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070Y1 - 다목적 용접테이블 - Google Patents

다목적 용접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070Y1
KR200491070Y1 KR2020180000987U KR20180000987U KR200491070Y1 KR 200491070 Y1 KR200491070 Y1 KR 200491070Y1 KR 2020180000987 U KR2020180000987 U KR 2020180000987U KR 20180000987 U KR20180000987 U KR 20180000987U KR 200491070 Y1 KR200491070 Y1 KR 200491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jig
specimen
coupling memb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302U (ko
Inventor
안동수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0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070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0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및 판재 등 용접시편과 함께 용접 종류에 제약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용접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판 형태의 작업테이블과, 상기 작업테이블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작업테이블에 구비되어 용접시편을 고정하기 위한 용접고정지그부와, 상기 용접고정지그부에 연결되어 용접시편의 종류 및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용접지그툴부와,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어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용접시편의 가접을 위한 파이프 가접용 지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용접테이블{MULTI-PURPOSE WELDING TABLE}
본 고안은 다목적 용접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및 판재 등 용접시편과 함께 용접 종류에 제약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용접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대상물을 지지고정하기 위한 용접지그장치는 이미 다양한 형태가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용접대상물을 지지고정한 상태에서 회동 또는 회전시켜가면서 용접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지그장치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용접지그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0011호(2009.04.23. 공개)에는 대형패널을 용접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널 용접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형패널의 양단부에 대응하여 바닥면 양측에 구성되어 상기 대형패널의 각 단부를 클램핑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해주는 고정지그유닛과, 상기 양측 고정지그유닛의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대형패널의 중앙을 지지하면서, 실린더 작동에 의해 상기 대형패널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지그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그유닛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 중앙에 일정간격으로 베어링 캡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선단에는 플랜지가 구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플랜지에 중앙이 체결되며, 상기 대형패널의 각 단부가 안착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대형패널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다수개의 클램핑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지그유닛은 바닥 플레이트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2개의 장착 프레임과, 상기 각 장착 프레임의 상단에 베어링 캡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내측 선단에는 장착 플랜지가 구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각 회전축의 장착 플랜지에 양측 중앙이 체결되며, 상기 대형패널의 중앙이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플레이트와 안착 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착 프레임을 회전 작동시키는 다수개의 구동수단으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용접용 지그장치기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용접지그장치는 판형의 용접대상물을 지지고정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수평판과 수직판이 교차되게 용접되어야 하는 용접대상물을 지지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하부 및 좌,우 측면 4개소에서 선택적으로 용접대상물이 지지고정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에 관계없이 용접대상물을 지지 고정하려면 클램핑수단이 별도로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0011호(2009.04.23. 공개)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교육용 시편 및 부품 제작에서 공간 및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다기능의 작업대를 이용하여 용접시편 및 용접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자세로 용접을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 및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목적 용접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접테이블은 판 형태의 작업테이블과, 상기 작업테이블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작업테이블에 구비되어 용접시편을 고정하기 위한 용접고정지그부와, 상기 용접고정지그부에 연결되어 용접시편의 종류 및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용접지그툴부와,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어 용접시편의 가접을 위한 파이프 가접용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작업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낮이조절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접고정지그부는 작업테이블의 상부와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거치바와, 상기 거치바에 결합되어 용접시편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용접지그툴부를 연결시키는 용접고정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접고정지그는 거치바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의 외측부에 구비되어 용접지그툴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제2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에 구비되어 제1결합부재를 거치바에 고정시키고 용접지그툴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는 제1결합부재의 외측부에 용접시편의 종류 및 용접 자세에 따라 제1결합부재와 45도 또는 90도의 각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접지그툴부는 용접고정지그에 연결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끝단부에 구비되어 판재나 파이프 형태의 용접시편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가접용 지그는 가접을 위해 파이프 형태의 용접시편이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용접시편을 지지하는 지지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는 가접을 위한 파이프에 따라 세워놓거나 눕혀놓을 수 있도록 원통 형태 및 'V'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용접테이블에 의하면, 판 형태의 작업테이블에 용접시편을 고정하기 위한 용접고정지그가 구비되고 용접고정지그에 판재나 파이프 형태의 용접시편을 연결시키는 용접지그툴부를 구비함으로써 판재나 파이프 형태의 용접시편 및 용접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테이블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테이블의 용접고정지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테이블의 용접지그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테이블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테이블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테이블의 용접고정지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테이블의 용접지그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테이블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용접테이블은 작업테이블(100)과, 받침대(200)와, 높낮이조절볼트(300)와, 용접고정지그부(400)와, 용접지그툴부(500)와, 파이프 가접용 지그(6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작업테이블(100)은 사각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용접에 따른 고열에 뒤틀림 등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금속판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받침대(200)는 작업테이블(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작업테이블(100)을 받쳐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200)는 작업테이블(100)의 사각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높낮이조절볼트(300)는 받침대(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조절에 따라 작업테이블(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높낮이조절볼트(300)를 돌림에 따라 받침대(200)를 승,하강시켜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높낮이를 사용자에게 맞게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접고정지그부(400)는 작업테이블(100)에 구비되어 용접시편(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용접지그툴부(500)를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용접고정지그부(400)는 용접시편(10)의 종류 및 용접 자세에 따라 작업테이블(100)의 상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작업테이블(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용접고정지그부(400)는 거치바(410)와, 용접고정지그(42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거치바(410)는 작업테이블(10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상부와 하부에 용접지그툴부(500)를 연결시키기 위한 거치바(410)를 구비함으로써 용접시편(10)의 종류와 자세 및 용접 방식에 맞게 용접지그툴부(500)를 작업테이블(100)의 상부나 하부에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접고정지그(420)는 거치바(410)에 결합되어 용접시편(10)을 연결시키기 위한 용접지그툴부(500)를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용접고정지그(420)는 용접시편(10) 및 용접 방식에 맞게 작업테이블(100)의 상,하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거치바(410)에 연결되거나 전체의 거치바(410)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용접고정지그(420)는 제1결합부재(421)와, 제2결합부재(422)와, 고정볼트(423)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1결합부재(421)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거치바(410)에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422)는 제1결합부재(421)의 외측부에 구비되어 용접을 위한 용접지그툴부(500)를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재(422)는 용접지그툴부(5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422)는 제1결합부재(421)의 외측부에 용접시편(10)의 종류 및 용접 자세에 따라 도 3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재(421)와 90도의 각도로 이루어지며, 도 3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재(421)와 45도의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결합부재(422)를 제1결합부재(421)에 90도 및 45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구비됨으로써 판 형태의 용접시편(10) 및 파이프 형태의 용접시편(10)에 따라 용접고정지그(420)를 작업테이블(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거치바(410) 및 하부에 구비되는 거치바(410)에 임의대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볼트(423)는 제1결합부재(421)와 제2결합부재(422)에 구비되어 제1결합부재(421)를 거치바(410)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결합부재(422)에 끼워지는 용접지그툴부(50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결합부재(421)가 거치바(4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결합부재(421)에 구비되는 고정볼트(423)를 체결하여 용접고정지그(420)를 거치바(410)에 고정시키며, 상기 제2결합부재(422)에 용접시편(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용접지그툴부(500)가 끼워지면 고정볼트(423)를 체결하여 용접지그툴부(50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접지그툴부(500)는 용접고정지그부(400)에 연결되어 용접을 위한 용접시편(1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용접지그툴부(500)는 거치바(410)에 고정되는 용접고정지그(420)에 연결되어 판이나 파이프 형태의 용접시편(10) 및 용접시편(10)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용접지그툴부(500)는 연결바(510)와, 고정클램프(52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연결바(510)는 용접고정지그(420)의 제2결합부재(422)에 끼워져 고정볼트(423)로 고정되어지게 된다.
상기의 연결바(510)는 용접시편(10) 및 용접 방식에 따라 작업테이블(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용접고정지그(420)에 작업테이블(100)과 수평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용접고정지그(420)에 작업테이블(100)과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클램프(520)는 연결바(510)의 끝단부에 구비되어 판재나 파이프 형태의 용접시편(1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이프 가접용 지그(600)는 작업테이블(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용접시편(10)의 가접을 위해 용접시편(1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파이프 가접용 지그(600)는 가접을 위해 용접시편이 안착되는 안착부재(610)와, 상기 안착부재(610)에 안착된 용접시편(10)을 지지하는 지지볼트(62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안착부재(620)는 가접을 위한 파이프 형태의 용접시편(10)에 따라 용접시편을 세워놓을 수 있도록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접시편(10)을 눕혀놓을 수 있도록 'V'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다목적 용접테이블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받침대(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용접을 위한 작업테이블(100)을 판 형태로 구비함에 따라 별도의 정반이 필요하지 않으며, 용접 시 발생되는 고열에 의해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00)의 하부에 높낮이조절볼트(3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높낮이조절볼트(300)를 조절하여 작업테이블(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불규칙한 지면에도 간편하게 수평을 맞출 수 있고 작업자의 키에 맞춰 작업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상부 및 하부에 용접고정지그부(400)를 연결시키고 상기 용접고정지그부(400)에 용접시편(10)을 고정하기 위한 용접지그툴부(500)를 연결시키게 됨으로써 판재나 파이프 형태의 용접시편(10) 및 용접 방식에 구애받지 않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상부와 하부에 용접고정지그부(400)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용접고정지그부(400)에 용접지그툴부(500)를 연결시키게 됨으로써 판재 및 파이프 등 용접시편(10)과 용접 자세에 제한 없이 어떤 제품도 고정할 수 있으며 3축으로 구비하여 편리하고 손쉽게 변환하여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용접시편 100 : 작업테이블
200 : 받침대 300 : 높낮이조절볼트
400 : 용접고정지그부 410 : 거치바
420 : 용접고정지그 421 : 제1결합부재
422 : 제2결합부재 423 : 고정볼트
500 : 용접지그툴부 510 : 연결바
520 : 고정클램프 600 : 파이프 가접용 지그
610 : 안착부재 620 : 지지볼트

Claims (8)

  1. 판 형태의 작업테이블;
    상기 작업테이블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대;
    상기 작업테이블에 구비되어 용접시편을 고정하기 위한 용접고정지그부;
    상기 용접고정지그부에 연결되어 용접시편의 종류 및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용접지그툴부; 및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어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용접시편의 가접을 위한 파이프 가접용 지그;
    를 포함하며,
    상기 용접고정지그부는,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부와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거치바; 및
    상기 거치바에 결합되어 용접시편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용접지그툴부를 연결시키는 용접고정지그;
    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고정지그는,
    상기 거치바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
    상기 제1결합부재의 외측부에 구비되어 용접지그툴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제2결합부재; 및
    상기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에 구비되어 제2결합부재를 용접지그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부재는 제1결합부재의 외측부에 용접시편의 종류 및 용접 자세에 따라 제1결합부재와 45도 또는 90도의 각도로 구비되고,
    상기 용접지그툴부는 용접고정지그에 연결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끝단부에 구비되어 판재나 파이프 형태의 용접시편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가접용 지그는 가접을 위해 파이프 형태의 용접시편이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용접시편을 지지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는 다목적 용접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작업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낮이조절볼트를 더 포함하는 다목적 용접테이블.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가접을 위한 파이프에 따라 세워놓거나 눕혀놓을 수 있도록 원통 형태 및 'V'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용접테이블.
KR2020180000987U 2018-03-07 2018-03-07 다목적 용접테이블 KR200491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87U KR200491070Y1 (ko) 2018-03-07 2018-03-07 다목적 용접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87U KR200491070Y1 (ko) 2018-03-07 2018-03-07 다목적 용접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02U KR20190002302U (ko) 2019-09-18
KR200491070Y1 true KR200491070Y1 (ko) 2020-02-14

Family

ID=6806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987U KR200491070Y1 (ko) 2018-03-07 2018-03-07 다목적 용접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0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122B1 (ko) * 2023-06-09 2023-10-24 (주) 와이제이엠텍 용접용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0172A (zh) * 2020-01-13 2020-04-28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焊工考试管件外观检验工作台
KR102191075B1 (ko) * 2020-06-27 2020-12-15 조일수 용접 작업대
KR102222510B1 (ko) * 2020-08-19 2021-03-02 이상운 용접 시스템
KR102634611B1 (ko) 2023-03-13 2024-02-07 주식회사 그때바다 소라껍데기 적용 기능성 블루투스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011A (ko) 2007-10-19 2009-04-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패널 용접용 지그장치
KR101210805B1 (ko) * 2011-01-11 2012-12-10 김영주 용접용 지그장치
KR101221245B1 (ko) * 2011-01-11 2013-01-11 김영주 용접용 지그장치
KR20150001151U (ko) * 2013-09-09 2015-03-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 파이프의 조인트부 세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122B1 (ko) * 2023-06-09 2023-10-24 (주) 와이제이엠텍 용접용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02U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070Y1 (ko) 다목적 용접테이블
CN208880044U (zh) 可调节角度的悬臂式、龙门式埋弧焊焊接胎架
CN103331551A (zh) 烤箱炉体焊接机器人双工位工作站
CN113547265A (zh) 一种钢桥梁u型肋焊接用反变形胎架工装
CN202430827U (zh) 超高层建筑幕墙单元式石材装饰线条可调连接支座
CN108581327B (zh) 一种发动机后支承用焊接工装及其使用方法
CN210335107U (zh) 多功能焊补操作台
JP4544604B2 (ja) プレス作業のハンドワーク用作業台
CN206840331U (zh) 一种木材精密钻孔设备
CN205290198U (zh) 气动式汽车补焊工装定位装置
CN210499016U (zh) 一种防变形焊接工装
JP2632630B2 (ja) 両端フランジ付き鋼管用仮溶接治具装置
CN207386897U (zh) Ct设备底座单腿焊接模具
CN105269218A (zh) 一种压臂式焊接夹具压紧装置
CN207139179U (zh) 大型封头管座焊接变位装置
CN210160638U (zh) 一种保温金属支撑件的焊接装置
CN217452975U (zh) 冷却壁钻孔工装
CN214921911U (zh) 焊接定位轴的固定工装
CN110369930A (zh) 全位置焊接试验操作平台
CN213053523U (zh) 一种90°角钢支架组对焊接平台装置
CN105252191B (zh) 一种钢结构模块房屋立柱的焊接工装及焊接方法
CN209837633U (zh) 一种室内顶部装饰用移动平台
CN219617728U (zh) 一种阴极辊竖直放置工装
CN215509143U (zh) 一种钢模板加工用铣边装置
CN211638786U (zh) 一种带标尺的焊接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