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364B1 -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364B1
KR101680364B1 KR1020160105075A KR20160105075A KR101680364B1 KR 101680364 B1 KR101680364 B1 KR 101680364B1 KR 1020160105075 A KR1020160105075 A KR 1020160105075A KR 20160105075 A KR20160105075 A KR 20160105075A KR 101680364 B1 KR101680364 B1 KR 10168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ide wall
pallet
coupling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부
Priority to KR1020160105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을 적재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파레트의 이웃하는 측벽의 코너부를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형의 구현에 따른 재활용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되, 파레트에 부품을 적재 및 하차하는 과정에서의 편리함을 가져오며, 특히 간편한 무볼트식 조립 구조를 가지게 하여 그 분해 및 조립이 매우 편리하게 하며, 또한 조립된 상태에서의 체결력을 증대시켜 파레트의 견고함 확보와 이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안정된 적재 및 운반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Corner bracket for combining pallet walls for car parts}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을 적재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파레트의 이웃하는 측벽의 코너부를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형의 구현에 따른 재활용성의 향상을 가져오고, 파레트에 부품을 적재 및 하차시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며, 조립된 상태에서의 체결력의 증대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 부품을 조립사에 납품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용 부품의 적재가 가능한 파레트를 이동하되, 그 파레트에 자동차용 부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그 파레트체로 납품하게 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해외로 수출되는 수출품은 완제품의 수출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으나, 때에 따라서는 녹다운(Knock Down) 수출 즉, 부품을 수출하여 현지공장에서 조립하여 완성된 제품을 판매하기도 한다. 이러한 녹다운 수출의 대표적인 예가 자동차 산업분야라 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녹다운 수출에 있어서 완성된 부품을 적재하여 운반하기 위해 그 부품을 박스형의 파레트에 적재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목재나 종이 또는 앵글을 이용하여 비닐랩, 못, 스태플, 볼트, 너트 등으로 조립된 일회용 파레트를 자동차 부품 전용 파레트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파레트는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조립시 사용되는 각종 장비(예를 들어, 못총이나 에어툴 등)로 인한 소음 공해 및 안전사고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부품 적재현장에서 파레트 조립을 위해 각종 부재에 대한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파레트 조립이나 해체시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대량의 수출물량을 신속하게 처리하는데는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진국의 경우 목재 및 종이 파레트의 폐기비용을 요구하고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파레트는 일회용으로 현지에서 부품 취출 후 폐기처리하고 있어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또한 자원(파레트)의 재활용을 못하고 있으며, 기업의 비용부담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시급히 개선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립식 파레트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파레트는 바닥 기초를 이루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의 베이스판과 그 베이스판의 둘레를 마감하는 측벽으로 구성되며, 측벽이 절첩 구조를 이루고 있어, 전개 사용 및 사용후 접어 보관하게 되는 등 재활용이 가능한 파레트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파레트는 자동차 부품의 운반 및 재활용 면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나, 그 파레트에 부품을 적재 및 하차가 불편하였으며, 그 절첩과정 또한 복잡하여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3601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조립형의 구현에 따른 재활용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되, 파레트에 부품을 적재 및 하차하는 과정에서의 편리함을 가져오며, 특히 간편한 무볼트식 조립 구조를 가지게 하여 그 분해 및 조립이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조립된 상태에서의 체결력을 증대시켜 파레트의 견고함 확보와 이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안정된 적재 및 운반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사각 형태를 이루는 파레트의 대항되는 한 쌍의 고정측벽과 고정측벽의 양단을 개방측벽으로 연결 조립이 가능하게 하되,
베이스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측벽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제1 브라켓; 및
고정측벽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개폐가 가능한 개방측벽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제1 브라켓과 체결되어 고정측벽과 개방측벽을 결합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제1 브라켓은,
장방형 판체 형태로 구성되어 고정측벽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1 몸체와, 제1 몸체의 개방측벽측 단부에서 전방에 형성되며 제2 브라켓이 삽입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편 삽입홈을 갖는 탄력편과, 제1 몸체의 중간부에서 상,하로 돌출 연장되는 제1 날개부로 구성되며,
제2 브라켓은,
장방형 판체 형태로 구성되어 개방측벽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2 몸체와, 제2 몸체의 고정측벽측 단부에서 직각 절곡되어 탄력편에 결합되되 단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결합편과, 제2 몸체의 중간부에서 상,하로 돌출 연장되는 제2 날개부로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은, 이웃하는 측벽부가 조립식 구조를 이루고 있어 재활용이 매우 편리하며, 일측의 측벽부가 완전 개방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부품을 적재 및 하차시 매우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제1,2 브라켓이 무볼트식 조립 구조를 이루고 있어 파레트의 조립 및 분해가 매우 편리하면서도 작업 시간의 단축을 가져오는 등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2 브라켓들의 체결이 2중 체결 구조를 이루고 있어, 이웃하는 측벽부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체결력이 한층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의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을 이용한 결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의 설치상태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을 이용한 파레트의 부품 하차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1)은, 사각 형태를 이루는 파레트(도면중 미도시함)의 대항되는 한 쌍의 고정측벽과 고정측벽의 양단을 개방측벽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200)을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브라켓(100)은, 베이스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측벽의 단부, 바람직하게는 고정측벽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으로, 장방형 금속판체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제1 브라켓(100)은, 먼저 장방형 판체로 구성되어 고정측벽에 용접 형성되는 제1 몸체(1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1 몸체(110)의 개방측벽측 단부에는, 하기하는 제2 브라켓(200)과의 체결력이 부여되게 하는 결합편 삽입홈(121)을 갖는 탄력편(120)이 구성된다.
이때 탄력편(120)은, 제1 몸체(110)의 폭방향(도면중 상,하 방향)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대항되게 절곡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이에 각각에는 대항되는 "⊃"형 결합편 삽입홈(121)이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탄력편(120)의 대항되는 사이는, 이격되어 공간부(122)가 형성되는 것으로, 그 공간부(122)를 통한 분리로 탄력편(120)에 소정의 탄력이 부여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 몸체(110)의 중간부에서 상,하부에는 제1 날개부(150)가 상,하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제1 몸체(110)에는, 제1 날개부(150)가 형성되는 중간부가 절곡되어 전방으로 융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융출에 의해 제1 몸체(110)의 후방에는 캡 삽입홈(151)이 형성된다.
즉, 제1 브라켓(100)은, 제1 몸체(110)를 통해 고정측벽에 용접 형성되어 하기하는 제2 브라켓(200)과의 결합력이 부여 및 개방측벽의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 브라켓(200)은, 대항되는 한 쌍의 고정측벽의 단부에 연결되는 개방측벽 단부, 바람직하게는 개방측벽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으로, 장방형 금속판체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제2 브라켓(200)은, 먼저 장방형 판체로 구성되어 개방측벽에 용접 형성되는 제2 몸체(2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2 몸체(210)의 고정측벽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편 삽입홈(121)에 삽입 및 탄력편(120)과의 체결력에 의해 제1 브라켓(100)과 결합이 가능하게 하는 결합편(220)이 직각 절곡되게 구성된다.
이때 결합편(220)은, 그 단부에 전면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21)가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걸림돌기(221)는 탄력편(120)과 결합시 결합편 삽입홈(121)에 진입되는 과정에서 그 탄력편(120)에 벌어지는 탄력을 부여하는 한편, 완전한 진입시 탄력편(120)에 탄력 복원력이 작용하여 걸림돌기(221)가 탄력편(120)의 단부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2 몸체(210)의 중간부에서 상,하부에는 제2 날개부(250)가 상,하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제2 몸체(210)에는, 제2 날개부(250)가 형성되는 중간부가 절곡되어 전방으로 융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융출에 의해 제2 몸체(210)의 후방에는 캡 삽입홈(251)이 형성된다.
즉, 제2 브라켓(200)은, 제2 몸체(210)를 통해 개방측벽에 용접 형성되어 상기 제1 브라켓(100)과의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제1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200)의 체결력을 부여함에 있어, 탄력편(120)과 결합편(220)의 걸림 체결력 이외에 또 다른 체결력 부여에 따른 체결력이 증대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제1 브라켓(100)의 제1 몸체(110)에는 탄력편(120)과 이격되는 폭방향 중앙 전면에는 반구 형태를 이루는 결합돌기(130)가 더 돌출되게 구성된다.
또한 제2 브라켓(200)의 결합편(220)에는, 그 폭방향 중앙에 결합편(220)이 탄력편(12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돌기(130)가 삽입되는 결합공(230)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공(230)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그 결합공(230)이 결합편(220)의 단부로 개방 가능하도록 중앙에 가이드홈(231)이 더 포함되게 구성되되, 이때 가이드홈(231)은 결합돌기(130)와 결합공(230)의 직경보다는 좁은 폭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가이드홈(231)은 결합돌기(130)가 결합공(230)에 진입되는 과정에서 진입을 가이드하게 되며, 결합편(220)에 소정의 탄력이 부여되게 하여 원활한 진입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제1,2 브라켓(100)(200)의 결합은, 탄력편(120)을 통한 결합편(220)의 가압에 따른 체결과, 결합공(230)과 결합돌기(130)의 끼움 결합에 따른 체결력이 동시에 부여되는 것인바, 제1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200)의 긴밀하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만일에 상기 결합공(230)과 결합돌기(130)의 결합력의 해제시 결합편(220)의 걸림돌기(221)를 통한 탄력편(120)의 걸림 지지력이 부여되어 분리가 방지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통상의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10)는, 도 4를 참조하여 부품의 안치가 가능한 베이스판(11)의 대항되는 면(도면상 일측만 도시함)는 별도의 고정수단(도면중 미도시함)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측벽(12)과, 그 고정측벽(12)의 단부를 연결 마감하는 한 쌍의 개방측벽(13)이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1)은, 상기 고정측벽(12)과 개방측벽(13)을 연결 결합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제1 브라켓(100)은, 고정측벽(12)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제1 몸체(110)를 통해 고정측벽(12)에 용접 결합되며, 결합시에는 단부의 탄력편(120)이 개방측벽(13) 측에 위치되게 하면 된다.
또한 제2 브라켓(200)은, 개방측벽(13)의 길이방향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제2 몸체(210)를 통해 개방측벽(13)에 용접 결합되며, 결합시에는 단부의 결합편(220)이 고정측벽(12) 측에 위치되게 하면 된다.
이때 상기 제1,2 브라켓(100)(200)은, 도면중에는 상부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고정측벽(12) 및 개방측벽(13)의 상,하부 양단에 각각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2 브라켓(100)(200)을 이용하여 고정측벽(12)과 개방측벽(13)을 연결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먼저 도 5의 도시와 같이 개방측벽(13)의 단부에 형성된 제2 브라켓(200)을 고정측벽(12)의 단부에 형성된 제1 브라켓(100)에 체결함으로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브라켓(200)의 결합은 결합편(220)을 이용하여 결합하되, 그 결합편(220)이 제1 브라켓(100)의 결합편 삽입홈(12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외력을 가해 밀게 되면 결합편(220)은 결합편 삽입홈(121)으로 진입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결합편(220)의 진입시 탄력편(120)에는 걸림돌기(221)에 의해 소정의 벌어지는 탄력이 부여되어 결합편(220)의 진입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결합편(220)이 완전히 진입되어 걸림돌기(221)가 결합편 삽입홈(121)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탄력편(120)에는 탄력 복원력이 작용하여 결합편(220)을 구속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탄력편(120)의 가압 체결력 이외에 또 다른 체결력이 부여되는 것으로, 이는 결합편(220)에는 가이드홈(231)을 갖는 결합공(230)이 형성되고 제1 몸체(110)에는 반구형 결합돌기(130)가 구성된 것인바, 결합편(220)이 진입되는 과정에서 결합돌기(130)가 가이드홈(231)을 통해 결합공(230)에 진입되어 체결되게 된다.
이때 가이드홈(231)은, 결합돌기(130) 및 결합공(230) 보다는 작은 폭을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결합돌기(130)가 가이드홈(231)에 진입되는 과정에서 결합편(220)에 소정의 탄력을 부여하여 벌어지게 하며, 그 결합돌기(130)가 완전히 결합공(230)에 진입시 그 결합편(220)에 탄력 복원력이 부여되어 결합돌기(130)가 결합공(230)에 완전 구속되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 코너 브라켓(1)을 이용하여 파레트(10)의 고정측벽(12) 및 개방측벽(13)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결합은 볼트 등을 이용한 결합이 아닌 무볼트식 결합이 가능한 것인바, 그 결합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이중 체결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견고한 체결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2 브라켓(100)(200)이 결합된 과정에서 외력이 부여되어 결합돌기(130)와 결합공(230)의 체결력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인바, 이때에는 결합편(220)이 탄력편(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서 그 걸림돌기(221)가 탄력편(120)의 후단에 걸림 지지되어 제1,2 브라켓(100)(200)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측벽(12)과 개방측벽(13)의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베이스판(11)의 상부 즉 적재공간이 고정측벽(12)들의 사이로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그 개방부를 통해 자동차 부품을 진입 적재한 상태에서 결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제1 몸체(110)의 제1 날개부(150)와, 제2 몸체(210)의 제2 날개부(250)의 상,하부는 각각 돌출된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이러한 제1,2 날개부(150)(250)는, 제1,2 몸체(110)(210)을 고정측벽(12) 및 개방측벽(13)의 프레임에 결합시 그 제1,2 날개부(150)(250)의 후방에는 각각 캡 삽입홈(151)(251)이 형성되게 되는 것인바, 이때 캡 삽입홈(151)(251)에는, 도 6을 참조하여 별도의 직각 구조를 이루는 마감캡(30) 등을 끼워 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 사용되는 파레트(10)는, 운반되어 자동차 부품을 하차하는 과정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조립의 역순으로 개방측벽(13)을 고정측벽(1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되, 제1 브라켓(100)으로부터 제2 브라켓(200)을 분리함으로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적재시와 같이 양측 고정측벽(12) 사이의 완전한 개방이 가능하여 부품의 하차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1 브라켓(100)으로부터 제2 브라켓(20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탄력편(120)의 후단에 걸림되는 결합편(220)의 걸림돌기(221)는 외력을 가해 강제적으로 탄력편(120)을 벌려 그 탄력편(120)으로부터 이탈시키면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은, 파레트를 사용함에 있어 그 조립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게 되면서도, 자동차 부품을 적재 및 하차 하는 과정에서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되는 등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100 : 제1 브라켓 110 : 제1 몸체
120 : 탄력편 121 : 결합편 삽입홈
122 : 공간부 130 : 결합돌기
150 : 제1 날개부 151 : 캡 삽입홈
200 : 제2 브라켓 210 : 제2 몸체
220 : 결합편 221 : 걸림돌기
230 : 결합공 231 : 가이드홈
250 : 제2 날개부 251 : 캡 삽입홈

Claims (5)

  1. 사각 형태를 이루는 파레트의 대항되는 한 쌍의 고정측벽과 고정측벽의 양단을 개방측벽으로 연결 조립이 가능하게 하되,
    베이스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측벽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제1 브라켓(100); 및
    고정측벽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개폐가 가능한 개방측벽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제1 브라켓(100)과 체결되어 고정측벽과 개방측벽을 결합하는 제2 브라켓(2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제1 브라켓(100)은,
    장방형 판체 형태로 구성되어 고정측벽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1 몸체(110)와, 제1 몸체(110)의 개방측벽측 단부에서 전방에 형성되며 제2 브라켓(200)이 삽입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편 삽입홈(121)을 갖는 탄력편(120)과, 제1 몸체(110)의 중간부에서 상,하로 돌출 연장되는 제1 날개부(150)로 구성되며,
    제2 브라켓(200)은,
    장방형 판체 형태로 구성되어 개방측벽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2 몸체(210)와, 제2 몸체(210)의 고정측벽측 단부에서 직각 절곡되어 탄력편(120)에 결합되되 단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21)가 형성된 결합편(220)과, 제2 몸체(210)의 중간부에서 상,하로 돌출 연장되는 제2 날개부(25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브라켓(100) 탄력편(120)은,
    제1 몸체(110)의 폭방향 상,하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대항되는 "⊃"형 결합편 삽입홈(121)을 이루는 상,하 한 쌍으로 구성하되,
    대항되는 사이에는 공간부(122)가 형성되어 탄력편(120)의 탄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제1 브라켓(100)의 제1 몸체(110)에는,
    탄력편(120)과 이격되는 중앙에 반구 형태의 결합돌기(130)가 돌출되게 구성하고,
    제2 브라켓(200)의 결합편(220)에는,
    결합돌기(130)가 체결되는 결합공(230)이 관통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4. 제 3항에 있어서,
    결합편(220)에는,
    그 중앙에 결합공(230)이 외측으로 개방되어 결합돌기(13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홈(23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가이드홈(231)은,
    결합돌기(130)와 결합공(230)의 직경보다 좁은 폭을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5. 제 1항에 있어서,
    제1 몸체(110)의 제1 날개부(150)가 형성되는 중간부와, 제2 몸체(210)의 제2 날개부(250)가 형성되는 중간부는 절곡되어 전방으로 융출되게 구성하되,
    각각의 후방에는 상,하로 연통되는 공간 형태의 캡 삽입홈(151)(251)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KR1020160105075A 2016-08-18 2016-08-18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KR101680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075A KR101680364B1 (ko) 2016-08-18 2016-08-18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075A KR101680364B1 (ko) 2016-08-18 2016-08-18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364B1 true KR101680364B1 (ko) 2016-11-28

Family

ID=5770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075A KR101680364B1 (ko) 2016-08-18 2016-08-18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3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80B1 (ko) * 2017-09-28 2018-07-06 공민제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
KR20210145965A (ko) * 2020-05-26 2021-12-03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2001B2 (ja) 1992-01-29 1998-12-2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具
JP3294556B2 (ja) 1998-09-01 2002-06-24 株式会社山口紙器工業所 組立式コンテナ
JP5207176B2 (ja) 2008-05-28 2013-06-12 セフトグリー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ボックスパレット
KR101384458B1 (ko) 2013-03-06 2014-04-10 주식회사 기성 조립식 파레트의 측벽 고정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2001B2 (ja) 1992-01-29 1998-12-2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具
JP3294556B2 (ja) 1998-09-01 2002-06-24 株式会社山口紙器工業所 組立式コンテナ
JP5207176B2 (ja) 2008-05-28 2013-06-12 セフトグリー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ボックスパレット
KR101384458B1 (ko) 2013-03-06 2014-04-10 주식회사 기성 조립식 파레트의 측벽 고정 클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80B1 (ko) * 2017-09-28 2018-07-06 공민제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
KR20210145965A (ko) * 2020-05-26 2021-12-03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KR102361625B1 (ko) 2020-05-26 2022-02-09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2084B2 (en) System for fastening a door module to a car door
KR100828421B1 (ko) 조립식 파렛트
US20070200393A1 (en) Interlocking joint for a wall or door of a trailer
KR101680364B1 (ko)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CN101421524B (zh) 物品安装工具
US8696014B2 (en) Push cart with expandable load-carrying area
CA2684209C (en) Plastic hinged trim clip
CN107618468B (zh) 车载装置固定结构和用于固定车载装置的结构
JPH08268344A (ja) トラック等車両荷台の床パネルの連結装置
KR200453951Y1 (ko) 부품 고정구를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 보관 및 운반용 파레트
WO2016190070A1 (ja) 組立式収納庫
KR102320924B1 (ko)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설치 브라켓
KR200400241Y1 (ko) 안전하게 적층가능하고 강도보강된 철재 포장박스
KR200333232Y1 (ko) 자동차 부품용 접철식 파렛트
KR100673270B1 (ko) 자동차 부품용 접철식 파렛트
KR200341573Y1 (ko) 자동차 부품용 접철식 파렛트
KR200181748Y1 (ko) 자동차의 범퍼 커버 측면 결합용 고정부재
CN216642892U (zh) 卡钳罩
KR102369903B1 (ko)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제1프레임부재
KR101339138B1 (ko) 화물차 적재함용 바닥판
KR200480910Y1 (ko) 접철식 정지표시판용 케이스
US20240157774A1 (en) Tonneau cover system
KR200385107Y1 (ko) 이동식 도크
JP2510550Y2 (ja) 貨物自動車用煽におけるパネル材接合構造
JP2729906B2 (ja) 車両の荷台用壁等におけるパネルの結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