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149B1 -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149B1
KR0128149B1 KR1019950000830A KR19950000830A KR0128149B1 KR 0128149 B1 KR0128149 B1 KR 0128149B1 KR 1019950000830 A KR1019950000830 A KR 1019950000830A KR 19950000830 A KR19950000830 A KR 19950000830A KR 0128149 B1 KR0128149 B1 KR 0128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ar spoiler
spoiler
ven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189A (ko
Inventor
남상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0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149B1/ko
Publication of KR96002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중 창문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흡연이나 기타의 이유로 혼탁해진 차내의 공기를 리어 스포일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의 상부에 고속주행시 차체를 노면으로부터 밀착시켜 안정된 주행을 함과 동시에 비포장 도로의 주행시 먼지등이 않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어 스포일러를 형성하되, 브레이크 램프와 몰딩으로 형성된 리어 스포일러에 있어서, 리어 스포일러의 끝단부의 양측으로 복수개의 통기공과 하부에 물배출 홀을 형성하며, 리어 글래스에 장공을 형성하여 벤트 그릴을 양면테이프로 접착 형성하되, 상기,벤트 그릴은 양측으로 가이드를 형성한 본체와 가이드 홈과 일측에 손잡이를 형성한 가동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제1도는 본 발명의 요부 절개된 상태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3도는 오픈(Open)시 벤트 그릴부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설치시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 스포일러 1b : 통기공
1c : 물배출 홀 2 : 리어 글래스
2a : 장공 3 : 양면테이프
4 : 본체 4a,4b:가이드
5 : 가동판 5a,5b : 가이드 홈
5c : 손잡이 6,6a : 상,하 격자판
G : 벤트 그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중 창문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흡연이나 기타의 이유로 혼탁해진 차내의 공기를 리어 스포일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의 상부나 리어 윈도우의 상부에 고속주행시 차체를 노면으로 부터 밀착시켜 안정된 주행을 함과 동시에 비포장 도로의 주행시 먼지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리어 스포일러를 장착하며 또한, 브레이크 램프가 형성된 리어 스포일러로 외관상 미려하게 보이려고 장착하는 차량도 있으나, 이는 단순히 주행중 차체를 안정시키는 작용과 먼지가 차체에 않는것을 방지하거나 그 외관만 미려하게 장식할뿐 차내의 혼탁해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작용을 하는 리어 스포일러가 없음으로 인해 환기시 창문을 열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특히, 동절기나 하절기의 히터나 에어콘의 가동시 그 열효율이 저하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우천시 리어 윈도우에 끼게 되는 습기로 인해 뒷시야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충,추돌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주행중 창문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흡연이나 기타의 이유로 혼탁해진 차내의 공기를 리어스포일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의 상부에 고속주행시 차체를 노면으로 부터 밀착시켜 안정된 주행을 함과 동시에 비포장 도로의 주행시 먼지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어 스포일러를 형성하되, 브레이크 램프와 몰딩으로 형성된 리어 스포일러에 있어서, 리어 스포일러의 끝단부의 양측으로 복수개의 통기공과 하부에 물배출 홀을 형성하며, 리어 글래스에 장공을 형성하여 벤트 그릴을 양면테이프로 접착 형성하되, 상기, 벤트 그릴은 양측으로 가이드를 형성한 본체와 가이드 홈과 일측에 손잡이를 형성한 가동판이 형성된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및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그 구성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요부 절개된 상태시의 사시도로서, 자동차의 리어윈도우의 상부에 고속주행시 차체를 노면으로 부터 밀착시켜 안정된 주행을 하기 위한 리어 스포일러(1)를 형성하되, 브레이크 램프(7)와 몰딩(8)으로 형성된 리어 스포일러(1)에 있어서, 리어 스포일러(1)의 끝단부의 양측으로 공기의 배출을 위한 복수개의 통기공(1b,1b')과 하부에 물배출 홀(1c)을 형성하며, 리어 윈도우(2)에 공기배출용 장공(2a)을 형성하여 벤트그릴(G)을 양면테이프(3)로 접착 형성하되, 상기, 벤트 그릴(G)은 양측으로가이드(4a,4b)를 형성한 본체(4)와 가이드 홈(5a,5b)과 일측에 손잡이(5c)를 형성한 가동판(5)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또한, 제 5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리어 스포일러(1)의 내부 상, 하부로 격자판(6,6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내의 공기를 자연환기 시키기 위하여 손잡이(5c)를 이용하여 가동판(5)을 열어 놓으면(제3도에 나타냄) 주행시의 공기 흐름에 의하여 리어 스포일러(1)의 끝단부에 압력이 낮아짐으로 인해 차내의 공기가 벤트 그릴(G)과 리어스포일러(1)의 끝단부 양측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기공(1b,1b')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게되며 우천시 습기도 동시에 배출되어 뒷 시야를 확보할수 있게 되며, 하부에 형성된 물배출 홀(1c)을 통하여 습기에 의해 생기는 물이나 빗물이 배출되게 된다.
또한, 리어 스포일러(1)의 내부 상,하부로 격자판(6,6a)을 형성하면 벤트 그릴(G)없이 글래스(2)의 장공(2a)만으로 혼탁해진 공기나 습기를 외부로 방출할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리어 스포일러(1)의 끝단부의 양측으로 공기의 배출을 위한 복수개의 통기공(1b,1b')과 하부에 물배출 홀(1c)을 형성하며, 리어 윈도우(2)에 공기배출용 장공(2a)을 형성하며, 벤트 그릴(G)은 양측으로 가이드(4a,4b)를 형성한 본체(4)와 가이드 홈(5a,5b)과 일측에 손잡이(5c)를 형성한 가동판(5)으로 형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중 창문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흡연이나 기타의 이유로 혼탁해진 차내의 공기를 리어 스포일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하며 실용성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2)

  1. 리어 스포일러(1)의 끝단부의 양측으로 복수개의 통기공(1a,1b)과 하부에 물배출 홀(1c)을 형성하며, 리어 글래스(2)에 장공(2a)을 형성하여 벤트 그릴(G)을 양면테이프(3)로 접착 형성하되, 벤트 그릴(G)은 양측으로 가이드(4a,4b)를 형성한 본체(4)와 가이드 홈(5a,5b)과 일측에 손잡이(5c)를 형성한 가동판(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리어 스포일러(1)의 내부 상, 하부로 격자판(6, 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
KR1019950000830A 1995-01-19 1995-01-19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KR0128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830A KR0128149B1 (ko) 1995-01-19 1995-01-19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830A KR0128149B1 (ko) 1995-01-19 1995-01-19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189A KR960029189A (ko) 1996-08-17
KR0128149B1 true KR0128149B1 (ko) 1998-04-10

Family

ID=1940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830A KR0128149B1 (ko) 1995-01-19 1995-01-19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9516B1 (en) 2017-07-12 2019-0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erodynamic assemblies for providing passive water manag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9516B1 (en) 2017-07-12 2019-0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erodynamic assemblies for providing passive water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189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7645A (en) Vehicle window visor and ventilator
US6004202A (en) Truck cab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KR0128149B1 (ko) 자동차의 에어 벤트용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GB2143941A (en) Ventilation arrangement for a vehicle tailgate
JP4284647B2 (ja) 車両の換気構造
SU1736808A1 (ru) Передн часть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367918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KR100452441B1 (ko) 자동차용 환기 시스템
KR200367919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KR200367945Y1 (ko) 차량용 환기장치
KR200367931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JPS6012726Y2 (ja) 車両のル−フベンチレ−タ
KR0115727Y1 (ko) 자동차용 환기장치
KR100217615B1 (ko) 자동차용 벤트 홀을 갖는 자동차용 스톱 램프
WO2000066381A1 (fr) Visiere laterale pour voiture
KR100726729B1 (ko) 언더커버를 이용한 리어 범퍼의 환기구조
KR200367920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JP2007145042A (ja) インテークダクトの吸気構造
RU23827U1 (ru) Система вытяжной вентиляции автомобиля типа "внедорожник"
JPH035129Y2 (ko)
KR200367921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KR0112633Y1 (ko) 자동차용 에어 벤틸레이터
KR19980031895U (ko) 자동차의 실내환기장치
JPH0133386Y2 (ko)
JPS6323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