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510Y1 -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 - Google Patents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510Y1
KR200481510Y1 KR2020150002472U KR20150002472U KR200481510Y1 KR 200481510 Y1 KR200481510 Y1 KR 200481510Y1 KR 2020150002472 U KR2020150002472 U KR 2020150002472U KR 20150002472 U KR20150002472 U KR 20150002472U KR 200481510 Y1 KR200481510 Y1 KR 200481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iller
vehicle
cas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2020150002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5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2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뒷좌석 탑승자가 차량에서 하차시 차량의 후방을 운전자와 완전 독립적으로 관측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차시 차량의 후방에서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의 접근을 육안으로 확인해 가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뒷좌석 탑승자용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는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비필러의 내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밀러하우징(100)과; 상기 밀러하우징(1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안내되면서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케이스(200)와; 상기 가이드케이스(200)에 일측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샤프트(300)와; 상기 샤프트(300)의 타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밀러판넬(500)이 고정되게 결합되어있는 밀러케이스(400)와; 상기 밀러판넬(50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밀러(600)와; 상기 밀러(600)가 결합된 밀러판넬(500)이 밀러하우징(100)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력을 제공하는 하는 래치(700)와; 상기 래치(700)의 록킹력이 해제되면 자체 인장력에 의해 밀러하우징(100)의 외부밀 밀러판넬(500)이 결합된 밀러케이스(400)가 인출되도록 하는 스프링(80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밀러하우징(100)의 타측부에는 스프링(800)이 안착되는 안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20)으로 부터 스프링(8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래치(700)에 록킹력이 발생되도록 밀러케이스(400)가 밀러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되면 스프링(800)을 압축시키면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커버(900)가 안착홈(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Car rearview mirror car rearview mirror for vehicle rear seat passenger vehicle rear seat occupants}
본 고안은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뒷좌석 탑승자가 차량에서 하차시 차량의 후방을 운전자와 완전 독립적으로 관측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차시 차량의 후방에서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의 접근을 육안으로 확인해 가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뒷좌석 탑승자용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안전운행을 목적으로 차체 외부에 백미러, 보조미러, 내부에 룸미러등이 장착되어 있어 운전자가 차량의 좌,우측 및 후방을 관측해 차량운행시 안전을 도모한다.
하지만, 현재 차량에 장착되어지는 모든 백미러와 보조미러 및 룸미러는 운전자의 시야각에 맞추어 장착되어 지고, 운전자의 목적에 맞게 사용되고 있어서 뒷좌석 탑승자가 차량에서 하차시 후방에서 접근하는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를 인지하지 못하고 차량의 리어도어를 무의식적으로 개방해 추돌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추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뒷좌석 탑승자가 하차시 운전자가 백미러나 룸미러를 통해 후방의 차량 접근을 관측해 뒷좌석 탑승자에게 알겨주거나, 뒷좌석 탑승자가 몸을 180도 돌려 차량의 후방 유리창을 통해 차량의 접근을 확인하고 차량에서 안전하게 하차를 해야하나, 통상적으로 뒷좌석 탑승자는 무의식적으로 짧은 시간에 급하게 차량문을 개방하기 때문에 추돌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뒷좌석의 탑승자의 승,하차가 많은 영업용 차량의 경우는 하루에도 수많은 승객이 차량에 타고 내리기 때문에 승객의 하차시 부주의한 리어도어의 개방에 따른 사고 발생은 더욱 빈번하고 심각하다.
통상적으로 택시는 도로와 보도 사이에 정차후 요금계산을 하고, 후방에서 접근하는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의 운전자는 정차해 있는 택시와 보도사이를 무의식적으로 통과해 가려하고, 승객은 요금계산 후 바로 도어 개방손잡이를 당겨 문을 개방해 추돌사고가 유발되기 때문에 운전자도 이렇게 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은 대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뒷좌석 탑승자의 차량에서의 하차시 발생하는 추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도 1에서와 같이 썬바이저(8) 내측에 거울(9)을 장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차량의 도어부 상측 끝에 장착되는 썬바이저(8)는 차량 모델마다 치수와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도 1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차량들에 맞는 썬바이저의 생산과 사용이 전제되어야 하고, 썬바이저를 장착하지 않으려는 운전자들도 뒷좌석용 후사경을 설치하기 위해선 불필요한 썬바이저를 꼭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부담을 감수해야 한다.
그리고, 도1의 고안은 구조적인 면에서 볼록거울인 미러(9)가 삽입되어 장착 되는 위치의 썬바이저의 폭이 통상적으로 차체의 공기저항을 최소화 하기위해 1cm 내외로 좁게 설계되기 때문에 이렇게 좁은 공간에 부착되는 미러의 크기로는 후방의 물체를 제대로 관측 할수 없으며, 후방 물체와의 거리를 제대로 실측 인지 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6-0037209호에 개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 차체의 비필라 외측면이나 비필라외측에 접하는 리어도어외측에 고정나사체와 양면테입으로 장착되며, 장착면의 곡면에 맞게 상,하측 방향으로 곡면 형성된 합성수지체로 미러덥개와 커버렌즈가 끼워지는 단턱부와 커버렌즈 걸림편, 나사체고정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측에 미러고정판의 후측면의 회전볼축부의 회전볼이 강제 끼워지는 안치공이 형성되며, 전구가 끼워지고 전선이 차량의 비상등이나 방향지시등 전원선에 연결되는 전구소켓(322)을 일체로 가지는 하우징; 몸체 중앙부에 나사체 고정관통공이 형성되며, 케이스외관이 합성수지체로 몸체 중앙부에서 상,하측 방향으로 완만한 곡면 경사면을 가지며, 차량 후방쪽으로 향하는 케이스 전면부에서 차량 전방쪽으로 향하는 케이스 후면부 쪽으로 곡면경사면을 가지게해 공기저항을 줄이게 형성되고 접착제로 하우징에 영구 고정되는 미러덥개; 하우징내측의 안치공에 강제 끼움되어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볼이 형성된 회전볼축부가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에 미러가 접착 고정되는 미러고정판; 미러고정판전면부에 접착 고정되며 유리나 은색크롬도금된 합성수지체 및 스테인레스판 등 물체를 반사투영 가능한 모든 수단체를 포함하는 미러; 하우징 일측의 반사경부의 끼움단턱부외측면으로 끼워지고 내측면의 걸림홈이 하우징의 반사경부 단턱부 외측면의 걸림편에 걸려 고정되는 커버렌즈; 상기의 후사경 하우징, 미러덥개, 미러고정판, 미러, 커버렌즈를 포함하며, 차체의 비필라
외측면이나 비필라 외측에 접하는 리어도어의 도어필라외측에 장착되고, 시선유도용 램프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의 뒷좌석 탑승자가 운전자와 독립적으로 후방관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도 뒷좌석 탑승자용 후사경이 비필라 외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외관미를 저감시키게 됨은 물론, 차량을 운행시 공기저항이 발생하여 풍절음이 발생하여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불편함을 느끼게 됨과 동시에 연비를 저하시켜 차량을 운행시 불필요하게 많은 연료를 사용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뒷좌석 탑승자가 차량에서의 하차시 발생하는 추돌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를 비필러의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하여,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하차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차실내부로 돌출되도록 비필러로 부터 백밀러를 인출하여 사용하고, 상기 백밀러를 사용하지 않은 시에는 비필러에 인입시켜 차실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백밀러에 의해 차량의 외관미가 저하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을 운행시 백밀러에 의한 풍절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는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비필러의 내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밀러하우징(100)과;
상기 밀러하우징(1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안내되면서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케이스(200)와;
상기 가이드케이스(200)에 일측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샤프트(300)와;
상기 샤프트(300)의 타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밀러판넬(500)이 고정되게 결합되어있는 밀러케이스(400)와;
상기 밀러판넬(50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밀러(600)와;
상기 밀러(600)가 결합된 밀러판넬(500)이 밀러하우징(100)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력을 제공하는 하는 래치(700)와;
상기 래치(700)의 록킹력이 해제되면 자체 인장력에 의해 밀러하우징(100)의 외부로 밀러판넬(500)이 결합된 밀러케이스(400)가 인출되도록 하는 스프링(800)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밀러하우징(100)의 타측부에는 스프링(800)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으로 부터 스프링(8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래치(700)에 록킹력이 발생되도록 밀러케이스(400)가 밀러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되면 스프링(800)을 압축시키면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커버(900)가 설치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가이드케이스(200)의 타측부에는 스프링커버(900)의 일측 외측면에 접촉하는 접촉돌기(21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케이스(200)가 밀러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시에는 스프링(800)을 압축시키도록 하중을 가하게 되고, 상기 밀러하우징(100)의 외부로 밀러판넬(500)이 인출시에는 스프링(800)의 인장력에 의해 원활하게 인출되도록 함을 밝혀 둔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뒷좌석에 탑승하고 있던 탑승자가 하차시 비필러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밀러하우징의 외부로 밀러케이스가 차실내부에 위치되도록 인출시킨 상태에서 밀러케이스를 샤프트의 타측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밀러가 탐승자가 원하는 위치를 비추어지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측면으로 이동하는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과 같은 장애물을 육안으로 확인해 가면서 자동차의 뒷좌석에 탑승하고 있던 탑승자가 하차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각종 충돌사고가 미연에 방지되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비필러의 내부로 설치된 밀러하우징의 내외부로 밀러케이스가 인입출이 이루어지면서 차실에 위치하거나 밀러하우징에 인입되어 보관되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밀러케이스에 의해 차량의 외관미가 저하되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뒷좌석 탑승자가 차량에서의 하차시 발생하는 추돌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가 비필러의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있어, 상기 백밀러에 의해 차량을 운행시 풍절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조립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인입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인출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인입된 상태의 요부를 보인 확대도
도 9는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인입된 상태의 요부를 보인 확대도
도 10은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뒷좌석 탑승자가 후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밀러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보인 배면도
이하 첨부된 도명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조립 상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설치상태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사용상태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인입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인출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고, 도 7은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며, 도 8은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인입된 상태의 요부를 보인 확대도 이고, 도 9는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인입된 상태의 요부를 보인 확대도 이며, 도 10은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고, 도 11은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뒷좌석 탑승자가 후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밀러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며, 도 12는 본 고안인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의 밀러하우징에 밀러케이스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보인 배면도 이다.
본 고안의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는 도 2에서 도 1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비필러(B)의 내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밀러하우징(100)과; 상기 밀러하우징(1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안내되면서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케이스(200)와; 상기 가이드케이스(200)에 일측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샤프트(300)와; 상기 샤프트(300)의 타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밀러판넬(500)이 고정되게 결합되어있는 밀러케이스(400)와; 상기 밀러판넬(50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밀러(600)와; 상기 밀러(600)가 결합된 밀러판넬(500)이 밀러하우징(100)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력을 제공하는 하는 래치(700)와; 상기 래치(700)의 록킹력이 해제되면 자체 인장력에 의해 밀러하우징(100)의 외부밀 밀러판넬(500)이 결합된 밀러케이스(400)가 인출되도록 하는 스프링(80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밀러하우징(100)의 타측부에는 스프링(800)이 안착되는 안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20)으로 부터 스프링(8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래치(700)에 록킹력이 발생되도록 밀러케이스(400)가 밀러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되면 스프링(800)을 압축시키면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커버(900)가 안착홈(12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케이스(200)의 타측부에는 스프링커버(900)의 일측 외측면에 접촉하는 접촉돌기(21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케이스(200)가 밀러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시에는 스프링(800)을 압축시키도록 하중을 가하게 되고, 상기 밀러하우징(100)의 외부로 밀러판넬(500)이 인출시에는 스프링(800)의 인장력에 의해 원활하게 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비필러(B)의 내부에 고정되게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밀러하우징(100)이 장착되고, 상기 밀러하우징(1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안내되면서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가이드케이스(200)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케이스(200)에는 샤프트(300)의 일측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300)의 타측 단부에는 밀러판넬(500)이 고정되게 결합된 밀러케이스(4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밀러케이스(400)가 샤프트(300)로 연결된 가이드케이스(200)는 래치(700)에 의해 록킹력이 제공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밀러하우징(100)의 타측부에 형성된 안착홈(120)에는 스프링(800)이 안착되고, 상기 안착홈(120)에는 스프링커버(900)가 스프링(80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커버(900)에 의해 스프링(800)이 안착홈(120)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케 됨은 물론, 래치(700)에 록킹력이 발생되도록 가이드케이스(200)가 밀러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되면 스프링커버(900)가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스프링(800)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차실의 뒷좌석 탑승자가 하차시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손으로 밀러케이스(400)를 누른 후 놓으면 래치(700)의 구속력이 해제된다.
이때, 가이드케이스(200)의 타측부에 형성된 접촉돌기(210)는 스프링커버(900)의 일측 외측면에 접촉하면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스프링커버(900)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양만큼 스프링(800)이 압축되어지게 되고, 상기 스프링(800)이 압축됨과 동시에 래치(700)의 구속력이 해제된 후에는 스프링(8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800)이 인장되는 것에 의해 스프링커버(900)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스프링커버(900)가 이동되는 양만큼 접촉돌기(210)가 외측면에 접촉하고 있는 가이드케이스(200)도 동시에 밀러하우징(100)의 개구부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밀러하우징(100)의 개구부 방향으로 가이드케이스(200)가 이동되면, 상기 가이드케이스(200)와 샤프트(300)로 연결된 밀러케이스(400)도 가이드케이스(200)의 이동량만큼 밀러하우징(100)의 개구부로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밀러케이스(400)가 밀러하우징(100)의 개구부로 일부 인출된 후에는 상기 밀러케이스(40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밀러하우징(10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잡아당기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가이드케이스(200) 및 밀러판넬(500)이 고정되게 설치된 밀러케이스(400)가 밀러하우징(100)의 외부로 인출이 이루어지게된다.
상기와 같이 밀러하우징(100)의 외부로 밀러판넬(500)이 설치된 밀러케이스(400)를 인출시킨 후에는 사용자가 샤프트를 중심으로 밀러케이스(400)를 회전시켜 밀러판넬(500)에 설치된 밀러(600)가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을 비추어지도록 방향을 조정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밀러하우징(100)의 내부로 밀러케이스(400)를 인입시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출시와 역순으로 진행하면 비필러(B)의 내부에 밀러가 보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자동차의 뒷좌석에 탑승하고 있던 탑승자가 하차시 비필러(B)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밀러하우징(100)의 외부로 밀러케이스(400)가 차실내부에 위치되도록 인출시킨 상태에서 밀러케이스(400)를 샤프트(300)의 타측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밀러(600)가 탐승자가 원하는 위치를 비추어지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측면으로 이동하는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과 같은 장애물을 육안으로 확인해 가면서 자동차의 뒷좌석에 탑승하고 있던 탑승자가 하차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00 : 밀러하우징 110 : 가이드레일
120 : 안착홈 200 : 가이드케이스
210 : 접촉돌기 300 : 샤프트
500 : 밀러판넬 400 : 밀러케이스
600 : 밀러 700 : 래치
800 : 스프링 900 : 스프링커버
B : 비필러

Claims (3)

  1. 삭제
  2.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비필러의 내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밀러하우징(100)과; 상기 밀러하우징(1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안내되면서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케이스(200)와; 상기 가이드케이스(200)에 일측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샤프트(300)와; 상기 샤프트(300)의 타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밀러판넬(500)이 고정되게 결합되어있는 밀러케이스(400)와; 상기 밀러판넬(50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밀러(600)와; 상기 밀러(600)가 결합된 밀러판넬(500)이 밀러하우징(100)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력을 제공하는 하는 래치(700)와; 상기 래치(700)의 록킹력이 해제되면 자체 인장력에 의해 밀러하우징(100)의 외부밀 밀러판넬(500)이 결합된 밀러케이스(400)가 인출되도록 하는 스프링(80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밀러하우징(100)의 타측부에는 스프링(800)이 안착되는 안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20)으로 부터 스프링(8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래치(700)에 록킹력이 발생되도록 밀러케이스(400)가 밀러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되면 스프링(800)을 압축시키면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커버(900)가 안착홈(120)의 내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케이스(200)의 타측부에는 스프링커버(900)의 일측 외측면에 접촉하는 접촉돌기(21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
KR2020150002472U 2015-04-16 2015-04-16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 KR200481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72U KR200481510Y1 (ko) 2015-04-16 2015-04-16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72U KR200481510Y1 (ko) 2015-04-16 2015-04-16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510Y1 true KR200481510Y1 (ko) 2016-10-10

Family

ID=5713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472U KR200481510Y1 (ko) 2015-04-16 2015-04-16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51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9586U (ko) * 1990-04-12 1991-12-26
KR980007540U (ko) * 1996-07-23 1998-04-30 양재신 자동차의 룸미러
KR19980035649U (ko) * 1996-12-13 1998-09-15 박병재 뒷좌석용 접이식 백 미러
KR20100129581A (ko) * 2009-06-01 2010-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버헤드콘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9586U (ko) * 1990-04-12 1991-12-26
KR980007540U (ko) * 1996-07-23 1998-04-30 양재신 자동차의 룸미러
KR19980035649U (ko) * 1996-12-13 1998-09-15 박병재 뒷좌석용 접이식 백 미러
KR20100129581A (ko) * 2009-06-01 2010-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버헤드콘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50964A1 (en) Motor vehicle having a window pane having a sun visor and a cover
US4324419A (en) Latch for runner utilized in passive type seat belt system
KR200481510Y1 (ko) 차량 뒷좌석 탑승자용 자동차 백미러
KR20090063577A (ko) 자동차용 선글라스 선바이저 및 그의 작동방법
KR20060037209A (ko) 차량 차체 비필라 외측의 리어도어의 도어필라부 외측면에장착되는 시선유도램프가 내장된 뒷좌석 탑승자용 백미러
CN209616906U (zh) 一种位置可调整的充电口装置
JP2019018833A (ja) 車のドアの安全機関
CN210116442U (zh) 保障下车安全的后视装置及汽车
GB2235362A (en) Seat belt presenter
CN208236206U (zh) 一种车门安全自动开启装置
US5692781A (en) Automatic lap and shoulder belt system
US3377880A (en) Retractable mirror for motor vehicles
CN220594785U (zh) 一种用于乘用车后排座b柱隐藏式辅助后视镜装置
JP2000085360A (ja) 自動車の車体保護装置
JPH03239629A (ja) サンバイザ
KR200377079Y1 (ko) 시선유도 램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뒷좌석 탑승자용 백미러
KR20030067779A (ko) 차량 도어 열림각 제어 장치
CN112208413A (zh) 上车扶手机构和车辆
CN205440130U (zh) 一种车身立柱结构及汽车
KR101003763B1 (ko)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
CN213008383U (zh) B柱总成及车辆
US20180258672A1 (en) Automotive door having interior door handle for preventing accident
US20230087776A1 (en) Method for Providing Anti-Trap Protection for a Motor Vehicle
CN205523965U (zh) 一种具有后排座位后视镜的汽车车体结构
KR20180067008A (ko) 광원인식 자동차 전자동 썬바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