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327B1 - 스마트 진동 청소기 - Google Patents

스마트 진동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327B1
KR102599327B1 KR1020210141657A KR20210141657A KR102599327B1 KR 102599327 B1 KR102599327 B1 KR 102599327B1 KR 1020210141657 A KR1020210141657 A KR 1020210141657A KR 20210141657 A KR20210141657 A KR 20210141657A KR 102599327 B1 KR102599327 B1 KR 102599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anel
fastened
vibra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7655A (ko
Inventor
최광순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최광순
최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순, 최준영 filed Critical 최광순
Priority to KR102021014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32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Abstract

스마트 진동 청소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진동 청소기는 로드; 상기 로드의 단부에 체결된 하우징;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가 체결되고, 체결수단으로 하우징에 체결되는 판 형태의 진동패널; 상기 진동 패널의 저면에 체결되는 걸레; 및 상기 진동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청소기에 부착된 걸레를 진동시키면서 바닥을 청소함으로써, 바닥의 먼지 및 찌든 때를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진동 청소기 {Smart vibration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로 청소할 때 청소기에 부착된 걸레를 진동시키면서 바닥을 청소함으로써, 바닥의 먼지 및 찌든 때를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는 진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대부분 흡입형 청소기로서 집진통에 장착된 팬을 구동하여 바닥의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흡입형 청소기는 바닥에 쌓인 먼지 및 이물질은 청소가 가능하지만 바닥에 찌든 때는 청소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 바닥에 물걸레를 부착하여 바닥의 찌든 때를 밀면서 닦아내 청소할 수 있는 밀대형 청소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밀대형 청소기는 단순히 하우징의 바닥에 물걸레를 부착하고, 청소기를 밀어 바닥을 닦아내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단순히 바닥에 물걸레를 부착한 청소기는 바닥의 찌든 때를 효과적으로 닦아낼 수 없다.
근래에는 하우징에 모터를 구성함으로써 바닥에 부착된 물걸레를 회전시키면서 청소기를 밀어 바닥을 닦아내도록 구성된 청소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단순히 물걸레를 부착한 청소기에 비해서는 빠르게 찌든 때를 청소할 수는 있지만 역시 수차례 반복하여 밀어야만 바닥의 찌든 때를 닦아낼 수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7476호, "진동청소기"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4326호, "진공 청소기"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2080호, "걸레청소기" 문헌 4.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01393호, "물걸레 청소기 헤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물걸레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바닥의 찌든 때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닦아낼 수 있는 진동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청소기는 로드(102); 상기 로드(102)의 단부에 체결된 하우징(110);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113)가 체결되고, 체결수단으로 하우징(110)에 체결되는 판 형태의 진동패널(112); 상기 진동 패널(112)의 저면에 체결되는 걸레(10); 및 상기 진동 모터(113)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1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진동패널(112)의 체결수단은 수체결구와 암체결구 중 어느 하나가 진동패널(112)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수체결구가 암체결구에 삽입, 체결되며, 상기 수체결구 또는 암체결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성형됨으로써, 진동 모터(113)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진동 패널(112)로만 전달되고, 하우징(110) 및 로드(102)로는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 패널(112)은 소정 개수로 분할 구성되고, 분할된 각각의 진동 패널(112)에 진동 모터(113)가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진동 패널(112)에 소정 간격마다 천공된 긴 구멍 형태로 절개구(117)가 형성되되, 절개구(117)의 양 단부는 진동 패널(112)의 테두리에 이르지 않도록 절개구(117)를 형성하여 소정 개수의 분할부를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분할부에 진동 모터(113)를 체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진동 패널(112)과 하우징(110)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성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 패널(112)의 저면에는 소정 간격마다 돌출된 패턴 돌부(116)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할된 어느 한 진동 패널(112)은 이웃한 진동 패널(112)과 다른 진동방향으로 진동하거나, 이웃하는 진동 패널(112)에 대해 교차 진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걸레(10)가 진동하는 상태로 바닥을 닦기 때문에 바닥의 찌든 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패널(112)의 하부 면에 소정 간격마다 연속 돌출된 패턴 돌부(116)와, 분할 구성된 진동 패널이 이웃한 진동 패널과 상대적인 진동운동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바닥의 찌든 때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청소기의 헤드 부분을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청소기의 진동 패널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청소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청소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 패널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청소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청소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 패널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청소기의 헤드를 분해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청소기 하우징에 노즐이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청소기 하우징에 브러쉬가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저부", "전방", "후방", "아래"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청소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102)의 상부에 손잡이(101)가 형성되고, 로드(102)의 하부에 헤드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07)로 체결된다.
로드(102)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공지된 기술인 길이 조절부가 형성되고, 헤드의 하우징(110) 바닥에는 걸레(10)가 부착되는데, 상기 걸레(10)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바닥을 청소할 때 걸레가 바닥의 찌든 때에 충격을 가하며 밀어 찌든 때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 및 진동 패널이 설치되고, 손잡이(101)에는 진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03)와, 진동 모터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컨트롤 패널(104)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청소기의 헤드에는 RFID 또는 NFC 등의 리더기(105)가 설치되어 부엌, 거실, 방, 싱크대, 레인지 후드, 조리대 등의 청소위치를 태그하여 제어부(106)의 통신모듈을 통해 AP나 블루투스 동글에 접속하여 청소 시작 및 종료 여부, 청소 시간, 청소 장소 등의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어부(106)는 걸레(10)의 진동이 시작되면 비로서 리더기(105)에 전원을 공급하여 태깅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걸레(10)의 진동이 종료된 다음에도 미리 정해진 제1임계시간(예컨대, 30분) 동안 리더기(105)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걸레(10)를 이용하여 청소를 진행하는 도중 잠시 걸레(10)의 진동을 멈췄다가 다시 걸레(10)를 동작시키는 과정에서 리더기(105)에 의한 리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임계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리더기(105)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리더기(105)는 바람직하게는 진동 모터(113)와 진동패널(112)의 사이 구간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진동이 리더기(105)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피하여 자칫 리더기(l05)가 고정된 상태에서 탈루되거나, 또는 제대로 태깅이 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청소기(100)는 헤드에 체결된 걸레(10)를 진동시켜 바닥에 찌든 때를 깨끗하게 청소하도록 구성되는데, 도 2와 같이 헤드는 로드(102)에 힌지(107) 체결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체결되는 진동 패널(112)과, 상기 진동 패널(112)에 탈, 부착되는 걸레(10)로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도 2와 같이 저면이 개방되어 진동 패널(112)이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진동 패널(112)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판 형태로 성형한 것으로서, 상부에 진동 모터(113)가 설치되고, 진동 모터(113)를 케이스(114)로 덮어 밀폐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동 모터(113)는 전원이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와 같이 진동 패널(112)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구(115)는 하우징(110) 내부의 체결구(111)와 체결됨으로써, 진동 패널(112)이 하우징(111)에 체결, 고정된다.
이때, 진동 패널(112)의 체결구(115)는 탄성이 있는 고무 등의 소재로 암체결구 형태로 구성하고, 하우징(110)의 체결구(115)는 수체결구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진동 패널(112)을 하우징(110)에 체결하고, 진동 모터(113)를 구동하였을 때 탄성이 있는 체결구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어 진동 패널(112)만 진동하고 하우징(110)은 진동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진동 패널(112)의 하부에는 걸레(10)가 탈, 부착되는데 체결수단으로는 벨크로(11)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패널(112)의 저면에는 소정의 패턴 형태로 패턴 돌부(116)를 돌출 형성한다.
진동 패널(112)의 저면이 평평하면 걸레에 약한 진동만 전달되어 청소 효과가 떨어지고, 청소기를 밀때 바닥과의 마찰이 커서 청소기를 미는 힘이 많이 드는데, 진동 패널(112)의 저면에 소정 간격마다 패턴 돌부(116)를 형성하면, 청소기의 하중이 패턴 돌부(116)에 집중되어 높은 압력으로 바닥을 가압한 상태에서 진동을 발생시켜 바닥의 찌든 때를 효과적으로 박리시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바닥과의 접촉 면적이 적어지므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청소기를 수월하게 밀수 있다.
도 4는 진동 패널(11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의 진동 패널(112)은 한 개의 진동 패널(112)로 구성되었는데, 다른 실시예의 진동 패널(112)은 도 4와 같이 진동 패널(112)이 소정 개수로 분할 구성되고, 분할된 각각의 진동 패널(112)에 각각 진동 모터(113), 케이스(114) 및 체결구(115)를 구성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각각의 진동 패널(112)의 저면에 소정 간격마다 패턴 돌부(116)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분할된 각각의 진동 패널(112)을 개별 제어함으로써, 청소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한 진동 패널(112)은 수평 방향으로 진동하고, 이웃한 다른 진동 패널(112)은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구성하면, 수직으로 진동하는 진동 패널(112)의 패턴 돌부(116)가 찌든 때를 타격하여 바닥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이웃하는 수평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 패널(112)이 진입하며 박리된 때를 밀어 효율적으로 찌든 때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모든 진동 패널(112)을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도로 게어하되, 어느 한 진동 패널(112)이 상승할 때 이웃하는 다른 진동 패널(112)은 하강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바닥의 찌든 때에 연속으로 충격을 가하여 박리시켜 깨끗하게 찌든 때를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진동 패널(112)을 분할 구성하고, 분할 구성된 진동 패널(112)에 한 장의 걸레(10)를 부착하였는데, 걸레(10)는 얇은 직물 소재이므로 각각의 진동 패널(112)이 다른 방향으로 진동하더라도 걸레(10)가 구겨지며 변위를 흡수하므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분할된 각 진동 패널(112)의 크기에 맞도록 걸레(10)도 분할 구성하여 각각의 진동 패널(112)에 별도의 걸레(10)를 부착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진동 패널(11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진동 패널(112)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6과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성혀된 한 장의 진동 패널(112)에 천공한 구멍 형태로 4개의 긴 절개구(117)를 소정 간격마다 형성한다.
이때, 절개구(117)의 양 측단이 진동 패널(112)의 테두리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절개구(117)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동 패널(112)은 한 장의 진동 패널(112)에 절개구(117)에 의해 제1 분할부(112a), 제2 분할부(112b), 제3 분할부(112c)가 형성되고, 각 분할부(112a,112b,112c)의 상부 면에는 도 6과 같이 진동 모터(113) 및 케이스(114)가 형성되고, 각 분할부(112a,112b,112c)의 저면에는 도 7과 같이 패턴 돌부(11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동 패널(112)은 한 장으로 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도 4의 진동 패널(112)과 같이 분할된 각 분할부(112a,112b,112c)가 개별 제어되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바닥의 찌든 때를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헤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진동 패널(112)에 진동 모터(113)을 체결하였으나, 도 8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헤드는 한 개의 진동 모터(113)를 이용하여 분할 구성된 각각의 진동 패널(112)을 진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과 같이 하우징(110)의내부에 진동 모터(113)를 설치하고, 상기 진동 모터(113)에 각 진동 패널(112)까지 연장되는 연결 로드(118)가 체결되며, 상기 각각의 연결로드(118) 단부에 체결구(119)를 형성하여 저면에 패턴 돌부(116)가 형성된 진동 패널(112)과 체결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연결 로드(118)의 체결구(119)는 진동 패널(112)과 탈, 부착이 가능한 공지의 체결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각각의 진동 패널(112)을 다른 진동 패턴으로 제어할 수는 없지만,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구성이 단순하여 수리가 간편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청소기(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청소기(100)는 싱크대, 레인지 후드, 조리대, 선반 등을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도 9와 같이 로드(102)를 짧게 형성하고, 로드(102) 내부에 진동 모터(113)를 설치하여 로드 하부의 하우징(110)과 체결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진동 모터(113)와 체결된 진동 패널(112)(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 패널(112)에는 걸레(10)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 및 진동 패널(112)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싱크대의 굴곡진 부분이나 곡면으로 이루어진 그릇이나 접시도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부에 걸레를 적시는 물을 분사하는 노즐(121)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청소기(100)에 물탱크와, 물탱크의 물을 분사하는 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선단에 브러쉬(12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청소기(100)를 사용할 때 브러쉬(122)가 걸레(10)의 앞 부분에서 바닥의 이물질이나 먼지를 쓸면서 밀어내어 걸레(10)를 오랫동안 사용하면서도, 걸레질과 동시에 빗자루질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임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걸레(10)가 진동하는 상태로 바닥을 닦기 때문에 바닥의 찌든 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패널(112)의 하부 면에 소정 간격마다 연속 돌출된 패턴 돌부(116)와, 분할 구성된 진동 패널이 이웃한 진동 패널과 상대적인 진동운동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바닥의 찌든 때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 걸레 11 : 벨크로
100 : 청소기 101 : 손잡이
102 : 로드 103 : 배터리
104 : 컨트롤 패널 105 : 리더기
106 : 제어부 107 : 힌지
110 : 하우징 111 : 체결구
112 : 진동 패널 112a : 제1 분할부
112b : 제2 분할부 112c : 제3 분할부
113 : 진동 모터 114 : 케이스
115 : 체결구 116 : 패턴 돌부
117 : 절개구 118 : 연결 로드
119 : 체결구 121 : 노즐
122 : 브러쉬

Claims (6)

  1. 로드(102);
    상기 로드(102)의 단부에 체결된 하우징(110);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113)가 체결되고, 체결수단으로 하우징(110)에 체결되는 판 형태의 진동패널(112);
    상기 진동 패널(112)의 저면에 체결되는 걸레(10); 및
    상기 진동 모터(113)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104);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패널(112)의 체결수단은,
    수체결구와 암체결구 중 어느 하나가 진동패널(112)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수체결구가 암체결구에 삽입, 체결되며,
    상기 진동 모터(113)의 진동에 따라 상기 진동 패널(112)은 진동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진동은 방지되도록, 상기 수체결구 또는 암체결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성형되며,

    상기 진동 패널(112)은 소정 개수로 분할 구성되고, 분할된 각각의 진동 패널(112)에 진동 모터(113)가 체결되며,
    상기 분할된 각각의 진동 패널(112)은 개별 제어되며,
    어느 하나의 진동 패널(112)이 수평 방향으로 진동 제어되면, 이웃한 다른 진동 패널(112)은 수직 방향으로 진동 제어되며,

    청소 시작 및 종료 여부, 청소 시간, 청소 장소를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청소위치별로 태깅이 가능한 리더기(105)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106)에서는 상기 진동 모터(113)의 구동시에만 상기 리더기(105)에 전원을 공급하여 태깅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진동 모터(113)의 구동이 종료되더라도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서는 상기 리더기(105)에 전원을 공급하여 태깅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동 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널(112)과 하우징(110)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동 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널(112)의 저면에는 소정 간격마다 돌출된 패턴 돌부(1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동 청소기.
KR1020210141657A 2021-10-22 2021-10-22 스마트 진동 청소기 KR102599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657A KR102599327B1 (ko) 2021-10-22 2021-10-22 스마트 진동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657A KR102599327B1 (ko) 2021-10-22 2021-10-22 스마트 진동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655A KR20230057655A (ko) 2023-05-02
KR102599327B1 true KR102599327B1 (ko) 2023-11-09

Family

ID=8638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657A KR102599327B1 (ko) 2021-10-22 2021-10-22 스마트 진동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3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76Y1 (ko) 2006-10-20 2007-12-05 권용덕 진동청소기
KR200448024Y1 (ko) 2009-10-15 2010-03-10 (주)제이디알 침구용 청소기
JP2014200686A (ja) 2013-04-04 2014-10-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掃除機
JP2018042640A (ja) 2016-09-13 2018-03-22 アマノ株式会社 洗浄装置
JP2019022722A (ja) * 2018-10-10 2019-02-14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0488857Y1 (ko) 2018-10-01 2019-03-28 주식회사 텍콤 진동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326Y1 (ko) 2000-11-03 2001-05-15 천종규 진공 청소기
KR200312080Y1 (ko) 2002-11-20 2003-05-09 천종규 걸레청소기
WO2011052886A2 (ko) * 2009-10-29 2011-05-05 (주)이즈윌 저 중심 설계의 자루걸레
KR20110006336U (ko) * 2009-12-17 2011-06-23 안정섭 청소용 밀대의 걸레판 고정구조
KR200487820Y1 (ko) * 2017-04-03 2018-1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소 장치
CN213963259U (zh) * 2018-08-02 2021-08-17 株式会社Lg生活健康 清扫装置
KR102184064B1 (ko) * 2018-10-31 2020-12-11 주식회사 더원코퍼레이션 애완동물 헬스캐어 청소기용 헤드 브러시
KR20200001393U (ko)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길 물걸레 청소기 헤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76Y1 (ko) 2006-10-20 2007-12-05 권용덕 진동청소기
KR200448024Y1 (ko) 2009-10-15 2010-03-10 (주)제이디알 침구용 청소기
JP2014200686A (ja) 2013-04-04 2014-10-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掃除機
JP2018042640A (ja) 2016-09-13 2018-03-22 アマノ株式会社 洗浄装置
KR200488857Y1 (ko) 2018-10-01 2019-03-28 주식회사 텍콤 진동 청소기
JP2019022722A (ja) * 2018-10-10 2019-02-14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655A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9501B2 (en) Mop having scrubbing area
US10918253B2 (en) Handheld sweeping and mopping structure
US7159275B2 (en) Glass surface cleaning machine
CA2403272A1 (en) Wet/dry floor cleaning unit and method of cleaning
KR20080068837A (ko) 청소 도구
EP2230982B1 (en) Capture and removal cleaning system
GB2260892A (en) A vacuum cleaner head with detachable mop
US2013014609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cleaning devices
KR102599327B1 (ko) 스마트 진동 청소기
EP3763274B1 (en) Cleaning robot
CN215383722U (zh) 清洁机器人
US20100170059A1 (en) Vacuum cleaner attachment
KR101616888B1 (ko) 스프레이 청소기용 청소도구
CN216776897U (zh) 清洁装置、主机及清洁机器人
WO1996010945A1 (en) A cleaning device
USD584868S1 (en) Refill cleaning absorbent
US20050150066A1 (en) Portable cleaner
TWM512384U (zh) 具震動及噴霧功能之拖把結構
JPH10117987A (ja) 清掃具
WO2019010721A1 (zh) 清洁装置
CN217565927U (zh) 一种刷头结构及电动拖把
CN212190191U (zh) 一种计算机键盘的清洁装置
US20080109978A1 (en) Mini duster
CN210673210U (zh) 一种吸尘器地刷抹布自清洁系统
KR10195373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