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222Y1 -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 - Google Patents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222Y1
KR200440222Y1 KR2020070006959U KR20070006959U KR200440222Y1 KR 200440222 Y1 KR200440222 Y1 KR 200440222Y1 KR 2020070006959 U KR2020070006959 U KR 2020070006959U KR 20070006959 U KR20070006959 U KR 20070006959U KR 200440222 Y1 KR200440222 Y1 KR 200440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ndow
opening
closing
wind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동
Original Assignee
김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동 filed Critical 김주동
Priority to KR2020070006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2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1Double glazing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3Rear seat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1/180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movable for vehicles with convertible top
    • B60J1/1823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movable for vehicles with convertible top adjustable relative to hard- or soft-top, e.g. pivotable
    • B60J1/183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movable for vehicles with convertible top adjustable relative to hard- or soft-top, e.g. pivot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복수개의 유리창이 구비되는 자동차의 유리창에 있어서, 상기 각 유리창의 일측에는 차량의 실내로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다수개의 미세한 통기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지되, 전·후면 유리창(10)(50)의 외측면에는 각 유리창의 외측 표면과 미세한 단차가 유지되면서 슬라이딩되어 각 유리창에 형성된 통기공(15)을 개폐하는 개폐구(12)(52)가 설치되고, 측면유리창(30)은 통기공이 형성되지 않은 측면기본창(32)과, 상기 측면기본창(32)의 내측에서 각 도어에 일체로 매립 설치되어 측면기본창과 동일한 구조로 각각 승강되는 측면통기창(34)이 설치된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유리창에 관한 것이다.
Figure R2020070006959
자동차 유리창, 전면유리창, 측면유리창, 후면유리창

Description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The vehicle window with penetrated holes}
도 1은 본 고안에 통기공이 구비된 유리창이 설치된 자동차의 외관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통기공이 구비된 유리창이 설치된 자동차의 측면도와 각 부위의 확대도,
도 3a 및 도3b는 본 고안의 특징부중 측면유리창의 일부를 발췌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유리창이 설치된 차량의 주행상태시 공기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전면유리창 12, 52 : 개폐구
13, 53 : 실링부재 15 : 통기공
20 : 개폐수단 21, 22: 가이드레일
30 : 측면유리창 32 : 측면기본창
34 : 측면통기창 40 : 선루프
42 : 개폐창 44 : 상면통기창
50 : 후면유리창
본 고안은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밀폐된 유리창에 미세한 통기공이 형성되어 외부와 통기가 원활하도록 하고, 빗물이나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개폐구가 구비된 차량의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개발된 차량의 유리창은 당연히 외부와 밀폐된 구조로 차체에 고정 설치되므로, 차량의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측면에 설치된 개폐가능한 측면창을 이용하거나 엔진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대시보드상에 구비된 소정의 환기구를 통해 실내 공기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차량의 경우, 대시보드(dashboard)상에 구비된 소정의 환기구를 개방하여 차체 외부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환기를 시키는 경우, 대시보드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대부분 차량의 엔진이 설치된 엔진룸 내부를 거쳐 유입되기 때문에 엔진룸 내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함께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가 많아 오히려 신선한 공기로 환기하고자 하는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부족한 면이 있었으며, 또한 측면 유리창을 개방하여 외기를 차량의 실내로 유입시킬 경우, 외기 유입량이 많아 운전에 지장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의 실내에 놓여진 물건들이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기의 속도에 의해 날리거나 흐트러뜨리는 불편이 있었음은 물론 운전자의 시야를 불편하게 하는 요인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차량의 천정에 일정 크기의 창을 만든 선루프를 설치하여 선루프의 개방에 따라 차량의 실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나, 이러한 선루프의 경우에도 창이 개방되면 외부와 차량의 실내가 전면 개방된 상태가 되어 운행중에 개방된 창을 통해 이물질 등이 쉽게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경우 실내 환기를 위해 창문의 일부를 개방시켜 놓은 상태로 차량을 주차시켜 놓은 경우, 차량 자체의 도난사고는 물론 차량의 내부 물건을 도난당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운전자가 불측의 손실을 보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또한, 우기(雨期)시에 차량의 실내에 습기가 차는 경우가 발생하여 운전자들을 당황하게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숙달된 운전자들의 경우는 에어컨을 켜든지 창문을 약간 열어놓아 환기를 시킴으로써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외부에 눈·비가 오는 경우 창문을 오래 열어 놓을 수 없어 에어컨을 켜서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에어컨을 켜는 경우 기름소모가 증가되고 차량의 실내기온이 떨어져서 운전자가 한기(寒氣)를 느껴 운전에 방해됨은 물론 장시간 에어컨을 켜게 되면 운전자의 호흡기 등에도 좋지않은 영향을 미치고, 차량의 엔진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어 갑자기 출력이 저하되거나 한꺼번에 많은 전기를 소모하게 되어 차량의 전기장치 등에 고장을 일으켜 안전운행 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근래에는 차량을 이용한 야외활동이 증가하여 차량에서 숙박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하절기의 경우 차량의 실내가 덮기 때문에 대부분 창문을 열어 놓고 생활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때 모기 등 각종 해충이 차량의 실내로 들어와 개인의 건강위생을 위협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경우 차량의 유리창에 부착하는 모기장을 구입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열어놓은 창문을 통해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차량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유리창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각 차량에 맞는 모기장을 구입하는 것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한번 사용하고 보관을 잘못할 경우 다시 구입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열어 놓은 창문에 모기창만 쳐놓은 경우 외부인의 침입이 용이하여 안전에 위협을 받는 경우가 있었고, 갑자기 비가 내리는 경우 빗물이 모기장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어 차량의 실내생활에 불편함을 주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차가 가지고 있는 차량의 실내 환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기를 위해 창문 등을 일부 개방시켜 놓은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불측의 손해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주행중 환기를 위해 창문을 여는 경우 외기가 과도하게 유입되어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우기시에 에어컨을 이용하지 않고 자연 외기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연비향상과 전기장치의 부하 상승을 억제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을 이용한 야외활동시 별도의 모기장을 구비하거나 설치함이 없이 차량에 장착된 유리창을 통해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각종 해충으로부터 개인의 건강 위생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창문을 열어 놓음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고, 열어놓은 창문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을 이용한 야외활동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을 제공하고지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차체에 고정 설치된 모든 유리창에 미세한 통기공을 형성하여 이 통기공을 통해 차량의 실내환기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각 창에 형성된 미세한 통기공들은 주행중이나 정차중에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에도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구조로 관통된다.
즉, 본 고안은 차량에 구비된 전체 유리창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전·후면 유리창은 물론 좌·우측면 유리창에도 각각 형성되며, 전·후면 유리창의 경우 에는 통기공 외측으로 통기공을 밀폐하는 개폐구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운전자가 개폐구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통기공을 통한 환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측면 유리창의 경우는 종래의 기본 유리창 내측에 별도의 통기공이 형성된 측면통기창을 설치하여 측면유리차의 경우 이중유리창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량운전자 및 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기본유리창의 개방시 통기공이 형성된 측면통기창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환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전·후면 유리창에 형성된 통기공을 밀폐하는 개폐구는 소정의 개폐수단에 의해 차량의 실내에서 운전자가 직접 원격 조작하여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차량의 측면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측면통기창은 기본측면창과 동일한 구조의 개폐시스템이 적용되어 승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통상의 차량에 구비된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이의 채택에 큰 어려움이 없어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특징부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이 구비된 차량의 외관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전체 유리창, 즉 전·후면 유리창(10)(50)과 좌·우 측면유리창(30)은 물론 선루프(40)가 구비된 경우에는 그 선루프에도 형성되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리창을 선정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각 유리창에 형성된 통기공(15)은 각 창의 설치 위치나 크기에 따라 창의 일부분 또는 전체에 대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유리창에 구비된 통기공(15)의 설치상태를 도 2의 측면도 및 일부확대도에서 도시하고 있다.
차량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유리창(10)은 유리창의 상단부 일정공간에 미세한 통기공(15)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공(15)이 형성된 전면유리창(10)의 외측 상면으로 상기 통기공(15)을 개폐하기 위한 투명재 또는 일정한 색상이 가미된 반투명재의 개폐구(12)가 설치된다.
상기 통기공(15)은 차량의 내측 상방에서 차량의 외측 하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유리창을 타고 흘러 내리는 빗물 등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구(12)는 차량의 양쪽 A필라(최전방필라)의 외측에 설치된 개폐수단(20)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개폐구(12)의 상·하단에는 소정의 실링부재(13)가 결합되어 있어 개폐구(12)의 상하 슬라이딩시 전면유리창(10)의 표면에 긴밀히 밀착되면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개폐수단(20)은 개폐구(12)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21)(22)과, 상기 각 가이드레일(21)(22)의 일단에 설치되어 개폐구(12)를 가이드레일(21)(22)의 일단으로 밀어내어 통기공(15)이 형성된 전면유리창(10)을 개방되도록 하거나, 전면이 개방된 통기공(15)을 밀폐하기 위해 통기공(15)이 형성된 전면유리창(10)의 상면으로 개폐구(12)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도시안됨)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조작수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 기 구동수단은 소정의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21)(22)상에 고정 설치된 개폐구(12)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소정의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개폐구를 작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장치구성의 간단화를 위해 전기식 구동모터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공지된 자동선루프에 적용되는 기술 등을 이용하여 간단히 실현될 수 있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개폐구(12)를 동작시키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상기 조작수단은 운전자 주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 또한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간단히 구현될 수 있는 것이어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여러 유리창중 측면유리창(30)의 일부를 발췌 도시한 것으로, 통상 차량의 측면유리창은 하나의 유리창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측면유리창(30)은 측면기본창(32)과 소정의 통기공(15)이 형성된 측면통기창(34)으로 이중창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측면통기창(34)은 별도로 구비된 구동 및 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측면기본창(32)과 동일한 구조로 차량도어의 내측에 매립 설치되어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윈도우 조작장치에 의해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의 동작 메커니즘은 종래의 측면기본창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3b는 상기 측면유리창(30)중 측면기본창(32)이 개방되고, 측면통기창(34)이 밀폐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측면통기창(34)의 상단부에는 상술한 전면유리창(10)과 마찬가지로 상단부 일정영역에 미세한 통기공(15)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관통 형성되어 있어 외측에 위치한 측면기본창(32)만 개방시켜 놓은 상태에서도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통기공(15)을 통해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통기창(34)에 구비된 통기공(15)은 차량의 정차시는 물론 주행시에 외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앞쪽에서 뒷쪽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선루프(40)는 차량이나 차종에 따라 다양한 동작구조를 갖는 선루프가 차량에 설치될 수 있지만, 본 고안에 따른 통기공이 형성된 상면통기창(44)은 통상의 선루프를 구성하는 글래스(Glass)로 이루어진 개폐창(42)의 하단에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전동식 선루프의 경우,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전·후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본 고안에 따른 상면통기창(44)은 외측 개폐창(42)이 개방된 상태에서 천정면을 밀폐한 상태로 통기공(15)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거나 실내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외측의 개폐창(42)과 내측의 덮개(45) 사이 또는 내측 덮개(45)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은 경우는 외측 개폐창(4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외측 개폐창이 차량의 루프 내측으로 들어가는 인너슬라이딩 타입이거나 외측 개폐창이 루프 외측으로 돌출되는 탑슬라이딩 방식이든지 어떠한 형태의 선루프방식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며, 통기공(15)의 관통구조는 차량의 내측단이 차량의 외측단보다 전방 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약 45°정도) 관통되어 주행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후면유리창(50)에 구비되는 통기공(15)은 전면유리창(1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통기공(15)의 개폐수단인 개폐구(52)가 후면유리창(50)의 하단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개폐구(52)의 상·하단에는 소정의 실링부재(53)가 결합되어 있어 슬라이딩시 후면유리창(50)의 표면에 긴밀히 접촉되면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면유리창(50)의 통기공(15)을 개폐시키는 개폐구(52) 역시 차체의 C 필라(최후방필라)의 외측에 설치된 개폐수단(20)에 의해 개폐동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수단(20)은 상술한 상기 전면유리창(10)에 구비된 개폐수단과 동일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그 조작수단 또한 전면유리창의 조작수단과 일체로 구성되어 운전자의 조작이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도 4의 주행상태도를 참고하면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은 차량에 실제로 장착한 후에 환기가 필요한 경우 전·후면 유리창(10)(50) 외측에 설치된 개폐구(12)(52)를 상방이나 하단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측면유리창의 경우에는 이중창문 구조여서 외측에 위치한 측면기본창(32)을 다운시키게 되면, 차량의 사방에 형성된 각 유 리창의 통기공(15)을 통해 외기가 직접 유입되는 상태가 된다.
즉, 전면유리창(10)을 통해서는 주행시 차량에 부딪히는 공기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실내로 유입되고, 차량 실내의 공기는 후면유리창(50)과 측면통기창(34) 및 선루프(40)의 통기공(15)을 통해 배출되어 차량 실내의 자연스런 환기가 이루어지게 되고, 전면유리창(10)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차체의 내부를 통하지 않고 직접 실내로 유입되므로 종래와 같이 차량의 엔진룸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와는 그 신선감에 있어서 큰 차이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의 경우 고속운전시에 환기를 위해 유리창을 개방하는 경우, 소음이 지나치게 커서 운전에 방해가 됨은 물론 유입되는 외기가 직접 운전자의 신체나 얼굴에 부딪히는 경우 전방을 주시하는 시야의 방해가 되어 차량의 안전운행에 막대한 지장을 주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고안을 적용한 차량의 경우에는 고속주행시에 환기가 필요한 경우 전·후면 유리창(10)(50)이나 측면유리창(30)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거나 전체 유리창을 통해 환기시킬 수 있으며, 환기시에 외기가 미세한 통기공을 통해 유입되므로 외기의 직접적인 유입으로 인해 발생되었던 과도한 소음 문제와 과다한 외기 유입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창문을 열어놓고 운행을 하는 경우 앞서거나 옆차선을 운행하는 다른 차량의 바퀴에서 튀어 오르거나 적재된 물건으로부터 날아온 이물질이나 열려진 창을 통해 유입되어 운전의 불편함이 발생되었던 것을 본 고안은 통기창이 운전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안전운행에 많은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무의식적으로 환기를 위해 창문 일부를 열어놓고 차량을 떠나는 경우, 차량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의 물건이 도난될 수 있었던 위험성을 본 고안에서는 별도로 창을 열어놓지 않더라도 통기공을 통해 환기가 자연스럽게 유지되므로 차량 및 차량 내부 물건의 절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우기시에 창문을 닫고 운전하는 경우 차량의 실내에 습기가 차서 에어컨 등을 켜서 습기를 제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차량의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차량의 엔진이나 전기장치에 과도한 부하가 걸려 차량의 고장발생을 일으킬 위험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경우 측면유리창중 외측에 설치된 측면기본창을 열어놓고 운전하게 되면 통기공으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으면서 외기는 유입되고, 차량의 후면 측면이나 후면유리창의 개폐구를 열어 놓게 되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된 외기가 그대로 배출되어 차량의 실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의 연료비 절감은 물론 안전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차량을 이용하여 야외활동시에 차량의 실내에서 잠을 자는 경우 환기를 위해 창문을 열어놓은 경우 외부인의 침입이나 각종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안전상 위험과 건강위생을 해칠 수 있는 불안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경우 각 창에 해충의 침입은 예방되면서 외기 유입이 가능한 통기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내부에서 도어의 잠금장치를 해놓게 되면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외기 유입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차량을 이용한 안전한 야외활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은 차량에 고정설치되는 유리창에 미세한 통기공을 형성시켜 별도로 창을 열지 않고도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쾌적한 실내환경 유지는 물론 운전자의 안전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무심코 환기를 위해 열어 놓은 창문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야외활동시 창문을 닫아 놓은 상태에서도 실내 환기가 가능하여 각종 해충의 침입은 방지하면서 외기 유입이 원활하여 안전한 차량 거주가 가능하도록 하며, 우기시에도 차량의 엔진에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 자연적인 외기를 통한 환기로 실내에 습기가 차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복수개의 유리창이 구비되는 차량의 유리창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유리창(30)은 통기공이 형성되지 않은 측면기본창(32)과, 상기 측면기본창(32)의 일측에서 각 도어에 일체로 매립 설치되어 별도의 구동 및 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측면기본창(32)과 동일하게 승강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차량의 실내로 외기의 유입이 가능한 다수개의 미세한 통기공(15)이 형성된 측면통기창(34)이 설치된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후면에 설치된 전·후면 유리창(10)(50) 각각에는 차량의 실내로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다수개의 미세한 통기공(15)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 유리창(10)(50)의 외측면에는 각 유리창의 외측 표면과 미세한 단차가 유지되면서 슬라이딩되어 각 유리창에 형성된 통기공을 개폐하는 개폐구(12)(52)가 각각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12)(52)는 차량의 양측 필라(pillar) 외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1)(22)에 의해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1)(22)의 일단에는 소정의 개폐수단(20)이 구비되어 차량의 실내에서 운전자가 원격으로 조절하여 개폐구의 개폐동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이 형성된 자동차 유리창.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12)(52)의 상·하단에는 전·후면 유리창(10)(50)에 형성된 통기공(15)의 밀폐시 외부로부터 개폐구(12)(52)와 전·후면 유리창(10)(50)의 외측 표면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13)(53)가 각각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이 형성된 자동차 유리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통기창(34)에 형성된 통기공(15)은 주행시나 정차시에 외부로부터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관통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이 형성된 자동차 유리창.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유리창(10)(50)에 형성된 통기공(15)은 주행시나 정차시에 외부로부터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관통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이 형성된 자동차 유리창.
KR2020070006959U 2007-04-27 2007-04-27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 KR200440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959U KR200440222Y1 (ko) 2007-04-27 2007-04-27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959U KR200440222Y1 (ko) 2007-04-27 2007-04-27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222Y1 true KR200440222Y1 (ko) 2008-05-30

Family

ID=41639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959U KR200440222Y1 (ko) 2007-04-27 2007-04-27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2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5020A (zh) * 2017-11-29 2018-05-04 重庆大学 一种用于通风的车窗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5020A (zh) * 2017-11-29 2018-05-04 重庆大学 一种用于通风的车窗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9360B2 (en) Pet ventilation window
KR20170001069U (ko) 차량용 방충장치
KR200440222Y1 (ko)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
JPS6214407B2 (ko)
KR20170136216A (ko) 전동식 루프 비 막이 장치
KR200193670Y1 (ko) 차량용 환기장치
KR200333201Y1 (ko)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CN220410246U (zh) 一种汽车门窗功能拓展板及由其构成的特定通风板
US20040121717A1 (en) Automobile interior heat vent
KR200344082Y1 (ko) 자동차의 방충과 방범 겸용 안전망
KR100867438B1 (ko) 통풍구가 형성된 차량용 창문
KR200381533Y1 (ko) 자동차 안전망
KR19980042260U (ko) 차량 방충망
JPH0133386Y2 (ko)
KR100568740B1 (ko) 버스 환기구 구조
JPS6114898Y2 (ko)
KR101367020B1 (ko) 자동차용 환기탑
KR200252471Y1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의 구조
KR200160925Y1 (ko) 자동차 썬바이져
KR100438030B1 (ko) 자동차의 실내환기장치
KR19980065142U (ko) 자동차 통풍.방충창
KR200261553Y1 (ko) 자동차의 실내환기장치
KR200246734Y1 (ko) 승용차용 환풍구
KR20000008963A (ko) 차량용 성에제거 및/또는 환기용 웨더스트립 구조
JPH0558423U (ja) 通風自動車ドァ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