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857Y1 - 진동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동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857Y1
KR200488857Y1 KR2020180004511U KR20180004511U KR200488857Y1 KR 200488857 Y1 KR200488857 Y1 KR 200488857Y1 KR 2020180004511 U KR2020180004511 U KR 2020180004511U KR 20180004511 U KR20180004511 U KR 20180004511U KR 200488857 Y1 KR200488857 Y1 KR 200488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tor shaft
support member
bol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텍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텍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텍콤
Priority to KR2020180004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8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6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47L11/164Parts or details of the brush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5Handles; levers

Abstract

진동 청소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는 모터; 상기 몸체부의 아래로 돌출된 상기 모터의 모터 샤프트에 편심되어 결합되는 내륜 부재 및 상기 내륜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외륜 부재를 포함하는 베어링; 상기 외륜 부재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결합되고, 청소 대상면과 접하여 청소하는 청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샤프트가 회전하면,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모터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고,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지지 부재와 함께 진동한다.

Description

진동 청소기{Vibration cleaner}
본 고안은 진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청소기가 개발되고 사용되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진공 방식의 청소기가 사용된다. 진공 방식의 청소기는 진공을 이용하여 바닥면 위의 오염물질을 흡수한다. 그러나 진공 방식의 청소기는 바닥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잘 흡수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브러쉬를 회전시켜 바닥면을 청소하는 방식의 청소기도 사용된다. 바닥면에 접촉하는 브러쉬의 회전에 의해 바닥면에 부착된 오염 물질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브러쉬 회전 방식의 청소기는 브러쉬의 회전에 의해 청소기 몸체를 회전시키려는 반력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청소기를 조작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바닥면에 부착된 오염 물질을 쉽게 제거하고 조작이 용이한 진동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는 모터; 상기 몸체부의 아래로 돌출된 상기 모터의 모터 샤프트에 편심되어 결합되는 내륜 부재 및 상기 내륜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외륜 부재를 포함하는 베어링; 상기 외륜 부재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결합되고, 청소 대상면과 접하여 청소하는 청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샤프트가 회전하면,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모터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고,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지지 부재와 함께 진동하는, 진동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청소기는, 상기 모터 샤프트를 중심으로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기 모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 1 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웨이트에는, 상기 모터 샤프트가 관통하는 축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웨이트를 상기 내륜 부재에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홀은 장공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볼트 홀은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볼트 홀은 상기 축 홀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다수의 볼트 홀 중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내륜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청소기는, 상기 모터 샤프트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 1 웨이트에 지지되는 제 2 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청소기는, 상기 모터 샤프트와 상기 제 2 웨이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웨이트에 상기 모터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을 가지는 간격 조절공; 상기 제 2 웨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간격 조절공을 관통하는 볼트 부재; 및 상기 간격 조절공을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볼트 부재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웨이트에 상기 모터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간격 조절공; 상기 제 2 웨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다수의 간격 조절공 중 하나를 관통하는 볼트 부재; 및 상기 다수의 간격 조절공 중 하나를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볼트 부재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결합 부재의 저면에 부착되고, 상기 청소 대상면과 접하는 청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 중 하나에는 상하로 연장된 요홈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의 바닥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가 결합될 때 상기 돌기부에 밀려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청소기는,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해 직립하는 상태에 놓이거나 경사진 상태에 놓이는 손잡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몸체부에 대한 직립 상태를 유지시키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에는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는 걸림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청소기는 상기 걸림 홈부가 걸림 돌기에 걸린 상태에서 청소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장치는, 상기 걸림 홈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걸림 홈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린 상태를 확인하면, 청소 모드로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의 모터 샤프트가 회전할 때 모터 샤프트에 편심되어 결합된 베어링의 내륜 부재가 편심 회전함으로써, 내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외륜 부재는 모터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고, 이에 따라 외륜 부재에 결합된 지지 부재가 진동하고, 이에 따라 지지 부재에 결합되고 청소 대상면과 접한 청소 모듈이 진동하여, 청소 대상면에 부착된 오물이 마찰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를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를 위쪽에서 바라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제 1 웨이트 및 제 2 웨이트 조립체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제 1 웨이트 및 제 2 웨이트 조립체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제 1 웨이트 및 제 2 웨이트 조립체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및 도 9는 각각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 1 웨이트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는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간격 조절 수단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16은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간격 조절 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를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를 위쪽에서 바라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4에서 Z축은 진동 청소기의 상하 방향 또는 높이 방향을 의미하고, +Z는 진동 청소기의 상방 또는 높이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서 편의상 +X는 진동 청소기의 전방을 의미하고, +Y는 진동 청소기의 좌측 방향을 의미한다. 참고로, 진동 청소기의 청소 대상이 되는 청소 대상면은 진동 청소기의 아래(ex. -Z 방향)에 위치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100)는, 몸체부(1000)와 손잡이부(2000)와, 모터(3000)와, 베어링(4000)과, 지지 부재(5000)와, 청소 모듈(6000)을 포함한다.
몸체부(1000)는 후술하는 모터(3000)를 지지한다. 예컨대 모터(3000)는 몸체부(1000)에 볼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1000)에는 도 4와 같이 상하로 관통된 개방구(10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00)에 결합된 모터(3000)의 모터 샤프트(3100)는 개방구(1001)를 통해 아래로 돌출된다.
몸체부(1000)에는 바퀴(1100)가 설치된다. 몸체부(1000)는 바퀴(1100)에 의해 이동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바퀴(1100)는 후술하는 청소 모듈(6000)이 아래에 위치하는 청소 대상면(미도시)과 접하여 청소할 때 청소 대상면에 접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후술한다.
손잡이부(2000)는 몸체부(1000)의 일측에 지지된다. 예컨대, 손잡이부(2000)는 몸체부(1000)의 일측에 지지되는 로드 부재(2100)와, 로드 부재(2100)의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 부재(220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2000)는 몸체부(10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20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몸체부(1000)에 대해 직립하는 상태에 놓이거나,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부(1000)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손잡이부(2000)의 몸체부(1000)에 대한 직립 상태는 몸체부(1000)에 힌지 결합된 레버(250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레버(2500)에는 손잡이부(2000)에 형성된 걸림 돌기(2110)에 걸리는 걸림 홈부(2510)가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걸림 홈부(2510)가 걸림 돌기(2110)에 걸린 상태에서 손잡이부(2000)는 몸체부(1000)에 대한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걸림 홈부(2510)가 걸림 돌기(2110)에 걸리지 않도록 레버(2500)가 회전하면 손잡이부(2000)는 몸체부(1000)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레버(2500)는 사용자가 손 또는 발을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2500)는 사용자가 손 또는 발을 사용하여 회전시키기 용이한 구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레버(2500) 몸체부(1000)의 측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돌출 패달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돌출 패달을 발로 밀어 레버(2500)를 조작할 수 있다.
레버(2500)에는 사용자가 돌출 패달을 손 또는 발을 상용하여 회전시킬 때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0)의 로드 부재(2100)에는 수납 부재(2300)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 부재(2300)에는 청소 과정에서 필요한 물건(미도시)을 수납할 수 있다. 예컨대, 수납 부재(2300)에는 물이 채워진 물통(미도시)이 수납될 수 있다. 또는 수납 부재(2300)에는 후술하는 청소 모듈(6000)을 구성하는 청소 부재(미도시)가 수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도 1 내지 도 4와 달리 손잡이부(2000)를 몸체부(1000)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에 놓고 진동 청소기(100)를 청소 모드로 동작시켜 청소 대상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00)에 설치된 바퀴(1100)는 청소 대상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청소 대상면과 접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는 청소가 완료되면 진동 청소기(100)를 정지 모드로 동작시키고,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손잡이부(2000)를 몸체부(1000)에 대한 직립 상태로 놓는다.
이후, 사용자가 바퀴(1100)가 손잡이부(2000)를 기울이면, 손잡이부(2000)와직립 상태로 고정된 몸체부(1000)도 함께 기울어져 바퀴(100)가 청소가 완료된 대상면에 접하게 된다. 사용자는 바퀴(1100)가 접한 진동 청소기(10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10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레버(2500)의 걸림 홈부(2510)가 걸림 돌기(2110)에 걸린 상태에서 청소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안전 장치는 감지부(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는 걸림 홈부(2510)가 걸림 돌기(2110)에 걸린 상태를 감지한다. 감지부는 접촉 센서(미도시) 또는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부를 통해 걸림 홈부(2510)가 걸림 돌기(2110)에 걸린 상태를 확인하면, 사용자가 진동 청소기(100)를 청소 모드로 조작해도 청소 모드로 동작하지 않도록 진동 청소기(100)를 제어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레버(2500)를 회전시켜 걸림 홈부(2510)가 걸림 돌기(2110)에 걸린 상태를 해제해야만 진동 청소기(100)는 청소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터(3000)는 몸체부(1000)에 지지된다. 모터(3000)는 후술하는 청소 모듈(6000)을 진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3000)의 회전 구동력은 후술하는 청소 모듈(6000)을 진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으로 변환되고, 청소 모듈(6000)의 진동에 의해 청소 대상면이 청소된다. 이에 대해 후술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제 1 웨이트 및 제 2 웨이트 조립체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제 1 웨이트 및 제 2 웨이트 조립체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제 1 웨이트 및 제 2 웨이트 조립체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베어링(4000)은 내륜 부재(4100)와 내륜 부재(410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륜 부재(4200)를 포함한다.
내륜 부재(4100)는 모터(3000)의 모터 샤프트(3100)에 결합된다.
내륜 부재(4100)에는 모터 샤프트(31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축 홀(410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모터 샤프트(3100)는 축 홀(410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모터 샤프트(310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축 홀(4101)의 내주면에는 모터 샤프트(3100)의 수나사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모터 샤프트(3100)는 축 홀(410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모터 샤프트(3100)는 고정핀(미도시)에 의해 축 홀(4101)에 결합될 수 있다.
내륜 부재(4100)에는 내륜 부재(4100)와 후술하는 제 1 웨이트(7000)를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미도시)가 관통하는 볼트 홀(4103)이 형성될 수 있다.
내륜 부재(4100)는 원형 디스크 형상의 제 1 내륜부(4110)와, 원형 고리 형상의 제 2 내륜부(4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내륜부(4110)와 제 2 내륜부(4120)는 별도로 제작되어 제 1 내륜부(4110)가 제 2 내륜부(4120)의 중심에 끼워져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제 1 내륜부(4110)와 제 2 내륜부(4120)는 주물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 내륜부(4110)에는 축 홀(4101)이 형성되고, 제 2 내륜부(4120)는 외륜 부재(4200)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내륜부(4110)에는 상기 볼트 홀(410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내륜부(4110)와 제 2 내륜부(4120)가 결합된 내륜 부재(4100)는 전체적으로 원형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륜 부재(4100)는 모터(3000)의 모터 샤프트(3100)에 편심되어 결합된다. 이때, 내륜 부재(4100) 또는 제 1 내륜부(4110)의 중심축(A1)은 모터(3000)의 모터 샤프트(3100)와 나란하지만 일치하지 않는다. 달리 표현하면, 내륜 부재(4100) 또는 제 1 내륜부(4110)의 중심축(A1)은 모터 샤프트(31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축 홀(4101)의 중심축(A2)과 나란하지만 일치하지 않는다.
외륜 부재(4200)는 내륜 부재(410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외륜 부재(4200)는 원형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륜 부재(4200)는 후술하는 지지 부재(5000)에 결합된다. 외륜 부재(4200)에는 외륜 부재(4200)를 지지 부재(5000)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미도시)가 관통하는 볼트 홀(4203)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5000)는 외륜 부재(4200)에 결합된다. 이때, 지지 부재(5000)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외륜 부재(42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5000)는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5000)의 내측 바닥면에는 외륜 부재(4200)가 안착되는 안착부(5100)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5100)에는 외륜 부재(4200)에 대한 지지 부재(5000)의 결합을 위한 볼트(미도시)가 관통하는 볼트 홀(5003)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5100)에 형성된 볼트 홀(5003)은 지지 부재(5000)의 저면까지 연장 형성된다.
지지 부재(5000)의 저면으로부터 지지 부재(5000)의 볼트 홀(5003)을 관통한 볼트(미도시)는 외륜 부재(4200)의 볼트 홀(4203)에 삽입되어 외륜 부재(4200)를 지지 부재(5000)에 고정 지지한다.
안착부(5100)의 중앙에는 오목부(5200)가 형성된다. 외륜 부재(4200)가 지지 부재(5000)의 안착부(5100)에 고정되면, 내륜 부재(4100)는 상기 오목부(5200)에 배치되어 지지 부재(5000)와 간섭하지 않는다. 이 경우, 모터 샤프트(3100)와 고정 결합된 내륜 부재(4100)는 지지 부재(5000)와 간섭하지 않고 외륜 부재(4200)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청소 모듈(6000)은 지지 부재(5000)에 결합되고, 청소 대상면과 접하여 청소한다.
본 실시예에서 청소 모듈(6000)은 결합 부재(6100)와 청소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6100)는 지지 부재(50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 부재(6100)에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지지 부재(5000)가 삽입되는 오목한 삽입부(611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5000)가 결합 부재(6100)의 삽입부(611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지지 부재(5000)와 결합 부재(61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부재(5000)와 결합 부재(6100)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5000)와 결합 부재(61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지지 부재(5000)의 외주면과 결합 부재(6100)의 삽입부(6110)의 내주면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면접촉하게 된다.
예컨대, 지지 부재(5000)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요홈부(5005)가 형성되고, 결합 부재(6100)의 삽입부(6110)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요홈부(5005)에 삽입되는 요철부(610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부재(5000)가 결합 부재(6100)의 삽입부(61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요철부(6105)가 요홈부(5005)에 삽입되어 가이드됨으로써, 지지 부재(5000)와 결합 부재(6100)의 결합이 용이해진다.
또한 요철부(6105)가 요홈부(5005)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 부재(5000)가 결합 부재(6100)와 결합되면, 지지 부재(5000)와 결합 부재(6100) 사이의 상대 운동이 제한될 수 있어 청소 과정에서 지지 부재(5000)와 결합 부재(6100)가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삽입부(6110)의 내주면의 바닥부에는 돌기부(6150)가 형성되고, 지지 부재(5000)에는 지지 부재(5000)와 결합 부재(6100)가 결합될 때 상기 돌기부(6150)에 밀려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부(5300)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변형부(5300)는 지지 부재(5000)의 외벽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변형부(5300)는 지지 부재(5000)의 외벽의 나머지 부분에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지지 부재(5000)가 결합 부재(6100)의 삽입부(6110)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돌기부(6150)에 밀려 탄성 변형된 탄성 변형부(5300)는 강한 탄성력으로 돌기부(6150)를 압박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부재(5000)와 결합 부재(6100)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지지 부재(5000)가 결합 부재(6100)의 삽입부(6110)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탄성 변형부(5300)를 밀어 탄성 변형시키는 돌기부(6150)는 탄성 변형부(5300)가 변형되기 전에 위치하던 공간에 삽입된다.
이 경우, 지지 부재(5000)와 결합 부재(6100) 사이의 상대 운동이 제한될 수 있어 청소 과정에서 지지 부재(5000)와 결합 부재(6100)가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청소 부재(미도시)는 결합 부재(6100)의 저면에 부착되고, 청소 대상면과 접한다.
예컨대, 청소 부재는 브러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청소 부재는 걸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걸레는 패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청소 부재는 밸크로 부재에 의해 결합 부재(610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청소 부재는 접착 방식으로 결합 부재(610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청소 부재는 결합 부재(610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100)는 모터(3000)가 작동하여 모터 샤프트(3100)가 회전할 때 모터 샤프트(3100)에 편심되어 결합된 베어링(4000)의 내륜 부재(4100)가 편심 회전함으로써, 내륜 부재(4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외륜 부재(4200)는 모터 샤프트(31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륜 부재(4200)에 결합된 지지 부재(5000)가 진동하고, 지지 부재(5000)에 결합된 청소 모듈(6000)이 청소 대상면과 접한 상태로 진동한다. 이 과정에서 청소 모듈(6000)의 청소 부재(미도시)와 청소 대상면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발생된 마찰력에 의해 청소 대상면에 부착된 오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100)는 제 1 웨이트(7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웨이트(7000)는 모터(3000)의 모터 샤프트(3100)를 중심으로 편심되어 배치된다. 이때, 제 1 웨이트(7000)의 무게 중심은 모터 샤프트(3100)를 중심으로 한쪽으로 치워쳐 위치한다.
제 1 웨이트(7000)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1 웨이트(7000)에는 모터 샤프트(3100)가 관통하는 축 홀(70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축 홀(7001)은 모터 샤프트(31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웨이트(7000)는 베어링(4000)의 상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모터 샤프트(3100)는 제 1 웨이트(7000)의 축 홀(7001)을 관통한 상태로 베어링(4000)의 내륜 부재(41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 1 웨이트(7000)와 베어링(4000) 사이에 스페이서(7501, 7502)가 개재될 수 있다. 스페이서(7501, 7502)의 개수 또는 두께에 따라 제 1 웨이트(7000)와 베어링(4000) 사이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모터 샤프트(3100)는 스페이서(7501, 7502)를 관통하고 제 1 웨이트(7000)의 축 홀(7001)을 관통한 상태로 베어링(4000)의 내륜 부재(41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 1 웨이트(7000)는 모터 샤프트(3100)와 함께 회전한다.
일례로, 제 1 웨이트(7000)는 모터 샤프트(3100)와 결합된 내륜 부재(4100)에 결합되어 모터 샤프트(31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 1 웨이트(7000)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내륜 부재(4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웨이트(7000)와 내륜 부재(4100)에는 볼트(미도시)가 관통하는 볼트 홀(4103)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웨이트(7000)는 모터 샤프트(3100)가 제 1 웨이트(7000)의 축홀(7001)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모터 샤프트(31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는 제 1 웨이트(7000)는 모터 샤프트(3100)가 고정핀(미도시)에 의해 제 1 웨이트(7000)의 축 홀(7001)에 결합됨으로써 모터 샤프트(31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모터 샤프트(3100)를 중심으로 편심되어 배치된 제 1 웨이트(7000)는 모터 샤프트(3100)를 중심으로 그 무게 중심이 한 쪽으로 치우쳐 위치한다. 이 경우, 제 1 웨이트(7000)가 모터 샤프트(3100)와 함께 회전할 때 제 1 웨이트(7000)의 치우친 무게 중심에 의해 모터(3000)가 모터 샤프트(3100)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다 심하게 진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웨이트(7000)에 의한 모터(3000)의 진동은 모터 샤프트(3100)와 결합된 지지 부재(5000)를 경유하여 청소 모듈(6000)로 전달되어 청소 모듈(6000)의 진동을 더욱 심화시키고, 이에 따라 진동 청소기(100)의 청소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및 도 9는 각각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 1 웨이트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1 웨이트(7000)에 형성된 축 홀(7001)을 장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웨이트(7000)를 내륜 부재(4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미도시)가 관통하는 볼트 홀(7003)이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볼트 홀(7003)은 축 홀(7001)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1 웨이트(7000)를 내륜 부재(4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미도시)는 제 1 웨이트(7000)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 홀(7003) 중 하나를 관통하여 내륜 부재(4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웨이트(7000)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 홀(7003) 중 하나를 관통한 볼트(미도시)는 내륜 부재(4100)에 형성된 볼트 홀(4103)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 1 웨이트(7000)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 홀(7003) 중 볼트(미도시)가 관통하는 볼트 홀의 위치에 따라 모터 샤프트(3100)에 대한 제 1 웨이트(7000)의 편심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 및 도 9에서 볼트(미도시)는 다수의 볼트 홀(7003) 중 왼쪽에서 세번째 위치하는 것을 관통하여 내륜 부재(4100)에 형성된 볼트 홀(4103)에 결합된다.
만약, 볼트(미도시)가 도 8에서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볼트 홀(7003)을 관통하여 내륜 부재(4100)에 형성된 볼트 홀(4103)에 결합되면, 모터 샤프트(3100)에 대한 제 1 웨이트(7000)의 무게 중심은 도 8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만약, 볼트(미도시)가 도 8에서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는 볼트 홀(7003)을 관통하여 내륜 부재(4100)에 형성된 볼트 홀(4103)에 결합되면, 모터 샤프트(3100)에 대한 제 1 웨이트(7000)의 무게 중심은 도 8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이동한다.
모터 샤프트(3100)에 대한 제 1 웨이트(7000)의 편심 정도가 달라지면, 제 1웨이트(7000)의 관성 모멘트가 변화하고, 관성 모멘트의 변화에 따라 제 1 웨이트(7000)의 회전 각속도도 변화한다.
제 1 웨이트(7000)의 회전 각속도가 변화하면 모터(도 3 및 도 4의 3000 참조) 또는 지지 부재(도 3 및 도 4의 5000 참조) 또는 청소 모듈(도 3 및 도 4의 6000 참조)의 진동폭, 또는 진동 주기가 달라질 수 있다.
청소 대상면의 상태 또는 오염 정도에 따라 청소 모듈(6000)의 진동폭 또는 진동 주기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모터 샤프트(3100)에 대한 제 1 웨이트(7000)의 편심 정도가를 조절함으로써, 청소 대상면의 상태에 대응한 효과적인 청소가 가능해진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100)는 제 2 웨이트(8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웨이트(8000)는 모터 샤프트(3100) 또는 제 1 웨이트(7000)에 형성된 축 홀(7001)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 1 웨이트(7000)에 지지된다.
예컨대, 제 2 웨이트(8000)는 리벳(R)에 의해 제 1 웨이트(70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 2 웨이트(8000)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제 1 웨이트(70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웨이트(8000)는 다수의 웨이트 유니트(81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웨이트 유니트(8100)는 원형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수의 웨이트 유니트(8100)는 적층되어 제 1 웨이트(70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수의 웨이트 유니트(8100)는 제 1 웨이트(7000)의 상측부 및 하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지지될 수 있다.
제 2 웨이트(8000)는 모터 샤프트(3100)와 함께 회전하는 제 1 웨이트(7000)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제 1 웨이트(7000) 및 제 2 웨이트(8000)의 결합체가 모터 샤프트(3100)와 함께 회전할 때 제 1 웨이트(7000) 및 제 2 웨이트(8000)의 결합체의 무게에 의해 모터(3000)가 모터 샤프트(3100)에 수직한 방향으로 더욱 심하게 진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웨이트(7000) 및 제 2 웨이트(8000)의 결합체의 회전에 의한 진동은 모터 샤프트(3100)와 결합된 지지 부재(5000)를 경유하여 청소 모듈(6000)로 전달되어 청소 모듈(6000)의 청소 부재(미도시)의 진동을 더더욱 심화시키고, 이에 따라 진동 청소기(100)의 청소 능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는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는 간격 조절 수단(900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에 따른 진동 청소기(100)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 수단(9000)은 모터 샤프트(3100)와 제 2 웨이트(80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달리 표현하면, 간격 조절 수단(9000)은 모터 샤프트(3100)가 관통 배치되는 제 1 웨이트(7000)의 축 홀(7001)과 제 2 웨이트(80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일례로,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간격 조절 수단(9000)은 간격 조절공(9100)과, 볼트 부재(9200)와, 너트 부재(9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조절공(9100)은 제 1 웨이트(7000)에 모터 샤프트(310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을 가진다.
볼트 부재(9200)는 제 2 웨이트(8000)를 관통하고 간격 조절공(9100)을 관통한다.
너트 부재(9300)는 간격 조절공(9100)에서 노출된 볼트 부재(9200)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볼트 부재(9200)는 나비 볼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너트 부재(9300)는 나비 너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너트 부재(9300)를 볼트 부재(9200)에 대해 조이면 제 2 웨이트(8000)는 간격 조절공(9100)에서 이동하지 못하고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너트 부재(9300)를 볼트 부재(9200)에 대해 풀면 제 2 웨이트(8000)는 간격 조절공(9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너트 부재(9300)를 볼트 부재(9200)에 대해 조이고 푸는 동작을 통해 모터 샤프트(3100)(또는 제 1 웨이트(7000)의 축 홀(7001) 또는 내륜 부재(4100)의 축 홀(4101))과 제 2 웨이트(80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간격 조절 수단(9000')은 다수의 간격 조절공(9100)과, 볼트 부재(9200)와, 너트 부재(930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간격 조절 수단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수의 간격 조절공(9100)은 제 1 웨이트(7000)에 모터 샤프트(3100)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각 간격 조절공(9100)은 각 간격 조절공(9100)을 관통할 수 있는 후술하는 볼트 부재(9200)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볼트 부재(9200)는 제 2 웨이트(8000)를 관통하고 다수의 간격 조절공(9100)중 하나를 관통한다.
너트 부재(9300)는 다수의 간격 조절공(9100) 중 하나를 관통하여 노출된 볼트 부재(9200)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다수의 간격 조절공(9100) 중 볼트 부재(9200)가 관통하는 간격 조절공의 위치에 따라 모터 샤프트(3100)(또는 제 1 웨이트(7000)의 축 홀(7001) 또는 내륜 부재(4100)의 축 홀(4101))과 제 2 웨이트(80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3 및 도 14에서 볼트 부재(9200)은 다수의 간격 조절공(9100) 중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관통한다.
만약, 볼트 부재(9200)가 도 13에서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간격 조절공(9100)을 관통하면, 모터 샤프트(3100)와 제 2 웨이트(8000) 사이의 간격이 커질 수 있다.
만약, 볼트 부재(9200)가 도 13에서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는 간격 조절공(9100)을 관통하면 모터 샤프트(3100)와 제 2 웨이트(8000) 사이의 간격이 작아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모터 샤프트(3100)와 제 2 웨이트(80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 제 1 웨이트(7000)와 제 2 웨이트(8000)의 결합체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변화한다. 모터 샤프트(3100)에 대한 상기 결합체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변화하면, 상기 결합체의 관성 모멘트가 변화하고, 관성 모멘트의 변화에 따라 상기 결합체의 회전 각속도도 변화한다.
회전 각속도가 변화하면 모터(도 3 및 도 4의 3000 참조) 또는 지지 부재(도 3 및 도 4의 5000 참조) 또는 청소 모듈(도 3 및 도 4의 6000 참조)의 진동폭, 또는 진동 주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제 1 웨이트(7000)와 제 2 웨이트(8000)의 결합체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모터 샤프트(3100)에 가까우면, 상기 결합체의 관성 모멘트가 작아지고, 각속도가 커진다. 이 경우, 모터(도 3 및 도 4의 3000 참조) 또는 지지 부재(도 3 및 도 4의 5000 참조) 또는 청소 모듈(도 3 및 도 4의 6000 참조)의 진동폭이 작아지고, 진동 주기는 짧아진다.
그리고 제 1 웨이트(7000)와 제 2 웨이트(8000)의 결합체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모터 샤프트(3100)에서 멀어지면, 상기 결합체의 관성 모멘트가 커지고, 각속도가 작아진다. 이 경우, 모터(도 3 및 도 4의 3000 참조) 또는 지지 부재(도 3 및 도 4의 5000 참조) 또는 청소 모듈(도 3 및 도 4의 6000 참조)의 진동폭이 커지고, 진동 주기는 커진다.
청소 대상면의 상태 또는 오염 정도에 따라 청소 모듈(6000)의 진동폭 또는 진동 주기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간격 조절 수단(9000, 9000')을 통해 모터 샤프트(3100)와 제 2 웨이트(80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청소 대상면의 상태에 대응한 효과적인 청소가 가능해진다.
도 15 내지 16은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간격 조절 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5 및 도 16에서 도면 번호 3000은 모터를, 도면 번호 5000은 지지 부재를, 도면 번호 6000은 청소 모듈을, 도면 번호 6100은 결합 부재를, 도면 번호 6200은 청소 부재를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몸체부(1000)에는 절개부(1500)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500)는 사용자가 몸체부(1000)의 위에서 몸체부(1000)의 아래에 위치하는 간격 조절 수단(9000)의 일부 구성인 너트 부재(9300)를 조작하기 위해 형성된다.
사용자는 손(hand) 또는 도구(tool)를 사용하여 절개부(1500)를 통해 몸체부(1000) 아래에 위치한 너트 부재(9300)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너트 부재(9300)를 조임 동작하거나 풀림 동작하면서 모터 샤프트(3100)와 제 2 웨이트(80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절개부(1500)는 개폐 부재(1600)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 부재(1600)는 몸체부(1000)에서 절개부(1500)를 형성하기 위해 절개된 부재일 수 있다. 개폐 부재(1600)는 몸체부(10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절개부(1500)에 의해 사용자는 진동 청소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간격 조절 수단(9000)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진동 청소기
1000 : 몸체부
2000 : 손잡이부
3000 : 모터
3100 : 모터 샤프트
4000 : 베어링
4100 : 내륜 부재
4110 : 제 1 내륜부
4120 : 제 2 내륜부
4200 : 외륜 부재
5000 : 지지 부재
5100 : 안착부
5200 : 오목부
5300 : 탄성 변형부
6000 : 청소 모듈
6100 : 결합 부재
6150 : 돌기부
6200 : 청소 부재
7000 : 제 1 웨이트
8000 : 제 2 웨이트
9000 : 간격 조절 수단

Claims (13)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는 모터;
    상기 몸체부의 아래로 돌출된 상기 모터의 모터 샤프트에 편심되어 결합되는 내륜 부재 및 상기 내륜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외륜 부재를 포함하는 베어링;
    상기 외륜 부재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결합되고, 청소 대상면과 접하여 청소하는 청소 모듈; 및
    상기 모터 샤프트를 중심으로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기 모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 1 웨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샤프트가 회전하면,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모터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고,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지지 부재와 함께 진동하고,
    상기 제 1 웨이트에는,
    상기 모터 샤프트가 관통하는 축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웨이트를 상기 내륜 부재에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 홀이 형성되고,
    상기 축 홀은 장공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볼트 홀은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볼트 홀은 상기 축 홀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다수의 볼트 홀 중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내륜 부재에 결합되는, 진동 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는 모터;
    상기 몸체부의 아래로 돌출된 상기 모터의 모터 샤프트에 편심되어 결합되는 내륜 부재 및 상기 내륜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외륜 부재를 포함하는 베어링;
    상기 외륜 부재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결합되고, 청소 대상면과 접하여 청소하는 청소 모듈;
    상기 모터 샤프트를 중심으로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기 모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 1 웨이트; 및
    상기 모터 샤프트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 1 웨이트에 지지되는 제 2 웨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샤프트가 회전하면,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모터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고,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지지 부재와 함께 진동하는, 진동 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샤프트와 상기 제 2 웨이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진동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웨이트에 상기 모터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을 가지는 간격 조절공;
    상기 제 2 웨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간격 조절공을 관통하는 볼트 부재; 및
    상기 간격 조절공을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볼트 부재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청소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웨이트에 상기 모터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간격 조절공;
    상기 제 2 웨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다수의 간격 조절공 중 하나를 관통하는 볼트 부재; 및
    상기 다수의 간격 조절공 중 하나를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볼트 부재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청소기.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결합 부재의 저면에 부착되고, 상기 청소 대상면과 접하는 청소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 중 하나에는 상하로 연장된 요홈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진동 청소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의 바닥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가 결합될 때 상기 돌기부에 밀려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부가 형성되는, 진동 청소기.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해 직립하는 상태에 놓이거나 경사진 상태에 놓이는 손잡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몸체부에 대한 직립 상태를 유지시키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에는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는 걸림 홈부가 형성되는, 진동 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부가 걸림 돌기에 걸린 상태에서 청소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장치는,
    상기 걸림 홈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걸림 홈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린 상태를 확인하면, 청소 모드로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진동 청소기.
KR2020180004511U 2018-10-01 2018-10-01 진동 청소기 KR200488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11U KR200488857Y1 (ko) 2018-10-01 2018-10-01 진동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11U KR200488857Y1 (ko) 2018-10-01 2018-10-01 진동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857Y1 true KR200488857Y1 (ko) 2019-03-28

Family

ID=65891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511U KR200488857Y1 (ko) 2018-10-01 2018-10-01 진동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8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506B1 (ko) * 2020-06-08 2021-10-07 주식회사 디어스엠 기계식 유리막 코팅 장치
KR20230057655A (ko) * 2021-10-22 2023-05-02 최광순 스마트 진동 청소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76Y1 (ko) * 2006-10-20 2007-12-05 권용덕 진동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76Y1 (ko) * 2006-10-20 2007-12-05 권용덕 진동청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506B1 (ko) * 2020-06-08 2021-10-07 주식회사 디어스엠 기계식 유리막 코팅 장치
KR20230057655A (ko) * 2021-10-22 2023-05-02 최광순 스마트 진동 청소기
KR102599327B1 (ko) 2021-10-22 2023-11-09 최광순 스마트 진동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857Y1 (ko) 진동 청소기
RU2283612C1 (ru) Всасывающая щетка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JP2004305695A (ja) ロボットクリーナの駆動装置
JPH07223201A (ja) ジグソー
JP2009523973A (ja) 伝動装置、殊に電動式手持ち工作機械のための伝動装置
GB2335589A (en) Clutch control device for driven vacuum cleaner brush
JP4244615B2 (ja) 電動切断機
KR20180094174A (ko) 회전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식 스툴 테이블
GB2235746A (en) Vibrator device
KR100756322B1 (ko) 브러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KR101199397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6672677B2 (ja) ドラム用ビータ及びドラム用フットペダル装置
US20070220701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suction brush
JP5901331B2 (ja) 電気掃除機
US20170020350A1 (en) Vacuum cleaner including a belt tensioner
JPH04166117A (ja) 電気掃除機
JPH08336491A (ja) 電動掃除機におけるパッド台
JP6874398B2 (ja) 衛生洗浄装置
KR101186613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S6234333Y2 (ko)
CN215226907U (zh) 一种煎烤设备
JPH075802Y2 (ja) 吸取り器
JPH0684928U (ja) 電動歯ブラシ
JP2518423Y2 (ja) 防振装置
JP4106984B2 (ja) 車両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