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122Y1 - 그로멧 확장장치 - Google Patents

그로멧 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122Y1
KR200483122Y1 KR2020120010427U KR20120010427U KR200483122Y1 KR 200483122 Y1 KR200483122 Y1 KR 200483122Y1 KR 2020120010427 U KR2020120010427 U KR 2020120010427U KR 20120010427 U KR20120010427 U KR 20120010427U KR 200483122 Y1 KR200483122 Y1 KR 200483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mmet
extension
extension member
expand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049U (ko
Inventor
김주호
홍신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20010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12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0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0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122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로멧의 직경을 확장시킬 수 있는 그로멧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하핀(11)과 중핀(12) 및 상핀(13)이 고정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하부에서 시소운동 되도록 하핀(11)에 고정되어 그로멧(1)의 내주면에서 하측을 하방으로 당겨서 내경을 확장시키는 하부확장부재(2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시소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그로멧(1)의 내주면에서 상측을 상방으로 당겨서 내경을 확장시키는 상부확장부재(30)와, 상기 지지대(10)의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중핀(12)에 고정되어 그로멧(1)의 내주면에서 일측을 측방으로 당겨서 내경을 확장시키면서 하부확장부재(20)와 상부확장부재(30)를 작동시키는 측부확장부재(50) 및 상기 측부확장부재(50)를 지지대(10)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드작동부재(60)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확장부재는 전단부에서 상부에 지지대쪽에서 전단부의 끝을 향해 하향되는 하부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확장부재는 전단부에서 하부에 지지대쪽에서 전단부의 끝을 향해 상향되는 상부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측부확장부재는 하부경사면과 하부경사면에 대응되면서 접촉되도록 상부와 하부에 경사지게 접촉면이 각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로멧 확장장치{Grommet Extension Apparatus}
본 고안은 그로멧의 직경을 확장시킬 수 있는 그로멧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많은 전장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장품으로 많은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러한 케이블이 전장품에 결합될 때에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장품의 커넥터 삽입부재에 연결시키고 있다.
상기 커넥터가 전장품 또는 차체 바디에 결합될 때에는 전선케이블의 연결부분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그로멧(grommet)을 밀착시켜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이러한 그로멧은 일단이 케이블이 배선된 커넥터와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한손으로 그로멧을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커넥터를 파지한 상태에서 결합시킬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수작업으로 그로멧과 커넥터를 결합시키면 그로멧의 일단을 손가락으로 벌여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고, 수작업으로 강제 삽입하여 결합하므로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로 결합되지 못하여 정렬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케이블이 배선된 그로멧을 그로멧에 정렬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결합시키기 위해 그로멧을 다양한 크기의 직경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그로멧 확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해결과제는 커넥터가 결합되는 그로멧의 일단을 간단하게 확장시켜 커넥터를 그로멧에 손쉽게 체결할 수 있는 그로멧 확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그로멧 확장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하핀(11)과 중핀(12) 및 상핀(13)이 고정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하부에서 시소운동 되도록 하핀(11)에 고정되어 그로멧(1)의 내주면에서 하측을 하방으로 당겨서 내경을 확장시키는 하부확장부재(2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시소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그로멧(1)의 내주면에서 상측을 상방으로 당겨서 내경을 확장시키는 상부확장부재(30)와, 상기 지지대(10)의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중핀(12)에 고정되어 그로멧(1)의 내주면에서 일측을 측방으로 당겨서 내경을 확장시키면서 하부확장부재(20)와 상부확장부재(30)를 작동시키는 측부확장부재(50) 및 상기 측부확장부재(50)를 지지대(10)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드작동부재(60)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확장부재는 전단부에서 상부에 지지대쪽에서 전단부의 끝을 향해 하향되는 하부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확장부재는 전단부에서 하부에 지지대쪽에서 전단부의 끝을 향해 상향되는 상부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측부확장부재는 하부경사면과 하부경사면에 대응되면서 접촉되도록 상부와 하부에 경사지게 접촉면이 각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차량용 케이블이 배선된 그로멧을 그로멧에 정렬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결합시키기 위해 그로멧을 다양한 크기의 직경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그로멧의 일단에 커넥터를 체결하는 경우에도 그로멧의 일단을 간단하게 확장시켜 커넥터를 손쉽게 그로멧에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하부확장부재만 작동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하부확장부재와 상부확장부재 및 측부확장부재가 동시에 작동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컨트롤러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7은 본 고안의 슬라이드작동부재와 하부작동부재의 작동상태에 따라 하부확장돌기와 상부확장돌기 및 측부확장돌기의 이격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그로멧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그로멧 확장장치는, 지지대(10)와, 하부확장부재(20)와, 상부확장부재(30)와, 인장스프링(40)과, 측부확장부재(50)와, 슬라이드작동부재(60) 및 하부작동부재(70)를 포함한다.
지지대(10)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하핀(11)과 중핀(12) 및 상핀(13)이 고정된다.
하부확장부재(20)는 그로멧(1)의 내주면에서 하측을 하방으로 당겨서 내경을 확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10)에서 시소운동 되도록 하핀(11)에 의해 중앙부분이 고정되고, 전단부에서 측방으로 하부확장돌기(2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전단부의 상부면에 하부홈(23)이 형성되고, 하부홈(23)에서 이격되면서 전단부의 상부에 지지대(10)쪽에서 전단부의 끝을 향해 하향되는 하부경사면(24)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확장돌기(21)는 그로멧(1)의 내주면이 지지되도록 외주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고, 하부홈(23)은 커넥터(2)와 그로멧(1)의 결합시 커넥터(2)의 외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내주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확장부재(30)는 그로멧(1)의 내주면에서 상측을 상방으로 당겨서 내경을 확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10)에서 시소운동 되도록 상핀(13)에 의해 중앙부분이 고정되고, 전단부에서 측방으로 상부확장돌기(3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전단부의 하부면에 상부홈(33)이 형성되고, 상부홈(33)에서 이격되면서 하부에 지지대(10)쪽에서 전단부의 끝을 향해 상향되는 상부경사면(3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확장돌기(31)는 그로멧(1)의 내주면이 지지되도록 외주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고, 상부홈(33)은 커넥터(2)와 그로멧(1)의 결합시 커넥터(2)의 외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내주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확장부재(30)는 시소운동을 일정각도만큼 제한하는 스토퍼(35)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스토퍼(35)는 상부확장부재(30)의 후단부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나사홀(36) 및 나사홀(36)에 나사결합되는 볼트(37)로 구성된다. 여기서, 나사홀(36)에 나사결합된 볼트(37)를 조이거나 풀어서 나사홀(36)의 하부로 볼트(37)의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측부확장부재(50)의 작동에 따라 상부확장부재(30)가 지지대(10)를 축으로 시소운동되는 경우, 볼트(37)의 끝단이 측부확장부재(50)의 상부면에 접촉됨에 따라 상부확장부재(30)의 시소운동을 일정각도만큼 제한하게 된다. 이와 달리, 스토퍼(35)는 하부확장부재(20)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인장스프링(40)은 하부확장부재(20)와 상부확장부재(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단이 하부확장부재(2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부확장부재(30)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인장스프링(40)은 외압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하부확장부재(20)와 상부확장부재(30)를 원위치로 복귀시켜서 각각의 전단부가 모여져서 닫히게 할 수 있다.
측부확장부재(50)는 그로멧(1)의 내주면에서 일측을 측방으로 당겨서 내경을 확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부확장부재(20)와, 상부확장부재(30) 사이에 위치하며 지지대(10)의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중핀(12)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장홀(53)이 형성된다. 전단부에서 측방으로 측부확장돌기(51)가 돌출 형성되고, 전단부의 끝단면에 측방홈(52)이 형성되며, 전단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하부경사면(24)과 하부경사면(24)에 각기 대응되면서 접촉되도록 접촉면(55)이 상부와 하부에 각기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측부확장돌기(51)는 그로멧(1)의 내주면이 지지되도록 외주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고, 측방홈(52)은 커넥터(2)와 그로멧(1)의 결합시 커넥터(2)의 외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내주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측부확장부재(50)는 외압에 의해 후단부가 당겨지는 경우 장홀(53)이 중핀(12)을 따라 수평상태로 이동되면서 접촉면(55)이 하부경사면(24)과 하부경사면(24)을 밀게 되므로 상부확장부재(30)와 하부확장부재(2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시소운동 되면서 벌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측부확장부재(50)의 작동에 따라 상부확장부재(30)와 하부확장부재(20)도 함께 작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작동부재(60)는 측부확장부재(50)를 지지대(10)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시킨다. 이러한, 슬라이드작동부재(60)는 측부확장부재(50)의 후단부에 축결합되는 수평실린더축(62)을 수평방향으로 신축시키는 수평실린더(61)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작동부재(60)의 수평실린더축(62)이 신축되는 경우 측부확장부재(50)가 수평으로 왕복이동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작동부재(60)의 작동에 의해 측부확장부재(50)가 당겨지는 경우 측부확장부재(50)에 형성된 접촉면(55)들이 하부경사면(24)과 하부경사면(24)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므로 상부확장부재(30)와 하부확장부재(20)가 지지대(10)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시소운동 된다. 즉, 측부확장부재(50)는 상부확장부재(30)와 하부확장부재(20) 각각의 전단부에서 멀어지고, 상부확장부재(30)와 하부확장부재(20)의 전단부들이 서로 멀어지면서 벌려지게 된다. 이때, 측부확장부재(50)와 상부확장부재(30) 및 하부확장부재(20)들이 서로 멀어짐에 따라 하부확장돌기(21)와 상부확장돌기(31) 및 측부확장돌기(51)들도 서로 멀어지게 되면서 하부홈(23)과 상부홈(33) 및 측방홈(52)들도 서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하부확장돌기(21)와 상부확장돌기(31) 및 측부확장돌기(51)가 벌려지게 됨에 따라 그로멧(1)의 내경이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고, 하부홈(23)과 상부홈(33) 및 측방홈(52)이 벌려지게 됨에 따라 그로멧(1)와 결합되는 커넥터(2)가 간섭되지 않으면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확장돌기(21), 상부확장돌기(31) 및 측부확장돌기(51)는 각각의 외주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므로 서로 모여지는 경우, 원통형의 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홈(23), 상부홈(33) 및 측방홈(52)들도 내주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므로 서로 모여지는 경우, 원형의 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모여져서 관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확장돌기(21), 상부확장돌기(31) 및 측부확장돌기(51)는 끼워지는 그로멧(1)의 내주면이 고르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모여져서 원형의 홀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홈(23), 상부홈(33) 및 측방홈(52)에는 케이블(3)이 유동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하부작동부재(70)는 측부확장부재(50)를 작동시키는 슬라이드작동부재(60)와 이격되어 하부확장부재(20)를 지지대(10)에서 시소운동 시킨다. 이러한, 하부작동부재(70)는 하부확장부재(20)의 후단부에 끝단이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실린더축(72)을 수직방향으로 신축시키는 수직실린더(71)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직실린더(71)가 수직실린더축(72)을 상하로 신축시키는 경우 수직실린더축(72)의 단부에 유동가능하게 타단이 고정된 하부확장부재(20)가 지지대(10)에서 시소운동 된다. 따라서, 하부작동부재(70)를 작동시켜서 하부확장부재(20)가 상부확장부재(30)로부터 이격되므로 케이블(3)을 원형의 홀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홈(23), 상부홈(33) 및 측방홈(52)의 사이에 편리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원형의 홀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홈(23), 상부홈(33) 및 측방홈(52)의 사이에 케이블(3)을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측부확장부재(50)를 약간 이동시켜서 하부확장부재(20)와 상부확장부재(30)가 약간 벌려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확장부재(50)와 하부확장부재(20)의 벌려지는 크기가 조절되도록 슬라이드작동부재(60)와 하부작동부재(70)를 동작을 설정하는 컨트롤러(80)와, 컨트롤러(80)의 설정값에 따라 슬라이드작동부재(60) 또는 하부작동부재(70)의 작동을 조작하는 스위치(9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스위치(90)는 손이나 발로 가압하여서 스위칭동작 시킬 수 있는 누름식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위치(90)는 슬라이드작동부재(60)와 하부작동부재(70)를 함께 작동시키는 조작스위치(91)와 하부작동부재(70)만을 작동시키는 하부스위치(9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위치설정부(81) 및 인식부(82)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트롤러(80)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칩과 전자부품이 탑재되는 PC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치설정부(81)는 측부확장부재(50)와 하부확장부재(20)가 다양한 크기로 벌려지도록 슬라이드작동부재(60)와 하부작동부재(70)의 작동길이를 다양하게 설정한다. 이러한, 위치설정부(81)는 입력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하부확장부재(20), 상부확장부재(30), 측부확장부재(50)의 이동길이가 3mm, 5mm 등이 되도록 측부확장부재(50)와 하부확장부재(20)의 작동거리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위치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값들은 디스플레이(83)에 출력된다.
인식부(82)는 스위치(90)의 조작상태를 인식한다. 즉, 하부확장부재(20), 상부확장부재(30), 측부확장부재(50)가 초기상태(0mm) → 5mm → 3mm → 초기상태(0mm)로 이동하기 때문에 인식부(82)는 스위치(90)가 조작될 때마다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그로멧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초기상태에서는 슬라이드작동부재(60)의 수평실린더축(62)이 신장된 상태로서 측부확장부재(50), 하부확장부재(20) 및 상부확장부재(30)가 서로 마주되어서 오므려진 상태이다.
그리고, 그로멧(1)의 내부에 커넥터(2)에 연결된 케이블(3)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부스위치(92)를 한번 조작하면 하부작동부재(70)의 수직실린더축(72)을 신장시켜서 하부확장부재(20)가 시소운동 되어서 벌려지게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커넥터(2)와 그로멧(1)의 사이에 노출된 케이블(3)을 하부확장부재(20)의 하부홈(23)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스위치(92)를 한번더 조작하면 하부작동부재(70)의 수직실린더축(72)을 수축시켜서 하부확장부재(20)가 역방향으로 시소운동 되어서 원위치 되게 한다. 이때, 하부확장부재(20)는 인장스프링(40)의 탄력에 의해 상부확장부재(30)와 접촉되므로 케이블(3)이 측방홈(52)의 일측으로 모여지는 하부홈(23)과 상부홈(33)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그로멧(1)의 끝단을 하부확장돌기(21)와 상부확장돌기(31) 및 측부확장돌기(51)에 끼워서 그로멧(1)의 내주면이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슬라이드작동부재(60)와 하부작동부재(70)를 함께 작동시키는 조작스위치(91)를 1차 조작하면 하부확장부재(20), 상부확장부재(30), 측부확장부재(50)가 최대길이(5mm)로 벌어진다(도 7a 참조). 이때, 하부확장돌기(21)와 상부확장돌기(31) 및 측부확장돌기(51)들이 한곳에 모여진 상태에서 동시에 멀어지게 되므로 그로멧(1)의 내경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면서 정확하게 확장되어 찢어지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즉, 하부확장돌기(21)와 상부확장돌기(31) 및 측부확장돌기(51)들이 최대로 멀어지게 되므로 그로멧(1)의 내경도 최대로 확장되어 손쉽게 커넥터(2)를 그로멧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로멧(1)가 확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커넥터(2)의 일단을 그로멧(1)의 내측에 위치시킨 후에 다시 조작스위치(91)를 2차 조작하면 하부확장부재(20), 상부확장부재(30), 측부확장부재(50)가 중간길이(3mm)로 약간 오므려지게 한다(도 7b 참조). 따라서, 최대로 벌려졌던 하부확장돌기(21)와 상부확장돌기(31) 및 측부확장돌기(51)들이 약간 오므려지게 되므로 최대로 확장되었던 그로멧(1)의 내경이 약간 축소되면서 커넥터(2)의 외주면에 근접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커넥터(2)를 약간씩 이동시켜서 그로멧(1)과 커넥터(2)의 결합상태를 정확하게 정렬시키면서 가결합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가결합된 그로멧(1)와 커넥터(2)를 하부확장돌기(21)와 상부확장돌기(31) 및 측부확장돌기(51)에서 외측으로 이동시켜서 분리한다. 따라서, 가결합된 그로멧(1)와 커넥터(2)가 서로 완전히 밀착되어서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조작스위치(91)를 3차 조작하여 수평실린더축(62)과 수직실린더축(72)이 작동되기 전 최초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도 7c 참조). 즉, 사용자는 수평실린더축(62)과 수직실린더축(72)을 최초위치로 복귀시켜서 다음 작업을 준비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그로멧(1)의 내경을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그로멧(1)와 커넥터(2)의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그로멧 2 : 커넥터 3 : 케이블
10 : 지지대 11 : 하핀 12 : 중핀
13 : 상핀 20 : 하부확장부재 21 : 하부확장돌기
23 : 하부홈 24 : 하부경사면 30 : 상부확장부재
31 : 상부확장돌기 33 : 상부홈 34 : 상부경사면
35 : 스토퍼 36 : 나사홀 37 : 볼트
40 : 인장스프링 50 : 측부확장부재 51 : 측부확장돌기
52 : 측방홈 53 : 장홀 55 : 접촉면
60 : 슬라이드작동부재 61 : 수평실린더 62 : 수평실린더축
70 : 하부작동부재 71 : 수직실린더 72 : 수직실린더축
80 : 컨트롤러 81 : 위치설정부 82 : 인식부
83 : 디스플레이 90 : 스위치 91 : 조작스위치
92 : 하부스위치

Claims (13)

  1.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하핀과 중핀 및 상핀이 고정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서 시소운동 되도록 하핀에 고정되어 그로멧의 내주면에서 하측을 하방으로 당겨서 내경을 확장시키는 하부확장부재;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시소운동 되도록 상핀에 고정되어 그로멧의 내주면에서 상측을 상방으로 당겨서 내경을 확장시키는 상부확장부재;
    상기 지지대의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중핀에 고정되어 그로멧의 내주면에서 일측을 측방으로 당겨서 내경을 확장시키면서 하부확장부재와 상부확장부재를 작동시키는 측부확장부재; 및
    상기 측부확장부재를 지지대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드작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확장부재는 전단부에서 상부에 지지대쪽에서 전단부의 끝을 향해 하향되는 하부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확장부재는 전단부에서 하부에 지지대쪽에서 전단부의 끝을 향해 상향되는 상부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측부확장부재는 하부경사면과 하부경사면에 대응되면서 접촉되도록 상부와 하부에 경사지게 접촉면이 각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확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확장부재는 전단부에서 측방으로 하부확장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확장부재는 전단부에서 측방으로 상부확장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측부확장부재는 전단부에서 측방으로 측부확장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확장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확장돌기와 상부확장돌기 및 측부확장돌기는 외주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확장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확장부재는 전단부의 상부면에 하부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확장부재는 전단부의 하부면에 상부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부확장부재는 전단부의 끝단면에 측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확장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홈과 상부홈 및 측방홈은 내주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확장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부확장부재는 지지대의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중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확장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확장부재는 시소운동을 일정각도만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확장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상부확장부재의 후단부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나사홀 및
    상기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확장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확장부재와 상부확장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부확장부재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부확장부재의 일측에 타단이 고정되는 인장스프링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확장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작동부재는 측부확장부재의 후단부에 축결합되는 수평실린더축을 수평상태로 신축시키는 수평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확장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부확장부재의 벌려지는 크기가 조절되도록 슬라이드작동부재의 동작을 설정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의 설정값에 따라 슬라이드작동부재의 작동을 조작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확장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부확장부재의 후단부에 끝단이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대에서 시소운동시키는 하부작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하부작동부재의 벌려지는 크기가 조절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스위치는 슬라이드작동부재와 하부작동부재를 함께 작동시키는 조작스위치와, 하부작동부재만을 작동시키는 하부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로멧 확장장치.
KR2020120010427U 2012-11-14 2012-11-14 그로멧 확장장치 KR2004831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427U KR200483122Y1 (ko) 2012-11-14 2012-11-14 그로멧 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427U KR200483122Y1 (ko) 2012-11-14 2012-11-14 그로멧 확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049U KR20140003049U (ko) 2014-05-26
KR200483122Y1 true KR200483122Y1 (ko) 2017-04-07

Family

ID=5244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427U KR200483122Y1 (ko) 2012-11-14 2012-11-14 그로멧 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1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596B1 (ko) * 2014-12-05 2016-08-05 (재)한국섬유기계연구원 그로멧 확장 장치
KR101870756B1 (ko) * 2016-06-28 2018-06-26 주식회사 하닉스 그로멧 확장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1075A (ja) * 2002-03-29 2003-10-14 Kurimoto Ltd 固定リング取付用治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6526A (ja) * 1996-10-14 1998-05-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拡径装置
KR20070084676A (ko) * 2006-02-21 2007-08-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램프 탈착공구
KR101025593B1 (ko) * 2008-12-29 2011-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그로멧 확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1075A (ja) * 2002-03-29 2003-10-14 Kurimoto Ltd 固定リング取付用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049U (ko) 201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09061A (zh) 电接线端子和方法
WO2007009099A3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occluding a hollow anatomical structure
CA2938063C (en) Connecting device and display screen with the same
KR200483122Y1 (ko) 그로멧 확장장치
CN107253032B (zh) 软管与卡箍的装配装置
US11947248B2 (en) Video camera handle and stop switch assembly
CN108571499A (zh) 用于夹紧伸缩式杆构件的夹具
SE1750911A1 (en) Hand tool with self-resilient handle
JP6886427B2 (ja) ねじ締め装置
CN207978187U (zh) 一种柔性平行夹取装置
US20200130143A1 (en) Detachment puller
US9466937B2 (en) Crimping pliers
JP4693872B2 (ja) 配管等の固定具
CN110418533A (zh) 电子设备
CN204797945U (zh) 一种新型淋巴抓钳
US9694410B1 (en) Pipe expanding device
KR102256111B1 (ko) 악력기
JP2015188960A (ja) 折り曲げ可能なドライバー
US20130038009A1 (en) Vise with push device
US20050060860A1 (en) Tire valve puller
CN103671380A (zh) 插销连接结构
KR102435142B1 (ko) 나사못 체결 보조기구
CN207625218U (zh) 一种线束管夹
KR101921464B1 (ko) 부품 분리 장치
CN104842297B (zh) 楔面式夹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