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625B1 - 조립식 파레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625B1
KR102361625B1 KR1020200062849A KR20200062849A KR102361625B1 KR 102361625 B1 KR102361625 B1 KR 102361625B1 KR 1020200062849 A KR1020200062849 A KR 1020200062849A KR 20200062849 A KR20200062849 A KR 20200062849A KR 102361625 B1 KR102361625 B1 KR 102361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ngitudinal
transverse
pl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965A (ko
Inventor
길효근
Original Assignee
길효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효근 filed Critical 길효근
Priority to KR1020200062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6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5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트프레임에 종방향프레임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종방향프레임 및 횡방향프레임의 맞댐부위에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고, 또한 종방향 및 횡방향프레임의 맞댐부위에 덮개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재와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플레이트를 서로 연결 고정토록 하여 종방향 프레임과 횡방향프레임 그리고 포스트프레임을 서로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조립식 파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파레트{The assembly type pallet}
본 발명은 조립식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트프레임에 종방향프레임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종방향프레임 및 횡방향프레임의 맞댐부위에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고, 또한 종방향 및 횡방향프레임의 맞댐부위에 클램프의 덮개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재와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플레이트를 서로 연결 고정토록 조립식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파레트는 다수의 물품들을 적재시켜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파레트의 종류로는 그 형태에 따라 플래이트타입과, 박스타입으로 나뉘어진다.
전자인 플레이트타입 파레트는 측벽을 사용치 않고 바닥프레임상에 부품을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플레이트타입 파렛트는 대형부품 특히 반제품형태로 제작된 차량을 적재하기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것이다.
후자인 박스타입 파레트는 다수개의 바닥프레임 상단에 수직으로 각각 세워지며 파레트의 네면을 이루게 되는 측벽들로 구성하여 소형부품을 적재하기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박스타입의 파레트는 측벽에 의해 파레트의 부피가 증가함으로서 플레이트타입의 파레트에 비해 보관이나 운반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키는 단점이 있다.
박스타입 파레트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276232 호(명칭: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으로 설치된 전방 고정대와 후방 고정대의 중앙으로 포스트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된 중간대에는 상기 포스트가 끼워질 수 있는 포스트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으로 설치된 측면 고정대 상면으로 걸림홈이 형성된 수직판과 끝 부분에 구멍이 형성된 수평판을 구비하는 제1 고정체가 부착되고, 상기 양측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수직판과 끝에 돌출편이 형성된 세로판이 구비되는 제2 고정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클램프는 단순히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맞대여지는 곳의 외면을 덮어주는 것으로 전, 후방프레임을 서로 연결 고정하게 되는 데, 이러한 연결 구조는 운반이나 혹은 파레트의 다단 적재시, 클램프의 취약한 내구성으로 인해 연결이 해지되어버려 전, 후방프레임이 넘어져 적재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선행기술의 클램프의 경우 평면상에서 봤을 때, "▽" 형상을 가지는 데, 이는 파레트에 적재품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클램프에 적재품이 부딪쳐 적재과정에서 간섭을 발생시켜 작업을 번거롭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000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276232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스트프레임과 종방향프레임 및 횡방향프레임을 보다 견고하게 연결 고정하여 내구성 향상 및 적재품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파레트의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립식 파레트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외곽 모서리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포스트프레임,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상면이 끼워지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 우측벽을 구성하며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지지되는 종방향 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 후방측벽을 구성하는 횡방향 프레임 및 상기 횡방향프레임과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맞댐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종방향프레임과 상기 횡방향프레임 그리고 포스트프레임을 연결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단면 형태로 하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종방향프레임의 단부 외면을 감싸는 종방향 커버, 상기 종방향 커버의 일측에 직각으로 밴딩 연장 형성되며 ∩"단면 형태로 하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횡방향프레임의 단부 외면을 감싸는 횡방향 커버로 구성한 덮개부재와,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단부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제 1플레이트, 상기 제 1플레이트의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며 중앙으로는 구멍이 관통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단부에 맞대여지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 2플레이트로 구성한 종방향 연결플레이트, 상기 횡방향 프레임의 단부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용접되며 그 일면에는 상기 제 2플레이트의 구멍을 관통하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종방향 연결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횡방향 연결플레이트로 구성하며, 상기 돌기의 중앙에는 체결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구멍과 연결하여 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재의 횡방향 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의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돌기의 체결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횡방향프레임을 상기 종방향 프레임에 걸림 고정시키는 핀이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스트프레임에 종방향프레임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종방향프레임 및 횡방향프레임의 맞댐부위에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고, 또한 종방향 및 횡방향프레임의 맞댐부위에 덮개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재와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플레이트를 서로 연결 고정토록 하여 종방향 프레임과 횡방향프레임 그리고 포스트프레임을 서로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파레트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종방향 및 횡방향프레임의 맞댄부위에 연결되는 클램프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클램프 조립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클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파레트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종방향 및 횡방향프레임의 맞댄부위에 연결되는 클램프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클램프 조립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클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조립식 파레트(100)는 베이스프레임(10), 종방향 및 횡방향 프레임(20, 30), 포스트프레임(40) 그리고 클램프(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파레트(100)의 바닥을 이루는 프레임이다.
상기 종방향 프레임(20)은 조립식 파레트(100)의 네 벽면중에서 좌, 우측벽을 이루는 프레임이다.
하나의 종방향 프레임(20)의 구조를 기술하면 상기 종방향 프레임(20)은 "∩"단면 구조로 내부에는 공간(22)이 형성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종방향 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좌측 상면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사선바(26)가 더 설치된다. 상기 사선바(26)는 상기 종방향 프레임(20) 및 베이스프레임(10) 사이 공간으로 베이스프레임(10)에 적재되어 있는 적재품인 박스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한다.
상기 횡방향 프레임(30)은 조립식 파레트의 네 벽면중에서 전, 후방측벽을 이루는 프레임이다.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30)의 구조를 기술하면 상기 횡방향 프레임(30)은 "∩"단면 구조로 내부에는 공간(32)이 형성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횡방향 프레임(3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 상면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사선바(36)가 더 설치되며, 상기 사선바(36) 역시 전술한 종방향 프레임(20)의 사선바(26)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에 적재되어 있는 적재품인 박스가 횡방향프레임(30)과 베이스프레임(10)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한다.
상기 포스트프레임(40)은 상기 종방향프레임(20)의 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종방향프레임 및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단부에 맞대여지는 횡방향 프레임을 클램프로 연결하여 종방향은 물론 횡방향프레임까지 함께 지지하며 파레트에 적재되어 있는 박스에 밀려 종방향 프레임 및 횡방향 프레임이 밀려 넘어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또한 상기 포스트프레임(40)은 파레트의 네모서리에서 기둥 역할을 수행하며 종방향 프레임(20) 및 횡방향 프레임(30)과 베이스프레임(10) 사이로 박스가 빠져나갈 만한 공간을 최소화시켜 파레트(100)에 적재되어 있는 박스가 운반 과정에서 흔들림 등으로 인해 외부로 빠져나와 적재품이 파손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100)는 종방향 프레임 및 횡방향프레임(30)의 맞댐 부위에 설치되어, 포스트프레임(40)에 지지되어 지는 종방향 프레임(20)에 횡방향프레임(30)을 연결 고정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클램프(100)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종방향 프레임(20) 및 횡방향프레임(30)이 서로 맞대여지는 곳에 모두 설치되어 지는 바, 하기에서는 하나의 클램프 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한다.
상기 클램프(100)는 덮개부재(50)와,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플레이트(70, 80)로 구성한다.
상기 덮개부재(50)는 평면상에서 "ㄱ"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종방향커버(52)가 구비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종방향 커버(52)의 일단에 수직으로 밴딩된 상태로 횡방향커버(56)가 일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종방향커버(52)는 "∩"단면 형태로 하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수용공간(54)이 마련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종방향커버(52)의 수용공간(54)에는 전술한 포스트프레임(40)에 끼워져 있는 종방향프레임(20)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종방향프레임(20)의 단부 외면을 상기 종방향커버(52)가 포위하며 감싸게 된다.
상기 횡방향커버(56)는 "∩"단면 형태로 하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수용공간(58)이 마련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횡방향커버(56)의 수용공간(58)에는 종방향프레임(20)의 단부에 직각되게 맞대여지는 횡방향프레임(30)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횡방향프레임(30)의 단부 외면을 횡방향커버가 포위하며 감싸게 된다.
상기 횡방향커버(56)의 내면에는 핀(60)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핀(60)은 횡방향프레임(30)의 상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구멍(38)을 통과하여 후술하는 횡방향 연결플레이트(80)의 돌기(82)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84)에 끼워지며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플레이트(70, 80)를 통해 종방향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는 횡방향프레임(30)을 종방향 프레임(20)에 걸림 고정시키게 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종방향 연결플레이트(70)는 평면상에서 "ㄱ"형상으로 절곡 구성된 플레이트로서, 상기 종방향프레임(20)의 단부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제 1플레이트(72), 상기 제 1플레이트(72)의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 구성되며 상기 종방향프레임(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 2플레이트(74)로 구성한다.
상기 제 2플레이트(74)는 종방향프레임(20)의 단부에 횡방향프레임(30)이 맞대여지면, 상기 횡방향프레임(30)의 내부 공간(32)으로 삽입되어 진다.
상기 제 2플레이트(74)에는 중앙으로 구멍(76)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구멍(76)으로는 횡방향 연결플레이트(80)의 돌기(82)가 통과하며 횡방향 연결플레이트(80)와 종방향 연결플레이트(70)를 서로 연결 고정하게 된다.
상기 횡방향 연결플레이트(80)는 횡방향 프레임(30)의 단부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용접 결합된다.
상기 횡방향 연결플레이트(80)의 내면에는 돌기(8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기(82)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30)의 내부 공간(32)으로 전술한 종방향 연결플레이트(70)의 제 2플레이트(74)가 삽입되고 나면, 상기 제 2플레이트(74)의 구멍(76)을 관통하며 횡방향 연결플레이트(80)를 종방향 연결플레이트(70)에 연결 구성하게 된다.
상기 횡방향 연결플레이트(80)의 돌기(82)에는 체결구멍(8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멍(84)에는 전술한 덮개부재(50)의 횡방향 커버(56)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핀(60)이 끼워지며 횡방향 연결플레이트(80)를 종방향 연결플레이트(70)에 걸림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덮개부재(50)는 평면상으로 삼각 구조가 아니라, 종방향커버(52) 및 횡방향 커버(54)로 이루어진 "ㄱ"형상을 가지게 되는 데, 이는 종방향프레임(20) 및 횡방향프레임(30)의 단부에 상기 덮개부재(50)로 결합이 이루어지더라도 파레트(100)의 내부 공간 모서리쪽은 덮개부재(5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하여 파레트(100)로 박스를 적재하는 과정에서 클램프(50)에 박스가 간섭되어 적재시의 불편함과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를 이용하여 조립식 파레트를 설치하는 과정을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베이스프레임(10)의 외곽 모서리를 따라 포스트 프레임(40)을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프레임(40)을 종방향프레임(20)의 내부 공간(22)에 수용한 상태로 용접하여 포스트프레임(40)에 종방향 프레임(20)을 지지하도록 한다.
다음, 종방향 프레임(20)의 단부 내측면에 종방향 연결플레이트(70)의 제 1플레이트(72)를 밀착시킨 상태로 용접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종방향 프레임(20)의 단부에 맞대여지는 횡방향프레임(30)의 단부 내측면에는 횡방향 연결플레이트(80)를 밀착시킨 상태로 용접 결합하고, 이어서 종방향 연결플레이트(70)의 제 2플레이트(76)를 상기 횡방향 프레임(30)의 내부 공간(32)으로 진입시킨 다음, 횡방향 연결플레이트(80)의 돌기(82)를 상기 제 2플레이트(74)의 구멍(76)에 관통시켜 횡방향프레임(30)을 포스트프레임(40)에 연결되어 있는 종방향프레임(20)에 연결 지지시키게 된다.
다음, 클램프(100)의 덮개부재(50)를 이용하여 종방향프레임(20) 및 횡방향프레임(30)의 맞댐 부위 외면을 덮어 씌우면 클램프(100)를 구성하는 종방향 커버(52)는 종방향 프레임(20)을 감싸게 되고, 또한 클램프(100)를 구성하는 횡방향 커버(56)는 횡방향 프레임(30)을 감싸게 된다.
이어서, 횡방향 커버(56)에 마련되어 있는 핀(60)은 횡방향 프레임(30)의 구멍(38)을 통과한 후, 전술한 횡방향 연결플레이트(80)의 돌기(82)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84)에 끼워지며 횡방향 연결플레이트(80)를 종방향 연결플레이트(70)에 걸림 고정시켜 종, 횡방향프레임(20, 30)과 포스트프레임(40)을 서로 견밀히 연결 고정하게 된다.
10: 베이스프레임 20: 종방향 프레임
30: 횡방향 프레임 38: 구멍
40: 포스트프레임
50: 덮개부재 52: 종방향커버
56: 횡방향커버 60: 핀
70; 종방향 연결플레이트 72: 제 1플레이트
74: 제 2플레이트 76: 구멍
80: 횡방향 연결플레이트 82: 돌기

Claims (1)

  1. 조립식 파레트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외곽 모서리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포스트프레임(40);
    상기 포스트프레임(40)의 상면이 끼워지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좌, 우측벽을 구성하며 상기 포스트프레임(40)에 지지되는 종방향 프레임(2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전, 후방측벽을 구성하는 횡방향 프레임(30) 및 ;
    상기 횡방향프레임(30)과 상기 종방향 프레임(20)의 맞댐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종방향프레임(20)과 상기 횡방향프레임(30) 그리고 포스트프레임(40)을 서로 연결 지지하는 클램프(100)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100)는;
    ∩"단면 형태로 하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수용공간(54)이 마련되며 상기 종방향프레임(20)의 단부 외면을 감싸는 종방향 커버(52);
    상기 종방향 커버(52)의 일측에 직각으로 밴딩 연장 형성되며 ∩"단면 형태로 하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수용공간(58)이 마련되며 상기 횡방향프레임(30)의 단부 외면을 감싸는 횡방향 커버(56)로 구성한 덮개부재(50)와;
    상기 종방향 프레임(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내부공간(22)의 내측면 단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제 1플레이트(72);
    상기 제 1플레이트(72)의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며 중앙으로는 구멍(76)이 관통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종방향 프레임(20)의 단부에 맞대여지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30)의 내부 공간(32)으로 삽입되는 제 2플레이트(74)로 구성한 종방향 연결플레이트(70);
    상기 횡방향 프레임(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내부 공간(32)의 내측면 단부에 밀착된 상태로 용접되며 그 일면에는 상기 제 2플레이트(74)의 구멍(76)을 관통하는 돌기(8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종방향 연결플레이트(70)에 연결되는 횡방향 연결플레이트(80)로 구성하며;
    상기 돌기(82)의 중앙에는 체결구멍(8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 프레임(30)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구멍(84)과 연결하여 통하는 구멍(38)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재(50)의 횡방향 커버(56)의 내면에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30)의 구멍(38)을 통과하여 상기 돌기(82)의 체결구멍(84)에 삽입되며 상기 횡방향프레임(30)을 상기 종방향 프레임(20)에 걸림 고정시키는 핀(60)이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레트.
KR1020200062849A 2020-05-26 2020-05-26 조립식 파레트 KR102361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849A KR102361625B1 (ko) 2020-05-26 2020-05-26 조립식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849A KR102361625B1 (ko) 2020-05-26 2020-05-26 조립식 파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965A KR20210145965A (ko) 2021-12-03
KR102361625B1 true KR102361625B1 (ko) 2022-02-09

Family

ID=7886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849A KR102361625B1 (ko) 2020-05-26 2020-05-26 조립식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6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042Y1 (ko) 2000-06-30 2001-01-15 주식회사기성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KR100799969B1 (ko) 2006-12-14 2008-01-31 주식회사 기성 접철식 파렛트의 종간대 및 횡간대 고정 클램프
KR101384458B1 (ko) 2013-03-06 2014-04-10 주식회사 기성 조립식 파레트의 측벽 고정 클램프
KR101680364B1 (ko) 2016-08-18 2016-11-28 주식회사 삼부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KR102086964B1 (ko) 2019-08-28 2020-05-29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232Y1 (ko) 2002-03-06 2002-05-18 주식회사 기성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042Y1 (ko) 2000-06-30 2001-01-15 주식회사기성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KR100799969B1 (ko) 2006-12-14 2008-01-31 주식회사 기성 접철식 파렛트의 종간대 및 횡간대 고정 클램프
KR101384458B1 (ko) 2013-03-06 2014-04-10 주식회사 기성 조립식 파레트의 측벽 고정 클램프
KR101680364B1 (ko) 2016-08-18 2016-11-28 주식회사 삼부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KR102086964B1 (ko) 2019-08-28 2020-05-29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965A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5821A (en) Support base for an electrical cabinet or similar and cabinet equipped with such a support base
JPWO2005028321A1 (ja) 物品収納ケース
KR102086963B1 (ko) 조립식 파레트
KR101384458B1 (ko) 조립식 파레트의 측벽 고정 클램프
KR102361625B1 (ko) 조립식 파레트
KR100790343B1 (ko) 접철식 파렛트
KR101472205B1 (ko) 조립식 파레트의 측벽과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라켓
KR102086964B1 (ko) 조립식 파레트
JP3155486U (ja) パレットサポートの組立具
KR100717693B1 (ko) 포장박스용 프레임 구조
KR102593174B1 (ko) 조립식 파레트의 적층 이탈 방지용 스토퍼 부재
KR20210145950A (ko)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KR102593173B1 (ko)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KR20140109583A (ko) 조립식 파레트의 측벽 서포트 고정 클램프
KR20210145937A (ko) 조립식 파레트의 수직바 지지 브라켓
JP6285723B2 (ja) 建物の外壁用フレームの積載方法及び建物の製造方法
KR20100084359A (ko) 조립식 스틸박스
KR200453055Y1 (ko) 스틸박스
KR200426128Y1 (ko) 접철식 파렛트
KR101425162B1 (ko) 조립식 컨테이너
KR200399814Y1 (ko) 파레트 적재용 브라켓
JP2009102055A (ja) 組立式コンテナ
KR20240029819A (ko) 조립식 파레트
JP3211035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KR102328833B1 (ko) 조립식 파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