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805Y1 -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805Y1
KR200481805Y1 KR2020160004795U KR20160004795U KR200481805Y1 KR 200481805 Y1 KR200481805 Y1 KR 200481805Y1 KR 2020160004795 U KR2020160004795 U KR 2020160004795U KR 20160004795 U KR20160004795 U KR 20160004795U KR 200481805 Y1 KR200481805 Y1 KR 200481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channel
support pieces
fixing
fasten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부
Priority to KR2020160004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 B65D2585/688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부품을 파레트에 적재 운반하는 과정에서 부품을 고정하여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고정폼을 찬넬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폼을 찬넬에 결합함에 있어, 별도의 결착수단이나 접착수단 없이 간편하게 찬넬과 고정폼의 긴밀한 결합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중 서로간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나아가 부품을 운반중에도 유동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견고한 부품 고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Mounting bracket for fixed foam car parts}
본 고안은 자동차 부품을 파레트에 적재 운반하는 과정에서 부품을 고정하여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고정폼을 찬넬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폼을 찬넬에 결합함에 있어, 견고하면서도 안정된 결합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통상 자동차 부품을 조립사에 납품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용 부품의 적재가 가능한 파레트를 이동하되, 그 파레트에 자동차용 부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그 파레트체로 납품하게 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해외로 수출되는 수출품은 완제품의 수출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으나, 때에 따라서는 녹다운(Knock Down) 수출 즉, 부품을 수출하여 현지공장에서 조립하여 완성된 제품을 판매하기도 한다. 이러한 녹다운 수출의 대표적인 예가 자동차 산업분야라 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녹다운 수출에 있어서 완성된 부품을 적재하여 운반하기 위해 그 부품을 박스형의 파레트에 적재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목재나 종이 또는 앵글을 이용하여 비닐랩, 못, 스태플, 볼트, 너트 등으로 조립된 일회용 파레트를 자동차 부품 전용 파레트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파레트에 적재되는 부품들은 상부 및 하부에서 별도의 완충재 역할을 수행하는 고정폼(EVA폼)을 이용하여 받침 및 상부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폼은 부품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그 고정폼 또한 지지력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인바, 별도의 금속재 찬넬에 고정폼을 결합한 상태로 파레트에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폼을 찬넬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그 찬넬과 고정폼이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된 특성상 볼팅 등의 조립이 불가하게 되는 것인바, 부득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수회에 걸쳐 감사 결착하여 결합하거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테이프를 이용한 결합방식은 외관상으로도 좋지 못하였으며, 특히 장기간 상용시 그 테이핑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이탈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방식은, 찬넬과 고정폼이 완전히 다른 성질을 이루고 있는 것인바, 그 접착성이 저하되었으며, 이에 따른 접착력의 저하로 사용중 서로 분리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4217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고정폼을 찬넬에 결합함에 있어, 별도의 결착수단이나 접착수단 없이 간편하게 찬넬과 고정폼의 긴밀한 결합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중 서로간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나아가 부품을 운반중에도 유동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견고한 부품 고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금속재로 구성되며, 단면상 바닥판과 상단에 내측으로 직각 절곡된 단턱을 이루는 한 쌍의 측판으로 된 찬넬에 EVA재로 된 자동차 부품 고정폼의 결합이 가능하게 하되,
찬넬의 저면에 밀착되는 바닥 지지편;
바닥 지지편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대항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편;
각각의 측면 지지편 상단에서 서로 대항되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상부 지지편; 및
각각의 상부 지지편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삼각돌기와 삼각홈이 연속 형성된 가압핀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은, 찬넬을 감싸면서 톱니형 가압핀을 이용하여 고정폼을 집어 가압 체결하게 됨으로, 별도의 결착수단이나 접착수단 없이도 간편하게 체결 결합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가압핀이 톱니 형태로 구성된 특성상 고정폼이 찬넬로부터 밀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완전 방지되는 등 고정폼의 간편하면서도 긴밀한 결합과 나아가 부품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부품의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의 찬넬에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의 고정폼 고정상태도.
도 8은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의 고정폼 고정상태도.
도 9는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1)은, 단면상 바닥판과 상단에 내측으로 절곡된 단턱을 이루는 한 쌍의 측판으로 된 찬넬에(도면중 미도시함) EVA재로 된 자동차 부품 고정폼의 결합이 가능하게 하되, 금속재로 구성되며, 바닥 지지편(100)과, 측면 지지편(200)(200')과, 상부 지지편(300)(300')과, 가압핀(400)(4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 지지편(100)은, 체결 브라켓(1)의 기초를 이루게 구성되며, 평판형 사각 판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찬넬(도면중 미도시함)의 바닥면에 밀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측면 지지편(200)(200')은,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되며, 바닥 지지편(100)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찬넬의 측면에 밀착 지지되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측면 지지편(200)(200')은, 바닥 지지편(100)으로부터 상부로갈수록 점차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측면 지지편(200)(200')을 구성함에 있어, 도 3을 참조하여 그 대항되는 내주면에 요철(210)이 더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요철(210)은 측면 지지편(200)(200')이 찬넬의 측판에 밀착 지지되는 과정에서 요철(210)의 가압력에 의해 그 미끄러짐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 지지편(300)(300')은,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되며, 각각의 측면 지지편(200)(200')의 상단에서 내측 즉, 서로 대항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구성된 것으로, 찬넬의 상부면 단턱부에 지지되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상부 지지편(300)(300')은, 측면 지지편(200)(200')으로부터 절곡되는 형태가 그 측면 지지편(200)(200')으로부터 직각 절곡되게 구성된다.
상기 가압핀(400)(400')은,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되며, 각각의 상부 지지편(300)(300') 단부에 연정되게 구성되며, 삼각돌기(410)와 삼각홈(410')이 연속하여 형성된 톱니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찬넬에 설치되는 고정폼을 집어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가압핀(400)(400')은, 상부 지지편(300)(300')으로부터 연장되는 형태가 그 상부 지지편(300)(300')으로부터 하방을 향하게 만곡한 곡률을 이루도록 절곡되면서 연장되게 구성된다.
한편, 가압핀(400)(400')을 구성함에 있어, 도 4의 도시와 같이 그 삼각돌기(410)의 중간부 양측에 고정폼으로 진입된 가압핀(400)(400')의 되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411)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411)는, 삼각돌기(410)의 외측에서 후방을 향하게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이루는 경사부(412)와, 그 경사부(412)의 후단에서 다시 전방으로 향하는 경사를 이루는 걸림부(413)로 구성된다.
한편, 바닥 지지편(100)을 구성함에 있어, 도 5를 참조하여 그 중앙에 하부로 절곡 함몰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는 보강부 삽입홈(11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1)을 이용하여 고정폼(20)을 찬넬(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찬넬(10)이 구비되되,
이때 찬넬(10)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고정폼 결합용 찬넬이 적용되되, 찬넬(10)은, 단면상 바닥판(11)과 상단에 내측으로 직각 절곡된 단턱(13)을 이루는 양측 한 쌍의 측판(12)(12')으로 구성되며, 양측 측판(12)(12')의 사이에는 고정폼(20)을 결합하기 위한 공간부(14)가 구성된다.
이에, 찬넬(10)에 고정폼(2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찬넬(10)의 공간부(14)에 고정폼(20)을 내입시키면 되는 것이며, 이후 그 찬넬(10)에는 체결 브라켓(1)을 가결합하면 된다.
이때 가결합되는 체결 브라켓(1)은, 찬넬(10)의 둘레를 감싸게 결합되되, 그 바닥 지지편(100)이 찬넬(10)의 바닥판(11)에 가밀착되고 그 양측의 측면 지지편(200)(200')이 찬넬(10)의 측판(12)(12')에 근접되게 하면 된다.
이후, 체결 브라켓(1)을 이용하여 고정폼(20)을 결합하되, 이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7 및 의 도시와 같이 양측의 측면 지지편(200)(200')에 별도의 압착기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외력을 가해 바닥 지지편(100)과 직각을 이루도록 구부리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바닥 지지편(100)은 찬넬(10)의 바닥면에 완전히 밀착 지지되고, 측면 지지편(200)(200')은 찬넬(10)의 각각의 측판(12)(12')에 밀착되어 지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측면 지지편(200)(200')이 절곡되게 되면 그 측면 지지편(200)(200')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상부 지지편(300)(300')은, 찬넬(10)의 측판(12)(12')과 직각을 이루는 단턱(13)에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 지지편(300)(300')이 찬넬(10)의 단턱(13)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그 상부 지지편(300)(300')에 연장 형성된 가압핀(400)(400')은 고정폼(20)의 측면을 가압 및 파고 들어가게 되는 것으로, 이는 가압핀(400)(400')의 삼각돌기(410)가 고정폼(20)의 측면을 파고들어 집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고정폼(20)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가압핀(400)(400')은, 상부 지지편(300(300')으로부터 하방을 향하게 만곡한 곡률 형성된 것인바, 이때 고정폼(20)을 파고 들어가는 가압핀(400)(400')은 최초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다가 내측으로 절곡되는 측면 지지편(200)(200')에 의해 더욱 하방을 향하는 가압력을 부여하며 파고들어 가게 되는 것인바, 고정폼(20)을 더욱 찬넬(10)에 가압 밀착시키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본 고안 체결 브라켓(1)을 이용하여 찬넬(10)에 고정폼(20)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결합되는 고정폼(20)은 별도의 결착수단이나 접착수단 없이 간편하게 결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고안 체결 브라켓(1)을 이용하여 고정폼(2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체결 브라켓(1)의 측면 지지편(200)(200')의 내주면에 요철(210)을 형성하게 되면, 그 요철(210)에 의해 측면 지지편(200)(200')이 찬넬(10)의 측판(12)(12')을 가압하게 되는 것인바, 찬넬(10)에 더욱 긴밀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고안 체결 브라켓(1)을 이용하여 고정폼(2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도 10의 도시와 같이 가압핀(400)(400')의 삼각돌기(410) 양측에 걸림돌기(411)를 더 형성하게 되면, 가압핀(400)(400')이 고정폼(20)으로 진입된 상태에서 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진입시에는 걸림돌기(411)의 경사부(412)에 의해 원활한 진입이 가능하게 되며, 경사부(412)가 진입된 상태에서는 고정폼(20)이 그 탄성에 의해 복원력이 부여되는 것인바, 그 복원력에 의해 후단의 걸림부(413)에 걸림 지지되게 되는 것으로, 가압핀(400)(400')의 되빠짐을 방지하며, 보다 긴밀한 결합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찬넬(10)을 사용함에 있어, 그 바닥판(11)에 보강부(11a) 하부로 돌출 형성된 찬넬(10)을 사용시에는, 도 5를 참조하여 바닥 지지편(100)에 보강부 삽입홈(110)이 형성된 체결 브라켓(1)을 적용함으로, 도 11의 도시와 같이 보강부 삽입홈(110)에 찬넬(10)의 보강부(11a)가 삽입되어 안정된 결합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은 찬넬과 고정폼의 결합을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그 결합력의 증대를 가져오게 되며, 이러한 결합력의 증대는 부품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고정품의 유동에 따른 부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자동차 부품의 운반중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100 : 바닥 지지편 110 : 보강부 삽입홈
200,200' : 측면 지지편 210 : 요철
300,300' : 상부 지지편
400,400' : 가압핀 410 : 삼각돌기
420 : 삼각홈 411 : 걸림돌기
412 : 경사부 413 : 걸림부

Claims (6)

  1. 금속재로 구성되며, 단면상 바닥판과 상단에 내측으로 직각 절곡된 단턱을 이루는 한 쌍의 측판으로 된 찬넬에 EVA재로 된 자동차 부품 고정폼의 결합이 가능하게 하되,
    찬넬의 저면에 밀착되는 바닥 지지편(100);
    바닥 지지편(100)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대항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편(200)(200');
    각각의 측면 지지편(200)(200') 상단에서 서로 대항되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상부 지지편(300)(300'); 및
    각각의 상부 지지편(300)(300')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삼각돌기(410)와 삼각홈(410')이 연속 형성된 톱니 형태를 이루는 가압핀(400)(40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 지지편(200)(200')은,
    상부로갈수록 점차 외측으로 벌어지지는 경사를 이루게 구성하며,
    각각의 상부 지지편(300)(300')은,
    측면 지지편(200)(200')의 상단에서 직각 절곡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압핀(400)(400')은,
    상부 지지편(300)(300')의 단부에서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절곡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
  4.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 지지편(200)(200')은,
    그 내주면에 요철(210)이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
  5.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압핀(400)(400')은,
    각각의 삼각돌기(410)의 중간부 양측에는 후방을 향하게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부(412)와, 그 경사부(412)의 후단에서 다시 전방으로 향하는 경사를 이루는 걸림부(413)로 된 걸림돌기(411)가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
  6. 제 1항에 있어서,
    바닥 지지편(100)에는,
    그 중앙에 하부로 절곡 함몰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는 보강부 삽입홈(11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되,
    바닥판에 하부로 돌출되는 보강부를 갖는 찬넬을 사용시 보강부가 보강부 삽입홈(110)에 삽입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
KR2020160004795U 2016-08-18 2016-08-18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 KR200481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795U KR200481805Y1 (ko) 2016-08-18 2016-08-18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795U KR200481805Y1 (ko) 2016-08-18 2016-08-18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805Y1 true KR200481805Y1 (ko) 2016-11-11

Family

ID=5748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795U KR200481805Y1 (ko) 2016-08-18 2016-08-18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8087A (ko) * 2019-09-30 2021-04-07 아진산업(주) 차량 부품 이송용 적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173Y1 (ko) 2003-11-12 2004-02-18 오세천 제품 포장용 완충재
KR20110091049A (ko) * 2010-02-05 2011-08-11 최영덕 파일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173Y1 (ko) 2003-11-12 2004-02-18 오세천 제품 포장용 완충재
KR20110091049A (ko) * 2010-02-05 2011-08-11 최영덕 파일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8087A (ko) * 2019-09-30 2021-04-07 아진산업(주) 차량 부품 이송용 적재장치
KR102275198B1 (ko) * 2019-09-30 2021-07-08 아진산업(주) 차량 부품 이송용 적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4173B2 (en) Spacer clip
US11279294B2 (en) Assemblies for supporting a load relative to a roof of a vehicle
US6769727B2 (en) Assemblage of two pieces of bodywork to be joined together edge to edge, and a piece of bodywork belonging to such an assemblage
KR20060046554A (ko) 밴드 클램프
US11884243B2 (en) Assemblies for supporting a load relative to a roof of a vehicle
US8424170B2 (en) Plastic hinged trim clip
KR200481805Y1 (ko)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
KR200488059Y1 (ko) 자동차용 루프박스 고정 구조체
US5787555A (en) Structure of tube clamp
KR101824861B1 (ko) 결합구조가 향상된 거푸집
KR19990013802A (ko) 가이드 레일 스플라이스
US20170313227A1 (en) Vehicle seat
KR101680364B1 (ko)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JP2010173412A (ja) 車両用内装材の取付構造
JP5199159B2 (ja) ベルト用プロファイル及びプロファイル付きベルト
JP3728843B2 (ja) 簡易組立式スチールボックス
CN113353471A (zh) 容器及其侧板
JP6230842B2 (ja) ディビジョンバーの取付構造
JP2011235950A (ja) 物品の締結具
EP1784342A1 (fr)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lements de fixation
KR200487529Y1 (ko) 차량 루프캐리어의 설치구조
KR102148269B1 (ko)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
JP3848590B2 (ja) 型枠用締付構造体
JP3809331B2 (ja) コンテナ用レール部材及びその固着方法
KR970006307Y1 (ko) 차량적재함용 파래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