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393Y1 - 차량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393Y1
KR200483393Y1 KR2020160002043U KR20160002043U KR200483393Y1 KR 200483393 Y1 KR200483393 Y1 KR 200483393Y1 KR 2020160002043 U KR2020160002043 U KR 2020160002043U KR 20160002043 U KR20160002043 U KR 20160002043U KR 200483393 Y1 KR200483393 Y1 KR 200483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frame
ventilation
flow path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환
Original Assignee
신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환 filed Critical 신영환
Priority to KR2020160002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3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3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3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lateral area (e.g. door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도어프레임에 결합되어 차량의 내부를 환기시키는 차량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측에 상기 차량용 도어프레임의 내측홈과 결합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차량용 도어프레임을 따라 승하강하는 유리창의 상단과 결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차량의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 간에 통기가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통기부 및 상기 통기부를 개폐하여 통기량을 조절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환기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도어프레임에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결합되어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여 원가가 절감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환기장치{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를 환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량용 환기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차량을 운행하다 보면 필요에 따라 실내의 공기를 순환하거나,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할 필요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차량의 유리창을 개방하거나 히터 및 에어컨을 가동하게 된다.
그런데 유리창을 개방할 경우 외부의 공기와 함께 먼지, 황사, 꽃가루 등의 이물질과 모기, 파리 등 해충이 유입될 수 있고 우천시에는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히터나 에어컨을 장시간 가동하게 될 경우 차량의 내부 공기가 외부와 순환되지 못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집중력을 저하시켜 교통사고를 초래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20-2004-0024497호에는, 도어프레임에 끼워지는 패킹을 차량 바깥쪽보다 안쪽을 더 길게 구성하여 그 안쪽면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고, 통공과 접촉하는 도어프레임의 안쪽 프레임에는 통공과 대응하여 차량의 내부와 통하는 통공을 형성하여 창문을 조금만 내리면 통공을 통해 차량의 외부와 통하면서 환기가 이루어지는 차량용 환기장치가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차량용 환기장치는 통공의 접촉부위인 도어프레임의 내측에도 통공을 형성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유리창을 내려 통공을 개방할 경우, 통공을 통해 각종 이물질이나 빗물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만 유리창을 승하강해야 하므로 에너지가 낭비되고, 차량을 운행시에는 운전자가 통공의 기밀을 미세하게 조절해야 하므로 운전의 집중력을 흐트러뜨려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유리창이 도어프레임에 밀폐된 상태에서도 외부와 환기가 가능하여 이물질과 빗물의 유입 및 김서림을 방지하고, 차량을 운행시에는 유입되는 공기량의 조절이 용이하여 안전 운행을 도모하는 차량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차량용 도어프레임에 결합되어 차량의 내부를 환기시키는 차량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측에 상기 차량용 도어프레임의 내측홈과 결합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차량용 도어프레임을 따라 승하강하는 유리창의 상단과 결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차량의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 간에 통기가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통기부 및 상기 통기부를 개폐하여 통기량을 조절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환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내부중앙에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몸체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외부 공기가 상기 유로와 연통하되, 상기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방으로 개구된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 및 상기 차량의 방향 지시등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부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몸체의 타측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몸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유로를 개폐하여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차량용 도어프레임과 자성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첫째, 차량의 도어프레임에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결합되어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여 원가가 절감된다.
둘째, 유리창이 도어프레임에 밀폐된 상태에서도 외부와의 환기가 가능하여 우천시 빗물의 유입 및 김서림을 방지하여 차량을 운행시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셋째, 여름철에 유리창을 열지 않고 주차하여도 차량내부의 열을 방출할 수 있어 도난사고를 방지하며, 특히 차량의 시동을 정지한 상태에서도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가 도어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3에 나타낸 차량용 환기장치의 개폐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가 도어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며, 도 4는 도3에 나타낸 차량용 환기장치의 개폐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100)는 차량용 도어프레임(10)에 결합되어 차량의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110)와 통기부(120) 및 개폐부(13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일측에 돌출부(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홈(113)이 형성된다. 돌출부(111)는 차량의 유리창(20) 상단이 밀착되는 도어프레임(10)의 상부 내측홈(11)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111)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11)는 내측홈(11)에 결합 시 기밀을 높일 뿐만 아니라, 쉽게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110)의 돌출부(111)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는 자석(111a)일 수 있다. 자석(111a)은 돌출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11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차량용 도어프레임(10)이 일반적으로 금속의 소재로 제조되는 바, 돌출부(111)는 자성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 경우, 내측홈(11)에는 자석(111a)과 반대 극성의 자성체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몸체(110)의 가이드홈(113)은 돌출부(111)의 타 측에 형성된다. 가이드홈(113)에는 유리창(20)의 상단이 가이드 되어 안착되도록 홈 형상을 가지며 돌출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113)은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113)의 내측에는 모헤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가이드홈(113)에 유리창(20)의 상단이 안착될 경우 유리창(20)과 가이드홈(113)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통기부(120)는 차량의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 간에 통기 가능하도록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통기부(120)는 유로(121)와 통공(123)을 포함한다. 유로(121)는 몸체(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12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다. 유로(121)는 외부의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통기부(120)의 유로(121)는 몸체(120)의 내부에서 몸체(120)의 타측으로 일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유로(121)의 개방된 부분에는 후술할 개폐부(13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통기부(120)의 통공(123)은 몸체(110)의 외측에 형성된다. 통공(123)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통공(123)은 외부의 공기가 유로(121)와 연통하도록 연결하는 연통홀(123a)과, 연통홀(123a)을 감싸며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커버(123b)로 형성된다. 돌출커버(123b)는 연통홀(123a)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방으로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돌출커버(123b)는 우천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차량이 가속하면 개구된 하방부분의 압력이 낮아져 연통홀(123a)로 유입되는 기체의 흐름이 빨라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부(130)는 통기부(120)를 개폐하여 외부 공기의 통기량을 조절하도록 몸체(120)의 타측에 형성된다. 개폐부(13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몸체(110) 타측에서 일부 개방된 유로(121)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된다. 개폐부(130)는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유로(121)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기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개폐부(130)는 유리창(20)이 가이드홈(113)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유리창(20)을 조작하지 않고 슬라이드 작동에 의해 통기량의 조절이 가능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을 주차시에는 시동을 정지한 상태에서도 통기량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적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가 도어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200)는 몸체(110), 통기부(120), 개폐부(130), 조명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몸체(110), 통기부(120) 및 개폐부(130)는 도 1의 차량용 환기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조명부(140)는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명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조명부(140)는 LED일 수 있다. LED는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140)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서 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도 빛을 조사하여 근접한 차량에게 안전거리를 확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조명부(140)가 조명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LED일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엘시트지(EL Sheet)등일 수 있다. 이 경우, 조명부(140)는 건전지와 같은 내부전원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거나, 시거잭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조명부(14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50)는 조명부(140)가 빛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방향 지시등 또는 비상등의 동작에 대응하여 조명을 출력할 수 있도록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어두운 밤에도 전조등 및 후미등 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빛을 조사하게 되어 차량의 식별을 원활하게 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한다.
한편, 도 5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200)는 태양전지판(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판은 몸체(1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태양전지판은 조명부(140) 및 제어부(15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이는 조명부(140) 및 제어부(150)에 대한 전원을 자가발전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환기장치(100)(200)는, 차량의 도어프레임(10)에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결합되어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여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유리창(20)이 도어프레임(10)에 밀폐된 상태에서도 외부와의 환기가 가능하여 우천시 빗물의 유입 및 김서림을 방지하여 차량을 운행시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에 유리창(20)을 열지 않고 주차하여도 차량 내부의 열을 방출할 수 있어 도난사고를 방지하며, 특히 차량의 시동을 정지한 상태에서도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환기장치 110: 몸체
111: 돌출부 111a: 자석
113: 가이드홈 120: 통기부
121: 유로 123: 통공
123a: 연통홀 123b: 돌출커버
130: 개폐부 140: 조명부
150: 제어부 10: 도어프레임
11: 내측홈 20: 유리창

Claims (5)

  1. 차량용 도어프레임(10)에 결합되어 차량의 내부를 환기시키는 차량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일 측에 상기 차량용 도어프레임(10)의 내측홈(11)과 결합하는 돌출부(111)가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차량용 도어프레임(10)을 따라 승하강하는 유리창(20)의 상단과 결합하는 가이드홈(113)이 형성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110)의 내부중앙에 형성되는 유로(121)와,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외부 공기가 상기 유로(121)와 연통하도록 연결하되 상기 유로(121)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는 복수의 연통홀(123a)과, 상기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빗물이 상기 연통홀(123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차량이 가속되면 개구된 하방부분의 압력이 낮아져 상기 연통홀(123a)로 유입되는 기체의 흐름을 빨라지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커버(123b)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공(123)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통기부(120); 및
    상기 몸체(110)의 타측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몸체(1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유리창(20)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통공(123)과 연결된 상기 유로(121)를 개폐하도록 하여 통기량을 조절하는 개폐부(130);를 포함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140); 및
    상기 차량의 방향 지시등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부(140)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1)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차량용 도어프레임(10)과 자성 결합을 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KR2020160002043U 2016-04-15 2016-04-15 차량용 환기장치 KR200483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43U KR200483393Y1 (ko) 2016-04-15 2016-04-15 차량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43U KR200483393Y1 (ko) 2016-04-15 2016-04-15 차량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393Y1 true KR200483393Y1 (ko) 2017-05-11

Family

ID=5871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043U KR200483393Y1 (ko) 2016-04-15 2016-04-15 차량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3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6071A (zh) * 2018-11-14 2019-04-12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主动式通风泄压系统及汽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065Y1 (ko) * 2002-07-16 2003-01-03 김관성 차량용 썬바이저
JP3112289U (ja) * 2005-03-18 2005-08-11 株式会社レミックス 自動車用換気装置
KR20130006066U (ko) * 2012-04-10 2013-10-21 김신성 차량용 바람유도기구
KR101331796B1 (ko) * 2012-06-15 2013-11-21 (주)우진하이텍 자동차 도어의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065Y1 (ko) * 2002-07-16 2003-01-03 김관성 차량용 썬바이저
JP3112289U (ja) * 2005-03-18 2005-08-11 株式会社レミックス 自動車用換気装置
KR20130006066U (ko) * 2012-04-10 2013-10-21 김신성 차량용 바람유도기구
KR101331796B1 (ko) * 2012-06-15 2013-11-21 (주)우진하이텍 자동차 도어의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6071A (zh) * 2018-11-14 2019-04-12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主动式通风泄压系统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02500B (zh) 包括除湿装置的用于车辆的前照灯
CN209336453U (zh) 遮阳板和用于车辆的遮阳板
KR200483393Y1 (ko) 차량용 환기장치
CN110271396A (zh) 用于车辆的车顶系统
KR100784673B1 (ko) 차양판과 공기 보조브레이크가 장착되는 자동차.
KR200414173Y1 (ko) 도광판을 이용한 자동차 썬루프
KR101693112B1 (ko) 긴급차량의 서치라이트 내장형 경광등
CN210463497U (zh) 面板组件和空气处理设备
KR200465900Y1 (ko) 차량용 음이온 발생 및 공기정화장치
KR20100112057A (ko) 차량용 선바이저
KR200333201Y1 (ko)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KR100391286B1 (ko) 자동차의 환기장치
KR200367918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CN114872611B (zh) 一种led灯汽车晴雨挡
CN204605652U (zh) 轻型客车室内灯及具有该室内灯的轻型客车
KR200424603Y1 (ko) 차양판과 공기 보조브레이크가 장착되는 자동차.
KR200367919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KR100731871B1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CN216641799U (zh) 一种汽车天窗开关控制器
KR200367920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KR20030014022A (ko) 자동차용 선루프
KR200367945Y1 (ko) 차량용 환기장치
KR0152183B1 (ko) 자동차의 환기 장치
KR0128149B1 (ko)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KR200192766Y1 (ko) 차량용 가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