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269B1 -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269B1
KR102148269B1 KR1020200025797A KR20200025797A KR102148269B1 KR 102148269 B1 KR102148269 B1 KR 102148269B1 KR 1020200025797 A KR1020200025797 A KR 1020200025797A KR 20200025797 A KR20200025797 A KR 20200025797A KR 102148269 B1 KR102148269 B1 KR 102148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nd
frame assembly
installing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수
Original Assignee
임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수 filed Critical 임상수
Priority to KR102020002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04B2001/4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조립체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제1-1 프레임(111)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제1-1 프레임(111)들 사이에 복수로 설치되는 제1-2 프레임(112)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1 프레임(111)과 제1-2 프레임(112)들의 일방을 덮도록 덮개부재(13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재(130)는 소정의 받침유닛을 통해 초기 위치에서 설치 위치로 이송되며, 상기 받침유닛은, 상기 덮개부재(130)가 다수로 적재되는 팔레트(230'')와, 적재된 덮개부재(130)들의 최하층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양단에 제1 및 제2 끼움구(112'')(114'')가 각각 형성된 띠형 제1밴드(110'')와; 상기 제1끼움구(112'')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제1삽입부분과, 상기 제1삽입부분의 상단에서 상기 제1삽입부분의 연장방향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된 수평 연장부분을 갖는 제1결합구(120'')와; 상기 제1밴드(110'')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덮개부재의 상면을 가로질러 상기 제1밴드(110'')의 타측부분과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제2밴드(150'')가 구비되는 프레임 조립체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프레임 조리체 설치와 해체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되 프레임 조립체의 설치 과정에 있어 초기 위치에서 설치를 위한 선정 위치로 이송을 위하여 대상물을 보다 효울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물을 다수로 탑재시켜 취급함에 있어서 사고 발생 위험성을 줄이고 필요 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 조립체 준비 설치 및 사후 보수 과정 전반의 효율적인 수행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Installing method for frame assembly}
본 발명은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와 해체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되 프레임 조립체의 설치 과정에 있어 자재가 구비되는 초기 위치에서 설치를 위한 선정 위치로 이송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작업성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프레임 조립체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조립체를 시공하는 과정에 있어서 각각의 부재들은 설치 목적에 따라 필요로하는 최적화된 부재들의 선정과 선정된 부재들의 용이한 결속을 통해 설치 소요 기간을 용이하게 단축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부분들은 지속적 기술개발로 인하여 그 필요성이 어느 정도 충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 조립체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각 자재의 준비하고 이를 이송하여 설치하는 과정이 모두 중요한데 기존에는 설치하는 과정의 기술 개발에만 치중하여 중간 과정에 대한 기술부분이 등한시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초기 자재 준비와 자재 설치 과정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프레임 조립체 시공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22106호
본 발명은 설치와 해체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되 프레임 조립체의 설치 과정에 있어 초기 위치에서 설치를 위한 선정 위치로 이송을 위하여 초기 대상물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대상물을 다수로 탑재시켜 취급하는 등 작업성의 안정성을 높여 작업자의 사고 발생 위험성을 줄이고 필요 인력을 절감시켜 프레임 조립체 준비 설치 및 사후 보수 과정 전반의 효율적인 취급을 가능케 하는 프레임 조립체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조립체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제1-1 프레임(111)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제1-1 프레임(111)들 사이에 복수로 설치되는 제1-2 프레임(112)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1 프레임(111)과 제1-2 프레임(112)들의 일방을 덮도록 덮개부재(13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재(130)는 소정의 받침유닛을 통해 초기 위치에서 설치 위치로 이송되며, 상기 받침유닛은, 상기 덮개부재(130)가 다수로 적재되는 팔레트(230'')와, 적재된 덮개부재(130)들의 최하층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양단에 제1 및 제2 끼움구(112'')(114'')가 각각 형성된 띠형 제1밴드(110'')와; 상기 제1끼움구(112'')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제1삽입부분과, 상기 제1삽입부분의 상단에서 상기 제1삽입부분의 연장방향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된 수평 연장부분을 갖는 제1결합구(120'')와; 상기 제1밴드(110'')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규격물품 적층체의 상면을 가로질러 상기 제1밴드(110'')의 타측부분과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제2밴드(150'')가 구비되는 프레임 조립체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조리체 설치와 해체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되 프레임 조립체의 설치 과정에 있어 초기 위치에서 설치를 위한 선정 위치로 이송을 위하여 대상물을 보다 효울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물을 다수로 탑재시켜 취급함에 있어서 사고 발생 위험성을 줄이고 필요 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 조립체 준비 설치 및 사후 보수 과정 전반의 효율적인 수행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5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1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 설치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b 내지 도 14는 도 1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의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를 취급하기 위한 받침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0은 도 1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의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를 취급하기 위한 받침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 조립체(100)는 제1프레임 모듈(110), 제2프레임 모듈(120), 덮개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 모듈(110)은 제1-1프레임(111), 제1-2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2프레임 모듈(120)은 제2-1프레임(121), 제2-2프레임(122), 제2-3프레임(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1프레임(111)은 일정 높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 증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상기 제1-2프레임(112)과의 결속을 위한 결속부(1111)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1프레임(111)은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 상의 제1영역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플랜지부(P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1프레임(111)의 양측면 중 상기 제1플랜지부(P1)가 구비되는 일측면 상의 제2영역으로부터는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P2)가 구비된다. 상기 제1-1프레임(111)의 상기 결속부(1111)는 상기 제1-1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1-1프레임(111)의 상기 결속부(1111)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하단부 적어도 일영역이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1프레임(111)의 상기 결속부(1111)는 상기 제1플랜지부(P1)와 상기 제2플랜지부(P2)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하방 일영역이 상기 제2플랜지부(P2)와 형합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일영역을 제외한 타영역은 상기 일영역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1프레임(111)의 상기 결속부(1111)는 상기 제1플랜지부(P1)와 상기 제2플랜지부(P2)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1프레임(111)을 향하는 일방의 상방 가장자리와 하방 가장자리가 상기 결속부(1111)의 내측을 향해 일정하게 내측으로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랜지부(P1) 및 상기 제2플랜지부(P2)는 내측면 길이방향 적어도 일영역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제1-1프레임(111)은 상기 제1-2프레임(112)은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1-1프레임(111)들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결속부(1111)와 접하여 상기 제1-1제프레임(111)들 상에 결속된다. 여기서 상기 제1-2프레임(112)는 “ㄱ”자 형상의 앵글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2프레임(112)은 전술한 것과는 별도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ㄷ”자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제1-2프레임(112)는 상호 대칭형으로 마주 접하도록 결속된채로 상기 결속부(1111)와 접하여 상기 제1-1프레임(111)들 상에 결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프레임 모듈(120)은 상기 제1프레임 모듈(110)의 하방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프레임 모듈(120)의 상기 제2-1프레임(121)은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는 소정의 기본 틀(BP) 사이로 복수 설치된다. 상기 제2-1프레임(121)은 일정 높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 증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제2결속부(1211)가 구비된다. 상기 제2-2프레임(122)은 복수로 설치되어 상호 마주하는 제2-1프레임(121)들 사이로 복수 설치된다. 상기 제2-2프레임(122)은 일정 높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제3결속부(1221)가 구비된다. 상기 제2-3프레임(123)은 상기 제2-1프레임(121)과 상기 제2-2프레임(122)은 상호간을 결속시킨다. 즉, 상기 제2-3프레임(123)은 상기 제2결속부(1211)와 상기 제3결속부(1221)를 통해 상기 제2-1프레임(121)과 상기 제2-2프레임(122)을 상호 결속시키는 것이다.
상기 덮개부재(130)는 상기 제1프레임 모듈(110)의 일방을 덮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1프레임 모듈(110)의 일방에서 상기 제1-1프레임(111)과 상기 제1-2프레임(112)을 덮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제1-1프레임(111)과 상기 제1-2프레임(112)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체결부재(예 : 볼트, 나사 등)를 이용하거나, 용접 등을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S100)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5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S100)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S100)은 제1프레임 모듈(110) 설치, 제2프레임 모듈(120)설치, 덮개부재(130) 설치 단계를 포함한다. ( S110 단계 내지 S130 단계)
상기 제1프레임 모듈(110) 설치 단계(S110)를 살펴보면 먼저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는 소정의 제1-1프레임(111)을 복수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1프레임(111)은 일정 높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 증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상기 제1-2프레임(112)과의 결속을 위한 결속부(1111)가 구비된다. (도 6 및 S111 단계) 이러한 상기 제1-1프레임(111)은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 상의 제1영역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플랜지부(P1)가 구비된다. 상기 제1-1프레임(111)의 양측면 중 상기 제1플랜지부(P1)가 구비되는 일측면 상의 제2영역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P2)가 구비된다. (도 2 및 도 3a 참조) 상기 제1-1프레임(111)의 상기 결속부(1111)는 상기 제1-1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1-1프레임(111)의 상기 결속부(1111)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하단부 적어도 일영역이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프레임(112)의 규격은 (도 2, 도 3a 및 도 3b 참조)
상기 제1-1프레임(111)의 상기 결속부(1111)는 상기 제1플랜지부(P1)와 상기 제2플랜지부(P2)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하방 일영역이 상기 제2플랜지부(P2)와 형합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영역을 제외한 타영역은 상기 일영역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3a 참조) 상기 제1-1프레임(111)의 결속부(1111)는 상기 제1플랜지부(P1)와 상기 제2플랜지부(P2)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프레임을 향하는 일방의 상방 가장자리와 하방 가장자리가 상기 결속부(1111)의 내측을 향해 일정하게 내측으로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플랜지부(P1) 및 상기 제2플랜지부(P2)는 내측면 길이방향 적어도 일영역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3a 참조) 상기 제1-1프레임(111)들을 복수로 설치한 뒤 상호 마주는 상기 제1-1프레임(111)들 사이로 복수의 제1-2프레임(112)을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제1-2프레임(112)은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1-1프레임(111)들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결속부(1111)와 접하여 상기 제1-1제프레임(111)들 상에 결속된다. (도 7 및 S111 단계)
상기 제2프레임 모듈(120) 설치 단계를 살펴보면 먼저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는 소정의 기본 틀(BP) 사이로 제2-1프레임(121)을 복수 설치한다. (도 7, 도 8 및 S121 단계)
상기 제2-1프레임(121)들을 복수로 설치한 뒤 상호 마주는 상호 마주하는 제2-1프레임(121)들 사이로 제2-2프레임(122)을 복수 설치한다. 상기 제2-1프레임(121)과 상기 제2-2프레임(122)은 상호간에 제2-3프레임(123)을 통해 상호 결속된다. (도 7, 도 8 및 S121 단계)
상기 덮개부재(130) 설치 단계에서는 상기 제1 프레임 모듈(110)의 일방을 덮도록 하나 이상의 덮개부재(130)를 설치한다. (도 1 및 S130 단계)
상기 제1프레임 모듈(110)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20) 각각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 모듈(120)을 설치한 뒤, 상기 제1프레임 모듈(110)을 설치하거나, 상기 제1프레임 모듈(110)을 설치한 뒤, 상기 제2프레임 모듈(12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의 순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1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1 프레임(111)의 상면부 상으로는 소정의 구획돌기(1112)가 형성된다. 상기 구획돌기(1112)는 덮개부재(130)가 상기 제1-1 프레임(111)에 안착됨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130)가 상기 제1-1 프레임(111)의 양측으로 구분되어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구획돌기(1112)는 가압체(1112a), 몸체(1112b), 탄성수단(S)을 포함한다. 즉, 상기 몸체(1112b)상에서 상기 가압체(1112a)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덮개부재(130)는 상기 제1-1 프레임(111)상에 안착됨에 있어 상기 가압체(1112a)를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것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 설치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b 내지 도 14는 도 1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의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를 취급하기 위한 받침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받침유닛은 전술한 프레임 조립체의 구성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예컨데, 상기 덮개부재(130)등을 포함하느 대상물를 상기 팔레트 또는 지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이송대상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적층된 상태인 상기 대상물의 최하층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양단에 제1 및 제2 끼움구가 각각 형성된 띠형 제1밴드와; 상기 제1끼움구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제1삽입부분과, 상기 제1삽입부분의 상단에서 상기 제1삽입부분의 연장방향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된 수평 연장부분을 갖는 제1결합구와; 상기 수평연장부분과 나란한방향으로 제1나사홀이 개방되게 상기 수평연장부분에 접합된 제1너트와; 상기 제1너트의 상기 제1나사홀을 통해 나사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제2끼움구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제2삽입부분과, 상기 제2삽입부분 상단에 상기 수평연장부분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을 갖는 삽입고리부분을 갖는 제2결합구와; 상기 볼트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2나사홀을 갖으며 상기 제2결합구 상에 접합된 제2너트; 및 상기 제1밴드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의 상면을 가로질러 상기 제1밴드의 타측부분과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제2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구의 상기 제1삽입부분이 상기 제1끼움구에 삽입되고, 상기 제2결합구의 상기 제2삽입부분이 상기 제2끼움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를 상기 제1너트를 통해 상기 제2너트에 진입되게 회전시켜 상기 제1밴드가 상기 대상물의 적층된 상태에 긴장되게 조인 다음 상기 제2밴드를 통해 상기 대상물 적층체를 이송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분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결착보강링이 더 구비된 것이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받침유닛를 더욱상 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유닛가 팔레트 위에 적층된 대상물 적층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및 제2결합구와 제1밴드의 끼움구 부분을 확대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밴딩장치(100')는 제1 및 제2밴드(110')(150'), 제1 및 제2결합구(120')(140'), 볼트(133'), 제1 및제2너트(131')(145')를 구비한다. 제1밴드(110')는 띠형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띠부분(111')과, 띠부분(111')의 양단에 각각 홀(112받침유닛')(114받침유닛')을 갖게 형성된 제1 및 제2끼움구(112')(114')가 형성되어 있다. 홀(112받침유닛')(114받침유닛')은 후술되는 제1삽입부분(121') 및 제2삽입부분(141')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면 된다. 이러한 제1밴드(110')의 길이는 적용하고자 하는 적층체의 외주면 길이보다는 짧되 후술되는 제1 및 2결합구(120')(140')가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 및 조일 수 있는 정도로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제1 및 제2끼움구(112')(114')는 띠부분(111')의 양단을 내측으로 접어 박음질처리한 것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제1밴드(110')는 수백 킬로그램 이상의 하중에 대해서도 견딜수 있게 섬유소재로 직조된 공지된 것을 적용하면 된다. 제1결합구(120')는 제1삽입부분(121')과 수평 장부분(12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삽입부분(121')은 제1끼움구(112')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부분으로 원형바 형태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게 결착보강링(121받침유닛')이 형성되어 있다. 결착보강링(121받침유닛')은 1끼움구(112')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적용된 것으로서 생략할 수도 있다. 수평연장부분(122')은 제1삽입부분(121')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있다. 수평연장부분(122')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구(120')는 금속소재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너트(131')는 제1나사홀이 수평연장부분(122')과 나란하게 배치되게 수평연장부분(122')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볼트(133')는 제1너트(131')를 통해 후술되는 제2너트(145')와 나사결합 수 있게 일정길이 연장된 것이 적용된다. 제2결합구(140')는 제2끼움구(114')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제2삽입부분(141')과, 제2삽입부분(141') 상단에 수평연장부분(122')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142받침유닛')을 갖는 삽입고리부분(14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삽입부분(141')의 외주면에도 제2끼움구(114')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상호 이격되게 돌출형성된 결착보강링(141받침유닛')이 마련되어 있다. 제2너트(145')는 볼트(133')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2나사홀(146')을 갖으며 제2결합구(140')의 삽입고리부분(142') 상단에 접합되어 있다. 제2밴드(150')는 제1밴드(110')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의 적층상태의 상면을 가로질러 제1밴드(110')의 타측부분과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면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2밴드(150')는 일단에 제1밴드(110')를 통해 삽입될 수 있게 끼움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걸수 있는 고리(미도시')가 적용된 구조가 적용되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제2밴드(150')는 양단에 제1밴드(110')의 띠부분(111')에 삽입하여 걸수 있는 고리가 적용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밴딩장치(110')가 상기 대상물이 팔레트(230') 위에 다층으로 육면체 형태로 조적된 대상물의 적층상태의 구조물을 이송하고자 할 때 먼저, 제1밴드(110')를 최하층의 상기 대상물 적층상태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게 감은 상태에서 제1결합구(120')의 제1삽입부분(121')을 제1끼움구(112')에 삽입하고, 제2결합구(140')의 제2삽입부분(141')을 제2끼움구(114')에 삽입한다.
다음은 수평연장부분(122')의 종단을 제2결합구(140')의 삽입고리부분(14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1너트(131')로부터 돌출된 볼트(133')를 제2너트(145')에 진입되게 회전시킨다. 제2너트(145')로부터 진입에 의해 돌출되는 볼트(133')의 길이는 제1밴드(110')가 대상물 적층상태의 구조물에 긴장되게 조일 수 있는 정도로 하면 된다. 한편, 제2밴드(150')는 고리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상면으로부터 제1밴드(110')까지 결속되게 하면 된다. 이후, 대상물 적층상태인 구조물의 상면에 교차되게 배치된 제2밴드(150')부분을 고리로 걸어 크레인 또는 그 밖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승강시켜 목적하는 하역위치로 이송하면 된다. 이 과정에서 제1 및 제2 결합구(120')(140')에 의해 긴장되게 연결된제1밴드(110')가 대상물의 최하층의 대상물을 상호 내측방향으로 밀착되게 구속시키기 때문에 팔레트(230') 로부터 분리된 이후에도 대상물의 적층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송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지면에 상기 대상물이 조적된 상태에서도 앞서 설명된 방법으로 밴딩장치(100')를 결합하여 승강 및 이송하면 된다.
도 15 내지 도 20은 도 1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의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를 취급하기 위한 받침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술한 일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되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대상물을 다수로 상하 적재하여 입고하거나 출고하기 위한 받침유닛(220')을 개사한다. 상기 받침유닛(220')은, 상기 대상물이 다수로 적재되는 팔레트(230')와, 적재된 상기 대상물들의 최하층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양단에 제1 (112')및 제2 끼움구(114')가 각각 형성된 띠형 제1밴드(110')와; 상기 제1끼움구(112')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제1삽입부분과, 상기 제1삽입부분의 상단에서 상기 제1삽입부분의 연장방향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된 수평 연장부분을 갖는 제1결합구(120')와; 상기 제1밴드(110')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의 적층상태 구조물의 상면을 가로질러 상기 제1밴드(110')의 타측부분과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제2밴드(150')가 구비된다.
상기 팔레트(230')는 하부에 높이 가변을 위한 가변유닛(300')이 장착되며, 상기 가변유닛(300')은, 상기 팔레트(230') 하방에 구비되는 베이스몸체(310')와, 상기 베이스몸체(310')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몸체(310')와 상기 팔레트(230')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다수의 결속모듈(3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결속모듈(320')은, 상기 베이스몸체(310')외측에 구비되는 가동모듈부(321')와, 상기 가동모듈부(321')의 내부에서 상부로 출몰하여상기 팔레트(230')의 측면부에 도달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동결속체(322')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결속체(322')는, 상기 팔레트(230')를 향하는 영역면에 상기 팔레트(230')에 기형성된 삽입공간부(S1')로 진입되어 결속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입모듈(323')이 구비되며, 상기 진입모듈(323')은, 상기 유동결속체(322')에서 상기 삽입공간부(S1')로 진입하며 내부에서 상기 삽입공간부(S1')의 내벽을 향하여 전진하는 제1 유동구(3233')가 구비되는 진입체(3231')가 구비된다. 상기 진입체(3231')는 상기 삽입공간부(S1')를 향하는 길이방향 단부에는 플랜지형 연장체(323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구(3233')와 상기 연장체(3232') 사이에는 내부에서 상기 삽입공간부(S1')의 내벽을 향하여 전진하는 제2 유동구(3234')가 구비된다.
상기 팔레트(230')는, 상기 삽입공간부(S1') 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외측과 내부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유동하는 전후유동체(231')가 구비되며, 상기 전후유동체(231')는, 상기 제1 유동구(3233')와 상기 제2 유동구(3234') 사이로 진입하는 제1 진입구(2311')와, 상기 제1 진입구(2311')와 상기 제1 유동구(3233')를 사이에 두고 진입하도록 구비되는 제2 진입구(2312')가 구비된다. 상기 전후유동체(231')는 상기 제1 유동구(3233'), 상기 제2 유동구(3234'), 상기 제1 진입구(2311') 및 상기 제2 진입구(2312')가 서로 교호적으로 진입하여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팔레트(230') 내부측으로 후퇴하여 상기 진입모듈(323')에 대한 당김힘을 가하는 제1 당김모드로 동작 가능하다.
상기 진입모듈(323')은 상기 제1 유동구(3233'), 상기 제2 유동구(3234'), 상기 제1 진입구(2311') 및 상기 제2 진입구(2312')가 서로 교호적으로 진입하여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결속체(322')의 내부측으로 후퇴하여 상기 전후유동체(231')에 대한 당김힘을 가하는 제2 당김모드로 동작 가능하다. 상기 전후유동체(231')는 상기 연장체(3232')와 대응하는 영역에 함몰공간부(DS')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체(3232')는 상하 돌출단이 상기 함몰공공간부(DS')에 각기 수용된다.
상기 전후유동체(231')는, 상기 제1 당김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함몰공간부(DS')에 의하여 형성되는 걸림턱(231a')으로 상기 연장체(3232')를 가압 접촉하며 고정하며, 상기 가변유닛(300')은, 이웃하는 상기 유동결속체(322')는 상호 간의 연계된 고정을 위한 링크모듈(310')을 더 포함한다. 링크모듈(310')은 도 6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대향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결속모듈(320') 상호간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결속모듈(320')에 의하여 상기 팔레트(230')가 어느 정도 리프팅된 상태에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반대편이 아닌 이웃하는 상기 결속모듈(320') 상호간에도 일부 크기 등의 규격을 달리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링크모듈(310')은,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전후유동체(231')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구동체(311')와, 일방이 상기 중앙구동체(311')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며 타방으로 상기 전후유동체에 각각 결속되어 장착되는 장착구조체(312')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구동체(311')는 상기 장착구조체(312')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전후유동체(231')에 대한 가압력을 가한다.
상기 링크모듈(310')은 상기 전후유동체(231')에 결속되는 타방에 고정모듈(3121')이 구비되며,상기 고정모듈(3121')은, 상기 유동결속체(322')가 삽입되는 고정몸체(3121a')와, 상기 유동결속체(322')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몸체(3121a')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결속체(322')를 가압하거나 릴리즈시키는 상방홀딩부(3121b, 3121c')와, 상기 유동결속체(322')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몸체(3121a')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결속체(322')를 가압하거나 릴리즈시키는 하방홀딩부(3121d, 3121e')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몸체(3121a')는 상기 장착구조체(312')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정범위만큼 회전되어 회전힘을 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방홀딩부(3121b, 3121c')는, 일측의 ㄷ자형 구조물로서상기 고정몸체(3121a')에 결속되며 상기 전후유동체 외주면 일부를 수용하는 제1-1 상방홀딩구조부(3121b')와, 타측의 ㄷ자형 구조물로서 상기 전후유동체 외주면을 나머지부를 수용하는 제1-2 상방홀딩구조부(3121c')로 구비되며, 상기 제1-2 상방홀딩구조부(3121b')는 상기 제1-1 상방홀딩부(3121a')에서 내측과 외측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전후유동체(231')에 대한 가압과 릴리즈를 수행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방홀딩부(3121d, 3121e')는, 일측의 ㄷ자형 구조물로서상기 고정몸체(3121a')에 결속되며 상기 전후유동체 외주면 일부를 수용하는 제1-1 하방홀딩구조부(3121d')와, 타측의 ㄷ자형 구조물로서 상기 전후유동체 외주면을 나머지부를 수용하는 제1-2 하방홀딩구조부(3121e')')로 구비된다. 상기 제1-2 하방홀딩구조부(하방홀딩부(3121e')')는 상기 제1-1 하방홀딩부(3121d')에서 내측과 외측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전후유동체(231')에 대한 가압과 릴리즈를 수행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파레트(230')는 하부면 엣지부에 다수의 외곽지지체(255')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310')에는 상기 파레트(230')의 상기 외곽지지체(255')에 대응하는 삽입홈(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파레트(230')는 상기 외곽지지체(255')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몸체(310')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베이스몸체(310')에서 탈거시 바닥면에 거치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1 : 제1-1 프레임
112 : 제1-2 프레임
130 : 덮개부재

Claims (6)

  1. 프레임 조립체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제1-1 프레임(111)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제1-1 프레임(111)들 사이에 복수로 설치되는 제1-2 프레임(112)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1 프레임(111)과 제1-2 프레임(112)들의 일방을 덮도록 덮개부재(13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재(130)는 소정의 받침유닛을 통해 초기 위치에서 설치 위치로 이송되며,
    상기 받침유닛은,
    상기 덮개부재(130)가 다수로 적재되는 팔레트(230'')와, 적재된 덮개부재(130)들의 최하층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양단에 제1 및 제2 끼움구(112'')(114'')가 각각 형성된 띠형 제1밴드(110'')와;
    상기 제1끼움구(112'')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제1삽입부분과, 상기 제1삽입부분의 상단에서 상기 제1삽입부분의 연장방향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된 수평 연장부분을 갖는 제1결합구(120'')와;
    상기 제1밴드(110'')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덮개부재(130) 상면을 가로질러 상기 제1밴드(110'')의 타측부분과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제2밴드(150'')가 구비되며,
    상기 팔레트(230'')는 하부에 높이 가변을 위한 가변유닛(300'')이 장착되며,
    상기 가변유닛(300'')은,
    상기 팔레트(230'') 하방에 구비되는 베이스몸체(310'')와, 상기 베이스몸체(310'')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몸체(310'')와 상기 팔레트(230'')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다수의 결속모듈(320'')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조립체 설치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25797A 2020-03-02 2020-03-02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 KR102148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97A KR102148269B1 (ko) 2020-03-02 2020-03-02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97A KR102148269B1 (ko) 2020-03-02 2020-03-02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269B1 true KR102148269B1 (ko) 2020-08-26

Family

ID=7229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797A KR102148269B1 (ko) 2020-03-02 2020-03-02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2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380B1 (ko) * 2006-07-28 2007-02-22 송홍섭 조적식 규격물품 적층체 이송용 밴딩장치
KR101222106B1 (ko) 2012-07-20 2013-02-15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무용접 3축방향 접합시스템의 프레임 조립구조체를 이용한 탁자
KR101824903B1 (ko) * 2017-02-20 2018-02-02 임상수 프레임 조립체 및 이의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380B1 (ko) * 2006-07-28 2007-02-22 송홍섭 조적식 규격물품 적층체 이송용 밴딩장치
KR101222106B1 (ko) 2012-07-20 2013-02-15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무용접 3축방향 접합시스템의 프레임 조립구조체를 이용한 탁자
KR101824903B1 (ko) * 2017-02-20 2018-02-02 임상수 프레임 조립체 및 이의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324557A (ja) コンテナ
US8100279B2 (en) Storage container and corner post thereof
KR102148269B1 (ko) 프레임 조립체 설치 방법
US6371299B1 (en) Crate assembly and improved method
KR20090122156A (ko) 접철방식의 조립식 컨테이너
MX2010006809A (es) Metodo y aparato para transportar productos a granel.
KR20180089801A (ko) 운반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경량화 거푸집 패널
JP5243591B2 (ja) 組立式コンテナ及び組立式コンテナの輸送方法
US9878819B2 (en) Reusable container with interlocking members and method of using same
JP5934474B2 (ja) ドラム缶搬送用のパレット
US6161272A (en) Liquid storage tank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20070120238A (ko) 접철식 파렛트
KR200481805Y1 (ko) 자동차 부품 고정용 폼 체결 브라켓
KR101031646B1 (ko) 조립식 스틸박스
KR102246075B1 (ko) 물품거치유닛을 포함하는 물품창고관리시스템
JP3149800U (ja) ダンボールパレット
JPH10181741A (ja) 簡易組立式スチールボックス
KR101511165B1 (ko) 재사용이 가능한 패널제품 포장박스를 가진 팔레트
JP7385015B2 (ja) 固定補助具
EP3023347B1 (en) Motorcycle crate
KR20200070961A (ko) 컨베이어용 링크체인
KR200190418Y1 (ko) 판유리 운반용 적재대
JP4295708B2 (ja) 製品梱包枠
JP6285723B2 (ja) 建物の外壁用フレームの積載方法及び建物の製造方法
KR101425162B1 (ko) 조립식 컨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