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346Y1 -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346Y1
KR200490346Y1 KR2020190003257U KR20190003257U KR200490346Y1 KR 200490346 Y1 KR200490346 Y1 KR 200490346Y1 KR 2020190003257 U KR2020190003257 U KR 2020190003257U KR 20190003257 U KR20190003257 U KR 20190003257U KR 200490346 Y1 KR200490346 Y1 KR 200490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hole
loading
plat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대
강점섭
Original Assignee
미래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테크(주) filed Critical 미래테크(주)
Priority to KR2020190003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부에 위치조정자를 설치함으로써 배출부를 통과하는 간격유지구가 적재부의 동일한 위치로 낙하하도록 하므로 간격유지구의 적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왕복운반부에 의해 간격유지구를 이동판에 교대로 적재함으로써 간격유지구를 연속해서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완료된 간격유지구의 구멍에 결속구를 끼워넣어 고정시킴으로써 간격유지구의 운반, 보관 및 포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Coupling of the Spacing System for Forms}
본 고안은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부에 위치조정자를 설치함으로써 배출부를 통과하는 간격유지구가 적재부의 동일한 위치로 낙하하도록 하므로 간격유지구의 적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왕복운반부에 의해 간격유지구를 이동판에 교대로 적재함으로써 간격유지구를 연속해서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완료된 간격유지구의 구멍에 결속구를 끼워넣어 고정시킴으로써 간격유지구의 운반, 보관 및 포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는 금형부에서 제조되어 이송되는 간격유지구를 동일한 위치로 적재하기 위한 장치가 없어서 간격유지구의 결속을 위한 적재가 쉽지 않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는 소정의 수량만큼 적재부에 간격유지구가 적재완료되면 이송부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적재된 간격유지구를 분리 제거한 후 다시 이송부의 작동을 재개시켜 간격유지구의 적재를 해야하므로 간격유지구의 신속한 적재 및 포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는 소정의 수량만큼 적재완료된 간격유지구를 신속하게 결속시켜서 묶음포장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서 불편하였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0924302호.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출부에 위치조정자를 설치함으로써 금형부에서 제조되어 이송되어오는 간격유지구의 중심판이 위치조정자가 있는 위치에 도달했을때 비로서 간격유지구의 낙하가 이루어지므로 간격유지구를 수집부의 동일한 위치로 연속하여 낙하하게 해주어 간격유지구의 적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재봉에 연속해서 낙하하는 간격유지구를 간편하게 적재함으로써 간격유지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하여 수집할 수 있으므로 간격유지구의 묶음포장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프링이 내설된 스프링장치통과 적재봉을 이동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하고 왕복운반부에 의해 이동판을 측방으로 왕복이동시켜 이동판의 양측 적재봉을 배출부의 하측에 교대로 위치시킴으로써 간격유지구를 이동판의 양측 적재봉에 교대로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수량만큼 적재 완료되어 이동판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된 간격유지구를 결속시키기 위해 결속구를 이용하여 결속구의 하단면으로 간격유지구의 구멍에 끼워져 있는 적재봉의 뾰족한 상단을 눌러서 밀어넣어 결속구의 하단의 빗면형돌기가 최하단에 적재된 간격유지구의 구멍의 저면에 걸려서 고정되게 함으로써 적재된 간격유지구의 대형을 흐트러뜨리지 않은 상태로 결속구를 이용하여 간격유지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속시켜서 묶음포장할 수 있는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재봉에 소정의 수량만큼 적재가 완료된 간격유지구의 양측 구멍에 결속구를 끼워서 다층으로 적재된 간격유지구를 간편하게 결속시켜줌으로써 간격유지구의 운반, 보관 및 포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를 이루는 장치프레임(100);
장치프레임(100)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공급되는 금속판을 프레스로 가공하여 간격유지구(800)를 제조하는 금형부(200);
장치프레임(10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간격유지구(800)를 이송해주는 이송부(300);
이송부(300)의 전방에 설치되고 간격유지구(800)를 적재부(500)의 동일한 위치로 연속해서 낙하하도록 배출해주는 배출부(400);
배출부(400)의 하방에 설치되고 배출부(400)로부터 연속해서 낙하하는 간격유지구(800)가 적재봉(530)에 끼워지도록 적재하는 적재부(500);
적재부(5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적재부(500)의 일측 적재봉(530)에 간격유지구(800)가 일정수량만큼 적재되면 결속하여 묶어주기 위해 이동판(510)을 일측방으로 이동시켜줌과 동시에, 적재부(500)의 타측 적재봉(530)이 배출부(40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므로 간격유지구(800)를 계속해서 신속하게 적재하도록 해주는 왕복운반부(6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부(300)는,
장치프레임(100)의 상단부에 간격유지구(80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며 동시에 여러개의 간격유지구(800)를 이송하도록 가로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가이드판(310)과,
간격유지구(800)를 이송하도록 가이드판(310) 사이에 설치하는 컨베이어(320)와,
가이드판(310)의 양측방에 설치되어 가이드판(310)을 지지해주고, 일측에 설치되는 축잡이(630)에 컨베이어(320)에 장치된 회전축(321)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판(330)과,
지지판(330)의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축(341)에 구동풀리(342)가 설치되어 컨베이어(320)의 일측 회전축(321)에 설치되는 피동풀리(322)와 구동벨트(343)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해주는 구동모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400)는,
컨베이어(320) 전방의 양측 가이드판(310)의 하단부에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장공과,
양측 가이드판(310)의 장공(311)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며 대칭을 이루도록 체결수단(420)에 의해 체결되고 전단의 상부와 후단의 상부에는 빗면부(411)가 형성되는 위치조정자(4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양측 가이드판(310)에 설치되는 위치조정자(410) 사이로 간격유지구(800)의 중심판(8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 위치조정자(410) 사이의 간격과 위치조정자(410)의 두께를 조정하여 설치하며,
상기 적재부(500)는,
가이드판(310) 전단의 하방에 설치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왕복운반부(600)에 의해 측방으로 왕복이동되는 이동판(510)과,
간격유지구(800) 양단의 구멍(81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이동판(510)에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되는 통공(511)과,
상단은 이동판(510)의 통공(511)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관(521)과 나사결합하여 고정되고, 하단은 이동판(51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스프링장치통(520)과,
스프링장치통(520) 내부에 탄발력을 충진하며 장착되는 스프링(S)과,
하단은 스프링장치통(520)의 상단에 끼워져서 스프링(S)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받으며, 상단은 이동판(51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적재봉(5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왕복운반부(600)는,
장치프레임(10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대(610)와,
고정대(610)의 상단에 고정대(61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지지체(620)와,
지지체(620)의 양단에 설치되는 축잡이(630)와,
양단이 양측 축잡이(630)의 상단면에 부착되어 지지체(62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판(640)과,
양단이 양측 축잡이(6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봉(650)과,
적재부(500)의 이동판(510)의 저면에 설치되고 나사봉(650)과 나사결합하여 나사봉(650)이 좌우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판(510)을 나사봉(65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주는 이동너트(660)와,
장치프레임(100)의 일측에 고정판(110)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구동축(671)에 구동풀리(672)가 설치되어 나사봉(650)의 일단에 설치되는 피동풀리(651)와 구동벨트(673)로 연결되는 구동모터(67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고안은 배출부에 위치조정자를 설치함으로써 금형부에서 제조되어 이송되어오는 간격유지구의 중심판이 위치조정자가 있는 위치에 도달했을때 비로서 간격유지구의 낙하가 이루어지므로 간격유지구를 수집부의 동일한 위치로 연속하여 낙하하게 해주어 간격유지구의 적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적재봉에 연속해서 낙하하는 간격유지구를 간편하게 적재함으로써 간격유지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하여 수집할 수 있으므로 간격유지구의 묶음포장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프링이 내설된 스프링장치통과 적재봉을 이동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하고 왕복운반부에 의해 이동판을 측방으로 왕복이동시켜 이동판의 양측 적재봉을 배출부의 하측에 교대로 위치시킴으로써 간격유지구를 이동판의 양측 적재봉에 교대로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소정의 수량만큼 적재 완료되어 이동판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된 간격유지구를 결속시키기 위해 결속구를 이용하여 결속구의 하단면으로 간격유지구의 구멍에 끼워져 있는 적재봉의 뾰족한 상단을 눌러서 밀어넣어 결속구의 하단의 빗면형돌기가 최하단에 적재된 간격유지구의 구멍의 저면에 걸려서 고정되게 함으로써 적재된 간격유지구의 대형을 흐트러뜨리지 않은 상태로 결속구를 이용하여 간격유지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속시켜서 묶음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적재봉에 소정의 수량만큼 적재가 완료된 간격유지구의 양측 구멍에 결속구를 끼워서 다층으로 적재된 간격유지구를 간편하게 결속시켜줌으로써 간격유지구의 운반, 보관 및 포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의 부분 확대도로서, 간격유지구가 배출부의 위치조정자를 통과하여 적재부의 적재봉에 적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단면도로서, 간격유지구가 배출부의 위치조정자 사이로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A - A'선 단면도로서, 왕복운반부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소정의 수량만큼 적재완료된 간격유지구를 결속구로 결속하여 묶어주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는 장치프레임(100), 금형부(200), 이송부(300), 배출부(400), 적재부(500), 왕복운반부(600), 결속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장치프레임(100)은 본체의 틀을 이루게 되고 장치프레임(100)에 각 장치들이 설치된다.
금형부(200)는 장치프레임(100)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금형부(200)는 공급되는 금속판을 프레스로 가공하여 간격유지구(800)를 제조한다.
이송부(300)는 장치프레임(10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제조된 간격유지구(800)를 배출부(400) 쪽으로 이송해준다.
이를 위해, 이송부(300)는 가이드판(310), 컨베이어(320), 지지판(330), 구동모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판(310)은 장치프레임(100)의 상단부에 간격유지구(80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며, 가이드판(310)은 동시에 여러개의 간격유지구(800)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쌍씩 조를 이루어 가로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컨베이어(320)는 금형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간격유지구(800)를 이송하도록 가이드판(310) 사이에 설치한다.
지지판(330)은 가이드판(310)의 양측방에 설치되어 가이드판(310)을 지지해주고, 지지판(3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축잡이(630)(331)에 컨베이어(320)에 장치된 회전축(321)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모터(340)는 지지판(330)의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모터(340)의 구동축(341)에 구동풀리(342)가 설치되어 컨베이어(320)의 일측 회전축(321)에 설치되는 피동풀리(322)와 구동벨트(343)로 연결되어서 구동모터(340)의 구동력을 컨베이어(320)의 회전축(321)에 전달하여 컨베이어(320)를 구동시키게 된다.
배출부(400)는 간격유지구(800)를 적재부(500)의 동일한 위치로 연속해서 낙하하도록 배출해준다.
이를 위해, 배출부(400)는 가이드판(310)의 장공(311), 위치조정자(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판(310)의 장공(311)은 컨베이어(320) 전방의 양측 가이드판(310)의 하단부에 서로 마주보며 형성된다.
위치조정자(410)는 양측 가이드판(310)의 장공(311)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며 대칭을 이루도록 체결수단(420)에 의해 체결되고 전단의 상부와 후단의 상부에는 빗면부(411)가 형성된다. 이때, 양측 가이드판(310)에 설치되는 위치조정자(410) 사이로 간격유지구(800)의 중심판(8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 위치조정자(410) 사이의 간격과 위치조정자(410)의 두께를 조정하여 설치한다. 아울러, 체결수단(420)은 체결볼트(421)와 체결너트(422)를 이용하여 가이드판(310)의 장공(311)에 위치조정자(410)를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위치조정자(410)는 컨베이어(320)에 의해 배출부(400)로 이송되어져 오는 간격유지구(800)를 동일한 위치에서 낙하시켜 적재부(500)의 적재봉(530)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출부(400)에 위치조정자(410)를 설치함으로써 금형부(200)에서 제조되어 이송되어오는 간격유지구(800)의 중심판(820)이 위치조정자(410)가 있는 위치에 도달했을때 비로서 간격유지구(800)의 낙하가 이루어지므로 간격유지구(800)를 수집부의 동일한 위치로 연속하여 낙하하게 해주어 간격유지구(800)의 적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적재부(500)는 배출부(400)의 하방에 설치되고 배출부(400)로부터 연속해서 낙하하는 간격유지구(800)가 적재봉(530)에 끼워지도록 적재한다.
이를 위해, 적재부(500)는 이동판(510), 이동판(510)의 통공(511), 스프링장치통(520), 스프링(S), 적재봉(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판(510)은 가이드판(310) 전단의 하방으로 왕복운반부(600)의 상단에 설치되고 이동판(5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왕복운반부(600)에 의해 측방으로 왕복이동된다.
이동판(510)의 통공(511)은 간격유지구(800) 양단의 구멍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이동판(510)에 한 쌍씩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된다.
스프링장치통(520)은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밀폐되며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통으로서, 스프링장치통(520)의 상단은 이동판(510)의 통공(511)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관(521)과 나사결합하여 고정되고, 스프링장치통(520)의 하단은 이동판(510)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스프링(S)은 스프링장치통(520) 내부에 탄발력을 충진하며 장착된다.
적재봉(530)의 하단은 스프링장치통(520)의 상단에 끼워져서 스프링(S)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받으며 적재봉(530)의 상단은 이동판(510)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적재봉(530)의 상단은 간격유지구(800)의 구멍이 쉽게 끼워지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고, 적재봉(530)의 하단에는 플랜지(531)를 형성하여 적재봉(530)의 플랜지(531)가 결합관(521)의 하단에 걸려지므로 적재봉(5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적재봉(530)에 연속해서 낙하하는 간격유지구(800)를 간편하게 적재함으로써 간격유지구(80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하여 수집할 수 있으므로 간격유지구(800)의 묶음포장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왕복운반부(600)는 적재부(5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적재부(500)의 일측 적재봉(530)에 간격유지구(800)가 일정수량만큼 적재되면 결속하여 묶어주기 위해 이동판(510)을 일측방으로 이동시켜줌과 동시에, 적재부(500)의 타측 적재봉(530)이 배출부(40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므로 간격유지구(800)를 계속해서 신속하게 적재하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왕복운반부(600)는 고정대(610), 지지체(620), 축잡이(630), 슬라이드판(640), 나사봉(650), 이동너트(660), 구동모터(6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대(610)는 장치프레임(10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지지체(620)는 고정대(610)의 상단에 고정대(610)와 나란하게 설치된다.
축잡이(630)는 지지체(620)의 양단에 설치된다.
슬라이드판(640)의 양단은 양측 축잡이(630)의 상단면에 부착되어 지지체(620)와 나란하게 설치된다.
나사봉(650)의 양단은 양측 축잡이(6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너트(660)는 적재부(500)의 이동판(510)의 저면에 설치되고 나사봉(650)과 나사결합하여 나사봉(650)이 좌우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너트(660)는 이동판(510)을 나사봉(65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준다.
구동모터(670)는 장치프레임(100)의 일측에 고정판(110)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구동모터(670)의 구동축(671)에는 구동풀리(672)가 설치되어 나사봉(650)의 일단에 설치되는 피동풀리(651)와 구동벨트(673)로 연결된다. 그리하여, 구동모터(670)는 구동력을 나사봉(650)에 전달하여 나사봉(650)을 좌우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프링(S)이 내설된 스프링장치통(520)과 적재봉(530)을 이동판(510)의 양측에 각각 설치하고 왕복운반부(600)에 의해 이동판(510)을 측방으로 왕복이동시켜 이동판(510)의 양측 적재봉(530)을 배출부(400)의 하측에 교대로 위치시킴으로써 간격유지구(800)를 이동판(510)의 양측 적재봉(530)에 교대로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결속구(700)는 소정의 수량만큼 적재봉(530)에 적재가 완료된 간격유지구(800)의 양측 구멍에 끼워넣어서 간격유지구(800)를 결속시켜주어 간격유지구(800)의 운반, 보관 및 포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결속구(700)의 중심에는 중공부(710)가 형성되고, 결속구(700)의 상단에는 플랜지(720)가 형성되어 소정의 수량만큼 적재된 간격유지구(800) 중 최상측의 간격유지구(800)의 구멍(811)의 상면에 걸려서 고정되며, 결속구(700)의 하단에는 빗면형돌기(730)가 형성되어 적재된 간격유지구(800) 중 최하측의 간격유지구(800)의 구멍(811)의 저면에 걸려서 적재된 간격유지구(800)를 결속하여 묶어줌으로써 간격유지구(800)의 운반, 보관 및 포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준다. 아울러, 결속구(700)의 빗면형돌기(730)의 주변으로는 절개부(740)를 형성하여 빗면형돌기(730)의 하단이 결속구(700)의 내측과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결속구(700)로 적재완료된 간격유지구(800)를 결속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판(510)의 일측 적재봉(530)에 소정의 수량만큼 간격유지구(800)가 적재되면 이동판(51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재된 간격유지구(800)를 묶음포장하기 쉽도록 일측으로 이동시켜줌과 동시에, 이동판(510)의 타측 적재봉(530)이 배출부(4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연속하여 간격유지구(800)를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정의 수량만큼 적재봉(530)에 적재 완료되어 일측으로 이동된 간격유지구(800)는 결속구(700)로 결속시켜주게 되는데, 결속구(700)의 하단면으로 간격유지구(800)의 구멍에 끼워져 있는 적재봉(530)의 뾰족한 상단을 누르면서 결속구(700)를 계속해서 간격유지구(800)의 구멍에 끼워넣게 된다.
또한, 결속구(700)의 하단이 최하단에 적재된 간격유지구(800)의 구멍을 관통하여 결속구(700)의 빗면형돌기(730)가 최하단에 적재된 간격유지구(800)의 구멍의 저면에 걸려서 고정되면 적재된 간격유지구(800)의 결속이 완료된다.
그리하여, 결속구(700)에 의해 결속되어 묶여진 결속구(700)는 운반, 보관 및 포장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소정의 수량만큼 적재 완료되어 이동판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된 간격유지구(800)를 결속시키기 위해 결속구(700)의 하단면으로 간격유지구(800)의 구멍에 끼워져 있는 적재봉(530)의 뾰족한 상단을 눌러서 밀어넣어 결속구(700)의 하단의 빗면형돌기(730)가 최하단에 적재된 간격유지구(800)의 구멍의 저면에 걸려서 고정되게 함으로써 적재된 간격유지구(800)의 대형을 흐트러뜨리지 않은 상태로 결속구(700)를 이용하여 간격유지구(800)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속시켜서 묶음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적재봉(530)에 소정의 수량만큼 적재가 완료된 간격유지구(800)의 양측 구멍에 결속구(700)를 끼워서 다층으로 적재된 간격유지구(800)를 간편하게 결속시켜줌으로써 간격유지구(800)의 운반, 보관 및 포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장치프레임 110 : 고정판
200 : 금형부 300 : 이송부
310 : 가이드판 320 : 컨베이어
330 : 지지판 340 : 구동모터
400 : 배출부 410 : 위치조정자
420 : 체결수단 500 : 적재부
510 : 이동판 520 : 스프링장치통
S : 스프링 530 : 적재봉
600 : 왕복운반부 610 : 고정대
620 : 지지체 630 : 축잡이
640 : 슬라이드판 650 : 나사봉
660 : 이동너트 670 : 구동모터
700 : 결속구 710 : 중공부
720 : 플랜지 730 : 빗면형돌기
740 : 절개부 800 : 간격유지구
810 : 측판 811 : 구멍
820 : 중심판

Claims (3)

  1. 본체를 이루는 장치프레임(100);
    장치프레임(100)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공급되는 금속판을 프레스로 가공하여 간격유지구(800)를 제조하는 금형부(200);
    장치프레임(10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간격유지구(800)를 이송해주는 이송부(300);
    이송부(300)의 전방에 설치되고 간격유지구(800)를 적재부(500)의 동일한 위치로 연속해서 낙하하도록 배출해주는 배출부(400);
    배출부(400)의 하방에 설치되고 배출부(400)로부터 연속해서 낙하하는 간격유지구(800)가 적재봉(530)에 끼워지도록 적재하는 적재부(500);
    적재부(5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적재부(500)의 일측 적재봉(530)에 간격유지구(800)가 일정수량만큼 적재되면 결속하여 묶어주기 위해 이동판(510)을 일측방으로 이동시켜줌과 동시에, 적재부(500)의 타측 적재봉(530)이 배출부(40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므로 간격유지구(800)를 계속해서 신속하게 적재하도록 해주는 왕복운반부(6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부(300)는,
    장치프레임(100)의 상단부에 간격유지구(80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며 동시에 여러개의 간격유지구(800)를 이송하도록 가로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가이드판(310)과,
    간격유지구(800)를 이송하도록 가이드판(310) 사이에 설치하는 컨베이어(320)와,
    가이드판(310)의 양측방에 설치되어 가이드판(310)을 지지해주고, 일측에 설치되는 축잡이(630)에 컨베이어(320)에 장치된 회전축(321)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판(330)과,
    지지판(330)의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축(341)에 구동풀리(342)가 설치되어 컨베이어(320)의 일측 회전축(321)에 설치되는 피동풀리(322)와 구동벨트(343)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해주는 구동모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400)는,
    컨베이어(320) 전방의 양측 가이드판(310)의 하단부에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장공과,
    양측 가이드판(310)의 장공(311)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며 대칭을 이루도록 체결수단(420)에 의해 체결되고 전단의 상부와 후단의 상부에는 빗면부(411)가 형성되는 위치조정자(4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양측 가이드판(310)에 설치되는 위치조정자(410) 사이로 간격유지구(800)의 중심판(8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 위치조정자(410) 사이의 간격과 위치조정자(410)의 두께를 조정하여 설치하며,
    상기 적재부(500)는,
    가이드판(310) 전단의 하방에 설치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왕복운반부(600)에 의해 측방으로 왕복이동되는 이동판(510)과,
    간격유지구(800) 양단의 구멍(81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이동판(510)에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되는 통공(511)과,
    상단은 이동판(510)의 통공(511)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관(521)과 나사결합하여 고정되고, 하단은 이동판(51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스프링장치통(520)과,
    스프링장치통(520) 내부에 탄발력을 충진하며 장착되는 스프링(S)과,
    하단은 스프링장치통(520)의 상단에 끼워져서 스프링(S)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받으며, 상단은 이동판(51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적재봉(5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왕복운반부(600)는,
    장치프레임(10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대(610)와,
    고정대(610)의 상단에 고정대(61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지지체(620)와,
    지지체(620)의 양단에 설치되는 축잡이(630)와,
    양단이 양측 축잡이(630)의 상단면에 부착되어 지지체(62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판(640)과,
    양단이 양측 축잡이(6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봉(650)과,
    적재부(500)의 이동판(510)의 저면에 설치되고 나사봉(650)과 나사결합하여 나사봉(650)이 좌우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판(510)을 나사봉(65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주는 이동너트(660)와,
    장치프레임(100)의 일측에 고정판(110)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구동축(671)에 구동풀리(672)가 설치되어 나사봉(650)의 일단에 설치되는 피동풀리(651)와 구동벨트(673)로 연결되는 구동모터(6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소정의 수량만큼 적재봉(530)에 적재가 완료된 간격유지구(800)의 양측 구멍(811)에 끼워넣어서 간격유지구(800)를 결속시켜주어 간격유지구(800)의 운반, 보관 및 포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결속구(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700)의 중심에는 중공부(710)가 형성되고, 결속구(700)의 상단에는 플랜지(720)가 형성되어 소정의 수량만큼 적재된 간격유지구(800) 중 최상측의 간격유지구(800) 구멍(811)의 상면에 걸려서 고정되며, 결속구(700)의 하단에는 빗면형돌기(730)가 형성되어 적재된 간격유지구(800) 중 최하측의 간격유지구(800)의 구멍(811)의 저면에 걸려서 적재된 간격유지구(800)를 결속하여 묶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
KR2020190003257U 2019-08-06 2019-08-06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 KR200490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57U KR200490346Y1 (ko) 2019-08-06 2019-08-06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57U KR200490346Y1 (ko) 2019-08-06 2019-08-06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346Y1 true KR200490346Y1 (ko) 2019-10-31

Family

ID=6838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257U KR200490346Y1 (ko) 2019-08-06 2019-08-06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3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5423A (zh) * 2022-08-05 2022-11-04 东阳东磁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磁芯快速收集装置及其实现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508U (ja) * 1992-12-28 1994-07-26 川鉄運輸株式会社 棒状材の仕分け作業台
JPH10120277A (ja) * 1996-10-16 1998-05-12 Nakazawa Seisakusho:Kk 短冊状金属板の積載装置
JP2008218792A (ja) * 2007-03-06 2008-09-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板状電子部品の整列方法とそれに用いる整列装置
KR100924302B1 (ko) 2009-01-05 2009-11-02 미래테크(주) 콘크리트 벽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97611A (ko) * 2011-02-25 2012-09-05 홍춘희 건축용 간격유지구의 제조장치
KR101280599B1 (ko) * 2011-12-23 2013-07-02 박현우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계량장치
KR20150001123U (ko) * 2015-02-03 2015-03-13 정도연 이동수단이 구비된 거푸집용 세파타이 제조 장치
CN107662720A (zh) * 2017-10-30 2018-02-06 苏州哈工众志自动化科技有限公司 阀片的自动包装机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508U (ja) * 1992-12-28 1994-07-26 川鉄運輸株式会社 棒状材の仕分け作業台
JPH10120277A (ja) * 1996-10-16 1998-05-12 Nakazawa Seisakusho:Kk 短冊状金属板の積載装置
JP2008218792A (ja) * 2007-03-06 2008-09-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板状電子部品の整列方法とそれに用いる整列装置
KR100924302B1 (ko) 2009-01-05 2009-11-02 미래테크(주) 콘크리트 벽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97611A (ko) * 2011-02-25 2012-09-05 홍춘희 건축용 간격유지구의 제조장치
KR101280599B1 (ko) * 2011-12-23 2013-07-02 박현우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계량장치
KR20150001123U (ko) * 2015-02-03 2015-03-13 정도연 이동수단이 구비된 거푸집용 세파타이 제조 장치
CN107662720A (zh) * 2017-10-30 2018-02-06 苏州哈工众志自动化科技有限公司 阀片的自动包装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5423A (zh) * 2022-08-05 2022-11-04 东阳东磁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磁芯快速收集装置及其实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86029U (zh) 一种全自动化口服液瓶快速装盘预整理机
US6260689B1 (en) Conveyor apparatus and boxing system using conveyor apparatus
KR101037315B1 (ko) 연탄벌크 파레타이저
US11407598B2 (en) Automated round tube loading machine
KR200490346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결속장치
US6382401B2 (en) Boxing system using conveyor apparatus
US826151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nserting food products into packages
CN109436912B (zh) 片状承印物的快速收集整理转移机构及其打包堆叠装置
US7740123B2 (en) Packaging and supply device for grouping product items
CN110654617A (zh) 一种瓶盖的定向分列及定位堆叠生产线
CN114524245A (zh) 一种具有理料功能的物料输送装置
CN210854328U (zh) 纸托供料装置
CN203652795U (zh) 炸药药卷堆码输送设备
CN211002204U (zh) 一种多轨数粒机
CN204587406U (zh) 摇振式真空采血针的多级分料排列装置
CN112874891A (zh) 利乐砖装箱系统
CN210592658U (zh) 一种装盒机进料装置及装盒系统
CN113998196A (zh) 全自动装盒机
CN214875914U (zh) 利乐砖装箱系统
CN219193611U (zh) 一种新型震动加料器
JP2016098097A (ja) 棒鋼材束本数分離装置
CN213293931U (zh) 自动分料机
JPH0518246Y2 (ko)
CN218877684U (zh) 一种药剂瓶装盒进料机构
CN213622055U (zh) 理料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