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772B1 -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772B1
KR102030772B1 KR1020180122729A KR20180122729A KR102030772B1 KR 102030772 B1 KR102030772 B1 KR 102030772B1 KR 1020180122729 A KR1020180122729 A KR 1020180122729A KR 20180122729 A KR20180122729 A KR 20180122729A KR 102030772 B1 KR102030772 B1 KR 102030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hole
fram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만수
Original Assignee
곽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만수 filed Critical 곽만수
Priority to KR102018012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0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of skeleton construction, e.g. made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1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of skeleton or like apertured construction, e.g. baskets or carriers formed of wire mesh, of interconnected bands, bars, or rods, or of perforated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 등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하여 수출할 때에 상기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 들을 훼손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포장하는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복수 개의 종 방향프레임(110)과 횡 방향프레임(120)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6면체의 고정 틀(100)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 틀의 중앙부에는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210)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 틀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이르는 고정 틀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분리 벽(20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틀의 상부 양 외측 프레임에는 등 간격으로 선단 일부가 상기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또는 리어도어 중 어느 하나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락킹홀결합수단(300)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분리 벽에는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또는 리어도어 중 어느 하나의 힌지브래킷과 고정되는 힌지브래킷고정수단(400)이 상기 락킹홀결합수단과 동일한 개수로 등 간격으로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Cage for vehicle door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 등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하여 수출할 때에 상기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 들을 훼손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포장하는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349743호 "분해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가 일반적으로 공개되어 있다. 위 등록실용신안은 종이박스나 나무박스 대신 철재박스를 제공함으로써 외부충격으로부터 물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인데, 바닥부재와 제1측면부재 및 제2측면부재의 체결, 제1측면부재와 제2측면부재간의 체결 등에 사용되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강도가 약하여 조립후 운송과정중에 철재박스가 뒤틀어져 변형되거나 키결속이 해제되어 포장된 자동차 부품이 손상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위 등록실용신안은 철재포장박스를 상측으로 다수 개 적층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순히 아래 포장박스 위에 다른 포장박스를 지게차로 운송하여 적층하게 되는데, 위 아래의 포장박스를 상호 결속하는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여, 적층된 상태로 운송하다 보면 각종 외부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 적층된 포장박스의 적층상태가 흐트러져 적층된 포장박스가 아래로 낙하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여 운송 부품을 손상시키거나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공된 것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0241호의 "안전하게 적층 가능하고 강도 보강된 철재 포장박스"가 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바닥부, 정면부, 측면부와 위치고정바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부를 바닥부에 고정하는 바닥브라켓과, 측면부와 정면부를 상호 결속하거나 측면부와 고정바를 결속하는 키브라켓과 이들 브라켓에 삽입되어 상호 결속하는 키를 포함하는 철재박스에 있어서, 상기 바닥브라켓은 하측으로 연장되는 보강판과 보강비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강판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몸체를 가지고 있고 상기 몸체는 그 단면이 "L"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키브라켓은 그 단면이 "L"형으로 꺽인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L"형 판의 상하단 모서리상에 소정길이 만큼 돌출된 보강판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바닥부의 외틀장빔상에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정면부의 세로빔의 하단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정면부의 가로빔 또는 측면부의 가로빔상의 소정 부위에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돌기의 대향하는 바닥부의 외틀 하면상의 소정 위치에 돌기용브라켓을 가짐으로써 다수의 철재포장박스를 상측으로 안전하게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0241호 : 안전하게 적층가능하고 강도보강된 철재 포장박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9743호 : 분해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42797호 : 자동차 녹다운수출용 포장박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를 수출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자동차 도어를 하나의 케이지에 고정함에 있어 그 하나의 케이지에 고정되는 자동차의 도어가 운송도 중 유동 되거나 또는 도어 상호 간에 접촉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각 도어가 훼손 또는 파손되지 않고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운송되도록 한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복수 개의 종 방향프레임(110)과 횡 방향프레임(120)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6면체의 고정 틀(100)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 틀의 중앙부에는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210)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 틀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이르는 고정 틀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분리 벽(20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틀의 상부 양 외측 프레임에는 등 간격으로 선단 일부가 상기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또는 리어도어 중 어느 하나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락킹홀결합수단(300)의 후단을 고정하되, 상기 프런트도어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락킹홀결합수단은, 상기 고정 틀의 상단 프레임 상에 고정부재(330)를 매개로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런트도어고정구(310)와, 그 프런트도어고정구에 후단 일부가 고정되고 선단 일부는 프런트도어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자형 브래킷(3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어도어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락킹홀결합수단은, 상기 고정 틀의 상단 프레임 상에 고정부재(360)를 매개로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어도어고정구(340)와, 그 리어도어고정구에 후단 일부가 고정되고 선단 일부는 리어도어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전방이 향상 절곡된 "⊃"자형 브래킷(350)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 벽에는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또는 리어도어 중 어느 하나의 힌지브래킷과 고정되는 힌지브래킷고정수단(400)이 상기 락킹홀결합수단과 동일한 개수로 등 간격으로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를 수출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자동차 도어를 하나의 케이지에 고정함에 있어 그 하나의 케이지에 고정되는 자동차의 도어가 유동 되거나 또는 도어 상호 간에 접촉되지 않음으로 각 도어를 수출 목적지까지 훼손 또는 파손되지 않고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 도어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 프런트도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에 위치한 프런트도어를 분리한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 프런트도어가 고정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 리어도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에 위치한 리어도어를 분리한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 리어도어가 고정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서 프런트도어의 락킹 홀에 결합되는 락킹홀결합수단의 발췌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서 리어도어의 락킹 홀에 결합되는 락킹홀결합수단의 발췌 사시도,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 등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하여 수출할 때에 상기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 들을 훼손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포장하는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 도어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 프런트도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에 위치한 프런트도어를 분리한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 프런트도어가 고정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 리어도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에 위치한 리어도어를 분리한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 리어도어가 고정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서 프런트도어의 락킹 홀에 결합되는 락킹홀결합수단의 발췌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에서 리어도어의 락킹 홀에 결합되는 락킹홀결합수단의 발췌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종 방향프레임(110)과 횡 방향프레임(120)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6면체의 고정 틀(100)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 틀(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방향프레임(110)은 상부종방향프레임(111)과 하부종방향프레임(112)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고, 그 상/하부종방향프레임(111,112)의 사이사이에는 복수 개의 지지바(113)를 일정간격 유지되게 설치하여 상기 상/하부종방향프레임(111,112)의 견고함을 유지시켰다.
그리고 상기 횡방향프레임(120)도 상부횡방향프레임(121)과 하부횡방향프레임(122)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여 고정하였다.
한편, 상기 하부종방향프레임(112)과 하부횡방향프레임(122) 간에도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이용하여 연결 설치함으로써 견고함을 부여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 벽(200)은, 상기 고정 틀(100)의 중앙부에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210)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 틀(100)의 중앙 전방에서 후방까지 이르는 상기 고정 틀(10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분리 벽(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에 각각의 수평프레임(210)이 설치되고, 그 각각의 상/하부수평프레임(210)의 사이에는 등 간격으로 수직프레임(220)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210)의 견고함을 유지시켰다.
상기 6면체의 고정 틀(100) 중앙 전방에서 후방까지 이르도록 분리 벽(200)을 설치하는 이유는,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또는 리어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를 2열로 구분하여 각 열에 복수 개의 도어를 배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분리 벽(200)을 고정 틀(10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시킨 이유는,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에 설치된 힌지브래킷이 락킹 홀 위치보다 높게 위치하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의 락킹홀결합수단(300)은, 상기 고정 틀(100)의 상부 양 외측 프레임에 등 간격으로 선단 일부가 상기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또는 리어도어 중 어느 하나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어 해당 도어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프런트도어를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틀(100)의 상단 프레임 상에 고정부재(330)를 매개로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런트도어고정구(310)와, 그 프런트도어고정구(310)에 후단 일부가 고정되고 선단 일부는 프런트도어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형 브래킷(320)을 등 간격으로 설치한다.
상기 프런트도어고정구(310)를 고정부재(330)를 매개로 분해결합 되게 설치하는 이유는, 목적지에서 프런트도어를 본 발명의 케이지로부터 고정부재(330)를 푸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이며, 상기 고정부재(330)는 볼트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프런트도어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브래킷(320)을 "⊃"자형 으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상기 "⊃"자형 브래킷(320)의 전방이 상기 프런트도어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 된 상태에서 프런트도어의 락커와 상기 "⊃"자형 브래킷(320) 간에 락킹되어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리어도어를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틀(100)의 상단 프레임 상에 고정부재(360)를 매개로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어도어고정구(340)와, 그 리어도어고정구(340)에 후단 일부가 고정되고 선단 일부는 리어도어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전방이 향상 절곡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형 브래킷(350)을 등 간격으로 설치한다.
상기 리어도어고정구(340)를 고정부재(360)를 매개로 분해결합 되게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프런트도어와 마찬가지로 리어도어를 본 발명의 케이지로부터 고정부재(360)를 푸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이며, 상기 고정부재(360)는 볼트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리어도어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브래킷(350)을 전방이 향상 절곡된 "⊃"자형으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상기 전방이 향상 절곡된 "⊃"자형 브래킷(350)의 전방이 상기 리어도어의 락킹 홀 위치와 부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그 부합된 위치의 리어도어의 락킹 홀에 전방이 향상 절곡된 "⊃"자형 브래킷(350)이 끼워 결합 된 상태에서는 리어도어의 락커와 상기 전방이 향상 절곡된 "⊃"자형 브래킷(350) 간이 락킹이 이루어져 리어도어의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힌지브래킷고정수단(400)은, 상기 분리 벽(200)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또는 리어도어 중 어느 하나의 힌지브래킷과 고정되는 것으로, 일실시 예는 상기 분리 벽(200)의 사이에 등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프레임(220)의 상/하부에 좌/우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고정편(410)을 각각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편(410)을 수직프레임(220)의 상/하부에 좌/우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시킨 이유는,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또는 리어도어에 설치된 힌지브래킷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힌지브래킷에는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또는 리어도어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구멍이 형성된 힌지브래킷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볼트구멍과 상기 본 발명의 고정편(410)에 형성된 볼트구멍 간에 볼트 체결하기 우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는, 락킹홀결합수단(300)이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또는 리어도어에 형성된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면서 상기 락킹 홀에 설치된 락커와 락킹되고, 또 힌지브래킷고정수단(400)은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또는 리어도어에 설치된 힌지브래킷과 볼트로 고정되어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또는 리어도어를 안정적이며 견고하게 지지함으로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 등을 수출하기 위하여 운송할 때에 그 수출되는 상기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 들이 훼손 또는 파손되지 않고 운송되는 장점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100 : 고정 틀 110 : 종방향프레임
120 : 횡방향프레임 200 : 분리 벽
210 : 수평프레임 300 : 락킹홀결합수단
310 : 프런트도어고정구 320 : "⊃"자형 브래킷
330,360 : 고정부재 340 : 리어도어고정구
350 : 전방이 향상 절곡된 "⊃"자형 브래킷
400 : 힌지브래킷고정수단 410 : 고정편

Claims (4)

  1. 복수 개의 종 방향프레임(110)과 횡 방향프레임(120)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6면체의 고정 틀(100)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 틀의 중앙부에는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210)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 틀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이르는 고정 틀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분리 벽(20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틀의 상부 양 외측 프레임에는 등 간격으로 선단 일부가 상기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또는 리어도어 중 어느 하나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락킹홀결합수단(300)의 후단을 고정하되, 상기 프런트도어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락킹홀결합수단은, 상기 고정 틀의 상단 프레임 상에 고정부재(330)를 매개로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런트도어고정구(310)와, 그 프런트도어고정구에 후단 일부가 고정되고 선단 일부는 프런트도어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자형 브래킷(3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어도어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락킹홀결합수단은, 상기 고정 틀의 상단 프레임 상에 고정부재(360)를 매개로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어도어고정구(340)와, 그 리어도어고정구에 후단 일부가 고정되고 선단 일부는 리어도어의 락킹 홀에 끼워 결합되는 전방이 향상 절곡된 "⊃"자형 브래킷(350)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 벽에는 자동차의 프런트도어 또는 리어도어 중 어느 하나의 힌지브래킷과 고정되는 힌지브래킷고정수단(400)이 상기 락킹홀결합수단과 동일한 개수로 등 간격으로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래킷고정수단(400)은, 상기 분리 벽의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프레임(220)에 상/하부에 좌/우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고정편(410)을 각각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
KR1020180122729A 2018-10-15 2018-10-15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 KR102030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29A KR102030772B1 (ko) 2018-10-15 2018-10-15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29A KR102030772B1 (ko) 2018-10-15 2018-10-15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772B1 true KR102030772B1 (ko) 2019-10-10

Family

ID=6820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729A KR102030772B1 (ko) 2018-10-15 2018-10-15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7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7843A (en) * 1984-02-27 1986-03-25 Milwain Donald R Vehicle door support
JPH0551776U (ja) * 1991-12-13 1993-07-09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パネルの梱包用支持装置
KR200142797Y1 (ko) 1996-03-13 1999-06-01 방인창 자동차 녹다운수출용 포장박스
KR200349743Y1 (ko) 2004-02-03 2004-05-10 김현성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KR200400241Y1 (ko) 2005-08-12 2005-11-03 (주)에스엔에스인더스트리 안전하게 적층가능하고 강도보강된 철재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7843A (en) * 1984-02-27 1986-03-25 Milwain Donald R Vehicle door support
JPH0551776U (ja) * 1991-12-13 1993-07-09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パネルの梱包用支持装置
KR200142797Y1 (ko) 1996-03-13 1999-06-01 방인창 자동차 녹다운수출용 포장박스
KR200349743Y1 (ko) 2004-02-03 2004-05-10 김현성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KR200400241Y1 (ko) 2005-08-12 2005-11-03 (주)에스엔에스인더스트리 안전하게 적층가능하고 강도보강된 철재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4464B2 (en) Assemblable and disassemblable container
KR200464149Y1 (ko) 파렛트 적재 랙
KR102030772B1 (ko)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
KR20180085466A (ko) 팔레트랙용 타이빔
KR101680773B1 (ko) 조립식 팔레트
KR20090000936U (ko) 파렛트랙 구조물용 보강비임 구조.
US11180282B2 (en) Container made of plastic
KR101218731B1 (ko) 롤 운반박스용 판넬 지지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롤 운반용기
KR102086964B1 (ko) 조립식 파레트
KR100818353B1 (ko) 조립식 합성수지 팔레트
KR101682698B1 (ko) 조립식 철재 파렛트
KR102109526B1 (ko)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조립식 파렛트
KR101693331B1 (ko) 다용도 철재 파렛트
JP6039468B2 (ja) ボックスパレット
KR102241222B1 (ko) 조립식 파렛트
KR200255304Y1 (ko) 파레트 랙의 빔 결합구조
KR102593173B1 (ko)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KR102593174B1 (ko) 조립식 파레트의 적층 이탈 방지용 스토퍼 부재
KR101363567B1 (ko) 포장박스 조립구조를 갖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KR100714398B1 (ko) 조립식 플라스틱 팔레트
KR20210145950A (ko)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KR102606230B1 (ko) 파렛트 랙의 수직 기둥과 로드빔의 분리 방지용 안전핀
US20230166885A1 (en) Plastic pallet with snap connection
KR101298181B1 (ko) 화물적재용 팔레트
KR200472409Y1 (ko) 접이식 파렛트 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