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120Y1 -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 Google Patents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120Y1
KR200482120Y1 KR2020160003792U KR20160003792U KR200482120Y1 KR 200482120 Y1 KR200482120 Y1 KR 200482120Y1 KR 2020160003792 U KR2020160003792 U KR 2020160003792U KR 20160003792 U KR20160003792 U KR 20160003792U KR 200482120 Y1 KR200482120 Y1 KR 200482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ntact
hole
temperatu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옥
Original Assignee
임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장호 filed Critical 임장호
Priority to KR2020160003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1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1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1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은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걸림 돌기가 형성된 밀착고정 몸체; 및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가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걸림 헤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고정 몸체와 상기 걸림 헤드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적용된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될 수 있는 온도 변색 안료를 포함하여 성형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에 의하면, 대상물의 발열에 따른 합선, 화재 발생 등 2차 피해가 방지될 수 있게 되고,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복수 물체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견고한 결착력을 이루면서도, 복수 물체의 표면에 이격된 공간없이 밀착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Plural object stick and fixing means}
본 고안은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은 전선 등 복수의 물체를 감싸 다발로 묶어주기 위한 용도 등으로 적용되는 것을 말하는데, 산업 현장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에 의하면,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단순히 전선 등 복수의 물체를 다발로 묶어줄 뿐, 별다른 기능이 없다. 따라서,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묶어준 대상물인 전선 등에서 발열이 발생되더라도, 현재에는 이러한 발열이 외부에서 전혀 인지되지 못하여, 그러한 발열에 따른 합선, 화재 발생 등 2차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에 의하면,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된 밀착고정 몸체가 걸림 헤드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복수 물체를 묶어주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에 의함에 따라, 밀착고정 몸체가 걸림 헤드에 수평으로 관통하는 경우에 비해 밀착고정 몸체와 걸림 헤드가 상대적으로 더 견고하게 결착될 수는 있으나, 밀착고정 몸체와 걸림 헤드가 수직으로 교차하게 되어, 그 교차되는 부분은 복수 물체의 표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0710584호, 등록일자: 2007.04.17., 발명의 명칭: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본 고안은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적용된 대상물의 발열 상태가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복수 물체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견고한 결착력을 이루면서도 복수 물체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은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걸림 돌기가 형성된 밀착고정 몸체; 및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가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걸림 헤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고정 몸체와 상기 걸림 헤드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적용된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될 수 있는 온도 변색 안료를 포함하여 성형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에 의하면, 밀착고정 몸체가 관통 홀을 관통하여 걸림 돌기가 상기 관통 홀에 걸림으로써,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대상물을 감싸 다발로 묶은 상태로 걸림 헤드 부재에 고정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에서 발열이 일어나면, 상기 대상물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밀착고정 몸체를 통해 상기 온도 감지 부재로 전달되어, 상기 온도 감지 부재의 색상이 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발열 상태가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게 되므로, 그러한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따른 합선, 화재 발생 등 2차 피해가 방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에 의하면, 밀착고정 몸체와 걸림 헤드 부재가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하여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복수 물체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견고한 결착력을 이루면서도, 복수 물체의 표면에 이격된 공간없이 밀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보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부분을 절단하여 본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2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적용된 모습을 확대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100)는 밀착고정 몸체(110)와, 걸림 헤드 부재(120)와, 온도 감지 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는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걸림 돌기(111)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는 직사각형 단면의 긴 바아 형태로 형성되고, 얇은 두께로 이루어져, 외력에 의해 굽혀질 수 있으므로, 전선 등의 대상물(10)을 감싸 묶을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111)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데, 톱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헤드 부재(120)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가 상기 관통 홀(12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111)가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 헤드 부재(120)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의 일 단부에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되, 그 상하 방향으로 상기 관통 홀(121)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가 상기 관통 홀(121)을 일정 길이 관통한 후에는 상기 걸림 돌기(111)가 상기 관통 홀(121)의 주변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걸림 헤드 부재(120)에서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가 역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와 상기 걸림 헤드 부재(12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 부재(130)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와 상기 걸림 헤드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100)가 적용된 전선 등의 상기 대상물(10)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그 색상이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온도 변색 안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 감지 부재(130)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에서 상기 걸림 돌기(111)가 형성된 면에 대면되는 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100)가 상기 대상물(10)에 적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쉽게 인지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걸림 돌기(111)가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의 저면에 형성되면, 상기 온도 감지 부재(130)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온도 감지 부재(130)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의 상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 부재(130)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온도 변색 안료, 예를 들어 카멜레온 안료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온도 변색 안료가 다른 플라스틱 재질 등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 변색 안료는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된 색상이 상기 대상물의 발열 종료 후에도 그대로 유지되는 비가역성 물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대상물의 발열 종료 후에도 그 변색된 색상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거나,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된 색상이 상기 대상물의 발열 종료 후에는 원상태, 예를 들어 백색으로 회복되는 가역성 물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대상물의 발열 종료 후에는 원상태인 백색 등으로 회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온도 변색 안료는 상기 비가역성 물질과 상기 가역성 물질을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가역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온도 변색 안료 부분과 상기 가역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온도 변색 안료 부분이 상기 온도 감지 부재(130)에서 구획되어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비가역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온도 변색 안료 부분과 상기 가역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온도 변색 안료 부분이 상기 온도 감지 부재(130)에서 서로 혼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온도 변색 안료는 상기 대상물의 발열 전에는 유채색을 띄고,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무채색으로 변화될 수 있다. 그러면, 평소에는 상기 온도 변색 안료를 포함하는 상기 온도 감지 부재(130)가 빨강, 노랑 등의 유채색을 띄고 있어서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100)가 적용된 전선 다발 등의 상기 대상물의 전극을 표시하는 등 구별 표식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백색 등의 무채색으로 변화됨으로써 상기 대상물에 발열이 있음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도 감지 부재(130)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 상에 액상으로 도포되거나, 별도로 성형된 다음 접착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가 상기 관통 홀(121)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 돌기(111)가 상기 관통 홀(121)에 걸림으로써,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가 전선 등의 상기 대상물(10)을 감싸 다발로 묶은 상태로 상기 걸림 헤드 부재(120)에 고정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10)에서 발열이 일어나면, 상기 대상물(10)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밀착고정 몸체(110)를 통해 상기 온도 감지 부재(130)로 전달되어, 상기 온도 감지 부재(130)의 색상이 그 열기에 의해 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100)가 적용된 대상물(10)의 발열 상태가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대상물(10)의 발열에 따른 합선, 화재 발생 등 2차 피해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 감지 부재(230)가 밀착고정 몸체(210)의 외면을 따라 둘러진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 감지 부재(230)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210)의 각 면을 모두 감싼 형태로 상기 밀착고정 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용융된 상태의 온도 변색 안료 속에 상기 밀착고정 몸체(210)가 담기는 디핑(dipping)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부분을 절단하여 본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300)가 온도 전달 연장부(331)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 감지 부재(330)가 밀착고정 몸체(310)에서 걸림 돌기가 형성된 면에 대면되는 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온도 전달 연장부(331)가 상기 온도 감지 부재(330)로부터 상기 밀착고정 몸체(310)에서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300)가 적용된 대상물과 접하게 되는 부분까지 연장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온도 감지 부재(330)가 상기 밀착고정 몸체(310)의 상면에 형성되면, 상기 온도 전달 연장부(331)는 상기 온도 감지 부재(33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밀착고정 몸체(310)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밀착고정 몸체(310)의 측면과 저면 사이의 모서리까지 연장된 형태를 이룬다. 그러면, 상기 온도 전달 연장부(331)가 상기 온도 감지 부재(330)와 상기 대상물을 직접 연결한 형태가 되어, 상기 대상물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온도 전달 연장부(331)를 통해 곧바로 상기 온도 감지 부재(3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온도 감지 부재(330)에서 보다 신속한 발열 감지가 가능해진다.
상기 온도 전달 연장부(331)는 상기 온도 감지 부재(330)와 마찬가지로 온도 변색 안료를 포함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온도 감지 부재(33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400)는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걸림 돌기가 형성된 밀착고정 몸체(410)와, 상기 밀착고정 몸체(41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421)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고정 몸체(410)가 상기 관통 홀(42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가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걸림 헤드 부재(4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410)와 상기 걸림 헤드 부재(4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400)가 적용된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될 수 있는 온도 변색 안료를 포함하여 성형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밀착고정 몸체(410)와 상기 걸림 헤드 부재(420)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수지에 상기 온도 변색 안료가 혼합된 물질 또는 상기 온도 변색 안료 자체를 금형에 주입함으로써 성형된다. 즉, 상기 밀착고정 몸체(410)와 상기 걸림 헤드 부재(42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성형 시에 상기 온도 변색 안료를 포함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밀착고정 몸체(410)와 상기 걸림 헤드 부재(420) 모두 상기 온도 변색 안료를 포함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온도 변색 안료를 적용하기 위한 접착 등의 별도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간편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400)를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온도 변색 안료가 접착 등에 의해 부가되었다가 임의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변색 안료는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된 색상이 상기 대상물의 발열 종료 후에도 그대로 유지되는 비가역성 물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대상물의 발열 종료 후에도 그 변색된 색상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거나,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된 색상이 상기 대상물의 발열 종료 후에는 원상태, 예를 들어 백색으로 회복되는 가역성 물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대상물의 발열 종료 후에는 원상태인 백색 등으로 회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온도 변색 안료는 상기 비가역성 물질과 상기 가역성 물질을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가역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온도 변색 안료 부분과 상기 가역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온도 변색 안료 부분이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400)에서 구획되어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비가역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온도 변색 안료 부분과 상기 가역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온도 변색 안료 부분이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400)에서 서로 혼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온도 변색 안료는 상기 대상물의 발열 전에는 유채색을 띄고,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무채색으로 변화될 수 있다. 그러면, 평소에는 상기 온도 변색 안료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400)가 빨강, 노랑 등의 유채색을 띄고 있어서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400)가 적용된 전선 다발 등의 상기 대상물의 전극을 표시하는 등 구별 표식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백색 등의 무채색으로 변화됨으로써 상기 대상물에 발열이 있음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 헤드 부재(520)에는 밀착고정 몸체(51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521)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고정 몸체(510)가 상기 걸림 헤드 부재(52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연장선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 홀(521)을 관통하고,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500)은 안내 밀착 부재(540)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밀착 부재(540)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510)가 상기 걸림 헤드 부재(52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연장선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 홀(521)을 관통하도록 상기 밀착고정 몸체(510)를 상기 관통 홀(521) 쪽으로 안내함과 함께, 상기 걸림 헤드 부재(520)와 상기 밀착고정 몸체(510)의 교차 부분이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500)이 감싸는 대상물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 헤드 부재(520)와 상기 밀착고정 몸체(510) 중 적어도 하나의 저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500)이 감싸는 대상물과 접하면 면(542)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510)가 상기 걸림 헤드 부재(52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후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500)이 감싸는 대상물을 감싼 후 상기 관통 홀(521)을 관통하는데, 상기 안내 밀착 부재(540)는 상기 관통 홀(521)의 형성 방향의 연장 방향, 즉 상기 밀착고정 몸체(510)가 상기 걸림 헤드 부재(52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걸림 헤드 부재(520)와 상기 밀착고정 몸체(51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됨으로써, 상기 밀착고정 몸체(510)가 상기 걸림 헤드 부재(52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으로 상기 밀착고정 몸체(510)가 상기 관통 홀(521)을 관통하도록 안내한다. 도면 번호 541이 상기 관통 홀(521)의 형성 방향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면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밀착고정 몸체(510)와 상기 걸림 헤드 부재(520)가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하여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500)이 복수 물체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견고한 결착력을 이루면서도, 복수 물체의 표면에 이격된 공간없이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적용된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은 상기된 제 5 실시예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과 아래의 내용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상기된 제 5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 밀착 부재(640)에 탄성 제공 홀(643)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 제공 홀(643)은 상기 안내 밀착 부재(640)의 몸체의 내부로 함몰됨으로써,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감싸는 대상물이 눌릴 때 탄성을 제공함과 함께, 관통 홀(621)에 삽입되는 밀착고정 몸체(610) 부분을 절단할 수 있는 가위날, 칼날 등의 절단 도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 제공 홀(643)은 상기 안내 밀착 부재(640)의 몸체에서 걸림 헤드 부재(620)와 만나게 되는 부분이 일정 깊이 함몰되고, 그 폭 방향으로는 개방된 형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절단 도구의 삽입이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감싸는 대상물이 눌릴 때 탄성 제공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안내 밀착 부재(640)의 형성에 따라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복수 물체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견고한 결착력을 이루면서 복수 물체의 표면에 이격된 공간없이 밀착될 수 있게 되면서도,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감싸는 대상물이 눌릴 때 탄성을 제공함과 함께, 상기 관통 홀(621)에 삽입되는 밀착고정 몸체(610) 부분을 절단할 수 있는 가위날, 칼날 등의 절단 도구가 간편하게 삽입될 수 있어서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에 대한 절단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에 의하면,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적용된 대상물의 발열 상태가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도록 하고, 복수 물체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견고한 결착력을 이루면서도 복수 물체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110 : 밀착고정 몸체
111 : 걸림 돌기
120 : 걸림 헤드 부재
121 : 관통 홀
130 : 온도 감지 부재

Claims (8)

  1.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걸림 돌기가 형성된 밀착고정 몸체;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가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걸림 헤드 부재; 및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상기 걸림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연장선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밀착고정 몸체를 상기 관통 홀 쪽으로 안내함과 함께, 상기 걸림 헤드 부재와 상기 밀착고정 몸체의 교차 부분이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감싸는 대상물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 헤드 부재와 상기 밀착고정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저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감싸는 대상물과 접하면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안내 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고정 몸체와 상기 걸림 헤드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적용된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될 수 있는 온도 변색 안료를 포함하여 성형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고,
    상기 걸림 헤드 부재에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상기 걸림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연장선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고,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상기 걸림 헤드 부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내 밀착 부재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상기 걸림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으로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안내 밀착 부재에는 상기 안내 밀착 부재의 몸체의 내부로 함몰됨으로써,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감싸는 대상물이 눌릴 때 탄성을 제공함과 함께,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에 대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 부분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 도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탄성 제공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2.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걸림 돌기가 형성된 밀착고정 몸체;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가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걸림 헤드 부재;
    상기 밀착고정 몸체와 상기 걸림 헤드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적용된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될 수 있는 온도 변색 안료를 포함하는 온도 감지 부재; 및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상기 걸림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연장선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밀착고정 몸체를 상기 관통 홀 쪽으로 안내함과 함께, 상기 걸림 헤드 부재와 상기 밀착고정 몸체의 교차 부분이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감싸는 대상물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 헤드 부재와 상기 밀착고정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저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감싸는 대상물과 접하면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안내 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헤드 부재에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상기 걸림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연장선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고,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상기 걸림 헤드 부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내 밀착 부재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상기 걸림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으로 상기 밀착고정 몸체가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안내 밀착 부재에는 상기 안내 밀착 부재의 몸체의 내부로 함몰됨으로써,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감싸는 대상물이 눌릴 때 탄성을 제공함과 함께,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에 대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 부분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 도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탄성 제공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변색 안료는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된 색상이 상기 대상물의 발열 종료 후에도 그대로 유지되는 비가역성 물질과,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된 색상이 상기 대상물의 발열 종료 후에는 원상태로 회복되는 가역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변색 안료는 상기 대상물의 발열 전에는 유채색을 띄고, 상기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무채색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부재는 상기 밀착고정 몸체에서 상기 걸림 돌기가 형성된 면에 대면되는 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상기 대상물에 적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은
    상기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이 적용된 상기 대상물과 상기 온도 감지 부재가 직접 열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온도 감지 부재로부터 상기 밀착고정 몸체에서 상기 대상물과 접하게 되는 부분까지 연장된 온도 전달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KR2020160003792U 2016-06-29 2016-06-29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KR200482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92U KR200482120Y1 (ko) 2016-06-29 2016-06-29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92U KR200482120Y1 (ko) 2016-06-29 2016-06-29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120Y1 true KR200482120Y1 (ko) 2016-12-16

Family

ID=5770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792U KR200482120Y1 (ko) 2016-06-29 2016-06-29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1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5748A (zh) * 2018-01-09 2018-05-18 绍兴长龙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电线、电缆上的变色感温扎带以及制造工艺
KR101937339B1 (ko) * 2018-01-31 2019-04-09 주식회사 이피이 온도 감응형 변색성을 갖는 고신율 탄성 도료를 적용한 전기제품 점검용 고무 밴드
CN112478196A (zh) * 2020-11-24 2021-03-12 北京天创凯睿科技有限公司 一种飞机螺栓紧固及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83U (ja) * 1992-07-17 1994-02-10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電線等の結束具
JPH1141760A (ja) * 1997-05-20 1999-02-12 Koichi Wada 電線アクセサリー
KR200413714Y1 (ko) * 2006-01-31 2006-04-12 경신공업 주식회사 밴드케이블
KR100710584B1 (ko) 2005-07-28 2007-04-24 최원철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83U (ja) * 1992-07-17 1994-02-10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電線等の結束具
JPH1141760A (ja) * 1997-05-20 1999-02-12 Koichi Wada 電線アクセサリー
KR100710584B1 (ko) 2005-07-28 2007-04-24 최원철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KR200413714Y1 (ko) * 2006-01-31 2006-04-12 경신공업 주식회사 밴드케이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5748A (zh) * 2018-01-09 2018-05-18 绍兴长龙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电线、电缆上的变色感温扎带以及制造工艺
KR101937339B1 (ko) * 2018-01-31 2019-04-09 주식회사 이피이 온도 감응형 변색성을 갖는 고신율 탄성 도료를 적용한 전기제품 점검용 고무 밴드
CN112478196A (zh) * 2020-11-24 2021-03-12 北京天创凯睿科技有限公司 一种飞机螺栓紧固及检测方法
CN112478196B (zh) * 2020-11-24 2021-07-06 北京天创凯睿科技有限公司 一种飞机螺栓紧固及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120Y1 (ko)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US8951063B2 (en) Crimp terminal
US9618717B2 (en) Optical fiber unit, optical fiber branching method, and optical fiber cable
US8734178B2 (en) Electrical plug-provided cord
US9356438B2 (en) Wire cable assembly having a terminal with an encapsulated wire end
WO2018129054A8 (en) Temperature sensitive color changing electrical device
KR101990778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
US10630020B2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able connection structure
US9762045B2 (en) Heat-shrinkable slitted tube
US10010265B2 (en) Method of producing temperature sensor, and temperature sensor
JP5759886B2 (ja) クロージャ用クリップ、クロージャ
KR20200053165A (ko) 기능성 양방향 케이블 타이
KR20110011196U (ko) 필름형 서미스터와 와이어 접속용 인서트 사출 접속함
JP2016025763A (ja) 電線モジュール
JP2001042158A (ja) 光接続部保持構造および光クロージャ
KR102348479B1 (ko) 변색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용 스프링 콘넥터
WO2018061647A1 (ja) 位置検出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CN202120823U (zh) 新型封装热熔断器
CN212460101U (zh) 一种新型铠装光缆增强熔接部位保护装置
KR200319749Y1 (ko) 온도 표시기능을 가지는 조리용기 손잡이
KR101842677B1 (ko) 단자보호커버 및 상기 단자보호커버 제조 금형
JP6887695B2 (ja) 樹脂製部材
CN216212417U (zh) 线缆及具有线缆的电子设备
WO2016080377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用の拘束部材
KR200491156Y1 (ko) 케이블 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