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464B1 - 부품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464B1
KR101921464B1 KR1020170062176A KR20170062176A KR101921464B1 KR 101921464 B1 KR101921464 B1 KR 101921464B1 KR 1020170062176 A KR1020170062176 A KR 1020170062176A KR 20170062176 A KR20170062176 A KR 20170062176A KR 101921464 B1 KR101921464 B1 KR 101921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ing
hammer
pulling member
lever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일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일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일정밀
Priority to KR102017006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부품 분리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부품 분리 장치는: 본체에 압입된 부품의 홀에 삽입되고, 구속부가 형성되는 풀링부재; 풀링부재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풀링 로드부; 풀링부재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풀링 로드부에 연결되는 벌림부재; 풀링 로드부에 연결되고, 풀링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에 의해 풀링 로드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벌림부재가 풀링부재를 벌어지게 하는 레버부; 및 풀링부재의 구속부에 걸리도록 설치되고, 부품을 본체에서 분리시키도록 풀링부재에 외력을 가하는 해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품 분리 장치{PART SEPA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부품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부품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 기기 등의 본체에는 부시와 같은 부품이 압입된다. 본체에는 부품을 압입하기 위한 압입홀이 형성되고, 부품은 압입홀에 압입된다. 부품의 중심부에는 홀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부품이 본체에 압입 설치되므로, 본체를 분해한 후 부품을 교체한다. 따라서, 부품의 교체 시간이 증가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14915호(2009. 11. 04 공개, 발명의 명칭: 사출장치 및 그 사출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부품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는: 본체에 압입된 부품의 홀에 삽입되고, 구속부가 형성되는 풀링부재; 상기 풀링부재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풀링 로드부; 상기 풀링부재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풀링 로드부에 연결되는 벌림부재; 상기 풀링 로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풀링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풀링 로드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벌림부재가 상기 풀링부재를 벌어지게 하는 레버부; 및 상기 풀링부재의 상기 구속부에 걸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부품을 상기 본체에서 분리시키도록 상기 풀링부재에 외력을 가하는 해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링부재는 상기 구속부가 형성되는 풀링 바디; 및 상기 풀링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브랜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브랜치부의 내부에는 상기 풀링 바디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벌림부재는 상기 테이퍼부에서 상기 풀링 바디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브랜치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상기 브랜치부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브랜치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브랜치부가 벌어질 때에 상기 부품에 걸리도록 록킹부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풀링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풀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에는 상기 레버부와 상기 벌림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풀링 로드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풀링 로드부는 상기 관통홀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드부재; 상기 로드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볼부; 및 상기 로드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벌림부재에 걸리는 제2 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림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풀링 바디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는 상기 풀링 로드부의 단부가 연결되는 레버 바디; 상기 레버 바디의 둘레에 상기 풀링 로드부의 단부와의 반경이 다르게 형성되는 캠면부; 및 상기 레버 바디에서 연장되고, 외력을 가함에 의해 상기 레버 바디를 회전시키는 가압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머 모듈은 상기 풀링부재의 상기 구속부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해머 헤드부; 상기 해머 헤드부에서 연장되는 해머 가이드부; 상기 해머 가이드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타격부; 및 상기 해머 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타격부를 타격하여 상기 풀링부재에 외력을 가하는 해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머 헤드부는 상기 해머 가이드부의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풀링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는 한 쌍의 해머 암부; 및 상기 풀링부재의 상기 구속부에 걸리도록 상기 해머 암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해머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머 암부는 상기 해머 헤드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해머 암부 사이에는 상기 풀링부재가 상기 해머 헤드부의 반경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는: 본체에 압입된 부품의 홀에 삽입되고, 복수의 브랜치부가 형성되며, 풀링 나사부가 형성되는 풀링부재; 상기 풀링부재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브랜치부를 벌려줌에 따라 상기 브랜치부가 상기 부품에 걸리게 하는 풀링 볼트부; 상기 풀링 볼트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풀링 볼트부에서 회전시 상기 풀링 볼트부가 복수의 상기 브랜치부를 벌려줌에 따라 상기 부품에 걸리게 하는 풀링 너트부; 및 상기 풀링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부품을 상기 본체에서 분리시키도록 상기 풀링부재에 외력을 가하는 해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링 볼트부는, 상기 풀링부재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트 바디부; 상기 볼트 바디부의 단부에 복수의 상기 브랜치부를 벌리도록 상기 볼트 바디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벌림 헤드부; 및 상기 볼트 바디부의 외측면에 상기 풀링 너트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볼트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림 헤드부의 둘레에는 상기 볼트 바디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머 모듈은 상기 풀링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1 체결 나사부와, 상기 제1 체결 나사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체결 나사부가 형성되는 해머 헤드부; 상기 제2 체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가이드 나사부가 형성되는 해머 가이드부; 상기 해머 가이드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타격부; 및 상기 해머 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타격부를 타격하여 상기 풀링부재에 외력을 가하는 해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부가 회전됨에 따라 풀링부재가 벌림부재에 의해 벌어지고, 풀링부재가 벌어진 상태에서 부품에 걸리므로, 풀링부재가 부품에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걸리게 할 수 있다. 또한, 풀링부재에 외력을 가하기만하면 부품이 본체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머 암부 사이에 풀링부재가 해머 헤드부의 반경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므로, 해머 암부와 풀링부재의 결합 및 분리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에서 풀링부재와 레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의 풀링부재가 부품의 홀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에서 레버부가 회전됨에 따라 풀링부재가 벌어져 부품의 걸림턱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에서 해머 모듈이 풀링부재에 걸린 상태에서 부품을 분리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에서 풀링부재가 걸림턱이 형성되지 않은 부품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의 풀링부재가 부품의 홀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에서 풀링부재가 벌어져 부품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에서 해머 모듈이 풀링부재에 걸린 상태에서 부품을 분리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부품 분리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에서 풀링부재와 레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의 풀링부재가 부품의 홀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는 풀링부재(110), 풀링 로드부(120), 벌림부재(130), 레버부(140) 및 해머 모듈(150)을 포함한다.
본체(10)에는 부품(20)이 설치된다. 본체(10)는 금형이나 기기이고, 부품(20)은 금형에 압입되는 부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는 부시(bush)와 같이 홀(21)이 형성되는 부품(2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부품(20)의 홀(21) 둘레에는 풀링부재(110)에 걸리도록 걸림턱(23)이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풀링부재(110)는 본체(10)에 압입된 부품(20)의 홀(21)에 삽입된다. 풀링부재(110)는 부품(2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부품(2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풀링부재(110)를 교체하여 해당 부품(20)을 본체(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걸림턱(23)이 없는 부품(20)을 분리할 경우, 길이가 짧은 풀링부재(110)를 사용하고, 걸림턱(23)이 있는 부품(20)을 분리할 경우, 풀링부재(110)가 부품(20)의 하단부에 걸리도록 길이가 길게 형성된 풀링부재(110)를 사용할 수 있다.
풀링부재(1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태로 형성된다. 풀링부재(110)는 풀링 바디(111) 및 복수의 브랜치부(115)를 포함한다.
풀링 바디(1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풀링 바디(111)의 외측면에는 구속부(112)가 형성된다. 구속부(112)는 풀링 바디(111)의 원주방향을 따라 링형태로 형성된다.
복수의 브랜치부(115)는 풀링 바디(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복수의 브랜치부(115)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브랜치부(115)는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복수의 브랜치부(115)가 풀링 바디(111)에 연결되므로, 복수의 브랜치부(115)가 벌어짐에 따라 복수의 브랜치부(115)의 외경이 확대되더라도 풀링 바디(111)의 외경이 변경되지 않는다.
복수의 브랜치부(115)의 내부에는 풀링 바디(111)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부(117)가 형성되고, 벌림부재(130)는 테이퍼부(117)에서 풀링 바디(111)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브랜치부(115)를 외측으로 벌어지게 가압한다. 브랜치부(115)가 벌림부재(130)의 이동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므로, 브랜치부(115)가 부품(20)에 걸리게 된다.
브랜치부(115)의 외측면에는 브랜치부(115)가 벌어질 때에 부품(20)에 걸리도록 록킹부(11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록킹부(116)는 모든 브랜치부(115)에 형성되거나 일부의 브랜치부(115)에 형성될 수 있다. 록킹부(116)가 부품(20)에 걸린 상태에서 해머 모듈(150)이 풀링부재(110)의 상측으로 외력(타격력)을 가하면, 풀링부재(110)가 부품(20)을 상측으로 뽑아 올리게 된다. 따라서, 부품(20)이 본체(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풀링 로드부(120)는 풀링부재(1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풀링부재(110)의 내부에는 풀링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부(113)가 형성되고, 관통홀부(113)에는 레버부(140)와 벌림부재(130)를 연결하도록 풀링 로드부(120)가 설치된다. 풀링 로드부(120)로는 길이방향으로 거의 신장되지 않도록 일정한 강성을 갖는 와이어를 제시한다.
풀링 로드부(120)는 로드부재(121), 제1 볼부(123) 및 제2 볼부(125)를 포함한다. 로드부재(121)는 관통홀부(113)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로드부재(121)는 원형 단면 또는 다각 단면을 갖는 와이어일 수 있다. 제1 볼부(123)는 로드부재(12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레버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볼부(125)는 로드부재(121)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벌림부재(130)에 걸리게 설치된다. 제1 볼부(123)는 제2 볼부(125)와 다른 크기 또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벌림부재(130)는 풀링부재(1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풀링 로드부(120)에 연결된다. 벌림부재(130)가 풀링 로드부(120)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풀링부재(110)를 외측으로 벌려서 부품(20)에 걸리게 하므로, 풀링부재(110)에 상측으로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부품(20)이 본체(1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벌림부재(130)의 외측면에는 풀링 바디(111)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부(131)가 형성된다. 벌림부재(130)의 경사부(131)는 풀링부재(110)의 테이퍼부(117)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거나 약간 다른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벌림부재(130)의 중심부에는 로드부재(121)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홀부(133)가 형성되고, 벌림부재(130)의 내부에는 풀링 로드부(120)의 제2 볼부(125)가 수용되도록 수용홈부(135)가 형성된다. 수용홈부(135)는 통과홀부(133)에 수렴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레버부(140)는 풀링 로드부(120)에 연결되고, 풀링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레버부(140)는 회전에 의해 풀링 로드부(120)를 이동시킴에 따라 벌림부재(130)가 풀링부재(110)를 벌어지게 한다. 레버부(140)가 회전됨에 따라 풀링부재(110)가 벌림부재(130)에 의해 벌어지고, 풀링부재(110)가 벌어짐에 따라 부품(20)에 걸리므로, 풀링부재(110)가 부품(20)에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걸리게 할 수 있다. 또한, 풀링부재(110)에 외력을 가하기만하면 부품(20)이 본체(10)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레버부(140)는 레버 바디(141), 캠면부(143) 및 가압 레버(145)를 포함한다.
레버 바디(141)에는 풀링 로드부(120)의 단부가 연결된다. 레버 바디(141)에는 레버 바디(141)가 회전될 때에 풀링 로드부(120)가 레버 바디(141)에서 회전되도록 안내홈부(142)가 형성된다. 안내홈부(142)는 레버 바디(141)의 회전 각도만큼 또는 회전 각도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캠면부(143)는 레버 바디(141)의 둘레에 형성되고, 풀링 로드부(120)의 단부와캠면부(143) 사이의 반경이 다르게 형성된다. 가압 레버(145)는 레버 바디(141)에서 연장되고, 외력을 가함에 의해 레버 바디(141)를 회전시킨다.
캠면부(143)에서 작은 반경(R1)을 갖는 부분이 풀링부재(110)에 접촉되도록 레버 바디(141)가 회전되는 경우, 벌림부재(130)가 브랜치부(115)의 테이퍼부(117)와 약간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캠면부(143)에서 큰 반경(R2)을 갖는 부분이 풀링부재(110)와 접촉되도록 레버 바디(141)가 회전되는 경우, 벌림부재(130)가 브랜치부(115)의 테이퍼부(117)를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브랜치부(115)의 외측면에 형성된 록킹부(116)가 부품(20)에 걸린 상태가 된다.
해머 모듈(150)은 풀링부재(110)의 구속부(112)에 걸리도록 설치되고, 부품(20)을 본체(10)에서 분리시키도록 풀링부재(110)에 외력을 가한다.
해머 모듈(150)은 해머 헤드부(151), 해머 가이드부(155), 타격부(157) 및 해머부(158)를 포함한다. 해머 헤드부(151)는 풀링부재(110)의 구속부(112)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해머 가이드부(155)는 해머 헤드부(151)에서 연장된다. 해머 가이드부(155)는 원형봉 또는 다각 봉 형태로 형성된다. 타격부(157)는 해머 가이드부(155)의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타격부(157)는 해머 가이드부(155)의 단부에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해머부(158)는 해머 가이드부(155)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격부(157)를 타격하여 풀링부재(110)에 외력을 가한다. 해머부(158)는 해머 가이드부(155)의 외측면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해머부(158)는 해머 가이드부(155)에 끼워지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해머 헤드부(151)는 한 쌍의 해머 암부(152) 및 해머 돌기부(153)를 포함한다. 한 쌍의 해머 암부(152)는 해머 가이드부(155)의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해머 암부(152) 사이에는 풀링부재(110)의 일측이 삽입된다. 해머 돌기부(153)는 풀링부재(110)의 구속부(112)에 걸리도록 해머 암부(152)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해머 암부(152)는 해머 헤드부(151)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풀링부재(110)가 해머 헤드부(151)의 반경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해머 암부(152) 사이에 개구부(154)가 형성된다. 해머 암부(152) 사이에 풀링부재(110)가 해머 헤드부(151)의 반경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개구부(154)가 형성되므로, 해머 암부(152)와 풀링부재(110)의 결합 및 분리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부품 분리 장치는 걸림턱(23)이 형성된 부품(20)과 걸림턱(23)이 형성되지 않은 부품(20)을 분리하는데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부품 분리 장치가 걸림턱(23)이 형성된 부품(20)을 본체(1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의 풀링부재가 부품의 홀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에서 레버부가 회전됨에 따라 풀링부재가 벌어져 부품의 걸림턱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에서 해머 모듈이 풀링부재에 걸린 상태에서 부품을 분리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풀링부재(110)의 관통홀부(113)에는 풀링 로드부(120)가 설치되고, 풀링 로드부(120)의 제1 볼부(123)에는 레버부(140)가 결합되고, 풀링 로드부(120)의 제2 볼부(125)에는 벌림부재(130)가 결합된다. 이때, 캠면부(143)에서 작은 반경(R1)을 갖는 부분이 풀링부재(110)에 접촉되므로, 벌림부재(130)가 풀링부재(110)의 테이퍼부(117)에서 약간 이격된 상태가 된다.
풀링부재(110)가 부품(20)의 홀(21)에 삽입된 후 가압 레버(145)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캠면부(143)에서 큰 반경(R2)을 갖는 부분이 풀링부재(110)에 접촉된다. 이때, 레버 바디(141)가 회전됨에 따라 풀링 로드부(120)가 상승되고, 풀링 로드부(120)가 상승됨에 따라 벌림부재(130)가 브랜치부(115)의 테이퍼부(117)를 따라 상승된다. 벌림부재(130)가 테이퍼부(117)에서 상승됨에 따라 브랜치부(115)가 양측으로 벌어지므로, 브랜치부(115)의 록킹부(116)가 부품(20)의 걸림턱(23)에 걸리게 된다. 이처럼, 풀링부재(110)가 부품(20)의 홀(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부(140)를 회전시키면, 풀링부재(110)가 벌림부재(130)에 의해 벌어짐에 따라 부품(20)의 걸림턱(23)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풀링부재(110)가 부품(20)에 걸리게 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해머 모듈(150)을 풀링부재(110)의 일측에 위치시킨 후 해머 암부(152) 사이의 개구부(154)에 풀링부재(110)를 삽입한다. 해머 모듈(15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풀링부재(110)의 구속부(112)가 해머 돌기부(153)에 걸리게 된다. 이처럼, 해머 암부(152)의 반경방향으로 풀링부재(110)가 삽입되면, 풀링부재(110)의 구속부(112)가 해머 모듈(150)에 걸리므로, 해머 모듈(150)을 풀링부재(110)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구속되게 할 수 있다.
작업자가 해머 모듈(150)을 잡고 해머부(158)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해머부(158)가 타격부(157)를 타격한다. 해머부(158)의 타격력이 풀링부재(110)에 전달되고, 풀링부재(110)가 본체(10)에서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부품(20)이 본체(10)에서 분리된다.
다음으로, 부품 분리 장치가 걸림턱(23)이 형성되지 않은 부품(20)을 본체(1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에서 풀링부재가 걸림턱이 형성되지 않은 부품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풀링부재(110)의 하단부가 부품(20)의 하단부에 위치시킨다. 가압 레버(145)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캠면부(143)에서 큰 반경(R2)을 갖는 부분이 풀링부재(110)에 접촉된다. 이때, 레버 바디(141)가 회전됨에 따라 풀링 로드부(120)와 벌림부재(130)가 브랜치부(115)의 테이퍼부(117)를 따라 상승된다. 벌림부재(130)가 테이퍼부(117)에서 상승됨에 따라 브랜치부(115)가 양측으로 벌어지므로, 브랜치부(115)의 록킹부(116)가 부품(2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된다. 이처럼, 풀링부재(110)가 부품(20)의 홀(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부(140)를 회전시키면, 풀링부재(110)가 벌림부재(130)에 의해 벌어짐에 따라 부품(2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풀링부재(110)가 부품(20)에 걸리게 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해머 모듈(150)을 풀링부재(110)의 반경방향 일측에 위치시킨 후 해머 암부(152) 사이의 개구부(154)에 풀링부재(110)를 삽입한다. 해머 모듈(15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풀링부재(110)의 구속부(112)가 해머 돌기부(153)에 걸리게 된다. 이처럼, 해머 암부(152)의 반경방향으로 풀링부재(110)가 삽입되면, 풀링부재(110)의 구속부(112)가 해머 모듈(150)에 걸리므로, 해머 모듈(150)을 풀링부재(110)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구속되게 할 수 있다.
작업자가 해머 모듈(150)을 잡고 해머부(158)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해머부(158)가 타격부(157)를 타격한다. 해머부(158)의 타격력이 풀링부재(110)에 전달되고, 풀링부재(110)가 본체(10)에서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부품(20)이 본체(10)에서 분리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는 풀링부재(210), 풀링 볼트부(220), 풀링 너트부(230) 및 해머 모듈(240)을 포함한다.
풀링부재(210)는 본체(10: 도 11 참조)에 압입된 부품(20: 도 11 참조)의 홀(21: 도 11 참조)에 삽입된다. 풀링부재(210)는 부품(2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부품(2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풀링부재(210)를 교체하여 해당 부품(20)을 본체(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풀링부재(210)는 전체적으로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풀링부재(210)의 외측면에는 풀링 나사부(211)가 형성된다. 풀링부재(210)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의 브랜치부(215)는 풀링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복수의 브랜치부(215)는 풀링부재(210)의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브랜치부(215)의 단부에는 풀링 너트부(230)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부(217)가 형성된다. 복수의 브랜치부(215)가 풀링부재(210)에 연결되므로, 복수의 브랜치부(215)가 벌어져 복수의 브랜치부(215)의 외경이 확대되더라도 풀링부재(210)의 외경이 변경되지 않는다.
풀링 볼트부(220)는 풀링부재(2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브랜치부(215)를 벌려줌에 따라 브랜치부(215)가 부품(20)에 걸리게 한다. 풀링부재(210)의 내부에는 풀링 볼트부(22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관통홀부(213)가 형성된다.
풀링 볼트부(220)는 볼트 바디부(221), 벌림 헤드부(223) 및 볼트 나사부(225)를 포함한다.
볼트 바디부(221)는 풀링부재(2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볼트 바디부(221)는 풀링부재(2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벌림 헤드부(223)는 볼트 바디부(221)의 단부에 복수의 브랜치부(215)를 벌리도록 볼트 바디부(22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볼트 나사부(225)는 볼트 바디부(221)의 외측면에 풀링 너트부(230)와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벌림 헤드부(223)의 둘레에는 볼트 바디부(221)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부(223a)가 형성된다. 풀링 볼트부(220)가 풀링 너트부(230)에 의해 풀링부재(210)에서 일측으로 당겨지면, 벌림 헤드부(223)의 경사부(223a)가 브랜치부(215)의 테이퍼부(217)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따라서, 벌림 헤드부(223)가 복수의 브랜치부(215)를 용이하게 벌릴 수 있다.
풀링 너트부(230)는 풀링 볼트부(220)에 체결되고, 풀링 볼트부(220)에서 회전시 풀링 볼트부(220)가 복수의 브랜치부(215)를 벌려줌에 따라 부품(20)에 걸리게 한다. 풀링 너트부(230) 내측에는 풀링 볼트부(220)의 볼트 나사부(225)에 나사결합되도록 너트 나사부(232)가 형성된다.
해머 모듈(240)은 풀링 나사부(211)에 나사 결합되고, 부품(20)을 본체(10)에서 분리시키도록 풀링부재(210)에 외력을 가한다. 풀링부재(210)의 브랜치부(215)가 풀링 볼트부(220)에 의해 벌려진 상태에서 해머 모듈(240)이 풀링부재(210)에 외력을 가하므로, 부품(20)이 본체(1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해머 모듈(240)은 해머 헤드부(241), 해머 가이드부(245), 타격부(247) 및 해머부(248)를 포함한다.
해머 헤드부(241)의 내측면에는 풀링 나사부(211)에 나사결합되는 제1 체결 나사부(242)와, 제1 체결 나사부(24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체결 나사부(243)가 형성된다. 헤머 헤드부(241)는 전체적으로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해머 가이드부(245)의 일측에는 제2 체결 나사부(243)에 나사 결합되도록 가이드 나사부(246)가 형성된다. 헤머 가이드부(245)의 외측면은 타격부(247)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매끈하게 형성된다.
타격부(247)는 해머 가이드부(245)의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타격부(247)는 해머 가이드부(245)에 삽입된 해머부(248)가 빠지지 않도록 해머 가이드부(245)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해머부(248)는 해머 가이드부(245)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격부(247)를 타격하여 풀링부재(210)에 외력을 가한다. 해머부(248)는 해머 가이드부(245)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해머부(248)는 해머 가이드부(245)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의 풀링부재가 부품의 홀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에서 풀링부재가 벌어져 부품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분리 장치에서 해머 모듈이 풀링부재에 걸린 상태에서 부품을 분리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풀링 볼트부(220)가 풀링부재(210)의 관통홀부(213)에 삽입된 상태로 부품(20)의 홀(21)에 삽입된다. 풀링 볼트부(220)의 하단부가 부품(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풀링 너트부(230)를 조이면, 풀링 볼트부(220)가 풀링부재(210)에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풀링 볼트부(220)의 벌림 헤드부(223)가 복수의 브랜치부(215)를 가압하므로, 복수의 브랜치부(215)가 풀링부재(210)의 반경방향으로 벌어진다. 복수의 브랜치부(215)가 벌어져 부품(20)의 걸림턱(23)에 걸리게 된다.
풀링부재(210)의 볼트 나사부(225)에 해머 헤드부(241)의 제1 체결 나사부(242)가 나사 결합된다. 풀링부재(210)가 해머 모듈(240)에 연결된다.
복수의 브랜치부(215)가 부품(20)에 걸린 상태에서 해머부(248)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타격부(247)를 타격한다. 해머부(248)의 타격력이 타격부(247)를 강타하면, 해머부(248)의 타격력이 헤머 가이드부(245), 헤머 헤드부(241) 및 풀링부재(210)로 전달된다. 이러한 타격력에 의해 부품(20)이 본체(10)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부품
21: 홀 23: 걸림턱
110: 풀링부재 111: 풀링 바디
112: 구속부 113: 관통홀부
115: 브랜치부 116: 록킹부
117: 테이퍼부 120: 풀링 로드부
121: 로드부재 123: 제1 볼부
125: 제2 볼부 130: 벌림부재
131: 경사부 133: 통과홀부
135: 수용홈부 140: 레버부
141: 레버 바디부 142: 안내홈부
143: 캠면부 145: 가압 레버
150: 해머 모듈 151: 해머 헤드부
152: 해머 암부 153: 해머 돌기부
154: 개구부 155: 해머 가이드부
157: 타격부 158: 해머부
210: 풀링부재 211: 풀링 나사부
213: 관통홀부 215: 브랜치부
217: 테이퍼부 220: 풀링 볼트부
221: 볼트 바디부 223: 벌림 헤드부
223a: 경사부 225: 볼트 나사부
230: 풀링 너트부 232: 너트 나사부
240: 해머 모듈 241: 해머 헤드부
242: 제1 체결 나사부 243: 제2 체결 나사부
245: 해머 가이드부 246: 가이드 나사부
247: 타격부 248: 해머부

Claims (15)

  1. 본체에 압입된 부품의 홀에 삽입되고, 구속부가 형성되는 풀링부재;
    상기 풀링부재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풀링 로드부;
    상기 풀링부재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풀링 로드부에 연결되는 벌림부재;
    상기 풀링 로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풀링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풀링 로드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벌림부재가 상기 풀링부재를 벌어지게 하는 레버부; 및
    상기 풀링부재의 상기 구속부에 걸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부품을 상기 본체에서 분리시키도록 상기 풀링부재에 외력을 가하는 해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풀링부재는,
    상기 구속부가 형성되는 풀링 바디; 및
    상기 풀링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브랜치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브랜치부의 내부에는 상기 풀링 바디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벌림부재는 상기 테이퍼부에서 상기 풀링 바디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브랜치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상기 브랜치부를 가압하고,
    상기 풀링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풀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에는 상기 레버부와 상기 벌림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풀링 로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풀링 로드부는,
    상기 관통홀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드부재;
    상기 로드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볼부; 및
    상기 로드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벌림부재에 걸리는 제2 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분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랜치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브랜치부가 벌어질 때에 상기 부품에 걸리도록 록킹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분리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풀링 바디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분리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풀링 로드부의 단부가 연결되는 레버 바디;
    상기 레버 바디의 둘레에 상기 풀링 로드부의 단부와의 반경이 다르게 형성되는 캠면부; 및
    상기 레버 바디에서 연장되고, 외력을 가함에 의해 상기 레버 바디를 회전시키는 가압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분리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 모듈은,
    상기 풀링부재의 상기 구속부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해머 헤드부;
    상기 해머 헤드부에서 연장되는 해머 가이드부;
    상기 해머 가이드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타격부; 및
    상기 해머 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타격부를 타격하여 상기 풀링부재에 외력을 가하는 해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분리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 헤드부는,
    상기 해머 가이드부의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풀링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는 한 쌍의 해머 암부; 및
    상기 풀링부재의 상기 구속부에 걸리도록 상기 해머 암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해머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분리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 암부는 상기 해머 헤드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해머 암부 사이에는 상기 풀링부재가 상기 해머 헤드부의 반경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분리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062176A 2017-05-19 2017-05-19 부품 분리 장치 KR101921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176A KR101921464B1 (ko) 2017-05-19 2017-05-19 부품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176A KR101921464B1 (ko) 2017-05-19 2017-05-19 부품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464B1 true KR101921464B1 (ko) 2018-11-23

Family

ID=64565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176A KR101921464B1 (ko) 2017-05-19 2017-05-19 부품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865B1 (ko) * 2020-05-22 2021-11-05 주식회사 메인텍 체결수단 제거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8008A1 (en) * 1997-02-26 1998-09-03 Billings, Donna, Maree A clamping/shaping device
KR200239767Y1 (ko) * 2001-05-03 2001-10-12 김영권 베어링 착탈기
JP2001353714A (ja) 2000-06-15 2001-12-25 Yasuyuki Suzuki 穿孔拡開工具
JP2010000552A (ja) * 2008-06-18 2010-01-07 Kuritakoki Co Ltd 部品引き抜き装置用の雄ネジ治具
KR101378367B1 (ko) 2012-04-09 2014-03-27 주식회사 완산이엔지 베어링 수동 분리공구
KR101542427B1 (ko) * 2014-08-06 2015-08-07 최찬수 차량용 브레이크 캘리퍼의 피스톤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8008A1 (en) * 1997-02-26 1998-09-03 Billings, Donna, Maree A clamping/shaping device
JP2001353714A (ja) 2000-06-15 2001-12-25 Yasuyuki Suzuki 穿孔拡開工具
KR200239767Y1 (ko) * 2001-05-03 2001-10-12 김영권 베어링 착탈기
JP2010000552A (ja) * 2008-06-18 2010-01-07 Kuritakoki Co Ltd 部品引き抜き装置用の雄ネジ治具
KR101378367B1 (ko) 2012-04-09 2014-03-27 주식회사 완산이엔지 베어링 수동 분리공구
KR101542427B1 (ko) * 2014-08-06 2015-08-07 최찬수 차량용 브레이크 캘리퍼의 피스톤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865B1 (ko) * 2020-05-22 2021-11-05 주식회사 메인텍 체결수단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14085A (ja) 安定化パネルファスナー
CN104889946B (zh) 紧固装置、便携式作业工具和将第一壳体部紧固至第二壳体部的方法
KR101921464B1 (ko) 부품 분리 장치
EP3418590A1 (de) Kippdübel
KR20170038177A (ko) 나사 연결체를 위한 인장 디바이스, 나사 연결체를 조이기 위한 방법 및 나사산구비 너트
US20150240850A1 (en) Pipe holding device
US20150090094A1 (en) Pipe Peeler
US20170001270A1 (en) Pipe crimping tool
DE10226129A1 (de) Elektrische Gitarre mit Tremolo
KR102614797B1 (ko) 체결 장치 및 체결 하위-어셈블리
JP6943964B2 (ja) ブッシュを挿脱するための装置
US8399755B2 (en) Connection assembly for drum shell
US3866956A (en) Device for the releasable fastening of hose or pipe ends
JP6583835B2 (ja) ロック機能付きピンセット
KR20170002953U (ko) 밸브셔터 클램프
JPH02212078A (ja) インサートの取付けスウェージ工具
US3050102A (en) Apparatus for spinning a lateral flange on a tube
KR100894883B1 (ko) 연결 장치
US2521910A (en) Combined die and headless screw and bolt device
US11035394B2 (en) Connection system
KR102077809B1 (ko) 파이프의 형상 교정장치
KR200492322Y1 (ko) 다점식 토글클램프
KR100977520B1 (ko) 부시 삽입장치
JP7290469B2 (ja) 固定具及び音響センサ装置
KR20190029017A (ko) 락볼트 몰탈주입용 바이스 플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