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729Y1 -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729Y1
KR200482729Y1 KR2020160007237U KR20160007237U KR200482729Y1 KR 200482729 Y1 KR200482729 Y1 KR 200482729Y1 KR 2020160007237 U KR2020160007237 U KR 2020160007237U KR 20160007237 U KR20160007237 U KR 20160007237U KR 200482729 Y1 KR200482729 Y1 KR 200482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finger
preventing
doo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우
Original Assignee
홍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우 filed Critical 홍종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7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벽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끼임 방지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와,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설치를 위한 설치 지그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제조비용이 낮고, 실용성이 개선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틈새의 폭이 위/아래가 다른 경우에도 손가락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어린 아이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무엇보다 손가락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고층 건물에는 엘리베이터(elevator)(승강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4는 엘리베이터의 설치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승강기)는 설치 구조상 엘리베이터의 도어(D)(door)와 벽체(W)(wall)의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틈새(S)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틈새(S)는 대부분의 경우 약 5mm 이상, 넓게는 8mm 이상의 폭을 갖는다. 또한, 상기 틈새(S)는 엘리베이터의 설계 및 설치 구조 등에 따라 위가 좁고 아래가 넓거나, 이와 반대의 경우도 있다.
매스컴 등에서도 보도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open) 시, 상기 틈새로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이 끼어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기 틈새로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은 물론, 이물질이 끼어 도어의 개폐 조작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에, 일부에서는 상기 틈새로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손가락 감지 센서를 설치하거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2674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2738호에는 위와 관련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손가락 감지 센서는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부주의한 어린 아이들에게는 실질적인 효력을 도모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들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예를 들어 적어도 부품 수가 많아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손가락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벽체(W)에 설치하되, 외관상의 이유로 도어(D)와 마주하는 배면(Wa)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틈새(S)는 모든 건물에 대해 일정하지 않으며, 설치된 건물에 따라 틈새(S)의 폭은 제각기 다르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틈새(S)는 엘리베이터의 설계, 설치 구조, 외부의 원인 및/또는 노후 등에 따라 위가 좁고 아래가 넓거나, 이와는 반대의 경우도 있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F)의 설치 구조를 보인 요부 절단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의 설계 및/또는 설치 구조 등에 따라, 예를 들어 위쪽의 틈새(S)는 좁고, 아래쪽의 틈새(S)는 넓을 때, 종래 기술에 따라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F)를 벽체(W)의 배면(Wa)에 부착 설치한 경우, 손가락의 끼임을 완전히 방지하기 어렵다. 구체적으로, 대부분의 경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F)는 길이 방향(도 15에서, 세로 방향)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므로 위쪽보다 틈새(S)가 넓은 아래쪽에는 여전히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잉여틈새(Sa)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잉여틈새(Sa)로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이 끼일 수 있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
또한,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F)를 제조함에 있어, 예를 들어 위쪽은 가늘고 아래쪽은 두꺼운 두께로 제조(성형)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범용성이 떨어지고 성형성에도 제약이 따른다. 즉, 성형 방법 중에서 압출 성형이 대량 생산성 및 경제성 등에서 유리한데, 위와 같이 두께 차이를 갖게 한 경우에는 압출 성형이 어려워 대량 생산성 및 경제성 등이 낮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267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2738호
이에, 본 고안은 개선된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제조비용이 낮고, 실용성이 개선된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건물에 따라 틈새(S)의 폭이 다른 경우에는 물론이고, 위/아래의 폭이 다른 경우에도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어떠한 경우에도 손가락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어린 아이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끼임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엘리베이터 벽체에 결합되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과 직각인 벽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1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끼임 방지부; 및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엘리베이터 벽체에 결합되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과 직각인 벽체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엘리베이터 벽체에 결합되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과 마주하는 벽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끼임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에는 설치 지그와의 결합을 위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엘리베이터 벽체에 결합되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과 직각인 벽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고안은,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와,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지그를 포함하되, 상기 설치 지그는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과, 상기 결합 프레임에 형성된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결합 프레임에는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간격 유지부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밀착되는 도어 밀착부와,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끼임 방지부가 밀착되는 간격 유지 밀착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제조비용이 낮고, 실용성이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건물에 따라 틈새의 폭이 다른 경우에는 물론이고, 위/아래의 폭이 다른 경우에도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어떠한 경우에도 손가락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어린 아이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설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설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설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설치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설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를 구성하는 설치 지그의 구현예를 보인 절단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를 구성하는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와 설치 지그의 분리 단면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라 엘리베이터에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설치하는 모습을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엘리베이터의 설치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F)의 설치 구조를 보인 요부 절단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 "제2", "일면(일측)" 및 "타면(타측)"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이는 단지 본 고안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각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두께는 확대하여 나타낸 것일 수 있고, 도면에 표시된 두께, 크기 및 비율 등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제1형태에 따라서, 구조적 및/또는 형태적으로 개선되어 종래보다 적어도 부품 수 및 설치 공정 등이 절감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손가락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제2형태에 따라서,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설치를 위한 설치 지그(200)(Jig)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제3형태에 따라서,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 및 설치 지그(200)(Jig)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4형태에 따라서,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에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엘리베이터 벽체(W)의 측면(W1)에 결합되는 결합부(10)와, 상기 결합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된 끼임 방지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끼임 방지부(20)는 엘리베이터 도어(D)와 엘리베이터 벽체(W)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S)를 차단하여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0)와 끼임 방지부(20)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틈새(S) 내에 손가락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끼임 방지부(20)는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은 물론, 기타 이물질 등이 틈새(S)로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좋다.
상기 끼임 방지부(20)는 결합부(10)와 일체로 성형되되, 상기 결합부(10)로부터 평행하게 직선으로 성형되어,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제1실시예에 따라서 플레이트(plat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사출 성형 또는 압출 성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압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0)와 끼임 방지부(20)는 일체로 압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예를 들어 금속재 및/또는 플라스틱재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에 있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금속재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알루미늄(Al) 합금 또는 SUS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결합부(10)와 끼임 방지부(20)가 일체로 동시에 성형된 압출재로 구성되되, 알루미늄(Al) 압출재, SUS 압출재 또는 플라스틱 압출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플라스틱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또는 폴리우레탄(PU) 등의 플라스틱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플라스틱재로 구성되는 경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경질(rigid) 또는 플레시블(flexible)한 연질의 압출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를 들어 소정의 배율로 발포 성형된 발포 압출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강도 및/또는 외관 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0.2mm ~ 5.0mm의 두께(T)를 가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0.5mm ~ 4mm의 두께(T)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엘리베이터 벽체(W)의 전체 높이에 부착될 수 있는 길이(L)를 갖거나, 또는 예를 들어 어린 아이들의 키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길이(L)는, 예를 들어 800mm ~ 1,500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벽체(W)의 하부 말단(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H)를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체(W)의 하부 말단(바닥)으로부터 300mm ~ 800mm의 높이(H)를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0)는 판상으로서, 이는 엘리베이터 벽체(W)의 측면(W1)에 결합 수단(50, 도 3 참조)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 수단(50)은 결합부(10)와 벽체(W)의 결합력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접착제(50B, 도 3 참조), 양면 접착 부재(50C, 도 5 참조), 체결구 및/또는 용접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0)는 엘리베이터 벽체(W)의 측면(W1)에 부착, 고정된다. 본 고안에서, 측면(W1)은 벽체(W)의 측방에 형성된 표면으로서, 이는 엘리베이터 도어(D)의 정면(D1)과 직각인 면을 의미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D)의 개폐 시, 엘리베이터 도어(D)와 끼임 방지부(20)가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 간격(P)를 두고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0)를 벽체(W)에 결합(부착)시킴에 있어서, 상기 끼임 방지부(20)를 엘리베이터 도어(D)로부터 소정의 이격 간격(P)을 갖도록 위치시켜 결합부(10)와 벽체(W)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이격 간격(P)은, 엘리베이터 도어(D)와 끼임 방지부(20)가 부딪히지 않으면서 손가락이 끼이지 않도록 하는 폭을 가지면 좋다. 상기 이격 간격(P)은 손가락의 끼임 방지와, 엘리베이터 도어(D)의 개폐 시 유동성(흔들임)에 의한 끼임 방지부(20)와의 부딪힘 방지 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0.2mm ~ 5.0mm, 구체적인 예를 들어 0.5mm ~ 4.0mm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격 간격(P)은 엘리베이터 도어(D)의 개폐 시 심한 유동성(흔들임)을 고려한다면, 예를 들어 2.0mm ~ 5.0mm, 또는 2.5mm ~ 4.0mm가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제2실시예 내지 제8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 내지 제8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되는 용어 및 도면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이는 상기 제1실시예를 설명한 바와 같다.
제2실시예
도 2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상기 끼임 방지부(20)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라서,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엘리베이터 벽체(W)의 측면(W1)에 결합되는 결합부(10)와, 상기 결합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된 끼임 방지부(20)와, 상기 끼임 방지부(2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연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0)는 끼임 방지부(20)와 일체적 압출 성형을 통해 연장, 형성되되, 이는 끼임 방지부(20)와 직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30)는 끼임 방지부(20)의 말단과 라운드부(R)를 가지면서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틈새(S) 내에 삽입된다. 즉, 상기 연장부(30)는 도어(D)와 벽체(W)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연장부(30)에 의해, 상기 끼임 방지부(20)의 말단은 모가 없이 라운드부(R)를 통해 곡선으로 마감된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30)에 의해 끼임 방지부(20)의 강도가 보강된다.
제3실시예
도 3 및 도 4에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라서,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엘리베이터 벽체(W)의 측면(W1)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10)와, 상기 제1결합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된 끼임 방지부(20)와, 상기 제1결합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결합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부(40)는 제1결합부(10)와 일체적 압출 성형을 통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결합부(40)는 엘리베이터 벽체(W)의 배면(W2)에 밀착, 결합된다. 즉, 제1결합부(10)는 벽체(W)의 측면(W1)에 밀착, 결합(부착)되고, 제2결합부(40)는 벽체(W)의 배면(W2)에 밀착, 결합(부착)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측면(W1)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벽체(W)의 측방에 형성된 표면으로서, 이는 엘리베이터 도어(D)의 정면(D1)과 직각인 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상기 배면(W2)은 측면(W1)과 인접하는 면으로서, 이는 엘리베이터 도어(D)의 정면(D1)과 마주하는 면을 의미한다. 이때, 벽체(W)의 측면(W1)과 배면(W2)이 직각인 경우, 상기 제2결합부(40)는 제1결합부(10)와 직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결합부(40)에 의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강도가 개선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벽체(W)와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벽체(W)에 안정감 있게 결합된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끼임 방지부(20)는 제1결합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부(10)와 둔각의 각도(θ)을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임 방지부(20)와 제1결합부(10)는, 예를 들어 120도 내지 178도의 각도(θ)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임 방지부(20)가 둔각의 각도(θ)를 가지는 경우, 끼임 방지능이 개선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 수단(50)은 접착제(50B)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부(10)는 벽체(W)의 측면(W1)에 접착제(50B)를 통해 접착,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부(40)는 벽체(W)의 배면(W2)에 접착제(50B)를 통해 접착,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50B)는 설치 현장에서 각 결합부(10)(40)에 도포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5 및 도 6에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벽체(W)와의 접착, 결합을 위한 양면 접착 부재(5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라서,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엘리베이터 벽체(W)의 측면(W1)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10)와, 상기 제1결합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된 끼임 방지부(20)와, 상기 제1결합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결합부(40)와, 적어도 상기 제1결합부(10)에 형성된 양면 접착 부재(5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면 접착 부재(50C)는 상기 제2결합부(4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10)와 측면(W1)은 양면 접착 부재(50C)를 통해 접착, 결합되며, 부가적으로 제2결합부(40)와 배면(W2)의 경우에도 양면 접착 부재(50C)를 통해 접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양면 접착 부재(50C)는 각 결합부(10)(40)에 접착된 제1접착부(51)와, 벽체(W)의 각 면(W1)(W2)에 접착되는 제2접착부(52)와, 상기 제2접착부(52) 상에 형성된 이형지(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부(51)와 제2접착부(52)는 접착력을 가지는 것이면 좋으며, 이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접착부(51)와 제2접착부(52)를 구성하는 접착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및/또는 에폭시계 등의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착부(51)와 제2접착부(52) 중에서 적어도 제2접착부(52)는 수회의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형지(53)는 벽체(W)에 부착 설치 시, 탈리 제거되는 것으로서, 이는 예를 들어 이형성의 합성수지 필름이나 종이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면 접착 부재(50C)는 제1접착부(51)와 제2접착부(52)의 사이에 형성된 기재(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면 접착 부재(50C)는 기재(54)와, 상기 기재(54)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부(10)(40)에 접착된 제1접착부(51)와, 상기 기재(54)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벽체(W)의 각 면(W1)(W2)에 접착되는 제2접착부(52)와, 상기 제2접착부(52) 상에 형성된 이형지(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54)는 제1접착부(51)와 제2접착부(52)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으며, 이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필름, 섬유시트 및/또는 종이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위와 같은 양면 접착 부재(50C)를 포함하는 경우, 설치가 용이하면서 미려한 외관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각 결합부(10)(40)를 벽체(W)에 결합시킴에 있어서, 예를 들어 나사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결합 공구를 필요로 할 수 있으나, 상기 양면 접착 부재(50C)는 별도의 공구 없이 이형지(53)를 벗겨 내어 접착시키는 방법으로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양면 접착 부재(50C)는 각 결합부(10)(40)와 벽체(W)의 사이에 설치되어 육안 관찰이 어렵다. 이에 따라, 체결구를 통해 결합시키는 경우보다 미려한 외관을 갖는다. 아울러, 틈새(S)가 엘리베이터의 높이 방향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끼임 방지부(20)의 상부/하부측을 엘리베이터 도어(D)와 적절한 이격 간격(P)을 갖도록 용이하게 조절하여 접착, 결합시킬 수 있다.
제5실시예
도 7에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끼임 방지부(20)에는 탄성체(2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끼임 방지부(20)는 제1결합부(10)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된 끼임 방지 본체(21)와, 상기 끼임 방지 본체(21)의 말단에 형성된 탄성체(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임 방지 본체(21)는 금속재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22)는 탄력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이는 예를 들어 연질의 플라스틱재, 고무재 및/또는 실리콘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22)는 이중 압출 성형을 통해 끼임 방지 본체(21)와 일체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끼임 방지부(20)는, 먼저 1차 압출 성형을 통해 끼임 방지 본체(21)를 성형하는 공정과, 이후 2차 압출 성형을 통해 끼임 방지 본체(21)의 말단에 탄성체(22)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이중 압출 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임 방지 본체(21)와 탄성체(22)의 이음부에는 요철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끼임 방지 본체(21)에는 돌기(21a)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22)에는 상기 돌기(21a)가 삽입되는 삽입홈(22a)이 형성되어, 끼임 방지 본체(21)와 탄성체(22)의 이음부에는 돌기(21a)와 삽입홈(22a)의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22)에 의해 도어(D)의 긁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끼임 방지부(20)와 도어(D)의 사이에 이격 간격(P)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도어(D)의 개폐 시에는 경우에 따라 끼임 방지부(20)와 도어(D)가 서로 부딪혀 긁힘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 시에 도어(D)가 심하게 흔들리는 경우에 도어(D)에 끼임 방지부(20)가 부딪혀 도어(D)의 표면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탄성체(22)는 도어(D)의 긁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6실시예
도 8에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상기 결합부(10)에 형성된 강도 보강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라서,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엘리베이터 벽체(W)의 측면(W1)에 결합되는 결합부(10)와, 상기 결합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된 끼임 방지부(20)와, 상기 결합부(10)에 형성된 강도 보강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도 보강부(15)는 결합부(10)에 형성되되, 이는 결합부(10)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강도 보강부(15)는 결합부(10)의 휨 강도를 보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0)는 판상의 형상을 가지되, 외측으로 볼록하게 절곡, 형성된 강도 보강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도 보강부(15)는 라운드부(R15)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판상의 결합부(10)는 그의 두께에 따라 휨이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강도 보강부(15)에 의해 휨 발생이 방지된다.
제7실시예
도 9에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절단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를 구성하는 설치 지그(200)의 절단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를 구성하는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와 설지 지그(2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는 엘리베이터에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를 설치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7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이며, 이의 설명을 통해 손가락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구현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라서,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엘리베이터 벽체(W)의 측면(W1)에 결합되는 결합부(10)와, 상기 결합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된 끼임 방지부(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끼임 방지부(20)는 결합부(10)와 일체로 성형되되, 상기 결합부(10)로부터 평행하게 직선으로 성형되어, 대략 플레이트(plat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압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예를 들어 연질의 플라스틱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0)와 끼임 방지부(20)는 모두 연질의 플라스틱재로서 일체로 압출 성형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연질의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압출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0)의 일측에는 끼움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측에는 안착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10)는 일측면에 끼움홈(1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2)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타측면에는 안착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홈(12)이 형성된 면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안착홈(14)이 형성된 면은 벽체(W)의 측면(W1)에 부착, 결합된다.
상기 끼움홈(12)에는 지그(200)의 끼움돌기(212)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14)에는 양면 접착 부재(50C)가 삽입, 부착된다. 상기 끼움홈(12)은 1개 또는 2개 이상 복수개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2개의 끼움홈(12)으로서, 제1끼움홈(12a)과 제2끼움홈(12b)이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제1끼움홈(12a)과 제2끼움홈(12b)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임 방지부(20)는 엘리베이터 도어(D)와 엘리베이터 벽체(W)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S)를 차단하여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벽체(W)에 설치 시, 끼임 방지부(20)의 말단(21)은 엘리베이터 도어(D)와 이격 간격(P)를 두고 설치된다. 이때, 끼임 방지부(20)의 말단(21)에는 일측의 제1라운드부(R1)와 타측의 제2라운드부(R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끼임 방지부(20)는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형성된 제1라운드부(R1)와, 틈새(S)에 위치되는 쪽에, 즉 상기 제1라운드부(R1)의 반대쪽 면에 형성된 제2라운드부(R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라운드부(R1)와 제2라운드부(R2)는 서로 인접한다. 이에 따라, 상기 라운드부(R1)(R2)에 의해 끼임 방지부(20)의 말단(21)은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어, 도어(D)와 접촉되는 경우에는 선-접촉(line-contact)된다. 구체적으로, 도어(D)의 심한 흔들림으로 도어(D)와 말단(21)이 접촉되는 경우에 말단(21)은 도어(D)와 선-접촉된다. 이와 같이, 선-접촉되는 경우, 면-접촉(surface-contact)되는 경우보다 마찰이 최소화되어 도어(D)의 긁힘이나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끼임 방지부(20)에는 손가락이 유입되는 손가락 유입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유입부(22)는 끼임 방지부(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며, 이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손가락 유입부(22)는,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이 끼움 방지부(20)에 접촉될 경우, 손가락을 유입시킨다. 이러한 손가락 유입부(22)는,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이 끼임 방지부(20)의 말단(21) 쪽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을 개선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10)의 말단(11) 쪽에는 제3라운드부(R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라운드부(R3)에 의해 결합부(10)의 말단(11)은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어 벽체(W)와의 일체감을 강화시켜 결합부(1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어린 아이들이 인위적으로 결합부(10)를 벽체(W)로부터 떼어내려고 할 경우에, 상기 제3라운드부(R3)에 의해 결합부(10)의 말단(11)은 벽체(W)에 최대한 밀착, 일체화되고, 손가락으로 잡기가 어려워 결합부(1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설치의 용이성을 위한 양면 접착 부재(5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면 접착 부재(50C)는 결합부(10)에 형성된 안착홈(14)에 삽입, 부착된다. 이러한 양면 접착 부재(50C)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양면 접착 부재(50C)는, 구체적으로 결합부(10)에 접착된 제1접착부(51)와, 벽체(W)의 측면(W1)에 접착되는 제2접착부(52)와, 상기 제2접착부(52) 상에 형성된 이형지(5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양면 접착 부재(50C)는 기재(54)와, 상기 기재(54)의 일면에 형성되고 결합부(10)에 접착된 제1접착부(51)와, 상기 기재(54)의 타면에 형성되고 벽체(W)의 측면(W1)에 접착되는 제2접착부(52)와, 상기 제2접착부(52) 상에 형성된 이형지(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와,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를 엘리베이터 벽체(W)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지그(200)(Jig)를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설치 지그(200)는 결합 프레임(210)과, 상기 결합 프레임(210)의 일측에 형성된 간격 유지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 프레임(210)과 간격 유지부(2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210)(220)은 예를 들어 압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설치 지그(20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설치 지그(200)는, 예를 들어 금속재, 플라스틱재 및/또는 세라믹재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설치 지그(200)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알루미늄(Al) 합금 또는 SUS 등의 금속재로 구성되거나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경질의 플라스틱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합 프레임(210)은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끼움돌기(2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돌기(212)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복수개로서, 이는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에 형성된 끼움홈(12)의 개수와 대응된다. 도면에서는 결합 프레임(210)에 2개의 끼움돌기(212)로서, 제1끼움돌기(212a)과 제2끼움돌기(212b)가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제1끼움돌기(212a)과 제2끼움돌기(212b)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간격 유지부(220)는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설치 시 일정한 이격 간격(P)을 유지시킨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간격 유지부(220)는 도어(D)에 밀착되는 도어 밀착부(221)와,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끼임 방지부(20)가 밀착되는 간격 유지 밀착부(222)를 포함한다. 이때, 도어(D)의 정면(D1)에 안정감 있게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간격 유지부(22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도어 밀착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간격 유지부(220)에 2개의 도어 밀착부(221)로서, 제1 도어 밀착부(221a)와 제2 도어밀착부(221b)가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제1 도어 밀착부(221a)와 제2 도어 밀착부(221b)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어 밀착부(221)가 2개 이상의 복수개인 경우, 도어(D)의 정면(D1)에 안정감 있게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유지부(220)는 제1 도어 밀착부(221a)와 제2 도어밀착부(221b)를 연결하는 연결부(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격 유지부(220)는 연결부(223)와, 상기 연결부(223)의 일측(도 11에서, 상측 말단)에 형성된 제1 도어 밀착부(221a)와, 상기 연결부(223)의 타측(도 11에서, 하측 말단)에 형성된 제2 도어 밀착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간격 유지부(220)는 대략 "ㄷ"자형 또는 "U"자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대략적으로 "ㄷ"자형의 단면 형상을 간격 유지부(220)를 예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도어 밀착부(221a)의 반대쪽 면이 간격 유지 밀착부(222)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 유지 밀착부(222)에 끼임 방지부(20)의 말단(21)이 밀착되며, 추후 설치 지그(200)가 제거되면, 도어(D)의 정면(D1)과 끼임 방지부(20)의 말단(21)은 일정한(균일한) 간격(P)이 유지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223)의 대략 중앙에서 결합 프레임(210)이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프레임(210)와 간격 유지부(220)의 두께 및 길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결합 프레임(210)와 간격 유지부(220)의 두께는 각각 0.5mm 내지 5.0mm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프레임(210)와 간격 유지부(220)의 길이는, 예를 들어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길이(L)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 유지부(220)의 폭(W220)은 이격 간격(P)을 결정한다. 상기 간격 유지부(220)의 폭(W220)은, 예를 들어 0.2mm ~ 5.0mm, 구체적인 예를 들어 0.5mm ~ 4.0mm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위와 같은 설치 지그(200)를 이용하여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에 설치 지그(200)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에 형성된 끼움홈(12)에 설치 지그(200)의 끼움돌기(212)를 끼움 결합하여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와 설치 지그(200)를 결합시킨다. 이때,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끼임 방지부(20)의 말단(21)이 간격 유지 밀착부(222)에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이후, 양면 접착 부재(50C)의 이형지(53)를 제거한 다음, 엘리베이터의 도어(D)에 설치 지그(200)의 간격 유지부(220)를 밀착시켜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간격 유지부(220)의 도어 밀착부(221)를 도어(D)의 정면(D1)에 최대한 밀착시켜 설치한다. 그리고 결합 프레임(210)을 가압하여 벽체(W)의 측면(W1)에 결합부(10)를 부착,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로부터 설치 지그(200)를 분리 제거하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설치가 간단하게 완료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손가락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어린 아이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설치 장소(건물 등)에 따라 틈새(S)의 폭이 다를 수 있고, 또한 틈새(S)는 엘리베이터의 설계, 설치 구조, 외부의 원인 및/또는 노후 등에 따라 위쪽과 아래쪽의 폭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에도 이격 간격(P)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손가락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위쪽의 틈새(S1)는 좁고, 아래쪽의 틈새(S2)는 넓은 경우(S1 < S2)를 예로 들면, 종래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F)를 외관상의 이유로 벽체(W)의 배면(Wa)에 설치(도 15 참조)함으로 인해 잉여틈새(Sa)가 존재하여 손가락이 끼일 수 있다. 그러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를 설치함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안전이며, 이를 위해서는 어떠한 경우라도 어린이의 손가락 끼일 수 있는 잉여틈새(Sa)가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설치 지그(200)의 간격 유지부(220)에 의해 어떠한 경우에도 잉여틈새(Sa)가 존재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간격 유지부(220)의 폭(W220)이 이격 간격(P)를 결정하여, 어떠한 경우라도 이격 간격(P)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예를 들어, 위쪽의 틈새(S1)는 좁고, 아래쪽의 틈새(S2)는 넓으며, 상기 간격 유지부(220)의 폭(W220)이 3mm인 경우에, 본 고안에 따라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와 설치 지그(200)를 결합시켜 간격 유지부(220)를 도어(D)에 밀착시켜 설치하게 되면, 상기 이격 간격(P), 즉 도어(D)의 정면(D1)과 끼임 방지부(20)의 말단(21) 간의 간격(P)은 위쪽에서부터 아래쪽에까지 전체 구간(세로 방향)에 걸쳐 3mm로서 균일하게 유지된다.
즉, 상기 간격 유지 밀착부(222)에 끼임 방지부(20)의 말단(21)이 밀착된 상태에서 설치하고, 이후 설치 지그(200)를 분리 제거하게 되면, 도어(D)의 정면(D1)과 끼임 방지부(20)의 말단(21) 간의 간격(P)은 간격 유지부(220)의 폭(W220)에 해당하는 3mm로서 균일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위쪽의 틈새(S1)는 좁고 아래쪽의 틈새(S2)는 넓은 경우(S1 < S2) 등, 그 어떠한 경우라도 간격 유지부(220)의 폭(W220)에 의해 이격 간격(P)이 결정되고, 상기 이격 간격(P)은 위/아래 전체 구간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8실시예
도 13에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제8실시예에 따라서, 표면층(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층(60)은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설치 시 적어도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는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표면층(60)은 끼움홈(12) 및 손가락 유입부(22)가 형성된 쪽의 표면에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면층(60)은 내식성 및 내후성 등을 위하거나 외관성 등을 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표면층(60)은 외관성을 목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표면층(60)은 금속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층(60)은 벽체(W)의 측면(W1)과 동일/유사한 금속성(금속 질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표면층(60)은 금속 질감을 가지는 색상도료(예, 은색)가 코팅되어 형성되거나, 얇은 금속박이 라미네이팅(laminat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박은, 예를 들어 크롬(Cr), 알루미늄(Al) 및 이들의 합금 등으로부터 선택된 얇은 은색박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제조비용이 낮고, 실용성이 개선된다. 구체적으로,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를 구성하는 부품 수가가 최소화되고 구조적 및/또는 형태적으로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다.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높은 경제성을 가지면서 실용적이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10)(40)에 접착된 양면 접착 부재(50C)를 포함하는 경우, 설치 작업이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나사 등의 체결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우수한 외관성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 지그(200)를 이용하는 경우, 어떠한 경우라도 손가락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범용적이다. 즉, 위쪽의 틈새(S1)는 좁고 아래쪽의 틈새(S2)는 넓은 경우(S1 < S2) 등, 그 어떠한 경우라도 간격 유지부(220)의 폭(W220)에 의해 손가락이 끼일 수 없는 이격 간격(P)이 위/아래 전체 구간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어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D : 엘리베이터 도어 W : 엘리베이터 벽체
S : 틈새 P : 간격
10 : 제1결합부 12 : 끼움홈
20 : 끼임 방지부 22 : 손가락 유입부
30 : 연장부 40 : 제2결합부
50C : 양면 접착 부재 51 : 제1접착부
52 : 제2접착부 53 : 이형지
60 : 코팅층 100 :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200 : 설치 지그 210 : 결합 프레임
212 : 끼움돌기 220 : 간격 유지부
221 : 도어 밀착부 222 : 간격 유지 밀착부

Claims (10)

  1.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에 있어서,
    결합부(10); 및
    상기 결합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엘리베이터 도어(D)와 벽체(W)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S)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끼임 방지부(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0)는 엘리베이터 벽체(W)에 결합되되, 엘리베이터 도어(D)의 정면(D1)과 직각인 벽체(W)의 측면(W1)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10)에는,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설치 시, 엘리베이터 도어(D)의 정면(D1)과 끼임 방지부(20)의 말단(21) 간의 간격(P)이 균일하게 유지되게 하는 설치 지그(200)와의 결합을 위한 끼움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 지그(200)는,
    상기 결합부(10)에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210)과,
    상기 결합 프레임(210)에 형성된 간격 유지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프레임(210)은,
    상기 끼움홈(12)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212)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유지부(220)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D)의 정면(D1)에 밀착되는 도어 밀착부(221)와,
    상기 끼임 방지부(20)가 밀착되는 간격 유지 밀착부(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 방지부(20)에는 손가락이 유입되는 손가락 유입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 방지부(20)는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형성된 제1라운드부(R1)와, 상기 제1라운드부(R1)의 반대쪽 면에 형성된 제2라운드부(R2)를 포함하여, 상기 끼임 방지부(20)의 말단(21)은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엘리베이터 벽체(W)와의 접착, 결합을 위한 양면 접착 부재(50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0)는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는 상기 끼움홈(1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2)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는 안착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14)에는 엘리베이터 벽체(W)와의 접착, 결합을 위한 양면 접착 부재(50C)가 삽입,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형성된 금속성의 표면층(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와;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도어(D)의 정면(D1)과 끼임 방지부(20)의 말단(21) 간의 간격(P)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설치 지그(200);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 지그(200)는,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에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210)과,
    상기 결합 프레임(210)에 형성된 간격 유지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프레임(210)은,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끼움홈(12)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212)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부(220)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D)의 정면(D1)에 밀착되는 도어 밀착부(221)와,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끼임 방지부(20)가 밀착되는 간격 유지 밀착부(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220)는 연결부(2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밀착부(221)는,
    상기 연결부(223)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도어 밀착부(221a)와,
    상기 연결부(223)의 타측에 형성된 제2 도어 밀착부(22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
  9. 삭제
  10. 삭제
KR2020160007237U 2016-02-22 2016-12-13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KR20048272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0942 2016-02-22
KR2020160000942 2016-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729Y1 true KR200482729Y1 (ko) 2017-02-27

Family

ID=5826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237U KR200482729Y1 (ko) 2016-02-22 2016-12-13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729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056A (ko) * 2017-06-05 2018-12-13 김정호 도어 고장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20190011850A (ko) 2017-07-25 2019-02-08 주식회사 세현이브이 슬라이딩도어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200489943Y1 (ko) * 2018-04-16 2019-09-02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테이프 안내장치
KR102114014B1 (ko) * 2019-03-18 2020-05-22 홍종우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CN112158706A (zh) * 2020-10-30 2021-01-01 苏州君菱机电有限公司 一种电梯层站门套
KR20210000409U (ko) * 2019-08-12 2021-02-22 김수현 엘리베이터 잼 커버
KR20210028785A (ko) 2019-09-04 2021-03-15 주식회사 세현이브이 슬라이딩도어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20220116852A (ko) * 2021-02-16 2022-08-23 황성찬 끼임 방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4745A (en) * 1995-03-16 1998-08-18 Kleeneze Sealtech Limited Finger guard for a door of an elevator
KR200332674Y1 (ko) 1998-03-24 2004-03-18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승강기도어끼임방지장치
KR100862738B1 (ko) 2007-12-20 2008-10-10 주식회사 한테크 승강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200480626Y1 (ko) * 2016-04-04 2016-06-16 박지환 승강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4745A (en) * 1995-03-16 1998-08-18 Kleeneze Sealtech Limited Finger guard for a door of an elevator
KR200332674Y1 (ko) 1998-03-24 2004-03-18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승강기도어끼임방지장치
KR100862738B1 (ko) 2007-12-20 2008-10-10 주식회사 한테크 승강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200480626Y1 (ko) * 2016-04-04 2016-06-16 박지환 승강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056A (ko) * 2017-06-05 2018-12-13 김정호 도어 고장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101981984B1 (ko) 2017-06-05 2019-05-24 김정호 도어 고장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20190011850A (ko) 2017-07-25 2019-02-08 주식회사 세현이브이 슬라이딩도어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200489943Y1 (ko) * 2018-04-16 2019-09-02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테이프 안내장치
KR102114014B1 (ko) * 2019-03-18 2020-05-22 홍종우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KR20210000409U (ko) * 2019-08-12 2021-02-22 김수현 엘리베이터 잼 커버
KR200494478Y1 (ko) * 2019-08-12 2021-10-20 김수현 엘리베이터 잼 커버
KR20210028785A (ko) 2019-09-04 2021-03-15 주식회사 세현이브이 슬라이딩도어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CN112158706A (zh) * 2020-10-30 2021-01-01 苏州君菱机电有限公司 一种电梯层站门套
KR20220116852A (ko) * 2021-02-16 2022-08-23 황성찬 끼임 방지 장치
KR102477998B1 (ko) * 2021-02-16 2022-12-15 황성찬 끼임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729Y1 (ko) 엘리베이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CA2544601C (en) Modesty panel and external wall execution structure using said modesty panel
US20060179725A1 (en) Cover secured around a pipe passed through a building for ornamental and leakage-preventing purposes
US20080235862A1 (en) Multi-Purpose Beading For Swimming Pool Liners
JP4611347B2 (ja) 窓板の装着方法と該方法に用いる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
KR200397838Y1 (ko) 창문유리 실리콘 오염방지캡
EP1929911B1 (en) Section bar for shower box, sauna box and the like, door frame comprising said section b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section bar
JP5184422B2 (ja) 木質複合面部材
KR101882204B1 (ko) 건축용 도어 방수장치
US20130266760A1 (en) Flexible corner trim cut product
JP5256107B2 (ja) 天井見切縁材
KR20200144766A (ko) 몰딩용 인코너 마감기구
JP5405875B2 (ja) 木質複合面部材
JP2007077687A (ja) 化粧材の曲面への施工方法
KR101037916B1 (ko) 강화유리문의 고정프레임 결합구조
JP6121361B2 (ja) 目地具とその取付構造
JP2008057260A (ja) 目地の防水構造
JPH08232355A (ja) 外装目地具
JP2013091905A (ja) 外壁用役物と入隅構造
JP4137274B2 (ja) 壁面用見切装置
JP2003065562A (ja) 配管用隙間カバー
JP4671397B2 (ja) 点検口装置
JP2006316545A (ja) 目地カバー部材の防水材
JP3641086B2 (ja) 目地ガスケットの止め部材
JPH094080A (ja) パネル、化粧材及び外壁接続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