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985A -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985A
KR20220153985A KR1020210061911A KR20210061911A KR20220153985A KR 20220153985 A KR20220153985 A KR 20220153985A KR 1020210061911 A KR1020210061911 A KR 1020210061911A KR 20210061911 A KR20210061911 A KR 20210061911A KR 20220153985 A KR20220153985 A KR 20220153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e frame
bent
plate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173B1 (ko
Inventor
길효근
Original Assignee
길효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효근 filed Critical 길효근
Priority to KR102021006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17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0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of skeleton construction, e.g. made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6Pallets comprising a flexible load carrier extending between guide element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223Materials for the corner elements or corn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6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 B65D2519/0027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1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skelet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32Fram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7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트프레임을 받쳐주는 베이스프레임의 양단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파레트의 다단 적재시 하중이 집중되는 포스트프레임을 받쳐주는 종방향 베이스프레임의 휨 및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 조립식 파레트의 종방향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는 측판부, 상기 측판부의 상,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상, 하판부, 상기 상판부의 선단에 아래쪽 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절곡부, 상기 하판부의 선단에 위쪽 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하부절곡부 및 상기 상, 하부절곡부의 외면에 마련되며 내부에는 상 ,하부 안내홀이 형성된 상, 하부 안내가이드레일로 구성하며, 상기 보강부재의 상, 하부 안내가이드레일에 형성된 상, 하부 안내홀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 하부절곡판이 끼워지며, 상기 보강부재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조립되도록 하며,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하단에는 홀더부재가 용접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판과 상기 보강부재의 상판에는 상기 홀더부재가 올려진 상태로 결합되기 위한 지지부재가 용접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The postframe reinforcement materials of assembly type pallet}
본 발명은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에 과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트프레임을 받쳐주는 종방향 베이스프레임의 양단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파레트의 다단 적재시 하중이 집중되는 포스트프레임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파레트는 다수의 물품들을 적재시켜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파레트의 종류로는 그 형태에 따라 플래이트타입과, 박스타입으로 나뉘어진다.
전자인 플레이트타입 파렛트는 측벽을 사용치 않고 바닥프레임상에 부품을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플레이트타입 파렛트는 대형부품 특히 반제품형태로 제작된 차량을 적재하기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것이다.
후자인 박스타입 파렛트는 다수개의 바닥프레임 상단에 수직으로 각각 세워지며 파레트의 네면을 이루게 되는 측벽들로 구성하여 소형부품을 적재하기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박스타입의 파렛트는 측벽에 의해 파레트의 부피가 증가함으로서 플레이트타입의 파렛트에 비해 보관이나 운반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키는 단점이 있다.
박스타입 파렛트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번호 등록번호 제 10-1611095 호(접철식 파레트의 적층 연결유닛)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외곽 모서리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위치하며 그 양단은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용 브라켓으로 연결 고정되는 수평프레임으로 구성한 접철식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파레트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그 단면은 "ㄷ"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 하단에 용접으로 접합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면 끝단에 상향으로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림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바닥면에 서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걸림편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 고정시키는 체결슬롯 및 상기 체결슬롯 사이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구성하여 동일한 구조로 제작되어 상, 하로 적층되는 두 개의 접철식 파레트를 서로 연결 고정하는 연결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구멍으로는 상기 접철식 파레트 아래에 배치되는 접철식 파레트에 구비된 연결용브라켓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지며 상, 하로 적층되는 두 개의 접철식 파레트를 연결 고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 접철식 파레트는 수직으로 다단 적재시 위쪽 파레트의 하중이 아래쪽 파레트에서 모서리부위의 수직프레임에 집중적으로 전해지는 데, 상기 수직프레임을 받쳐주는 베이스프레임에는 별도의 보강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못해 장시간의 적재시 수직프레임으로 전해지는 하중을 베이스프레임이 지탱하지 못하고 휘어지거나 변형되어 파레트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문헌 000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611095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스트프레임을 받쳐주는 베이스프레임의 양단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파레트의 다단 적재시 하중이 집중되는 포스트프레임을 받쳐주는 종방향 베이스프레임의 휨 및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 조립식 파레트의 종방향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수직판, 상기 수직판의 상,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되는 상, 하판, 상기 상, 하판의 단부에 다시 수직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되는 상, 하부절곡판, 상기 상, 하부절곡판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구로 구성한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조립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올려진 상태로 지지되는 포스트프레임에서 전해지는 하중을 보강하는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측판부, 상기 측판부의 상,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상, 하판부, 상기 상판부의 선단에 아래쪽 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절곡부, 상기 하판부의 선단에 위쪽 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하부절곡부 및 상기 상, 하부절곡부의 외면에 마련되며 내부에는 상 ,하부 안내홀이 형성된 상, 하부 안내가이드레일로 구성하며, 상기 보강부재의 상, 하부 안내가이드레일에 형성된 상, 하부 안내홀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 하부절곡판이 끼워지며, 상기 보강부재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조립되도록 하며,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하단에는 홀더부재가 용접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판과 상기 보강부재의 상판에는 상기 홀더부재가 올려진 상태로 결합되기 위한 지지부재가 용접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스트프레임을 받쳐주는 베이스프레임의 양단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파레트의 다단 적재시 하중이 집중되는 포스트프레임을 받쳐주는 종방향 베이스프레임의 휨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원가절감을 위해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구를 형성하더라도 상기 보강부재를 통해 베이스프레임의 취약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파레트를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조립식 파레트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파레트가 상, 하로 적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조립식 파레트에서 베이스프레임 보강부재를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포스트프레임 및 베이스프레임 그리고 보강부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분해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은 조립식 파레트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파레트가 상, 하로 적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조립식 파레트에서 베이스프레임 보강부재를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포스트프레임 및 베이스프레임 그리고 보강부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조립식 파레트(100)는 베이스프레임(50),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올려지는 바닥프레임(10), 종방향 및 횡방향 프레임(20, 30) 및 포스트프레임(40)으로 외형을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은 파레트(100)의 바닥을 구성하는 프레임으로서 앵글 단면 형태인 "⊃"형상을 가지도록 일측은 개방시켜 구성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수직판(52), 상기 수직판(52)의 상,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되는 상, 하판(54, 56), 상기 상, 하판(54, 56)의 단부에 다시 수직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되는 상, 하부절곡판(58, 60), 상기 상, 하부절곡판(58, 6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구(62)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일측에 개방구(62)가 형성되도록 성형한 것은 베이스프레임(50)의 성형에 사용되는 재질을 최소한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베이스프레임(50)의 일측을 개방시키면 그만큼 강도가 취약해져 포스트프레임(40)으로 전해지는 하중을 지탱할 수 없는 바, 본 발명의 보강부재(70)를 베이스프레임(50)의 개방구(62)가 형성된 양단 내측에 별도로 설치하여, 베이스프레임(5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였다.
상기 바닥프레임(1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상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격자형태로 서로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종방향 프레임(20)은 조립식 파레트(100)의 네 벽면중에서 좌, 우측벽을 이루는 프레임이다.
하나의 종방향 프레임(20)의 구조를 기술하면 상기 종방향 프레임(20)은 "∩"단면 구조로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성형된 것으로서,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면에 사선바(24)를 통해 일정거리 이격되며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사선바(24)는 상기 종방향 프레임(20) 및 바닥프레임(10) 사이 공간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적재되어 있는 적재품인 박스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한다.
상기 포스트프레임(40)은 파레트의 양측 외곽 바닥에 설치되어 지는 베이스프레임(50)의 양단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파레트의 전, 후측벽 및 좌, 우측벽을 구성하는 종방향 및 횡방향프레임(20, 30)이 직각되게 맞대여지는 맞댐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종방향프레임(20) 및 횡방향프레임(30)이 적재품인 박스에 밀려 넘어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상기 횡방향 프레임(30)은 조립식 파레트(100)의 네 벽면중에서 전, 후방측벽을 이루는 프레임이다. 즉, 횡방향 프레임(30)은 동일한 구조로 하여 복수개를 제작한 상태에서 바닥프레임(10)의 상면 전방 및 상면 후방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지며 조립식 파레트의 전, 후방측벽을 이루게 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양단에 올려지는 포스트프레임(40)은 지지부재(48) 및 홀더부재(42)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홀더부재(42)는 상기 포스트프레임(40)의 하단에 부착되는 데, 상기 홀더부재(42)의 일측에는 걸림편(44)이 일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48)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양단에 올려진 상태로 용접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지지부재(48)에는 상기 포스트프레임(40)에 설치되어 있는 홀더부재(42)가 안치되고, 또한 상기 지지부재(46)의 일측에는 상기 홀더부재(42)의 걸림편(44)이 걸려지기 위한 걸림홈(48)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홀더부재(42) 및 지지부재(46)를 통해 포스트프레임(40)을 베이스프레임(50)의 양단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스트프레임(40)이 지지되어 지는 베이스프레임(50)의 양단 내측에는 상기 포스트프레임(40)으로 전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보강부재(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보강부재(70)는 전체적으로 베이스프레임(50)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측판부(72), 상기 측판부(72)의 상,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상, 하판부(74, 76), 상기 상판부(74)의 선단에 아래쪽 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절곡부(78), 상기 하판부(76)의 선단에 위쪽 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하부절곡부(80) 및 상기 상, 하부절곡부(78, 80)의 외면에 마련되는 상, 하부 안내가이드레일(82, 84)로 구성한다.
상기 상, 하부 안내가이드레일(82, 84)에는 베이스프레임(50)의 상,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 하부절곡판(58, 60)이 끼워지게 되고, 이를 통해 보강부재(7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양단에 조립됨과 동시에 개방구(62)에 의한 베이스프레임(50)의 취약한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70)가 베이스프레임(50)에 조립되고 나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부재(70)와 베이스프레임(50)은 서로 용접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또한, 보강부재(70)의 상판(74)에는 전술한 포스트프레임(40)을 베이스프레임(50)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인 지지부재(48)가 올려진 상태에서 용접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48)에 포스트프레임(40)이 홀더부재(42)로 고정된다.
즉, 포스트프레임(40)은 베이스프레임(50) 및 보강부재(70)의 상판(72)에 올려진 상태로 용접된 지지부재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파레트의 다단 적재시 상기 포스트프레임(40)으로 파레트(100)의 하중이 전해지더라도 상기 베이스프레임(50) 및 보강부재(70)가 함께 지탱하게 됨으로서 종래와 같이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베이스프레임(50)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70)와 베이스프레임(50) 그리고 포스트프레임(40)의 조립은 먼저 베이스프레임(50)의 양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 하부절곡판(58, 60)을 보강부재(70)의 상, 하부가이드레일(78, 80)에 형성되어 있는 상, 하부안내홀(82, 84)에 끼운상태로 상기 보강부재(70)를 베이스프레임(50)의 일단 내측으로 진입시킨 다음, 적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보강부재(70)를 베이스프레임(50)에 용접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다음, 포스트프레임(40)의 하단에 홀더부재(42)를 용접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50) 및 보강부재(70)의 상면에 지지부재(46)를 올려놓은 상태로 용접한 후, 상기 홀더부재(42)를 상기 지지부재(46)에 올린 다음, 홀더부재(42)의 걸림편(44)을 지지부재(46)의 걸림홈(48)에 걸림 고정시켜 포스트프레임(40)과 베이스프레임(50) 그리고 보강부재(70)의 조립이 완료된다.
즉, 상기와 같이 조립된 파레트는 여러 개를 수직으로 다단 적재시 포스트프레임(40)으로 전해지는 하중을 베이스프레임(50)과 보강부재(70)가 함께 지탱하게 됨으로서 베이스프레임(50)의 휨 및 변형 없이 파레트를 효과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특히 베이스프레임(50)의 형상을 원가 절감 등을 고려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내측에 개방구(62)가 형성되도록 성형하더라도 상기 보강부재(70)를 통해 내구성의 취약함을 보상받아 포스트프레임을 휨이나 변형없이 지탱할 수 있다.
10: 베이스프레임 20: 종방향 프레임
30: 횡방향 프레임 40: 포스트프레임
42: 홀더부재 46: 지지부재
50: 베이스프레임 52: 수직판
54: 상판 56: 하판
58: 상부절곡판 60: 하부절곡판
62: 개방구 70: 보강부재
72: 측판부 74: 상판부
76: 하판부 82: 상부가이드레일
84: 하부가이드레일

Claims (1)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수직판(52), 상기 수직판(52)의 상,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되는 상, 하판(54, 56), 상기 상, 하판(54, 56)의 단부에 다시 수직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되는 상, 하부절곡판(58, 60), 상기 상, 하부절곡판(58, 6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구(62)로 구성한 베이스프레임(50)의 내측에 조립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50)에 올려진 상태로 지지되는 포스트프레임(40)에서 전해지는 하중을 보강하는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7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측판부(72);
    상기 측판부(72)의 상,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상, 하판부(74, 76);
    상기 상판부(74)의 선단에 아래쪽 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절곡부(78);
    상기 하판부(76)의 선단에 위쪽 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하부절곡부(80) 및 ;
    상기 상, 하부절곡부(78, 80)의 외면에 마련되며 내부에는 상 ,하부 안내홀(82a, 84a)이 형성된 상, 하부 안내가이드레일(82, 84)로 구성하며;
    상기 보강부재(70)의 상, 하부 안내가이드레일(82, 84)에 형성된 상, 하부 안내홀(82a, 84a)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일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 하부절곡판(58, 60)이 끼워지며, 상기 보강부재(7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내측에 조립되도록 하며;
    상기 포스트프레임(40)의 하단에는 홀더부재(42)가 용접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상판과 상기 보강부재(70)의 상판에는 상기 홀더부재(42)가 올려진 상태로 결합되기 위한 지지부재(46)가 용접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KR1020210061911A 2021-05-12 2021-05-12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KR102593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911A KR102593173B1 (ko) 2021-05-12 2021-05-12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911A KR102593173B1 (ko) 2021-05-12 2021-05-12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985A true KR20220153985A (ko) 2022-11-21
KR102593173B1 KR102593173B1 (ko) 2023-10-23

Family

ID=8423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911A KR102593173B1 (ko) 2021-05-12 2021-05-12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1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135U (ja) * 1993-09-13 1995-04-07 富士浦工業株式会社 リベット留めスチ−ルパレット
KR200276232Y1 (ko) * 2002-03-06 2002-05-18 주식회사 기성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JP2003267370A (ja) * 2002-03-11 2003-09-25 Meiji Rubber & Chem Co Ltd 組立型パレット
KR101611095B1 (ko) 2014-11-14 2016-04-08 주식회사 기성 접철식 파레트의 적층 연결유닛
KR101976485B1 (ko) * 2018-03-23 2019-05-14 (주)우연엘에프파레트 분해조립 및 운반적재가 용이한 팔레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135U (ja) * 1993-09-13 1995-04-07 富士浦工業株式会社 リベット留めスチ−ルパレット
KR200276232Y1 (ko) * 2002-03-06 2002-05-18 주식회사 기성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JP2003267370A (ja) * 2002-03-11 2003-09-25 Meiji Rubber & Chem Co Ltd 組立型パレット
KR101611095B1 (ko) 2014-11-14 2016-04-08 주식회사 기성 접철식 파레트의 적층 연결유닛
KR101976485B1 (ko) * 2018-03-23 2019-05-14 (주)우연엘에프파레트 분해조립 및 운반적재가 용이한 팔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173B1 (ko) 202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488B2 (en) Pallet assembly
US4944421A (en) Angle reinforcement
KR102086963B1 (ko) 조립식 파레트
KR100790343B1 (ko) 접철식 파렛트
KR101632331B1 (ko) 포장박스를 가진 화물적재용 팔레트
KR20220153985A (ko)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US3383003A (en) Collapsible container
JP2010105691A (ja) 折り畳み式ラック
KR20210145950A (ko)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KR102593174B1 (ko) 조립식 파레트의 적층 이탈 방지용 스토퍼 부재
KR200459256Y1 (ko) 파렛트 랙
KR101693331B1 (ko) 다용도 철재 파렛트
KR102086964B1 (ko) 조립식 파레트
KR102361625B1 (ko) 조립식 파레트
JP5753436B2 (ja) 組立式コンテナ
KR101363567B1 (ko) 포장박스 조립구조를 갖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KR100831317B1 (ko) 파렛트용 지지틀
JP2831981B2 (ja) 通 箱
KR102030772B1 (ko)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
KR20240023954A (ko) 조립식 파레트
KR20240029819A (ko) 조립식 파레트
KR102283520B1 (ko) 대형 접이식 물류박스
JP3542384B2 (ja) 鋼板製輸送容器
KR100556708B1 (ko) 자동차부품 저장용 조립식 팔레트
KR200345551Y1 (ko) 자동차부품 저장용 조립식 팔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