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698B1 - 조립식 철재 파렛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철재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698B1
KR101682698B1 KR1020140169498A KR20140169498A KR101682698B1 KR 101682698 B1 KR101682698 B1 KR 101682698B1 KR 1020140169498 A KR1020140169498 A KR 1020140169498A KR 20140169498 A KR20140169498 A KR 20140169498A KR 101682698 B1 KR101682698 B1 KR 101682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llet
plate
horizontal
intermedi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480A (ko
Inventor
이희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산업
이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산업, 이희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산업
Priority to KR1020140169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6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의 생산 및 보관이나 물류의 운송 등에 사용되는 철재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파렛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간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다양한 보강구조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판, 하판 및 중간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구조의 양측 돌출부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상판 및 하판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철재 파렛트 {Assembly type steel pallets}
본 발명은 제품의 생산 및 보관이나 물류의 운송 등에 사용되는 철재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파렛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간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다양한 보강구조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번들(Bundle)로 묶인 화물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게차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파렛트는 목재,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어 대부분의 공장 또는 부두 등에서 화물의 운반에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파렛트는 화물을 제외한 빈 파렛트 자체의 부피만도 크게 형성되어 적재되는 화물의 부피를 불필요하게 과대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어 물류비용이 과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목재 재질의 파렛트는 각종 병균이 발생될 수 있어 위생상 안전하지 못하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파렛트는 생산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생산시 각 사이즈별 금형이 별도로 필요하므로 다양한 치수의 파렛트 생산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은 철재 파렛트를 생산하고 있으나 부품수가 많아, 제작비의 상승 및 양산 자동화의 어려움 등 문제점이 대두되었으며, 조립한 피스 볼트가 장시간 사용시 진동 등에 의해 쉽게 이완되어 사용의 불편함과 수명이 짧은 단점이 대두되었고, 이후 다리부분까지 파렛트 전체를 일체로 제작하였으나, 설비비가 과다하게 투입되는 등의 여러가지 어려운 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파렛트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는 중량, 원가, 사용상 등에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판과 하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중간지지구를 용접에 의해 제작하였기 때문에 파렛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조립된 상태로 운반 및 보관을 해야 하므로, 중량과 부피가 커서 파렛트의 운반 및 보관에 따른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2932호에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인 조립식 파렛트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상판, 하판 및 중간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는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중간지지구를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단순한 구성에 의해 파렛트를 구성하는 상판과 하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나, 파렛트를 구성하는 프레임들이 하나의 판으로 구성되어 철재로 파렛트를 제조하더라도 중량의 화물을 지속적으로 운반하는 경우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파렛트의 테두리 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사용 중 작업자의 부상이 우려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이즈별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현장에서 직접 원하는 크기의 파렛트를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렛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간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다양한 보강구조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변형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 하판 및 중간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구조의 양측 돌출부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상판 및 하판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 하판 및 중간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의 상단 및 하단에는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의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구가 결합되는 상판 및 하판에는 상기 체결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 하판 및 중간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의 상단 및 하단에는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구가 결합되는 상판 및 하판에는 상기 체결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요철 구조의 양측 돌출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제1힘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은 중간지지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세로프레임과, 상기 제1세로프레임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가로프레임 및 상기 중간지지구와 제1가로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측면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판은 중간지지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세로프레임과, 상기 제2세로프레임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또는 제2세로프레임은 중간지지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세로프레임의 연장부와 제2가로프레임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세로프레임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힘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로프레임은 네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폐쇄된 형상으로 제1보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홈의 내측에는 가로방향으로 제2보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은 하부에 중간지지구가 삽입 설치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가로프레임이 안치되는 제1수평면이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는 측벽이 상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은 내측에 제1가로프레임이 안치되는 안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의 내측으로는 돌출부에 의해 안치부와 분리되는 제2수평면이 형성되며, 측면프레임의 외측 단부에는 측벽이 상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수평면 상에는 돌출부 및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박스형 파렛트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측벽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2겹 이상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그루브 라인(groove lin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의 양측 단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세로프레임 또는 측면프레임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U자형 절곡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중간지지구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 내면에는 체결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 단부는 체결구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 외면에는 보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상기 보강부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의 상면 및 하판의 하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이즈별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현장에서 직접 원하는 크기의 파렛트를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과 물류비용을 혁신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렛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간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다양한 보강구조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변형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의 (a),(b)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중간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중간지지구와 상판 및 하판 사이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의 (a) ~ (c)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가로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측면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12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1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 중 중간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결합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의 (a),(b)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중간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중간지지구와 상판 및 하판 사이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의 (a) ~ (c)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가로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측면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및 정단면도이며, 도 12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및 정단면도이고, 도 1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 중 중간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결합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파렛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간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다양한 보강구조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10,10')에 관한 것으로, 그 제1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상판(100), 하판(200) 및 중간지지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판(100)은 적재물이 상부에 안치되어 적재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적재물이 직접 안치되는 면이 형성되는 제1가로프레임(120)과, 상기 제1가로프레임(120)의 하부에 결합되어 가로프레임(120)을 지지함과 동시에 그 하부에 중간지지구(300)가 결합되는 제1세로프레임(110) 및 제1가로프레임(120)과 중간지지구(300)의 사이 또는 제1가로프레임(120)과 제1세로프레임(1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판(100)의 가장자리 즉,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측면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판(200)은 중간지지구(300)에 의해 상판(10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파렛트(10)가 지면 등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과 대응되도록 하여 중간지지구(300)의 하부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세로프레임(210)과, 상기 제2세로프레임(21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가로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
다음, 상기 중간지지구(300)는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 하부와 하판(200)의 제2세로프레임(210) 상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판(100)과 하판(200)이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판(100)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상판(100)의 하부에 지게차의 포크 등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에 얹혀지는 적재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를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중간지지구(300)는 도 4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 우 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 구조로 이루어져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도 견고한 지지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요철 구조로 이루어진 중간지지구(300)의 양측 돌출부 상단 및 하단에는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결합돌기(31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돌기(310)는 중간지지구(300)가 상기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 및 하판(200)의 제2세로프레임(210)의 사이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지지구(300)의 양측 돌출부에는 길이방향, 즉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제1힘살부(320)를 형성하여 중간지지구(300)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중간지지구(3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과 하판(200)의 제2세로프레임(210)은 도 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112,212), 걸림턱(114,214), 연장부(116,2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개구부(112,212)는 중간지지구(300)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걸림턱(114,214)은 개구부(112,212)의 양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개구부(112,212)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 중간지지구(300)의 결합돌기(310)가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연장부(116,216)는 걸림턱(114,214)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제1세로프레임(110)에 형성되는 연장부(116)는 보강부재 등을 추가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제2세로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연장부(216)는 제2가로프레임(220)과의 결합시 용접 등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사용된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5의 (b)에 표시된 제1세로프레임(110)의 연장부(116)와 상판(100)의 측면프레임(1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상에 상판(100)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삽입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세로프레임(210)의 연장부(216)의 경우 제2가로프레임(220)의 상단부 상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스폿(spot)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제2세로프레임(210)과 제2가로프레임(2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2세로프레임(210)을 제2가로프레임(220)의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1세로프레임(1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세로프레임(210)의 연장부(216)와 제2가로프레임(2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상에 지지력 향상을 위한 보강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제1세로프레임(110)과 제2세로프레임(210)에는 지지력 보강을 위한 제2힘살부(118,218)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제2힘살부(118,218)는 개구부(112,212)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수평면에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세로프레임(110)의 상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제1가로프레임(1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1가로프레임(120)은 지지력 강화 및 하중으로 인한 변형방지를 위해 도 6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로프레임(120)의 상면에도 구조적 강성 향상을 위한 제3힘살부(12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로프레임(120)은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그 상면에는 폐쇄된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보강홈(124)과, 상기 제1보강홈(124)의 내측에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보강홈(126)이 형성되어 제1가로프레임(120)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가로프레임(120)의 가장자리 부분은 측면프레임(130)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측면프레임(130)은 중간지지구(300)와 가로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판(10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측면프레임(130)은 도 7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132), 제1수평면(136) 및 측벽(13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수용부(132)는 그 내측으로 중간지지구(300)의 상단부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용부(132)의 양측에는 절곡부(134)가 형성되어 전술한 제1세로프레임(110)의 개구부(112) 구성과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도 7에 나타낸 측면프레임(130)의 제1실시예는 중간지지구(300)의 상부에 직접 결합되어 제1세로프레임(110)의 역할 또한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제1수평면(136)은 측면프레임(130)의 상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제1가로프레임(120)이 안치됨과 동시에 후술할 박스형 파렛트(4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138)은 제1수평면(136)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파렛트(10)의 측면, 즉 가장자리 부분을 강화시킴으로써 적재물의 하중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파렛트(10)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후술할 박스형 파렛트(40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들(410,420,430,440)을 지지함으로써 평판형 파렛트를 박스형 파렛트(400)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130)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수용부(132), 제1수평면(136) 및 측벽(138)을 형성시킴으로써 측벽(138)이 2겹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파렛트(10) 가장자리 부분의 강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측벽(138)을 구성하는 내측벽과 외측벽은 서로 접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보다 강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벽(138)에는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그루브 라인(groove line)(138a)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상기 그루브라인(138a)은 측벽(138)의 하중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벽(138)의 양측 단부에는 관통홀(138b)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138b)은 여러 개의 파렛트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필요에 의해 다수 개의 파렛트(10,10',10")를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할 경우, 상기 관통홀(138b)을 통해 체결부재를 삽입시켜 이웃하는 파렛트(10,10',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면(136)의 상부에 박스형 파렛트(400,40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측벽(138)에 형성된 관통홀(138b)에 고정수단(미도시)을 삽입하여 박스형 파렛트(400,400')를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 8의 (a),(b)는 측면프레임(130')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측면프레임(130')은 제1세로프레임(110)과 제1가로프레임(12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판(100)의 가장자리 즉,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측면프레임(130')은 전술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제1세로프레임(110)과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130')은 안치부(132'), 돌출부(134'), 제2수평면(136') 및 측벽(1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안치부(132')는 그 상부에 제1가로프레임(120)의 단부가 안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돌출부(134')는 안치부(132')와 제2수평면(136')의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안치부(132')와 제2수평면(136') 사이를 구획함과 동시에 측면프레임(130')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수평면(136')은 그 상부에 후술할 박스형 파렛트(400,40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 및 연결프레임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수평면(136')에 삽입 설치된 플레이트들(410,420,430,440,414') 및 연결프레임(460,460')은 측벽(138') 및 돌출부(13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측벽(138')은 제2수평면(136')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그루브라인(138a')과 관통홀(138b') 등의 구성은 전술한 측벽(138)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의 하판(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세로프레임(210)과 제2가로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가로프레임(22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 개로 분할되어 제2세로프레임(210)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제2세로프레임(2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로프레임(220)이 제2세로프레임(21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가로프레임(220)의 양측 단부가 제2세로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연장부(216)와 스폿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로프레임(220)도 제1가로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요철 구조로 형성되거나 평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힘살부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다음, 도 9 내지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판(100)과 하판(200)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중간지지구(300)의 상단 및 하단에 체결돌기(33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판(100) 및 하판(200)에는 중간지지구(300)의 체결돌기(330)가 삽입 결합되는 체결홈(113,133,213)이 형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중간지지구(300)의 상단 및 하단에 원형, 타원형 또는 쐐기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돌기(33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구(330)가 결합되는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 및 측면프레임(130)과 하판(200)의 제2세로프레임(210)에는 상기 체결돌기(330)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홈(113,133,213)이 형성되어 중간지지구(300)가 제1세로프레임(110)과 제2세로프레임(210)의 사이 또는 측면프레임(130)과 제2세로프레임(210)의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합방식에 의해 중간지지구(300)와 상판(100) 및 하판(200) 사이의 결합면적이 증대되어 보다 견고한 결합력 및 지지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상판(100), 하판(200) 및 중간지지구(300) 사이의 결합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중간지지구(3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횡단면 형상이 사각형, 원형 또는 이를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2의 (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중간지지구(300)의 상단 및 하단에 원, 타원 또는 다각형 형상의 체결홈(340)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구(300)가 결합되는 상판(100)과 하판(200), 즉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 및 측면프레임(130)과 하판(200)의 제2세로프레임(210)에는 상기 체결홈(340)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돌기(미도시,135,215)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중간지지구(300)와 상판(100) 및 하판(200)이 전술한 제2실시예와 반대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중간지지구(300)의 상단에는 체결돌기(330)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에는 체결홈(340)이 형성되는 등 전술한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중간지지구(300) 및 중간지지구(300)에 결합되는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 및 측면프레임(130)과 하판(200)의 제2세로프레임(210)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형상에 의해 전체적인 파렛트(10)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 즉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U자형 절곡부(140)가 형성되는데, 상기 U자형 절곡부(140)는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중간지지구(300), 제1,2세로프레임(110,210) 및 측면프레임(1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의 나머지 구성 즉, 상판(100) 및 하판(200)을 구성하는 제1세로프레임(110), 제1가로프레임(120), 측면프레임(130) 및 제2세로프레임(210), 제2가로프레임(220)의 특징적인 구성들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의 중간지지구(300)는 도 13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프레임(360)과 제2프레임(370)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상기 제1프레임(360)과 제2프레임(370)은 그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프레임(360)과 제2프레임(370)이 결합하여 중간지지구(300)를 형성하는 경우, 그 측면부가 이중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중간지지구(300)의 하중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370)의 양측 내면에는 제1프레임(360)의 양측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체결구(372)가 돌출 형성되어, 추가적인 접착수단이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제1프레임(360)과 제2프레임(37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360)의 양 측면에는 보강부(36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370)의 양 측면에는 상기 보강부(364)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홀(374)이 형성되어 제1프레임(360)과 제2프레임(37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중간지지구(300)의 구조적 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프레임(360) 및 제2프레임(37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중간지지구(300)가 결합되는 상판(100)과 하판(200), 즉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 및 측면프레임(130)과 하판(200)의 제2세로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체결홈(113,133,213)에 삽입 결합되는 체결돌기(330)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100)의 상부에 박스형 파렛트(400)를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는데, 상기 박스형 파렛트(400)는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측면프레임(130,130')에 형성되는 제1수평면(136) 또는 제2수평면(136') 상에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가 각각 설치되어 상판(100)의 상부에 박스형 파렛트(4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는 제1수평면(136) 상에 설치되어 측벽(138) 및 제1가로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거나, 제2수평면(136') 상에 설치되어 측벽(138') 및 돌출부(13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박스형 파렛트(400)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는 중간지지구(300)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보다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의 상단부에는 지지프레임(45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프레임(450)은 그 단면이 'H'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박스형 파렛트(40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그 상부에 추가적인 플레이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H' 형상을 갖는 지지프레임(450)의 상부로 추가적인 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박스형 파렛트(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의 양 측면에도 그 단면이 'H'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설치하여 이웃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 사이의 연결부에는 연결프레임(46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프레임(460)은 이웃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웃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결합력 강화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 사이의 연결부 상단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의 고정프레임(47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프레임(470)은 이웃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박스형 파렛트(400)의 사용시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가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470)과 연결프레임(460)의 사이에는 경첩수단(미도시)이 설치되어 고정프레임(470) 또는 연결프레임(460)이 박스형 파렛트(400)의 사용 도중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10')를 구성하는 상판(100)의 상면 및 하판(200)의 하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150)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50)는 파렛트(10,10')와 지면 사이 및 파렛트(10,10')와 파렛트(10,10') 상에 놓여진 물체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파렛트(10,10') 및 파렛트(10,10') 상에 놓여진 물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샌드 블라스트 등의 공정을 통해 상판(100)의 상면 및 하판(200)의 하면에 미세한 미끄럼방지돌기(150)를 형성시킴으로써 적재물과의 마찰력 증가에 따른 미끄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이즈별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현장에서 직접 원하는 크기의 파렛트를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과 물류비용을 혁신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파렛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간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다양한 보강구조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변형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품의 생산 및 보관이나 물류의 운송 등에 사용되는 철재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파렛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간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다양한 보강구조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10, 10' : 철재 파렛트 100 : 상판
110 : 제1세로프레임 112, 212 : 개구부
113, 133, 213, 340 : 체결홈 114, 214 : 걸림턱
116, 216 : 연장부 118, 218 : 제2힘살부
120 : 제1가로프레임 122 : 제3힘살부
124 : 제1보강홈 126 : 제2보강홈
130, 130' : 측면프레임 132 : 수용부
132' : 안치부 134 : 절곡부
134' : 돌출부 135, 215, 330 : 체결돌기
136 : 제1수평면 136' : 제2수평면
138, 138' : 측벽 138a, 138a' : 그루브라인
138b, 138b' : 관통홀 140 : U자형 절곡부
150 : 미끄럼방지돌기 200 : 하판
210 : 제2세로프레임 220 : 제2가로프레임
300 : 중간지지구 310 : 결합돌기
320 : 제1힘살부 360 : 제1프레임
364 : 보강부 370 : 제2프레임
372 : 체결구 374 : 삽입홀
400 : 박스형 파렛트 410 : 제1플레이트
420 : 제2플레이트 430 : 제3플레이트
440 : 제4플레이트 450 : 지지프레임
460 : 연결프레임 470 : 고정프레임

Claims (21)

  1. 삭제
  2. 상판, 하판 및 중간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의 상단 및 하단에는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의 체결돌기 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구가 결합되는 상판 및 하판에는 상기 체결돌기 또는 체결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홈 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중간지지구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 내면에는 체결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 단부는 체결구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며,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 외면에는 보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상기 보강부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3. 삭제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중간지지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세로프레임과, 상기 제1세로프레임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가로프레임 및 상기 중간지지구와 제1가로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측면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중간지지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세로프레임과, 상기 제2세로프레임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세로프레임은 중간지지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로프레임의 연장부와 제2가로프레임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세로프레임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힘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프레임은 네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폐쇄된 형상으로 제1보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홈의 내측에는 가로방향으로 제2보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하부에 중간지지구가 삽입 설치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가로프레임이 안치되는 제1수평면이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는 측벽이 상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내측에 제1가로프레임이 안치되는 안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의 내측으로는 돌출부에 의해 안치부와 분리되는 제2수평면이 형성되며, 측면프레임의 외측 단부에는 측벽이 상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면 상에는 돌출부 및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박스형 파렛트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2겹 이상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그루브 라인(groove lin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양측 단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세로프레임 또는 측면프레임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U자형 절곡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면 및 하판의 하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KR1020140169498A 2014-12-01 2014-12-01 조립식 철재 파렛트 KR101682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498A KR101682698B1 (ko) 2014-12-01 2014-12-01 조립식 철재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498A KR101682698B1 (ko) 2014-12-01 2014-12-01 조립식 철재 파렛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480A KR20160065480A (ko) 2016-06-09
KR101682698B1 true KR101682698B1 (ko) 2016-12-07

Family

ID=5613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498A KR101682698B1 (ko) 2014-12-01 2014-12-01 조립식 철재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775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프레임부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349908B2 (en) * 2009-07-15 2016-02-18 Eco-Block International Limited Pallet that can be assembled with sliding boards and a locking spine member
KR101632331B1 (ko) * 2012-07-10 2016-06-24 이유구 포장박스를 가진 화물적재용 팔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775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프레임부재
KR102350442B1 (ko) 2020-04-06 2022-01-12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프레임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480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932B1 (ko) 조립식 팔레트
MX2013001828A (es) Montaje de tarima.
US9079683B2 (en) Pallet base and pallet provided with said base
EP1744966B1 (en) Palette
KR101171138B1 (ko) 조립식 파렛트
KR101693331B1 (ko) 다용도 철재 파렛트
KR101378394B1 (ko) 보강 조립구조를 갖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KR101682698B1 (ko) 조립식 철재 파렛트
KR101115606B1 (ko) 팔레트의 강도 보강구조
KR101810977B1 (ko) 조립식 철재 파렛트
KR20140041372A (ko) 조립식 파레트
KR101252180B1 (ko) 조립식 철재 팔레트
KR101610910B1 (ko) 다목적 스틸 팔레트
KR101680773B1 (ko) 조립식 팔레트
KR200459256Y1 (ko) 파렛트 랙
KR101612531B1 (ko) 철재 파렛트
KR101780256B1 (ko) 조립식 철재 파렛트
KR200462050Y1 (ko) 거푸집 판넬
KR101589283B1 (ko) 철재 파렛트
KR101363567B1 (ko) 포장박스 조립구조를 갖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KR101567033B1 (ko) 경량 철재 파렛트
KR102030772B1 (ko)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
KR101612532B1 (ko) 철재 파렛트
JP6101301B2 (ja) 角柱パイプを用いた支持棚
KR101600399B1 (ko) 팔레트 설치용 조립식 종이 포장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