12)은 후크 부재(30)를 향하는 방향(역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마련되고, 제2 의료용 실(20)의 미늘(22)은 후크 부재(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순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마련된다. 미늘(12)과 제1 의료용 실(10) 사이의 각도(θ1)는 미늘(22)과 제2 의료용 실(20) 사이의 각도(θ2)보다 작고, 0 < θ1 < 90 < θ2 <180 과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 의료용 실(10, 20)의 후크 부재(30)와 반대측 부분에는 미늘이 없는 구간(18, 28)이 마련될 수도 있다.
후크 부재(30)는, 의료용 실 장치(100)가, 예를 들어 인체의 피부 조직 내에 있는 상태에서, 주위 조직에 걸려 의료용 실(10, 20)에 인가되는 장력을 주위 조직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후크 부재(30)는 반드시 생체 조직에 흡수되거나 또는 생체 조직 내에서 열화가능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후크 부재(30)는 원뿔, 다각뿔, 원기둥, 다각기둥,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의 바디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원뿔대 형상을 갖는 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뿔대 콘(30)은 그 일단부의 직경이 그 타단부의 직경보다 작고, 콘(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관통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31)은 콘(3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서 개방된다. 또한, 콘(30)의 타단부에는 홈 또는 절결부 또는 돌기 등이 생성되어, 또는 콘(30)의 외측 표면 내지 내측 표면에 돌기 또는 오목부 등이 생성되어 콘(30)과 피부 조직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제1 의료용 실(10)의 일단부(15) 및 제2 의료용 실(20)의 일단부(25)는 콘(30)의 관통공(31)을 관통하고, 예를 들어, 콘(30)의 작은 직경을 갖는 일단부 측에 마련되는 매듭(14, 25)에 의해서 콘(3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매듭(14, 25)의 직경이 관통공(31)의 직경보다 더 커 콘(30)이 매듭(14, 25)을 넘어서 이동될 수 없다.
대안으로서, 콘(30)의 관통공(31)을 두 줄의 실이 관통하며, 콘(30)의 일단부 쪽으로 관통한 실이 하나로 매듭지어져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매듭 이외에 열로 녹여 용접을 하여, 예를 들어 둥근 모양을 만들어 결합시키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둥근 모양을 만들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둥근 모양의 부품과 결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미국 공개 공보 US 2015/0119933 A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도, 의료용 실과 후크 부재(30)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도 2a에 도시된 의료용 실 장치(200a)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실 장치(100)와 다른 점이 주로 설명된다.
의료용 실 장치(200a)의 제1 의료용 실(10)은 제2 의료용 실(20)보다 더 길다. 제1 의료용 실(10)은 콘(30)의 반대쪽 부분에 연장부(10a)를 갖는다.
연장부(10a)의 말단, 즉 제1 의료용 실(10)의 타단부(16)에는, 예를 들어 일자 바늘(40) 또는 커브 바늘(41)이 연결되고, 연장부(10a)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미늘(17)이 후크 부재(30)를 향하는 방향(역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마련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도 2b에 도시된 의료용 실 장치(200b)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실 장치(100)와 다른 점이 주로 설명된다.
의료용 실 장치(200b)의 제2 의료용 실(20)은 제1 의료용 실(10)보다 더 길다. 제2 의료용 실(20)은 콘(30)의 반대쪽에 연장부(20a)를 갖는다.
연장부(20a)의 말단, 즉 제2 의료용 실(20)의 타단부(26)에는, 예를 들어 일자 바늘(40) 또는 커브 바늘(41)이 연결되고, 연장부(20a)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미늘(27)이 후크 부재(30)를 향하는 방향(역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마련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의료용 실 장치(300)는 도 2a에 도시된 의료용 실 장치(200a)와 도 2b에 도시된 의료용 실 장치(200b)가 결합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실 장치(300)의 제1 의료용 실(10)은 콘(30)의 반대쪽에 연장부(10a)를 갖고, 제1 의료용 실(10)의 타단부(16)에 바늘(40 또는 41)이 연결되고, 연장부(10a)에 미늘(17)이 마련된다. 또한, 제2 의료용 실(20)은 콘(30)의 반대쪽에 연장부(20a)를 갖고, 제2 의료용 실(20)의 타단부(26)에 바늘(40 또는 41)이 연결되고, 연장부(20a)에 미늘(27)이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의료용 실 장치(100, 200a, 200b 또는 300)의 의료용 실(10, 20) 일부의 확대도가 도시된다. 의료용 실(10, 20)의 미늘(12, 17, 22 또는 27)은,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실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의료용 실을 커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늘(12, 17, 22 또는 27)은 의료용 실(10, 2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의료용 실의 미늘은 이 미늘이 형성되는 의료용 실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이때 평면이 2개일 수도 있고, 상기 2개의 평면이 의료용 실(10, 2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서로 90도의 회전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가 사용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는, 예를 들어, 목 부위의 처진 피부를 리프팅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실 삽입구(4)가 형성될 피부 일부를 마취한 후, 바늘 등으로 찔러 구멍을 낸다. 이와 같이 형성된 실 삽입구(4)를 통해서,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26763 (2013년 11월 08일)에 개시된 의료용 실 삽입 키트를 사용하여 의료용 실 장치(100, 200a, 200b 또는 300)가 피부 조직에 화살표(A1, A2 또는 A3)의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위 등록특허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간략성을 위해서 생략된다). 이때, 미리결정된 방향으로, 예를 들어 화살표(A1, A2 및 A3)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미리결정된 만큼 피부 조직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피부 조직에 의료용 실 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용 실 삽입 장치가 제거되고, 의료용 실 장치의 타단부(16, 26) 또는 연장부(10a, 20a)는 실 삽입구(4)의 외부에 남겨진 상태로 의료용 실 장치가 피부 조직 내에 남겨진다.
콘(30)과 순방향으로 형성된 미늘(22)이 마련된 의료용 실(20)이 외부에서 잡아 당겨져 피부 조직에 걸리게 되고, 의료용 실 위에 있는 피부가 밑으로 내려가 울퉁불퉁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콘(30)과 역방향으로 형성된 미늘(12)이 마련된 의료용 실(10)을 외부로 살짝 당겨 올라간 조직과 콘이 밑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피부 밖으로 나와 있는 의료용 실(10, 20)을 가위 등으로 절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피부 조직 내에 삽입된 의료용 실 장치(100)의 경우, 의료용 실(20)의 순방향 미늘(22)은 콘(30)과 같은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거나 또는 지탱하여, 역방향 미늘(12) 사이에 있는 조직이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반면, 도 6에 도시되는 종래 기술의 의료용 실 장치의 경우, 콘(80)에 매듭(92)으로 연결된 의료용 실에 형성되는 미늘(91)이 모두 역방향이고,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80)이 목의 하측 정면(4)에 형성되는 삽입구를 통해서 화살표(B) 방향으로 삽입되어 목의 상측 측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100)를 사용하는 리프팅 시술 방법은, 실 삽입구(4)가 목의 상측 측면에 형성될 수 있어, 잘 보이지 않고, 후크 부재(30) 및 순방향 미늘(22)이 피부 조직을 지탱하므로, 향상된 시술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콘의 지지력 작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피부 조직에 대한 지지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순방향 미늘(22)이 마련된 실(20)이 결합되어, 피부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콘을 통해 전달된 점(point)을 중심으로 한 힘에 순방향으로 생성된 미늘이 있는 실을 통한 선(Line)으로도 전달되고, 역방향 미늘이 생성된 실(10)과 순방향 미늘이 생성된 실(20) 때문에 이동이 제한된 조직(면)에까지 콘의 지지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종래의 의료용 실 장치에 비하여 지지력이 향상된다.
다른 시술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100, 200a, 200b 또는 300)가 예를 들어, 얼굴 피부를 리프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 얼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의료용 실 장치가 삽입되기 때문에, 콘의 지지력이 얼굴 아래쪽으로부터 얼굴 위쪽으로 작용하여 아래로 처진 조직을 위로 올려주는 방향으로 지지해 줄 수 있다. 반면, 도 6 및 도 7의 종래 기술의 경우, 의료용 실 장치가 얼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실을 삽입되어 콘의 지지력이 얼굴 위쪽으로부터 얼굴 아래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리프팅 효과가 본 발명의 의료용 실 장치에 비하여 크지 않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 중에서, 바늘이 달린 경우에는, 피부 밖으로 나와 있는 의료용 실에 연결된 바늘(40 또는 41)을 절개된 부위 또는 봉합사 삽입구(4)를 통해서 조직으로 집어 넣는다. 그런 다음 바늘(40 또는 41)과 의료용 실을 콘(30)의 반대 방향 쪽으로 조직을 통과하여 피부 밖으로 빼내어 잡아 당겨 미늘이 조직에 잘 걸리게 한다. 마지막으로 피부 바깥으로 나와 있는 실을 가위로 절단한다.
또한, 2개중 하나의 의료용 실이 연장부(10a 또는 20a)를 갖는 경우, 이 연장부(10a 또는 20a)에 역방향 미늘(17 또는 27)을 마련하여, 순방향 미늘(12)이 마련된 의료용 실 및 순방향 미늘이 마련된 의료용 실과 역방향 미늘이 마련된 의료용 실 사이의 조직에 생성되는 지지력과 반대되는 방향의 지지력을 크게할 수 있다. 특히, 얼굴 위에서 아래로 제품이 삽입될 경우 역방향 미늘이 생성된 연장부에 의해 리프팅 된 조직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고정(anchoring)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연장부를 의료용 실 삽입구보다 윗쪽의 피부에 삽입함으로써 의료용 실의 지지력이 보다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바늘은 일자 바늘(40) 또는 커브 바늘(41) 모두 가능하며, 바늘을 윗쪽으로 삽입하여도 되고 봉합 작업을 실시하여 지지하는 부위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의료용 실 장치의 경우, 만약 얼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실을 삽입한다고 하더라도, 콘(또는 봉합사 지지체)이 아래쪽에서 조직을 들어올리는 힘이 하나의 지점에서만 전달되기 때문에 얼굴 조직에 오목부(dimpling)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의료용 실 장치는 피부를 들어올리는 힘이 점(콘), 선(순방향 미늘이 마련된 의료용 실 또는 봉합사) 및 면(순방향 미늘이 마련된 의료용 실 또는 봉합사와 역방향 미늘이 마련된 의료용 실 또는 봉합사 사이의 공간)을 통해 조직에 전달되기 때문에 오목부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든다.
상술된 실시형태에서, 후크 부재(30)가 원뿔대 형상의 콘으로 구성되나, 후크 부재(3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크 부재(30)에 연결된 의료용 실(10, 20)에 걸리는 장력을 후크 부재(30)가 삽입된 피부 조직에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일례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다.
도 8에 도시된 후크 부재(30a)는 중공의 실린더형 바디(35)를 포함한다. 의료용 실(10, 20)이 연장되어 나가는 바디(35)의 하단부(32)에는 절결부(33)가 형성된다. 절결부(33)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바디(35)의 내부에는 반지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양단이 바디(35)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횡 부재(34)가 마련된다. 횡 부재(34)에 의해서 나뉜 바디(35)의 내부 공간은 횡 부재(34)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삽입 공간이 되고, 각각의 삽입 공간에 의료용 실(10, 20) 각각이 삽입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후크 부재(30b)는 도 8에 도시된 후크 부재(30a)의 횡 부재(34)에 비하여, 횡부재(34')의 높이가 더 커, 횡부재(34')의 상단이 바디(35)의 상단부(31)와 동일한 평면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후크 부재(30a, 30b)와 관련하여, 각각의 의료용 실(10, 20)은 위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은 방식으로, 후크 부재(30a, 30b)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한 가닥의 의료용 실이 횡 부재(34, 34')에 묶여서 제1 의료용 실 및 제2 의료용 실로 나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으로, 의료용 실이 횡 부재(34, 34')와 일체화되도록 횡 부재(34, 34')와 접착 또는 융착될 수도 있다.
또한, 위 실시형태에서, 후크 부재(30, 30a, 30b)는 상단부가 개방되나, 폐쇄된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의료용 실은 후크 부재(30, 30a, 30b)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후크 부재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실시 형태에서 의료용 실 장치는 생체에 적합한 흡수성 재료, 비-흡수성 재료 및 흡수성 및 비-흡수성 재료의 조합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 형태에서, 의료용 실은 2개가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위에서 설명된 2개의 의료용 실에 부가되는 1개 이상의 추가적 의료용 실이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추가적 의료용 실은 상술된 제1 의료용 실 또는 제2 의료용 실과 같은 구성을 갖거나, 또는 제1 의료용 실 및 제2 의료용 실 이외의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자에 의해서 구성요소의 일부가 다른 요소로 대체 내지 치환되거나 또는 제거되거나 또는 변형 내지 수정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변형물도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해당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200a, 200b, 300: 의료용 실 장치
10, 20: 의료용 실
10a, 20a: 연장부
12, 17, 27: 미늘 (역방향 미늘)
14, 24: 매듭
22: 미늘 (순바향 미늘)
15, 25: 의료용 실의 일단부
16, 26: 의료용 실의 타단부
30: 후크 부재(또는 콘 또는 봉합사 지지체)
40, 41: 바늘

Claims (19)

  1. 길이 방향을 따라서 미늘이 마련되는 제1 및 제2 의료용 실; 및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피부 조직 내에 있을 때 상기 피부 조직에 걸려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에 걸리는 장력을 상기 피부 조직에 전달하기 위한 후크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의료용 실의 미늘은 상기 후크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2 의료용 실의 미늘은 상기 후크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의료용 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 부재의 상기 일단부 측을 향하는 제1 단부의 직경이 상기 일단부 측의 반대를 향하는 제 2 단부의 직경보다 더 작은 원뿔대 형상의 콘이고, 상기 콘에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에서 개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의료용 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의 상기 일단부 각각에는 매듭이 형성되는, 의료용 실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료용 실 및 상기 제2 의료용 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후크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미늘이 형성되는, 의료용 실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료용 실 및 상기 제2 의료용 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부에는 바늘이 연결되는, 의료용 실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상기 제1 의료용 실 또는 상기 제2 의료용 실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의료용 실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료용 실 또는 상기 제2 의료용 실의 상기 미늘은 이 미늘이 형성되는 상기 제1 의료용 실 또는 상기 제2 의료용 실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의료용 실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평면은 2개의며, 상기 2개의 평면은 서로 평행하고, 서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의료용 실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료용 실의 길이와 상기 제2 의료용 실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의료용 실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료용 실 및 제2 의료용 실 중 길이가 큰 쪽의 의료용 실의 타단부에 바늘이 연결되는, 의료용 실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 및 상기 후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생체에 흡수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는, 의료용 실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을 상기 실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커팅함으로써 형성되는, 의료용 실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 부재의 상기 일단부 측을 향하는 제1 단부의 직경이 상기 일단부 측의 반대를 향하는 제 2 단부의 직경보다 더 작은 원뿔대 형상의 콘이고, 상기 콘에는 상기 제1 단부는 폐쇄되고, 상기 제2 단부는 개방되고, 상기 콘의 내부는 비어 있는, 의료용 실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의료용 실 부재의 상기 일단부 측을 향하는 제1 단부의 직경과 상기 일단부 측의 반대를 향하는 제 2 단부의 직경이 같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횡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의료용 실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는 중공의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의 바디의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는, 상기 의료용 실 장치.
  16.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료용 실 장치를 사용하는 미용 시술 방법으로서, 의료용 실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의료용 실 장치를 피부 조직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용 실 장치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피부 조직을 상기 의료용 실 장치가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리결정된 만큼 상기 피부 조직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행해지는, 의료용 실 장치를 사용하는 미용 시술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피부 조직은 목에 있는 피부 조직인, 의료용 실 장치를 사용하는 미용 시술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 장치를 삽입하는 단계 전에, 상기 목의 측면 또는 후방 부위에 의료용 실 삽입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실 장치를 사용하는 미용 시술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실 삽입구를 통해서 복수의 의료용 실 장치를 삽입하는, 의료용 실 장치를 사용하는 미용 시술 방법.
KR1020180072017A 2018-06-22 2018-06-22 의료용 실 장치 KR20200000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017A KR20200000114A (ko) 2018-06-22 2018-06-22 의료용 실 장치
PCT/KR2019/007496 WO2019245319A1 (ko) 2018-06-22 2019-06-21 의료용 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017A KR20200000114A (ko) 2018-06-22 2018-06-22 의료용 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14A true KR20200000114A (ko) 2020-01-02

Family

ID=6898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017A KR20200000114A (ko) 2018-06-22 2018-06-22 의료용 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00114A (ko)
WO (1) WO20192453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296B1 (ko) * 2020-01-14 2020-11-04 (주)제이월드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WO2021241868A1 (ko) * 2020-05-27 2021-12-02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스토퍼를 일 말단에 가지는 의료용 실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6027B2 (en) * 2004-04-07 2012-08-07 Tze Liang Woffles Wu Surgical thread
US20090143819A1 (en) * 2007-10-31 2009-06-04 D Agostino William L Coatings for modifying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s self-retaining sutures
KR101185583B1 (ko) * 2011-12-27 2012-09-24 김영재 매듭짓는 작업이 필요 없는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1473695B1 (ko) * 2014-04-03 2014-12-19 은문기 봉합사를 갖는 리프팅 장치
KR101533074B1 (ko) * 2015-04-14 2015-07-01 윤지혜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296B1 (ko) * 2020-01-14 2020-11-04 (주)제이월드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WO2021241868A1 (ko) * 2020-05-27 2021-12-02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스토퍼를 일 말단에 가지는 의료용 실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5319A1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0980B2 (ja) 結び目をつける作業が不要な縫合糸及びそれを含むキット
KR101241955B1 (ko) 상처봉합, 조직밀착, 조직지지, 부유 및/또는 고정을 위한 봉합사
JP5697221B2 (ja) 縫合糸
RU2535616C2 (ru) Шовные нити с зазубринами и стопорами для тампонов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EP1734870B1 (en) Surgical thread
US4799483A (en) Suturing needle with tail mounted cutting blade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18508287A (ja) ローピング防止特性を持つメッシュ縫合糸
KR20200000114A (ko) 의료용 실 장치
ES2899849T3 (es) Conexión indirecta de una aguja a una sutura de malla
KR102052356B1 (ko) 피부 리프팅 봉합사 삽입 캐뉼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9085A (ko) 매선 자입기
KR101746738B1 (ko)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KR102174296B1 (ko)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키트
KR20200032610A (ko) 수술용 이중 봉합사
KR102207490B1 (ko) 시술용 매선
KR102049436B1 (ko) 봉합사 앵커 및 삽입 드라이버
JP2019530522A (ja) 特に半月板の裂傷を縫合するための縫合装置
NZ626645B2 (en) Knotless suture, and kit contain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