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780B1 -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780B1
KR101875780B1 KR1020170125678A KR20170125678A KR101875780B1 KR 101875780 B1 KR101875780 B1 KR 101875780B1 KR 1020170125678 A KR1020170125678 A KR 1020170125678A KR 20170125678 A KR20170125678 A KR 20170125678A KR 101875780 B1 KR101875780 B1 KR 101875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lower substrate
length
durability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민제
Original Assignee
공민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민제 filed Critical 공민제
Priority to KR1020170125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hook-and-loo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부품을 운반하는 컨테이너의 각 면을 분리하여 적재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킨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 위에 결합되며 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1슬리브; 상기 하부기판 위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리브와 함께 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2슬리브; 상기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의 끝단은 서로 겹치도록 구성되는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Container reinforcing durability}
본 발명은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어, 자동차용 부품을 운반하는 컨테이너의 각 면을 분리하여 적재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킨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나 중장비, 조선 등에 사용되는 부품은 그 부품의 형상 및 크기에 맞춤 제작된 고유의 운반용기에 의해 운반된다. 즉, 이러한 부품들은 수출이나 수입시 수개월간 선박에 의하여 운송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운반용 컨테이너와 정확하게 고정되지 않으면 운반과정에서 변형되거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미국특허 제4,765,252호를 참조하면, 이러한 컨테이너는 슬리브(12)와 파레트(14,16)로 구성되며, 슬리브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파레트가 장착된다.
물건을 적재할 때에는 파레트 위에 물건을 적재하고, 적재가 완료되면 슬리브를 끼우고 그 위에 다시 파레트를 닫는다.
하지만, 이러한 적재방법은 파레트 위에 물건을 적재하다가 잘못하면 물건이 옆으로 무너져 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물건을 어디까지 쌓아야 할지 몰라 물건이 슬리브 위까지 적재되거나, 반대로 더 쌓을 수 있는데 공간이 남아버리는 경우도 발생하여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테이너를 여러 개 위로 쌓아 적층하여 운반하는데 위로부터의 하중에 의해 컨테이너의 슬리브에 변형이 생겨 물건에 손상이 가거나 찌그러드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4,765,25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물건을 적재하기 쉽고 슬리브의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켜 안정감 있게 물건을 운반할 수 있는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 위에 결합되며 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1슬리브; 상기 하부기판 위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리브와 함께 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2슬리브; 상기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의 끝단은 서로 겹치도록 구성되는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상기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는 대칭형상으로 구성되며, 한쪽 측면을 모두 커버하는 완전측면부, 상기 완전측면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완전측면부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의 끝단은 상호 중첩되어 벨크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건을 다방향에서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되어 물건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슬리브의 변형을 방지하여 다단 적재시에도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하부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하부기판에 제1슬리브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하부기판에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를 이용한 물건의 적재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도 5의 평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도 8에 의한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의 평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의 평면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는 하부기판(200), 제1슬리브(310), 제2슬리브(320), 덮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기판(200)은 4각형의 파레트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형상은 여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기판(200)은 아래로 볼록한 볼록부(210) 및 위에서 보았을 때 움푹 들어간 오목부(220)가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네 면의 가장자리에는 슬리브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슬리브는 제1슬리브(310) 및 제2슬리브(320) 두 개로 구비된다. 상기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는 대칭적인 형상으로 구비되며,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의 측면을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슬리브(310)는 종이나 합성수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완전측면부(312), 제1절곡부(314), 제2절곡부(316)를 포함한다.
상기 완전측면부(312)는 한 면을 모두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제1절곡부(314) 및 제2절곡부(316)의 중심 역할을 한다.
상기 완전측면부의 일단에는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절곡부(31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역시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절곡부(316)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절곡부(314) 및 제2절곡부(316)의 길이는 하부기판(200)의 측면의 길이의 절반정도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형상은 'ㄷ'자 형상으로 된다.
제2슬리브(320)는 제1슬리브와 대칭적인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마찬가지로 완전측면부(322), 제1절곡부(324), 제2절곡부(3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슬리브(310)의 제1절곡부(314)와 제2슬리브(320)의 제2절곡부(326)가 하부기판의 측면에서 만나게 되고, 제1슬리브(310)의 제2절곡부(316)과 제2슬리브(320)의 제1절곡부(324)가 상기 측면의 마주보는 측면에서 만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를 이용한 물품적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하부기판(200)에 제1슬리브(310)를 삽입하여 일부 측면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물건을 제1슬리브(310)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적재한다. 이때, 작업자는 제1슬리브의 개방된 면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물건을 적재할 수 있다.
물건의 적재가 끝나면, 제2슬리브(320)를 하부기판에 삽입하여 4개의 면이 모두 감싸지도록 한다. 그후, 덮개(500)를 덮으면 물건의 적재가 끝이 나며, 이러한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를 위로 차곡차곡 쌓을 수 있게 된다.
도 7은 제1슬리브(310) 및 제2슬리브(320)가 하부기판에 삽입된 상태의 평면단면도를 나타낸다. 제2슬리브(310) 및 제2슬리브(320)는 하부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져 삽입되며, 덮개(500)에도 마찬가지로 가장자리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제1슬리브(310) 및 제2슬리브(320)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슬리브(330) 및 제2슬리브(340)는 역시 대칭으로 형성되며, 완전측면부(342), 제1절곡부(344) 및 제2절곡부(34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절곡부(344)와 제2절곡부(346)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절곡부(344)의 길이는 하부기판 측면 길이의 절반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제2절곡부(346)의 길이는 하부기판 길이의 측면 길이의 절반보다 길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절곡부(346)의 길이는 상기 제1절곡부(344)의 길이보다 2 배 내지 20 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절곡부(346)의 길이가 상기 제1절곡부(344)의 길이 대비 2배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 하부기판의 장측 및 단측 모두에서 적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작업성 개선이 극대화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절곡부(346)의 길이가 상기 제1절곡부(344)의 길이 대비 20배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경우에 적재 후 슬리브의 변형, 예를 들어 슬리브의 배부름 현상 또는 슬리브의 상호 이음새 부분의 터짐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는 전체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으로 제작되나, 제1슬리브 자체 또는 제2슬리브 자체는 비대칭적인 형상으로 제작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제1슬리브(330) 및 제2슬리브(340)가 하부기판에 삽입된 상태의 평면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두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에서 물건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물건을 적재할 때 하나의 면을 통해 물건을 적재할 때보다 자유도가 커져 적재작업이 훨씬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다음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슬리브(310) 및 제2슬리브(320)의 끝단은 서로 겹쳐지게 결합될 수 있다. 통상 컨테이너가 운반되는 경우 운반되는 상황에 따라 적재되는 물건이 한쪽으로 쏠리는 경우에, 또는 컨테이너의 다단 적재시 하부 컨테이너는 상부 컨테이너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제1슬리브(310) 및 상기 제2슬리브(320)의 연결부위가 벌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슬리브(310) 및 제2슬리브(320)의 끝단을 서로 겹쳐지게 결합시키는 경우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의 연결부위를 2중으로 보강할 수 있어서 위와 같은 벌어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리브(310) 및 제2슬리브(320)의 사이에는 벨크로가 구비되어 연결부위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의 양 끝단은 하부기판의 절반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310) 및 상기 제2슬리브(320)이 중첩된다.
이렇게 제1슬리브(310) 및 제2슬리브(320)의 끝단이 겹쳐지게 결합됨으로써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운반시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의 끝단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는 양쪽 끝단이 엇갈리게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쪽면에서 제1슬리브가 바깥쪽으로 겹쳐지는 경우 타측면에서 제1슬리브가 안쪽으로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쪽 슬리브가 양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결합될 경우 과도한 탄성변형이 일어날 수가 있다.
위와 같이 제1슬리브(310) 및 제2슬리브(320)의 끝단을 겹쳐지게 하여 결합시키는 실시예는, 전술한 슬리브 형상, 즉 상기 제1절곡부(344)의 길이는 하부기판 측면 길이의 절반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제2절곡부(346)의 길이는 하부기판 길이의 측면 길이의 절반보다 길게 형성시키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결합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하부기판 310 : 제1슬리브
320 : 제2슬리브 500 : 덮개

Claims (3)

  1.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 위에 결합되며 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1슬리브;
    상기 하부기판 위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리브와 함께 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2슬리브; 및
    상기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는 대칭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는 각각 한쪽 측면을 모두 커버하는 완전측면부, 상기 완전측면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완전측면부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곡부의 길이는 하부기판 측면 길이의 절반보다 짧고, 상기 제2절곡부의 길이는 하부기판 길이의 측면 길이의 절반보다 길며, 상기 제2절곡부의 길이는 상기 제1절곡부의 길이보다 2 배 내지 20 배이며,
    상기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의 끝단은 서로 겹치도록 구성되는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의 끝단은 벨크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
KR1020170125678A 2017-09-28 2017-09-28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 KR101875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678A KR101875780B1 (ko) 2017-09-28 2017-09-28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678A KR101875780B1 (ko) 2017-09-28 2017-09-28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780B1 true KR101875780B1 (ko) 2018-07-06

Family

ID=6292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678A KR101875780B1 (ko) 2017-09-28 2017-09-28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78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252A (en) * 1986-04-23 1988-08-23 Shuert Lyle H Container with sleeve interlocking latch
JP2007210632A (ja) * 2006-02-09 2007-08-23 Kawakami Sangyo Co Ltd コンテナ部材
KR101480666B1 (ko) * 2014-03-21 2015-01-20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결합 구조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용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
KR200476369Y1 (ko) * 2014-01-07 2015-02-23 유만길 팔레트 박스
KR101556944B1 (ko) * 2014-05-22 2015-10-06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파렛트 분리 및 접이식 컨테이너
KR101680364B1 (ko) * 2016-08-18 2016-11-28 주식회사 삼부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KR20170100763A (ko) * 2016-02-26 2017-09-05 한국로지스풀 주식회사 파렛트 적재물용 덮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252A (en) * 1986-04-23 1988-08-23 Shuert Lyle H Container with sleeve interlocking latch
JP2007210632A (ja) * 2006-02-09 2007-08-23 Kawakami Sangyo Co Ltd コンテナ部材
KR200476369Y1 (ko) * 2014-01-07 2015-02-23 유만길 팔레트 박스
KR101480666B1 (ko) * 2014-03-21 2015-01-20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결합 구조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용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
KR101556944B1 (ko) * 2014-05-22 2015-10-06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파렛트 분리 및 접이식 컨테이너
KR20170100763A (ko) * 2016-02-26 2017-09-05 한국로지스풀 주식회사 파렛트 적재물용 덮개
KR101680364B1 (ko) * 2016-08-18 2016-11-28 주식회사 삼부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결합용 코너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2344E (en) Shipping pallet and a package formed therefrom
US4413737A (en) Shipping pallet and a package formed therefrom
US4292901A (en) Cornerboard for pallets
JP3561875B2 (ja) タイヤホイールの梱包要素
US20060070905A1 (en) Adjustable shipping container for spindled contents
US9334079B2 (en) Logistics crate module and method of transporting goods
US20180201404A1 (en) Intermodal devices and methods
US200600762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lletizing a product
KR101875780B1 (ko)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
US10315801B2 (en) Collapsible box
JP7490232B2 (ja) パレット
KR102026671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8B1 (ko) 가변형 파렛트
JP2017077321A (ja) 弁当箱
KR102521090B1 (ko) 손잡이 일체형 박스
ZA200409212B (en) A method of transporting unit loads.
KR20180109008A (ko) 프레임을 이용한 포장 상자
JP6889352B2 (ja) 簡易パレット
JP2005126076A (ja) 通箱
KR102026667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9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73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6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08376B1 (ko) 스토퍼가 구비된 가변형 파렛트
WO2009070840A1 (en) Packa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