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74Y1 - 행거 자동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행거 자동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74Y1
KR200480974Y1 KR2020140007783U KR20140007783U KR200480974Y1 KR 200480974 Y1 KR200480974 Y1 KR 200480974Y1 KR 2020140007783 U KR2020140007783 U KR 2020140007783U KR 20140007783 U KR20140007783 U KR 20140007783U KR 200480974 Y1 KR200480974 Y1 KR 200480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nveyor
hanger
fixed shaft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463U (ko
Inventor
이병기
Original Assignee
(주)한국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나노텍 filed Critical (주)한국나노텍
Priority to KR2020140007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7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4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Landscapes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자동 회전 장치는, 생산 라인을 따라 설치된 컨베이어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피도물을 원하는 구간에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피도물이 연결된 기어가 핀과 맞물린 상태로 통과하면서 자동 회전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핀은 구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는 실린더를 이용해 상기 기어를 향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피도물의 회전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상기 피도물이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행거 자동 회전 장치{HANGER AUTOMATIC ROTATION DEVICE}
본 고안은 행거 자동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라인을 이용해 생산 라인을 따라 피도물을 달고 있는 행거가 이동할 때에, 도장이 진행되는 구간에서는 행거가 피도물과 함께 자동회전하면서 통과됨에 따라 복잡한 형상을 가진 피도물에도 전체적으로 고르게 도장의 진행이 가능하며, 도장이 진행되는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는 피도물의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행거 자동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장 작업을 진행할 때에 전처리와 도장, 건조를 연속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컨베이어라인에 달린 행거에 피도물을 장착한 지그를 걸어 이동하며 각 공정 구간을 통과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보통 전처리공정, 수절건조공정을 통과한 후에 도장공정에서 도장이 진행되며, 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은 본건조공정으로 이동하여 경화가 진행된 후에 공정이 완료되는 순서로 진행된다. 또한, 피도물은 피도물을 거는 지그가 매달린 컨베이어라인을 이용해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발명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9306호(이하, 인용발명)에 도시되어 있다.
인용 발명과 같이 피도물이 컨베이어에 매달려 컨베이어라인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피도물을 도장할 때에 분사장치와 마주하는 피도물의 정면에만 도장이 진행되게 되므로, 피도물의 측면, 후면 등 제품의 전체적인 도장이 불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도물의 형상의 전체에 도료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행거 자동 회전 장치는, 생산 라인을 따라 설치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행거 연결부; 상기 행거 연결부에 고정되고 하측을 향해 이어지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끼워져 원치않는 회전을 저지하는 제동부; 상기 고정축에 끼워지고, 상기 제동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기어; 상기 기어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막는 이물받이; 상기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이물받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의 하측에서 고리가 걸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행거걸이; 상기 행거걸이에 걸어지고, 피도물이 장착되는 행거부; 상기 기어를 향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핀이 형성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행거 연결부와 상기 기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두 개의 와셔와, 두 개의 상기 와셔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해 상기 기어가 상기 구동부의 핀과 맞물리지 않은 구간에서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구동부는 실린더를 이용해 상기 기어를 향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피도물의 회전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기어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기어가 핀과 맞물린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전진함에 따라 상기 기어와 상기 기어의 하측에 장착되는 피도물의 회전이 진행된다.
상기 행거 연결부는, 상기 컨베이어에서 하측을 향해 이어지는 두 개의 제1연결부재;와 두 개의 상기 제1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의 중심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결되는 제3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연결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축의 상부가 포함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은, 상부가 상기 행거 연결부에 고정되고, 그 하측에는 와셔와 스프링과 와셔 그리고 기어와 베어링이 순서대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어링을 상기 고정축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축의 하측면의 직경을 상기 베어링이 끼워진 구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구동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의 측면에 LM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분사장치에서 도료가 분사되고 있는 도장공정을 피도물이 통과하면서 피도물을 달고 있는 행거가 자동으로 회전되어 피도물 형상의 전체에 고르게 분사되므로 전체적으로 도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자동 회전 장치의 컨베이어부와 행거 연결부, 행거부의 제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자동 회전 장치의 컨베이어부와 행거 연결부, 행거부의 제동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자동 회전 장치의 컨베이어부와 행거 연결부, 행거부와 지그연결부 및 피도물의 장착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자동 회전 장치의 프레임과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자동 회전 장치의 피도물의 회전 및 이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자동 회전 장치의 구동부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컨베이어부(100)와, 행거 연결부(110), 제동부(120)와, 행거부(130)가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컨베이어부(100)는 생산 라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컨베이어(102)와 컨베이어(102)를 내부에 포함하는 컨베이어케이스(101)로 이루어진다.
행거 연결부(110)는 컨베이어(102)에 연결되고 하측을 향해 이어지는 두 개의 제1연결부재(111)와, 두 개의 제1연결부재(111)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112)와, 제2연결부재(112)의 중심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결되는 제3연결부재(113)로 이루어진다.
행거 연결부(110)의 제1연결부재(111)는 컨베이어부(100)가 경사지게 설치된 곳을 지나더라도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유지되도록 컨베이어(102)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까지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제1연결부재(111)가 기울어질 때에 제2연결부재(112)도 함께 기울어져야 하므로 제2연결부재(112)도 제1연결부재(111)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3연결부재(113)도 제1연결부재(111)와 마찬가지로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유지되도록 제2연결부재(112)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까지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부(100)가 경사지게 설치되어도 행거 연결부(110)의 하측에 연결되는 피도물(144)은 기울어짐 없이 이동이 가능하다.
제3연결부재(113)의 내부에는 제동부(120)의 고정축(121)의 상부가 포함되어 상기 행거 연결부(110)에 볼트 등의 수단을 이용해 고정되며 고정축(121)의 하부는 외부로 노출된다. 외부로 노출된 고정축(121)은 그 직경이 제동부(120)에 포함된 상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와셔(122)와 스프링(123)과 와셔(122) 그리고 기어(131)와 베어링(124)이 순서대로 끼워진다. 다시 말해, 두 개의 와셔(122)는 스프링(123)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끼워져 스프링(123)을 압착하는 역할을 하며, 스프링(123)의 하측에 위치한 와셔(122)의 하측에는 행거부(130)의 기어(131)가 위치하며, 고정축(121)이 기어(131)를 관통하여 기어(131)의 하측으로 이어진다. 기어(131)의 하측으로 이어진 고정축(121)에는 베어링(124)이 조립되고, 베어링(124)의 하측에서는 고정축(121)의 직경이 커져 베어링(124)을 고정축(121)과 기어(131)의 사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기어(131)의 하측에 위치하는 베어링(124)과 고정축(121)의 일부는 케이스(125)를 이용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케이스(125)는 기어(131)의 하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동부(120)는 행거부(130)가 원치 않는 회전을 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스프링(123)과 두 개의 와셔(122)가 행거부(130)와 행거 연결부(1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스프링(123)의 복원력을 발생시켜 행거부(130)가 컨베이어부(100)를 따라 이동시에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제동력을 제공한다.
행거부(130)는 톱니바퀴 형상의 기어(131)와, 기어(131)의 하측부에 형성되며 지그(140)를 걸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지그걸이(132)와, 기어(131)의 하측에 위치하며 피도물(144)을 향해 떨어지는 이물을 받아주는 역할을 하는 이물받이(133)와, 기어(131)에 연결되어 이물받이(133)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이물받이(133)의 하측에서 지그고리(141)가 걸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지그걸이(132)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부재는 용접 혹은 그 밖의 방법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부(130)의 지그걸이(132)에는 지그(140)가 걸어지며, 지그(140)는 지그걸이(132)에 걸어지도록 고리모양을 갖는 지그고리(141)와 지그고리(141)에서 하측으로 이어지는 제1지그연결부재(142)와, 제1지그연결부재(142)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피도물(144)이 장착되는 다수의 제2지그연결부재(143)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프레임(200)과 구동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200)은 받침대(201)와, 받침대(201)의 상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실린더(202), 실린더(202)를 이용해 구동부(210)가 구동할 때에 구동을 원활하게 돕는 이동부재(203)로 이루어진다. 이동부재(203)는 LM가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210)는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바형태의 핀고정대(211)와 핀고정대(211)의 상면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되어 프레임(200)의 실린더(202) 및 이동부재(203)가 연결되는 핀고정대연결부재(212)와, 핀고정대(211)의 관통된 면인 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되는 다수의 핀(213)으로 이루어진다. 핀(213)의 간격과 직경은 행거부(130)의 기어(131)에 형성된 톱니바퀴의 크기 및 간격에 맞춰서 결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연결부(110)와 행거부(130) 및 지그(140)는 컨베이어부(10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컨베이어부(100)와 프레임(200)이 고정수단(300)으로 장착된 도장 구간을 지나게 된다. 이때에 구동부(210)의 다수의 핀(213)이 행거부(130)의 기어(131)가 맞물리게 되므로, 도장 구간을 지날 때에는 행거부(130)가 계속해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행거부(130)의 지그걸이(132)에 연결되어 있는 지그(140)와 지그(140)에 장착된 피도물(144)이 함께 회전하며 도장 구간을 지나게 된다.
행거부(130)의 회전을 막는 제동부(120)는 행거부(130)가 프레임(200) 및 구동부(210)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에서 컨베이어부(100)를 따라 이동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원치 않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행거부(130)가 구동부(210)의 핀(213)과 맞닿아 회전이 진행될 때에는 행거부(13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스프링(123)의 압축 정도를 조절해야 한다.
프레임(200) 및 구동부(210)가 설치된 도장 구간에는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 장치가 장착되며, 분사 장치는 필요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거나 그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을 참조하면, 컨베이어부(100)와 프레임(200)은 고정수단(300)으로 고정되며, 고정수단(300)은 컨베이어부(100)의 컨베이어케이스(101)와 프레임(200)의 받침대(20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300)을 이용해 컨베이어부(100)에 대한 프레임(200)의 위치가 고정되며, 실린더(202)의 구동을 통해 컨베이어부(100)와 프레임(2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210)를 행거부(130)의 기어(131)를 향한 방향 혹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행거부(130)의 회전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도장이 필요하지 않거나, 회전이 필요하지 않은 피도물(144)이 도장공정을 지날 때에는 구동부(210)를 행거부(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인 행거 자동 회전 장치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컨베이어부, 101 : 컨베이어케이스, 102 : 컨베이어,
110 : 행거 연결부, 111 : 제1연결부재, 112 : 제2연결부재,
113 : 제3연결부재, 120 : 제동부, 121 : 고정축,
122 : 와셔, 123 : 스프링, 124 : 베어링,
125 : 케이스, 130 : 행거부, 131 : 기어,
132 : 지그걸이, 133 : 이물받이, 140 : 지그,
141 : 지그고리, 142 : 제1지그연결부재, 143 : 제2지그연결부재,
144 : 피도물, 200 : 프레임, 201 : 받침대,
202 : 실린더, 203 : 이동부재, 210 : 구동부,
211 : 핀고정대, 212 : 핀고정대연결부재, 213 : 핀,
300 : 고정수단.

Claims (4)

  1. 생산 라인을 따라 설치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행거 연결부;
    상기 행거 연결부에 고정되고 하측을 향해 이어지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끼워져 원치않는 회전을 저지하는 제동부;
    상기 고정축에 끼워지고, 상기 제동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기어;
    상기 기어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막는 이물받이;
    상기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이물받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의 하측에서 고리가 걸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지그걸이;
    상기 지그걸이에 걸어지고, 피도물이 장착되는 지그;
    상기 기어를 향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핀이 형성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행거 연결부와 상기 기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두 개의 와셔와, 두 개의 상기 와셔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해 상기 기어가 상기 구동부의 핀과 맞물리지 않은 구간에서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구동부는 실린더를 이용해 상기 기어를 향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피도물의 회전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기어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기어가 핀과 맞물린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전진함에 따라 상기 기어와 상기 기어의 하측에 장착되는 피도물의 회전이 진행되며,
    상기 이물받이는 테두리 부분이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고, 회전시 원심력에 의한 이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자동 회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거 연결부는,
    상기 컨베이어에서 하측을 향해 이어지는 두 개의 제1연결부재;와 두 개의 상기 제1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의 중심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결되는 제3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연결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축의 상부가 포함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자동 회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상부가 상기 행거 연결부에 고정되고, 그 하측에는 와셔와 스프링과 와셔 그리고 기어와 베어링이 순서대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어링을 상기 고정축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축의 하측면의 직경을 상기 베어링이 끼워진 구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자동 회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구동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의 측면에 LM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자동 회전 장치.
KR2020140007783U 2014-10-27 2014-10-27 행거 자동 회전 장치 KR200480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783U KR200480974Y1 (ko) 2014-10-27 2014-10-27 행거 자동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783U KR200480974Y1 (ko) 2014-10-27 2014-10-27 행거 자동 회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63U KR20160001463U (ko) 2016-05-09
KR200480974Y1 true KR200480974Y1 (ko) 2016-08-01

Family

ID=5602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783U KR200480974Y1 (ko) 2014-10-27 2014-10-27 행거 자동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7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277B1 (ko) * 2020-01-28 2020-10-08 양재우 피도물 회전형 액체도장장치
KR102236407B1 (ko) * 2021-03-10 2021-04-05 황재형 도장 시스템
KR20230000787A (ko) 2021-06-25 2023-01-03 주용수 분체도장설비용 행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836B1 (ko) * 2017-05-30 2019-08-08 (주)화신 도장용 행거장치
CN111822189A (zh) * 2020-07-29 2020-10-27 岳文智 一种汽车配件喷涂用悬挂装置
CN115155909B (zh) * 2022-06-25 2023-10-27 嵊州丰硕机电有限公司 一种一轨两用自动喷涂流水线
KR102594807B1 (ko) * 2023-07-12 2023-10-27 백온기 이송용 지그
CN116550514B (zh) * 2023-07-12 2023-09-08 山东中豪铝业集团有限公司 一种铝合金型材高压粉末喷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8363A (ja) * 1985-04-12 1986-10-23 Iwata Tosouki Kogyo Kk トロリ−コンベアの被塗物回転装置
JPS6450212A (en) * 1987-08-21 1989-02-27 Hitachi Ltd Production of thin film magnetic head
JPH072225B2 (ja) * 1989-06-05 1995-01-18 ヒロセ株式会社 山留部品の連続再生方法及び装置
KR100282857B1 (ko) * 1998-12-28 2001-08-07 박창규 분체도장용 이물질 오염 방지장치_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277B1 (ko) * 2020-01-28 2020-10-08 양재우 피도물 회전형 액체도장장치
KR102236407B1 (ko) * 2021-03-10 2021-04-05 황재형 도장 시스템
KR20230000787A (ko) 2021-06-25 2023-01-03 주용수 분체도장설비용 행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63U (ko)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974Y1 (ko) 행거 자동 회전 장치
KR20160090200A (ko) 분체도장용 지그
CN106140702A (zh) 具备旋转式刷洗功能的机械手
CN107008604A (zh) 一种板材喷漆设备
CN110508424A (zh) 一种适应于农业机械加工用的全方位均匀喷涂装置
CN105750124B (zh) 自动上下挂喷漆烘干总成
KR101799382B1 (ko) 풀리볼트 및 소켓형상 볼트 코팅용 탈루바스켓 지그유닛
CN114192313A (zh) 喷油漆烘烤自动生产线设备
KR101798792B1 (ko) 중공형 부재 지지장치
CN204280518U (zh) 喷涂用的工件搁物架
KR101241389B1 (ko) 물품용 높이 조절 받침대
CN107127076A (zh) 装饰材料喷涂装置
US20120288270A1 (en) Device for synchronizing shutter blades
CN206666394U (zh) 光学镀膜工装夹具
KR101502324B1 (ko) 원터치 세팅용 스키드바 장치
JP6316699B2 (ja) 可動間仕切り用吊りランナー装置
US20060165953A1 (en) Ring assembly for a covered paint robot
CN105059826B (zh) 家具零部件传输生产装置
CN210649571U (zh) 可调节高度的凸轮结构式零件装夹治具
CN104401656A (zh) 一种喷涂用的工件搁物架
KR200440798Y1 (ko) 차량용 백미러 운반용 캐리어
KR100953221B1 (ko) 레일코팅기
KR20140058723A (ko) 고가사다리용 분사 건의 거치장치
KR102229154B1 (ko) 내마모성을 높인 가이드 롤러 및 이를 구비한 도장용 레시프로케이터
KR101663530B1 (ko) 기판 코팅장치용 롤러 코터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