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140B1 - 끈 조임구 - Google Patents

끈 조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140B1
KR101131140B1 KR1020100015272A KR20100015272A KR101131140B1 KR 101131140 B1 KR101131140 B1 KR 101131140B1 KR 1020100015272 A KR1020100015272 A KR 1020100015272A KR 20100015272 A KR20100015272 A KR 20100015272A KR 101131140 B1 KR101131140 B1 KR 101131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button
outer body
hol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671A (ko
Inventor
양지석
Original Assignee
양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지석 filed Critical 양지석
Priority to KR1020100015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1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4Rings for ski-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끈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 조임구(30)를 이루는 외부몸체(31)와 버튼(32)에 형성되는 끈홀(31b,32b)이 끈(20)의 상부가닥(21)과 하부가닥(22)이 각각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몸체(31)와 버튼(32)이 상하로 어긋날 때 상기 상부가닥(21)과 하부가닥(22)의 상,하면이 모두 눌려짐으로써 고정력이 강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스키 및 등산용 폴의 끈(20)을 보다 견고히 조여 주어 손목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끈 조임구{tool for tightening a string}
본 발명은 스키 또는 등산용 폴(스틱)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된 끈을 사용자의 손목에 맞추어 조여줄 수 있도록 된 끈 조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키 또는 등산용 폴(스틱 ; 이하, 모두 '폴'로 지칭함)의 경우 손잡이에 고리 형태를 이루는 끈이 구비되어 있어서, 그 끈의 내부로 손을 통과시킨 후 폴의 손잡이를 잡음으로써 끈이 손목에 걸려지도록 하여 폴 사용중 사용자가 손잡이를 놓치더라도 폴이 손에 매달려 있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폴을 사용자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스키를 타거나 등산을 하는 중에 폴을 놓쳤을 경우 폴을 회수하기 위한 번거로움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해 준다.(대부분 스키의 경우에는 슬로프 위로 올라가야 하고, 등산의 경우에는 등산로나 계곡의 아래쪽으로 내려가야 하므로 매우 힘들고 귀찮은 일이 된다.)
또한, 같은 작용에 의해 폴이 손목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폴 손잡이를 놓고 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였다.
그런데, 종래 스키 및 등산용 폴의 손목 끈에는 별도의 조임구가 없거나, 있어도 끈을 견고히 조일 수 없어서 손잡이를 놓쳤을 때 끈으로부터 손목이 빠져나와 폴을 완전히 놓치게 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였다.
종래의 끈 조임구는 끈의 가닥(고리 형태를 이루는 끈의 중간에 조임구가 설치되므로 조임구를 통과하는 끈의 가닥은 상,하 2가닥이 된다.)이 통과하는 구멍이 하나 뿐이어서 끈의 두 가닥 모두 어느 한 쪽 부분만 조임구에 의해 눌려질 수 밖에 없으므로(두 가닥의 마주보는 면은 서로 밀착되어 있게 된다.) 조임구에 의한 조임력이 충분히 발생하지 못하였다.
또한, 끈의 상부가닥과 하부가닥이 서로 맞대어져 두께가 두꺼우므로 스프링에 의해 버튼이 상방으로 밀려도 상기 끈이 버튼과 외부몸체 사이에서 상하로 어긋나는 변형이 덜 이루어짐으로써 조임구의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조임구가 고정위치에서 이동하여 손목을 조이던 끈의 조임상태가 헐거워짐으로써 폴을 놓쳤을 때 끈으로부터 손목이 쉽게 빠져나올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폴의 끈이 통상 의류에 사용되는 끈과는 달리 두껍고 폭이 넓으며 뻣뻣하기 때문에 더욱 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키나 등산 폴의 손잡이에 구비된 끈을 보다 강하게 조여줄 수 있게 됨으로써 폴을 놓쳐서 다시 주우러 가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끈 조임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의 손잡이에 구비된 끈의 상부가닥과 하부가닥이 각각 관통되는 상부 및 하부 끈홀이 전, 후면에 형성되고, 상면에 버튼홀이 형성된 외부몸체와;
상기 버튼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끈의 상부가닥과 하부가닥이 각각 관통되는 상부 및 하부 끈홀이 전, 후면에 형성된 버튼;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을 상방으로 밀어주는 스프링;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튼의 전, 후면에 ∪형상의 절개편이 형성되고, 그 절개편의 하부에 상기 버튼홀의 테두리부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와 버튼의 끈홀은 양측 단부가 하방으로 쳐지고 중간부분은 상방으로 올라간 완만히 굴곡진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와 버튼의 끈홀은 중간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된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와 버튼의 끈홀은 곡선이 반복적으로 굴곡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와 버튼의 끈홀은 직선이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끈의 두 가닥이 각각 조임구에 의해 강하게 조여짐으로써 조임구의 조임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끈으로부터 손목이 빠지지 않게 되어 폴을 완전히 놓쳐 버리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폴을 다시 주우러 가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구가 구비된 폴의 상부 사시도,
도 2는 상기 조임구의 설치 상태 확대 사시도,
도 3은 상기 조임구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b),(c),(d)는 삽입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폴의 상부 사시도로서, 폴(10)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11)의 상단에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끈(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끈(20)에는 손목을 삽입한 공간을 손목에 딱 맞도록 조절해 줄 수 있는 조임구(3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임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몸체(31)와, 상기 외부몸체(31)의 상면으로 삽입 설치된 버튼(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32)은 외부몸체(31)의 상방으로 소정량 돌출되어 있도록 설치되고, 사용자가 누를 때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외부몸체(31)와 버튼(32)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두 가닥의 끈(20; 즉, 상부가닥(21)과 하부가닥(22))이 관통할 수 있는 두께만 확보되면 되고 특별한 형상의 제한은 없다.
도 3에는 상기 외부몸체(31)와 버튼(32)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외부몸체(31)와 버튼(32)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몸체(31)는 상면에 상기 버튼(32)이 삽입되는 버튼홀(31a)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스프링(3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31)에는 전면과 후면의 동일 위치에 끈(20)의 상부가닥(21)과 하부가닥(22)이 각각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끈홀(3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32)에는 외부몸체(31)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전면과 후면의 동일 위치에 상기 끈홀(31b)과 동일한 형상으로 한 쌍의 끈홀(32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32)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끈홀(32b)이 형성된 부분의 상부에 대략 ∪형으로 절개된 절개편이 형성되고, 그 절개편의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32a)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32)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절개편이 전후로 소량 유동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걸림턱(32a)은 외력이 작용할 때 버튼(32)의 내부로 눌려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구성의 조임구(3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버튼(32) 전,후면의 걸림턱(32a)을 버튼(32) 내측으로 눌러주면서 버튼(32)의 하부를 외부몸체(31)의 버튼홀(31a)로 삽입한다.
상기 버튼홀(31a)로 삽입된 버튼(32)의 하부면이 상기 스프링(33)을 압축시키게 되고 이에 버튼(32)을 상방으로 밀어내는 힘이 항상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32a)이 버튼홀(31a)의 입구를 지나는 위치까지 버튼(32)을 삽입하였다가 손을 놓으면 상기 스프링(33)의 반발력에 의해 버튼(32)이 상향되고, 이때 상기 절개편이 벌어지면서 걸림턱(32a)의 상면이 버튼홀(31a)의 테두리부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버튼(32)과 외부몸체(31)의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버튼(32)을 하방으로 눌러서 버튼(32)의 끈홀(32b)과 외부몸체(31)의 끈홀(31b)을 상호 일치시키고, 그 상태에서 끈(20)의 상부가닥(21)과 하부가닥(22)을 각각 끈홀(31b,32b)의 상부홀과 하부홀로 통과시켜 그 양단을 폴(10)의 손잡이(11) 상단에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끈(20)과 조임구(30)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10)에 설치된다.
상기 조임구(30)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는 버튼(32)을 하방으로 눌러 버튼(32)과 외부몸체(31)의 끈홀(31b,32b)의 위치를 일치시킴으로써 외부몸체(31)와 버튼(32) 사이에 끈(20)을 눌러 구속하는 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조임구(3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는 상기 버튼(32)을 놓음으로써 스프링(33)의 반발력에 의해 버튼(32)과 외부몸체(31)의 사이에 끈(20)이 끼어 구속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끈(20)이 길이방향을 따른 조임구(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끈(20)의 내부(조임구(30) 뒤쪽의 공간)로 손을 집어 넣고 조임구(30)를 끈(20)의 후단방향(손잡이(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끈(20)에서 손이 빠지지 않도록 끈(20)의 조임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키를 타거나 등산 중에 폴(10)을 완전히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우러 가기 위한 불편이 해소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끈(20)의 상부가닥(21)과 하부가닥(22)이 각각 끈홀(31b,32b)에 삽입되어 있다.
즉, 상부가닥(21)은 끈홀(31b,32b)의 상부홀들을 통과하고, 하부가닥(22)은 끈홀(31b,32b)의 하부홀들을 통과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32)을 누르고 조임구(3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버튼(32)을 놓으면, 상기 스프링(33)에 의해 버튼(32)이 상방으로 밀려올라가면서 상기 끈홀(31b,32b)이 상호 어긋남으로써 상부가닥(21)과 하부가닥(22)이 각각 독립적으로 외부몸체(31)와 버튼(32)의 사이에 끼이게 된다.
즉, 상부가닥(21)과 하부가닥(22) 각각의 상면과 하면 모두가 버튼(32)과 외부몸체(31)의 사이에 끼어 꺾이는 힘을 받기 때문에 조임구(30)에 의해 끈(20)에 작용하는 고정력의 크기가 크게 증가된다.
또한, 상부가닥(21)과 하부가닥(22)이 맞대어져 있지 않아서 버튼(32)과 외부몸체(31)의 사이에서 상하로 엇갈리는 힘을 받을 때 그 힘에 따라 보다 쉽게 상하방향으로 꺽여지며, 이에 고정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중 조임구(30)를 조여 둔 위치가 변동되지 않으므로 조임상태가 헐거워져서 끈(20)에서 사용자의 손이 빠지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상기 끈홀(31b,32b)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4의 (a)는 상기 끈홀(31b,32b)이 양측 단부는 하방으로 쳐지고 중간부분은 상방으로 올라간 전체적으로 완만히 굴곡진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이 경우, 끈(20)이 폭방향으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둥글게 변형된 상태에서 끈홀(31b,32b)이 상하방향으로 어긋나게 되면 끈(20)이 끈홀(31b,32b)로부터 더욱 빠지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한편, 도 4의 (b)와 같이 상기 끈홀(31b,32b)이 중간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된 직선 형태로 형성되면, 절곡부분과 동일한 각도로 끈(20)이 급격하게 꺽여진다.
상기와 같이 폭방향으로 꺾여진 부분이 버튼(32)과 외부몸체(31)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어긋나는 힘을 받으면 해당 부분에는 더욱 강력한 고정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c)에 도시된 끈홀(31b,32b)은 곡선이 반복적으로 굴곡 형성된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이 경우는 끈홀(31b,32b)이 비록 완만한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만곡되는 부분이 상하 반복적으로 복수 부분 존재하므로 버튼(32)과 외부몸체(31)가 상하방향으로 어긋날 때 힘을 많이 받게 되는 부분이 복수 개소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끈홀(31b,32b)의 형태도 강력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4의 (d)는 상기 끈홀(31b,32b)이 직선이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이 경우, 끈(20)의 폭방향으로 꺽이는 부분이 다수 곳 존재하고, 그 꺽임각도 또한 크므로 버튼(32)과 외부몸체(31)가 어긋날 때 강한 힘을 받는 부분이 많이 존재하여 강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굴곡(곡선형) 및 절곡(직선형) 형태로 끈홀(31b,32b)의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스키나 등산용 폴 뿐만 아니라 아웃도어용 각종 가방, 텐트, 의류, 모자 등에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 폴 11 : 손잡이
20 : 끈 21 : 상부가닥
22 : 하부가닥 30 : 조임구
31 : 외부몸체 31a : 버튼홀
31b : 끈홀 32 : 버튼
32a : 걸림턱 32b : 끈홀
33 : 스프링

Claims (6)

  1. 폴의 손잡이에 구비된 끈의 상부가닥과 하부가닥이 각각 관통되는 상부 및 하부 끈홀이 전, 후면에 형성되고, 상면에 버튼홀이 형성된 외부몸체와;
    상기 버튼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끈의 상부가닥과 하부가닥이 각각 관통되는 상부 및 하부 끈홀이 전, 후면에 형성된 버튼;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을 상방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전, 후면에 해당 면이 하단부가 평평한 ∪형상으로 절개되어 절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편의 하부에 상기 버튼홀의 테두리부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와 버튼의 끈홀은 양측 단부가 하방으로 쳐지고 중간부분은 상방으로 올라간 완만히 굴곡진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와 버튼의 끈홀은 중간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된 직선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와 버튼의 끈홀은 곡선이 반복적으로 굴곡 형성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와 버튼의 끈홀은 직선이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구.
KR1020100015272A 2010-02-19 2010-02-19 끈 조임구 KR101131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272A KR101131140B1 (ko) 2010-02-19 2010-02-19 끈 조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272A KR101131140B1 (ko) 2010-02-19 2010-02-19 끈 조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671A KR20110095671A (ko) 2011-08-25
KR101131140B1 true KR101131140B1 (ko) 2012-04-03

Family

ID=4493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272A KR101131140B1 (ko) 2010-02-19 2010-02-19 끈 조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011B1 (ko) 2019-09-26 2021-02-19 김정범 끈 길이 조절구 금형장치 및 이것에 의해 제조된 끈 길이 조절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0015B (zh) * 2018-09-21 2020-01-03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便于调整握把紧固程度的握力棒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597Y1 (ko) * 2000-12-26 2001-06-15 정성두 넥타이용 매듭구
KR200352168Y1 (ko) 2004-03-06 2004-06-04 배한만 온열 찜질 버선
JP3113999U (ja) * 2005-02-09 2005-09-22 和花子 土崎 ペット用ネ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597Y1 (ko) * 2000-12-26 2001-06-15 정성두 넥타이용 매듭구
KR200352168Y1 (ko) 2004-03-06 2004-06-04 배한만 온열 찜질 버선
JP3113999U (ja) * 2005-02-09 2005-09-22 和花子 土崎 ペット用ネ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011B1 (ko) 2019-09-26 2021-02-19 김정범 끈 길이 조절구 금형장치 및 이것에 의해 제조된 끈 길이 조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671A (ko)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704B2 (en) Locking device
JP3165024U (ja) コードロック組立体
US3965544A (en) Locking device with combined wedging and spring action
US20050066484A1 (en) Buckle
US9750310B2 (en) Releasable buckle
US20090178690A1 (en) Hair tie and ornament holder
TW201223476A (en) Cam lock buckle
CN110536621A (zh) 磁体钩
JP2014500125A (ja) ひもを接続する装置
JP2007500835A (ja) コードロック装置
CA2568382A1 (en) Buckle for connecting a wrist strap to the handgrip of a pole for use in sporting activities
US4656672A (en) Zipper necktie
KR101131140B1 (ko) 끈 조임구
US10299576B2 (en) Strap for retaining articles
KR101407950B1 (ko) 볼타입 케이블타이
US11388959B2 (en) Pet eye splice
US10470527B2 (en) Rope tail positioning fastener
GB2035440A (en) Draw-string fastener
RU2749522C2 (ru) Рукоятка палки
KR20120127168A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0457392Y1 (ko) 티자형걸림부가 형성된 스테인레스 케이블타이
TWM465041U (zh) 繩索扣
JP2005160687A (ja) サイドリリースタイプのバックル、および、リュックサック
JP3059856U (ja) ひも止め
KR200467400Y1 (ko) 끈 조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