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232Y1 -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 Google Patents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232Y1
KR200276232Y1 KR2020020006479U KR20020006479U KR200276232Y1 KR 200276232 Y1 KR200276232 Y1 KR 200276232Y1 KR 2020020006479 U KR2020020006479 U KR 2020020006479U KR 20020006479 U KR20020006479 U KR 20020006479U KR 200276232 Y1 KR200276232 Y1 KR 200276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st
pallet
base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성
Priority to KR2020020006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232Y1/ko

Links

Landscapes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팔레트 위에 사방으로 조립되는 각 프레임이 완전히 분해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면서 사용이 편리하고 적재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립부분의 내구성이 견고하며 조립 및 분해가 더욱 용이한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를 제공하기 위해 본 고안은,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으로 설치된 전방 고정대(16)와 후방 고정대(16')의 중앙으로 포스트(17)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된 중간대(24)에는 상기 포스트가 끼워질 수 있는 포스트 삽입홀(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으로 설치된 측면 고정대(18) 상면으로 걸림홈(46)이 형성된 수직판(44)과 끝 부분에 구멍(48)이 형성된 수평판(42)을 구비하는 제1 고정체(40)가 부착되고, 상기 양측 측면 프레임(30)의 하부에는 걸림턱(56)이 형성된 수직판(54)과 끝에 돌출편(58)이 형성된 세로판(52)이 구비되는 제2 고정체(50)가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CONSTRUCT PALETTE FOR TRANSPORT}
본 고안은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주로 자동자 부품 등을 적재하고 운반하는 팔레트의 조립과 분해가 간단하면서 사용과 보관이 용이한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송용 팔레트는 목재 또는 철재의 베이스 프레임 위에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그리고, 양측의 측면 프레임이 조립되면서 박스형태를 갖춘 것으로, 내부에 화물을 적재시키고 강철띠로 밴딩하여 견고하게 묶은 다음 이동장소로 운반하거나 콘테이너에 탑재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팔레트는, 필요에 따라 조립을 시킬 때 각 프레임간에 못을 박아 고정시키거나, 볼트 너트를 이용한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팔레트를 완성하게 되는데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그리고 팔레트만을 보관할 때에는 많은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화물의 납품이 완료된 뒤 빈 팔레트만을 회수하기에는 운반비용이 과다하여 수거에 의한 재사용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부득히 수거를 위해서는 팔레트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분해시키게 되는데 상기 분해과정에서 대부분 파손되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인과 동일한 출원인으로서 이미 등록된 바 있는,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제 209042호(수송용 조립식 팔레트)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 등록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 양측으로 부착되는 측면 프레임이 힌지에 의해 조립되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면으로 접혀지게 되지만, 이는 분해가 되지 않아 다소 불편함이 있고, 접을 때 양측의 측면프레임이 겹쳐지는 부분이 형성되면서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 위에 장착된 브라켓(16)의 요입홈으로 핀이 끼워지는 구조로서 이는 내구성이 약해 중량물을 탑재하였을 때는 지탱하지 못하고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파손될 우려를 가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팔레트 위에 사방으로 조립되는 각 프레임이 완전히 분해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면서 사용이 편리하고 적재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부분의 내구성이 견고하며 조립 및 분해가 더욱 용이한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에서 측면프레임 조립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측면프레임 조립부의 조립되기 직전의 중앙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도시된 측면프레임 조립부가 조립된 상태의 중앙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에서 전방프레임 조립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된 전방프레임 조립부가 조립된 상태의 중앙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프레임 16: 전방 고정대
16': 후방 고정대 17: 포스트
18: 측면 고정대 20: 전방 프레임
20':후방 프레임 24: 중간대
25: 포스트 삽입홀 30 :측면 프레임
32: 하부 고정대 40: 제1 고정체
46: 걸림홈 48: 구멍
50: 제2 고정판 56:걸림턱
58: 돌출편 100: 측면프레임 조립부
200: 전/후방프레임 조립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위로 가장자리를 따라 사방으로 전방프레임(20)과 후방프레임(20') 그리고, 양측 측면 프레임(30)이 조립되면서 내부에 각종 물품을 수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양측의 측면 프레임(30)을 조립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측면프레임 조립부(100)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후로 전방프레임(20)과 후방 프레임(20')을 조립하기 위한 수단의 전/후방프레임 조립부(200)가 도 5와 도 6에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측면프레임 조립부(100)와 전/후방프레임 조립부(200)는 간단한 작동으로 베이스 프레임(10)에서 조립되거나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보강대(14)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외측둘레를 따라서 전/후방 고정대(16,16')와 양측의 측면 고정대(18)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방 프레임(20)과 후방 프레임(20')의 위로는 도 5와 도 6에서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프레임 조립부(200)를 가지고 전방 프레임(20)과 후방 프레임(20')을 조립시킨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으로 설치되는 전방 고정대(16)와 후방 고정대(16')의 각 중앙에는 위로 돌출되게 부착되는 포스트(17)가 있으며, 또한 상기 전방 프레임(20)과 후방 프레임(20')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중간대(24)가 구비되는데, 상기 중간대(24)에는 내부에 상기 포스트가 끼워질 수 있는 포스트 삽입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중간대(24)는 무게의 감소와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ㄷ" 형상의 앵글을 형성시킨 뒤 하단부에 고정판(62)을 용접하게 됨으로서 내부가 사각의 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62)에는 양측으로 보강을 위한 경사대(26)를 부착하고 있으며 상기 보강대의 상부 끝은 중간대(24)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가로대(22)의 끝으로 부착된다.
다음,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으로는 측면프레임 조립부(100)가 구비되면서 양측으로 측면 프레임(30)을 조립시킨다. 상기 측면프레임 조립부(10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 측면 고정대(18) 상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체(40)와, 양측 측면 프레임의 하부 고정대(32)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2 고정체(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고정체(40)와 제2 고정체(50)는 금속판을 프레스 작업에 의해서 절단 및 밴딩에 의해 성형되는 것으로서 먼저, 제1 고정체(40)는 전술한 측면 고정대(18)의 상면으로 용접 혹은 리벳, 볼트 등의 조립수단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평판(42)을 가지며, 중앙에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판(44)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판(42)의 일측 끝부분은 위로 굽혀져 절곡부(49)를 형성하며 상기 절곡부(49)의 중간에는 길게 구멍(4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판(44)의 상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굽혀지면서 걸림홈(46)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홈은 "" 형상으로서 후방면이 원만한 경사를 가지게 된다. 다음, 측면 프레임(3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고정대(32)에 부착되는 제2 고정체(50)는, 엘(L)자 형태로서 수평판(52)과 수직판(54)을 형성하고 있는데 상기 수평판(52)의 끝에는 돌출편(58)이 형성되면서 이는 전술한 제1 고정체(40)의 구멍(48)으로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판(54)의 상부에는 역시 ""형상으로 된 걸림턱(5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56)은 전술한 제1 고정체의 걸림홈(46)으로 끼워지게 되면서 서로를 결합시킨다.
한편, 상기 전방 프레임(20) 및 후방 프레임(20') 그리고 양측 측면 프레임(30)의 상부 모서리 결합부분은 본 고안인에 의해서 선 등록되어 있는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9042호)에 제안되어 있는 클램프 혹은 기타 다른 조립용구를 사용하여 각 모서리를 고정시킨다.
즉, 상기 클램프(70)는 일측의 측면 프레임(30)과 전방 프레임(20) 혹은 후방 프레임(20')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고정대(31)와 가로대(22)가 수직으로 세워질 때 서로를 결합시키게 되면서 각 프레임들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팔레트를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보강대(14) 그리고 외측 둘레를 따라 조립된 각 고정대(16,16'18)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10) 위로 가장자리를 따라서 각 프레임(20,20'30) 들을 조립시킨다. 먼저,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으로 도 3에서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서 측면 프레임(30)을 비스듬하게 세운 다음, 제2 고정체(50)의 돌출편(58)을 제1 고정체(40)의 구멍(48)으로 끼우고 외측으로 강하게 제치면 제1 고정체의 걸림홈(46) 안으로 제2 고정체(50)의 걸림턱(56)이 끼워진다. 이때, 상기 걸림턱(56)의 돌출부가 걸림홈(46)의 상부에서 걸리게 되나, 상기 걸림턱(56)은 미세한 탄성력을 가지고 뒤로 밀리면서 억지로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56)은 쉽게 빠지지 않게 되며, 상기 측면 프레임(30)을 강압적으로 제치게 될 때, 걸림턱으로부터 걸림홈이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양측의 측면 프레임(30)은 간단하게 조립 혹은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프레임이 조립된 이후 전방과 후방으로 전방 프레임(20)과 후방 프레임(20')을 조립시킨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포스트(17)가 전방 혹은 후방 프레임의 내측으로 형성된 포스트 삽입홀(25)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조립시킨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으로 각 프레임을 조립시킨 다음, 각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고정대(31) 및 가로대(22)의 모서리 연결부분을 클램프(70)에 의해서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팔레트 내부로 화물을 적재한 다음, 상면에서 전방 프레임(20)과 후방 프레임(20')의 각 가로대(22) 사이를 소정의 보강대(38)를 조립시켜 내구성을 견고하게 하여, 운반 또는 수송용 컨테이너에 탑재시킨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에 의해 화물 수송작업이 완료된 뒤 회수 및 보관을 위해 적재시킬 때는, 보강대(38)와 클램프(50)를 해체시킨 다음 전/후방의 프레임(20,20')을 위로 분리시킨다. 그리고 양측의 측면 프레임(30)은 안으로 제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고정체의 걸림홈(46)에서 제2 고정체(50)의 걸림턱(56)이 이탈되고 위로 쉽게 분리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는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각 사방으로 조립되는 프레임들이 완전하게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면서 화물을 적재하지 않을 때는, 그 부피가 최소로 축소됨에 따라 보관하기가 쉽고, 특히 분해와 조립이 간단하여 운반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베이스 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으로 설치된 전방 고정대(16)와 후방 고정대(16')의 중앙으로 포스트(17)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된 중간대(24)에는 상기 포스트가 끼워질 수 있는 포스트 삽입홀(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으로 설치된 측면 고정대(18) 상면으로 걸림홈(46)이 형성된 수직판(44)과 끝 부분에 구멍(48)이 형성된 수평판(42)을 구비하는 제1 고정체(40)가 부착되고, 상기 양측 측면 프레임(30)의 하부에는 걸림턱(56)이 형성된 수직판(54)과 끝에 돌출편(58)이 형성된 세로판(52)이 구비되는 제2 고정체(50)가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KR2020020006479U 2002-03-06 2002-03-06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KR200276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479U KR200276232Y1 (ko) 2002-03-06 2002-03-06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479U KR200276232Y1 (ko) 2002-03-06 2002-03-06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232Y1 true KR200276232Y1 (ko) 2002-05-18

Family

ID=73118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479U KR200276232Y1 (ko) 2002-03-06 2002-03-06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232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870B1 (ko) * 2007-09-20 2009-05-12 박교훈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전후판 조립구조
KR20180067378A (ko) 2016-12-12 2018-06-20 최소영 팔레트용 조립식 베이스 프레임
KR102086963B1 (ko) 2019-08-28 2020-05-29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KR102086964B1 (ko) 2019-08-28 2020-05-29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KR102320924B1 (ko) * 2021-07-15 2021-11-03 최소영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설치 브라켓
CN113716174A (zh) * 2020-05-26 2021-11-30 大贤国际株式会社 组装式托盘的垂直杆支撑支架
KR20210145965A (ko) 2020-05-26 2021-12-03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KR20220153986A (ko) * 2021-05-12 2022-11-21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의 적층 이탈 방지용 스토퍼 부재
KR20220153985A (ko) * 2021-05-12 2022-11-21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870B1 (ko) * 2007-09-20 2009-05-12 박교훈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전후판 조립구조
KR20180067378A (ko) 2016-12-12 2018-06-20 최소영 팔레트용 조립식 베이스 프레임
KR102086963B1 (ko) 2019-08-28 2020-05-29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KR102086964B1 (ko) 2019-08-28 2020-05-29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CN113716174A (zh) * 2020-05-26 2021-11-30 大贤国际株式会社 组装式托盘的垂直杆支撑支架
KR20210145965A (ko) 2020-05-26 2021-12-03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KR20220153986A (ko) * 2021-05-12 2022-11-21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의 적층 이탈 방지용 스토퍼 부재
KR20220153985A (ko) * 2021-05-12 2022-11-21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KR102593174B1 (ko) * 2021-05-12 2023-10-23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의 적층 이탈 방지용 스토퍼 부재
KR102593173B1 (ko) * 2021-05-12 2023-10-23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KR102320924B1 (ko) * 2021-07-15 2021-11-03 최소영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설치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1885B2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EP1118546A1 (en) Demountable wire mesh container for bottles
KR200276232Y1 (ko)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MXPA05002155A (es) Union de remache hueco para elementos constructivos de metal, materia sintetica o madera, particularmente para el ensamble de recipientes para transporte y almacenaje de fluidos y material a granel.
US4903853A (en) Folding basket with novel joint structure
US20170307131A1 (en) Utility support
KR200209042Y1 (ko)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KR20140007700A (ko) 포장박스를 가진 화물적재용 팔레트
CN210794018U (zh) 一种外侧平滑的木箱
CN217100211U (zh) 一种新型半挂车立柱结构
KR102593174B1 (ko) 조립식 파레트의 적층 이탈 방지용 스토퍼 부재
KR100369447B1 (ko) 수출포장박스
JP3542384B2 (ja) 鋼板製輸送容器
KR102593173B1 (ko)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CN218773780U (zh) 一种浴缸用台阶结构
CN216810869U (zh) 一种园林石墙施工用脚手架
CN211002403U (zh) 一种能够回收的产品包装货架
CN218023488U (zh) 货架
CN211944863U (zh) 一种牛腿梁结构
KR20210145950A (ko)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JP2656756B2 (ja) パイプフレーム式コンテナ
JP2002255174A (ja) 組立式コンテナ
JP2009102055A (ja) 組立式コンテナ
JP3176589B2 (ja) 鋼板製輸送容器
JPH086749Y2 (ja) 運搬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