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584B1 -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 Google Patents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584B1
KR100710584B1 KR1020050068676A KR20050068676A KR100710584B1 KR 100710584 B1 KR100710584 B1 KR 100710584B1 KR 1020050068676 A KR1020050068676 A KR 1020050068676A KR 20050068676 A KR20050068676 A KR 20050068676A KR 100710584 B1 KR100710584 B1 KR 10071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head
bottom plate
band ca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844A (ko
Inventor
최원철
Original Assignee
최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철 filed Critical 최원철
Priority to KR1020050068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58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2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B65D63/1063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the female locking member being provided with at least one plastic barb
    • B65D63/1072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the female locking member being provided with at least one plastic barb the barb having a plurality of ser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consisting of a flexible b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F16L3/23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flexible band
    • F16L3/233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flexible band having a single plastic locking barb
    • F16L3/233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flexible band having a single plastic locking barb the barb having a plurality of ser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밑판부와, 상기 밑판부의 양단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된 측면돌출판과, 상기 측면돌출판으로부터 각각 굴곡되어 상기 밑판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양단은 이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걸림판부와, 상기 걸림판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판부의 일단에서 상기 측면돌출판이 위치된 타단으로 갈수록 그 돌출길이가 길어지도록 경사지게 돌출된 체결돌기를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에는 경사지게 파여진 다수개의 경사홈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타이를 포함하여, 상기 타이가 휘어져 상기 헤드의 밑판부와 걸림판부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타이의 경사홈에 상기 체결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리어 대상물을 결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양 걸림판부가 탄성적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타이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헤드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대상물과의 결착이 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신속하게 대상물을 결착시킬 수 있으며, 또한 그 대상물과의 결착이 용이하게 해지될 수 있으며, 타이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타이의 결속이 해지되지 않으며, 헤드 외부로 길게 빠져나와 있는 타이를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Band cable easy to rapidly combine and separat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밴드케이블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밴드케이블의 측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밴드케이블의 결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밴드케이블의 정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밴드케이블의 측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밴드케이블의 결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도 7에 도시한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밑판부 20. 측면돌출판
30. 걸림판부 32. 개구부
40. 체결돌기 50. 헤드
60. 타이 62. 경사홈
70. 후크 80. 체결공
본 발명은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착구조를 개선하여 밴드케이블의 결착 및 해지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타이의 결속력이 적은 인장력에도 쉽게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밴드케이블은 각종 전선다발이나 파이프 다발 또는 농작물(이하에서는 "결속물"이라 칭함) 등을 일체로 묶어 결착시킨 다음,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결속수단을 말하는 것으로서, 통상 결속물을 묶을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타이와, 상기 타이가 끼워지는 타이통과구멍과, 상기 타이를 걸림 고정시키는 스토퍼가 구비된 헤드로 크게 구성되어 지는 바, 이러한 밴드케이블은 결착 후 해지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 시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야기시키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본 발명자가 2002년 7월 10일자로 출원한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4-0002328호(명칭 : "결착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하부로 타이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헤드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양측 측면 상단부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선행기술은 스토퍼를 이용하여 타이를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으며, 또한 헤드 상부를 개방시켜 구성함으로써 결착을 해지할 때에는 타이를 위쪽 방향으로 당겨주는 동작만으로 타이를 외부로 간편히 이탈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필요에 따라 밴드의 결착을 간편히 해지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 중 하나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타이를 결속시키는 수단인 스토퍼가 헤드 하단부에 위치함에 따라 스토퍼에 결속된 타이가 작은 움직임이나 인장력에도 쉽게 이탈하여 결속이 해지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즉, 결속물을 묶은 다음 타이를 스토퍼에 결속시키게 되면 상기 결속물이 가지는 부피로 인해 타이에는 인장력(외측방향으로 벌여지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와 같이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타이는 위쪽으로 들려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타이의 저면에 체결되어 있는 스토퍼에서 이탈하게 됨으로써 타이의 결속이 해지되어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타이는 결속물의 부피가 작은 경우는 결속물을 결속한 뒤에 상기 타이가 헤드로부터 길게 빠져나와 미관상 보기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밴드케이블의 결착 및 해지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타이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타이의 결속이 해지되지 않으며, 헤드 외부로 길게 빠져나와 있는 타이를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밴드케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은, 밑판부와, 상기 밑판부의 양단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된 측면돌출판과, 상기 측면돌출판으로부터 각각 굴곡되어 상기 밑판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양단은 이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걸림판부와, 상기 걸림판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판부의 일단에서 상기 측면돌출판이 위치된 타단으로 갈수록 그 돌출길이가 길어지도록 경사지게 돌출된 체결돌기를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에는 경사지게 파여진 다수개의 경사홈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타이를 포함하여, 상기 타이가 휘어져 상기 헤드의 밑판부와 걸림판부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타이의 경사홈에 상기 체결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리어 대상물을 결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양 걸림판부가 탄성적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타이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헤드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대상물과의 결착이 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은, 상기 타이의 전면에 결합되며, 굴곡되어 'ㄱ'자 형상을 가지는 후크와, 상기 타이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을 더 포함하여, 상기 타이가 휘어져 대상물을 결착시킬 때, 상기 후크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됨으로써 그 결착이 더욱 견고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의 상기 밑판부에는, 하면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타이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헤드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타이의 측단이 상기 함몰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이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아서 상기 타이가 상기 헤드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은, 밑판부와, 상기 밑판부의 양단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된 측면돌출판과, 상기 측면돌출판에 형성되며, 그 측면돌출판의 전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만큼 파여진 홈인 텐션홈과, 상기 측면돌출판으로부터 각각 굴곡되어 상기 밑판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양단은 이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걸림판부와, 상기 걸림판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밑판부의 폭방향으로 경사진 톱니 형상의 체결돌기를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에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경사홈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타이를 포함하여, 상기 타이가 휘어져 상기 헤드의 밑판부와 걸림판부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타이의 경사홈에 상기 체결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리어 대상물을 결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양 걸림판부가 탄성적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타이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헤드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대상물과의 결착이 해지되며, 상기 텐션홈에 의해서 상기 양 걸림판부의 탄성 이격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의 상기 텐션홈은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의 상기 밑판부에는, 하면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타이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헤드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타이의 측단이 상기 함몰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이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아서 상기 타이가 상기 헤드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프론 재질의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프론 재질의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밴드케이블의 정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밴드케이블의 측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밴드케이블의 결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을,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100)는 헤드(50)와, 타이(60)와, 후크(70)와, 체결공(8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헤드(5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 에서는 밑판부(10)와 측면돌출판(20)과 걸림판부(30)와 체결돌기(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밑판부(10)는 사각 형상의 판 형태를 이룬다. 상기 밑판부(1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돌출판(20)은 상기 밑판부(10)의 양단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걸림판부(30)는 상기 측면돌출판(20)으로부터 각각 굴곡되어 상기 밑판부(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양단은 이격되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32)를 형성한다.
상기 체결돌기(40)는 상기 걸림판부(30)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판부(30)의 일단에서 상기 측면돌출판(20)이 위치된 타단으로 갈수록 그 돌출길이가 길어지도록 경사지게 돌출된 체결돌기(40)를 가진다.
상기 타이(60)는 상기 헤드(50)의 밑판부(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타이(60)의 양측에는 경사지게 파여진 다수개의 경사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홈(62)은 상기 타이(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70)는 상기 타이(60)의 전면에 결합되며, 굴곡되어 'ㄱ'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체결공(80)은 상기 타이(60)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후크(70)가 삽입 되어 상기 후크(70)와 체결공(80)이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100)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결착을 시킬 대상물(3)의 전체 외주에 상기 타이(60)의 반대면, 즉 상기 경사홈(62)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을 접촉시킨다. 이어서 상기 타이(60)를 휘게 하여 상기 타이(60)가 대상물(3) 전체의 외주를 감싸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타이(60)의 끝단을,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50)의 밑판부(10)와 걸림판부(30) 사이로 삽입시킨다. 이어서 상기 타이(60)의 끝단을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60)가 대상물(3) 전체를 감싸면서 압박하게 되고 상기 타이(60)의 경사홈(62)에 상기 체결돌기(40)가 선택적으로 걸리어 대상물(3)을 견고히 압박하면서 결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후크(70)를 그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체결공(80)에 삽입시켜 상기 타이(60)의 끝단이 상기 대상물(3)들로부터 길게 돌출되지 않도록 처리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50) 외부로 길게 빠져나와 있는 타이(60)를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타이(60)와 헤드(50)를 이용하여 대상물(3)을 결착시켰다가(도 5 참조) 그 결착을 해제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 걸림판부(30)를 서로 이격시키면서 상기 타이(60)를 비틀어 회전시키면서 상기 개구부(32) 사이로 빠져나오게 하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타이(60)와 상기 헤드(50)의 결합이 해체되면서 상기 대상물(3)들과 상기 타이(60)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 이다.
이렇게 상기 타이(60)를 상기 개구부(32)를 통해서 상기 헤드(50)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타이(60)의 측단이 상기 함몰부(1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이(6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아서 상기 타이(60)가 상기 헤드(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을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의 사시도를,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밴드케이블의 정면도를, 도 9는 도 7에 도시한 밴드케이블의 측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을,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밴드케이블의 결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을, 도 11 및 도 12는 도 7에 도시한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200)은 헤드(260)와, 타이(27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헤드(26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 제2실시예에서는 밑판부(210)와 측면돌출판(220)과 텐션홈(230)과 걸림판부(240)와 체결돌기(2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밑판부(210)는 사각 형상의 판 형태를 이룬다. 상기 밑판부(210)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212)가 형성 되어 있다.
상기 측면돌출판(220)은 상기 밑판부(210)의 양단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텐션홈(230)은 상기 측면돌출판(220)에 형성되며, 그 측면돌출판(220)의 전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만큼 파여진 홈이다. 그리고 상기 텐션홈(230)은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판부(240)는 상기 측면돌출판(220)으로부터 각각 굴곡되어 상기 밑판부(2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양단은 이격되어 개구부(242)를 형성한다.
상기 체결돌기(250)는 상기 걸림판부(240)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밑판부(210)의 폭방향, 즉 후술하는 경사홈(272)이 위치한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 형상의 돌기이다.
상기 타이(270)는 상기 헤드(26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에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경사홈(272)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200)은 제1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100)과는 달리 텐션홈(230)을 더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텐션홈(230)에 의해서 상기 양 걸림판부(240)의 탄성 이격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텐션홈(230)의 홈 두께가 얇아지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양 걸림판부(240)의 이격이 가능하므로 그 이격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200)은, 상기 경사홈(272)이 상기 타이(27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100)의 후크(70)와 체결공(80)의 구성은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10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에 의하면, 밴드케이블의 결착 및 해지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타이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타이의 결속이 해지되지 않으며, 헤드 외부로 길게 빠져나와 있는 타이를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밑판부와,
    상기 밑판부의 양단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된 측면돌출판과,
    상기 측면돌출판으로부터 각각 굴곡되어 상기 밑판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양단은 이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걸림판부와,
    상기 걸림판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판부의 일단에서 상기 측면돌출판이 위치된 타단으로 갈수록 그 돌출길이가 길어지도록 경사지게 돌출된 체결돌기를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에는 경사지게 파여진 다수개의 경사홈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타이;를 포함하여,
    상기 타이가 휘어져 상기 헤드의 밑판부와 걸림판부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타이의 경사홈에 상기 체결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리어 대상물을 결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양 걸림판부가 탄성적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타이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헤드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대상물과의 결착이 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의 전면에 결합되며, 굴곡되어 'ㄱ'자 형상을 가지는 후크와,
    상기 타이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을 더 포함하여,
    상기 타이가 휘어져 대상물을 결착시킬 때, 상기 후크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됨으로써 그 결착이 더욱 견고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부에는,
    하면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타이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헤드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타이의 측단이 상기 함몰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이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아서 상기 타이가 상기 헤드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4. 밑판부와,
    상기 밑판부의 양단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된 측면돌출판과,
    상기 측면돌출판에 형성되며, 그 측면돌출판의 전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만큼 파여진 홈인 텐션홈과,
    상기 측면돌출판으로부터 각각 굴곡되어 상기 밑판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 장되며, 그 양단은 이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걸림판부와,
    상기 걸림판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밑판부의 폭방향으로 경사진 톱니 형상의 체결돌기를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에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경사홈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타이;를 포함하여,
    상기 타이가 휘어져 상기 헤드의 밑판부와 걸림판부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타이의 경사홈에 상기 체결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리어 대상물을 결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양 걸림판부가 탄성적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타이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헤드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대상물과의 결착이 해지되며,
    상기 텐션홈에 의해서 상기 양 걸림판부의 탄성 이격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홈은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부에는,
    하면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타이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헤드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타이의 측단이 상기 함몰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이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아서 상기 타이가 상기 헤드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KR1020050068676A 2005-07-28 2005-07-28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KR100710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676A KR100710584B1 (ko) 2005-07-28 2005-07-28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676A KR100710584B1 (ko) 2005-07-28 2005-07-28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844A KR20060092844A (ko) 2006-08-23
KR100710584B1 true KR100710584B1 (ko) 2007-04-24

Family

ID=3759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676A KR100710584B1 (ko) 2005-07-28 2005-07-28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120Y1 (ko) 2016-06-29 2016-12-16 임장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020A (ja) * 1996-01-31 1997-08-12 Kyoritsu High Parts Kk ハンドクリップ
KR200311671Y1 (ko) 2003-01-16 2003-05-09 주식회사 동양구조산업 케이블 타이
KR200327231Y1 (ko) 2003-06-10 2003-09-19 김영길 고정수단을 갖는 케이블 타이
KR20190000870U (ko) * 2017-09-28 2019-04-05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020A (ja) * 1996-01-31 1997-08-12 Kyoritsu High Parts Kk ハンドクリップ
KR200311671Y1 (ko) 2003-01-16 2003-05-09 주식회사 동양구조산업 케이블 타이
KR200327231Y1 (ko) 2003-06-10 2003-09-19 김영길 고정수단을 갖는 케이블 타이
KR20190000870U (ko) * 2017-09-28 2019-04-05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120Y1 (ko) 2016-06-29 2016-12-16 임장호 복수 물체 밀착고정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844A (ko) 200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3119B1 (en) Improved cable tie structure
US20140020263A1 (en) Device for connecting up laces
KR200489137Y1 (ko)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와 캐링 채널의 결합 구조
FR2512863A1 (fr) Dispositif de suspension de carreaux pour plafonds
JP2007112511A (ja) 解放可能な直列式ケーブルタイ
JP5017367B2 (ja) 靴紐クロージャー
KR200247909Y1 (ko) 결착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KR100710584B1 (ko)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JPS5886103A (ja) コ−ド固定装置
US6839944B1 (en) Shoelace fastener
KR101283311B1 (ko) 볼타입 케이블타이조립체
KR200340052Y1 (ko) 결속 해제 가능한 케이블타이
US20070089354A1 (en) Device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 line and a method for its attachment and detachment
KR200465576Y1 (ko) 결속용 타이
JP3489029B2 (ja) 結束バンド
KR100666851B1 (ko)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KR101131140B1 (ko) 끈 조임구
KR200362427Y1 (ko) 신발용 끈 조임구조
KR20220002755U (ko) 머리끈
KR200496658Y1 (ko) 굴 양식용 종패 고정구 및 굴 양식용 종패 고정구 조립체
KR200211367Y1 (ko) 타이 랩
KR200220681Y1 (ko) 고추나무 지지용끈 묶음장치
KR200181062Y1 (ko) 장식용 헤어클립
KR20110009058U (ko) 티자형걸림부가 형성된 스테인레스 케이블타이
JP2003026198A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