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807B1 - 이송용 지그 - Google Patents

이송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807B1
KR102594807B1 KR1020230090145A KR20230090145A KR102594807B1 KR 102594807 B1 KR102594807 B1 KR 102594807B1 KR 1020230090145 A KR1020230090145 A KR 1020230090145A KR 20230090145 A KR20230090145 A KR 20230090145A KR 102594807 B1 KR102594807 B1 KR 102594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red
jig
unit
additional
install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온기
Original Assignee
백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온기 filed Critical 백온기
Priority to KR102023009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Landscapes

  • Jigg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1개의 피이송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로 이송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피이송물을 수직방향으로 배치 및 고정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으며, 간소화 된 구조로 피이송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지그는, 피이송물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일측과 타측에 피이송물에 형성된 지지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고,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용 지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송용 지그{JIG FOR TRANSFER}
본 발명은 이송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개의 피이송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로 이송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피이송물을 수직방향으로 배치 및 고정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으며, 간소화 된 구조로 피이송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송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부품의 표면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써 부품의 표면에 도장을 진행하는 방법이 있는데, 여기서 도장은 크게 액체도장과 분체도장으로 구별된다.
그 중 액체도장은 액체형 페인트 붓을 이용하거나 스프레이건으로 분사시켜 칠을 하거나 침지시키는 형태인데, 붓을 사용하는 경우 칠해진 하는 면이 고르지 못한 단점이 있고, 스프레이건을 이용하는 경우 대기 중에 미세한 페인트 성분이 남아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분체도장은 스프레이건을 통헤 제품을 코팅하는 방법으로서, 고운 가루입자를 칠하고자 하는 면에 고르게 뿌려 놓고 열을 가하면, 가루입자가 녹으면서 대상물의 표면에서 증착되기 때문에 일정한 두께를 가진 도장층을 형성할 수 있고, 페인트 성분이 대기 중에 퍼지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도장대상물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는 이송용 컨베이어를 이용한 컨베이어 시스템 분체도장은 컨베이어 라인에 도장대상물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도장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도장대상물을 소정의 온도로 예열된 분체도장실로 이동시키고 분체도장실에서 스프레이건을 통해 도료를 분사시킨다.
이때, 필요에 따라 도장대상물을 2단 이상으로 배치하여 한번에 이송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종래의 컨베이어는 도장대상물을 1단으로만 이송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020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1개의 피이송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로 이송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피이송물을 수직방향으로 배치 및 고정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으며, 간소화 된 구조로 피이송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송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는, 피이송물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일측과 타측에 피이송물에 형성된 지지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고,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용 지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부는 복수개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편으로 서로 다른 피이송물의 지지면을 각각 지지하고, 상기 지그부 중 최상층에 위치된 지그부가 상기 이송장치에 연결되어 이송되며, 상기 지그부들의 상측과 하측에는 다단연결을 위한 연결구 및 장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에 상기 장착홈에 걸려 고정되는 걸이부 및 하층에 위치된 지그부의 연결구와 수직선상에 위치되며 걸이홀이 각각 형성된 매개부; 상기 지그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하측과 상측에 하층에 위치된 지그부에 형성된 연결구와 이 지그부의 상층에 배치된 지그부에 고정된 걸이부의 걸이홀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고리부가 형성된 커플러; 하측과 최상층에 위치된 지그부의 연결구에 걸려 고정되는 부가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이송장치에 형성된 고리유닛이 걸려 고정되는 부가 걸이부가 형성된 부가 커플러; 및 상기 피이송물에 지그부를 적용하기 전에 상기 피이송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거수단은, 내부에 상기 피이송물이 기립된 상태로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체부; 상기 피이송물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2 장착부; 상기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에 각각 체결되며, 그 끝단이 상기 피이송물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제1 장착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함체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2 장착부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함체부의 바닥면에 관통설치되는 제2 회전축; 상기 함체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피이송물을 제자리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모터부; 상기 제1 회전축과 모터부의 모터축에 각각 장착되는 제1,2 기어 및 상기 모터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2기어에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는 타이밍 밸트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함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피이송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설치판; 상기 설치판의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이송물이 상기 모터부의 구동으로 제자리 회전될 시 충돌하여 이물질 제거에 필요한 충격, 진동을 발생시키고,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진동바; 상기 진동바를 상기 피이송물의 회전경로상에 배치시키거나 또는 이탈시키도록 상기 설치판을 선택적으로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 실린더; 상기 함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피이송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설치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부가 설치판; 상기 함체부의 내부 양측벽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모터부의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전,후진 실린더가 상기 진동바를 이탈시키면 상기 부가 설치판을 상기 피이송물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부가 전,후진 실린더; 상기 부가 설치판의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부가 전,후진 실린더가 상기 부가 설치판을 전진시키면 상기 피이송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감싸며, 내면에 상기 피이송물의 외면을 스크래핑하기 위한 복수개의 브러쉬가 설치된 감쌈부; 및 상기 감쌈부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피이송물에 이물질 제거에 필요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지그는, 1개의 피이송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로 이송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피이송물을 수직방향으로 배치 및 고정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으며, 간소화 된 구조로 피이송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가 피이송물에 적용된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에 적용된 제거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에 적용된 진동바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에 적용된 감쌈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가 피이송물에 적용된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에 적용된 제거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에 적용된 진동바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에 적용된 감쌈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1)는, 다양한 종류의 피이송물(2)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3)에 적용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피이송물(2)을 다단으로 연결한 상태로도 적용시킬 수 있으며, 피이송물(2)에 묻어 있는 먼지, 기타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1)는 지그부(10)와, 매개부(20)와, 커플러(30)와, 부가 커플러(40) 및 제거수단(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1)에서 이송시키고자 하는 피이송물(2)은 다양한 것일 수 있으며, 도면에는 마스트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마스트인 피이송물(2)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ㄷ"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바아(2a)(bar) 및 바아(2a)를 연결하는 연결대(2b)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부(10)는 피이송물(2)의 내부공간 즉 바아(2a)의 사이공간에 수용된다.
도면에는 지그부(10)가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지그부(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힌다.
지그부(10)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는 피이송물(2)에 형성된 지지면을 지지하는 지지편(11)이 돌출형성된다.
이때, 지지면은 바아(2a)의 천장면일 수 있다.
지지편(11)을 지지면에 지지시키면 피이송물(2)이 지지편(11)에 매달리는 형태가 되며, 이송장치(3)의 구동에 의해 지그부(10)가 피이송물(2)을 공정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아울러, 지그부(10)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복수개의 피이송물(2)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킨다. 아울러, 지그부(10)는 지지편(11)이 지지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피이송물(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공정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피이송물(2)은 공정방향으로 이송되어 분체나 액체 도장공정, 열처리 공정 등 다양한 공정을 거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부(10)는 복수개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전술한 지지편(11)으로 서로 다른 피이송물(2)의 지지면을 각각 지지한다.
즉, 지그부(10)를 수직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상태로 피이송물(2)을 여러층으로 배치하여 한번에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지그부(10) 중에서 최상층에 위치된 지그부(10)가 이송장치(3)에 연결되며, 이로 인해 모든 지그부(10)와 모든 피이송물(2)이 일률적으로 이송된다.
지그부(10)는 피이송물(2)의 길이나 무게에 따라 피이송물(2)에 적용되는 개수가 상이해질 수 있다.
이러한 지그부(10)는 피이송물(2)의 하중에 의해 휨,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그부(10)는 피이송물(2)을 여러층으로 배치하기 위해 연결구(12) 및 장착홈(13)이 형성되며, 매개부(20)와, 커플러(30) 및 부가 커플러(4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피이송물(2)을 여러층으로 배치한 상태로 이송장치(3)에 의해 이송된다.
연결구(12)는 지그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커플러(30)가 걸려 고정되는 홀이 형성된다.
장착홈(13)은 연결구(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매개부(20)는 커플러(30)와 연결구(12)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매개부(20)의 상측에는 상층에 위치된 지그부(10)의 장착홈(13)에 걸려 고정되는 걸이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매개부(20)의 일정영역은 상층에 위치된 지그부(10)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하층에 위치된 지그부(10)의 연결부와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또한, 매개부(20)의 하측에는 커플러(30)가 걸려 고정되는 걸이홀(22)이 형성된다.
커플러(30)는 하층에 위치된 지그부(10)와 상층에 위치된 지그부(10)의 사이에 수직배치 된다.
커플러(30)의 하측과 상측에는 고리부(31)가 각각 형성된다.
커플러(30)의 하측에 형성된 고리부(31)는 하층에 위치된 지그부(10)에 형성된 연결구(12)의 홀에 걸려 고정된다.
그리고, 커플러(30)의 상측에 형성된 고리부(31)는 상층에 배치된 지그부(10)에 고정된 걸이부(21)의 걸이홀(22)에 걸려 고정된다.
커플러(30)는 피이송물(2)의 하중에 의해 휨,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그부(10)들과 커플러(30)를 통해 피이송물(2)들을 2층으로 연결한 다음, 전술한 이송장치(3)를 통해 피이송물(2)들을 한번에 공정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1)는, 지그부(10) 및 커플러(30)의 개수를 더 증가시켜 피이송물(2)들을 3층 이상으로 연결하여 공정방향으로 한번에 이송시킬 수 있다.
부가 커플러(40)는 최상층에 위치된 지그부(10)를 이송장치(3)에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부가 커플러(40)의 하측에는 최상층에 위치된 지그부(10)의 연결구(12)에 걸려 고정되는 부가 고리부(41)가 형성된다.
그리고, 부가 커플러(40)의 상측에는 샤클 형상의 부가 걸이부(42)가 형성된다.
부가 걸이부(42)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대략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부가 걸이부(42)에는 이송장치(3)를 구성하는 고리유닛(3a)이 걸려 고정된다.
한편, 하나의 피이송물(2)을 공정방향으로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매개부(20)는 생략하고, 커플러(30)의 상측에 형성된 고리부(31)를 이송장치(3)를 구성하는 고리유닛(3a)에 걸어 이송시키면 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제거수단(50)에 대해 설명한다.
제거수단(50)은 피이송물(2)에 지그부(10)를 적용하여 이송하기 전에 피이송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이송장치(3)에 의해 공정방향으로 이송이 완료된 피이송물(2)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제거수단(5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피이송물(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체나 액체 도장공정, 열처리 공정 등 다양한 공정을 거치게 된다.
제거수단(50)은 함체부(51)와, 제1,2 장착부와, 가압부(54)와, 제1 회전축(55)과, 제2 회전축(56)과, 모터부(57)와, 동력전달부(58)와, 설치판(59)과, 진동바(60)와, 전,후진 실린더(61)와, 부가 설치판(65)과, 부가 전,후진 실린더(62)와, 감쌈부(63) 및 바이브레이터(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함체부(51)는 일측면에 피이송물(2)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피이송물(2)이 기립된 상태로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함체부(51)의 출입구는 힌지 결합된 도어에 의해 개폐되며, 함체부(51)의 내부공간에 피이송물(2)이 수용되면 작업자에 의해 도어가 출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제1 장착부(52)는 피이송물(2)의 상측에 장착된다.
제1 장착부(52)는 저면에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이송물(2)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제1 장착부(52)의 빈 공간 형상은 피이송물(2)의 형상에 대응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 장착부(53)는 피이송물(2)의 하측에 장착된다.
제2 장착부(53)는 상면에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이송물(2)의 하측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장착부(53)의 빈 공간 형상은 피이송물(2)의 형상에 대응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장착부(52) 및 제2 장착부(53)의 양측면에는 가압부(54)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각각 형성된다.
가압부(54)는 볼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장착부(52) 및 제2 장착부(53)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홀에 각각 체결된다.
가압부(54)는 체결홀에 체결될 시 그 끝단이 피이송물(2)의 외면을 각각 가압한다.
제1 회전축(55)은 제1 장착부(52)의 상면에 형성되고, 함체부(51)의 상면을 관통하여 함체부(51)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함체부(51)의 상면에는 제1 회전축(55)의 제자리 회전을 원활하게 가이드 하기 위한 베어링이 매립될 수 있다.
제2 회전축(56)은 제2 장착부(53)의 저면에 형성되고, 함체부(51)의 바닥면에 관통 설치된다.
이때, 함체부(51)의 바닥면에는 제2 회전축(56)의 제자리 회전을 원활하게 가이드 하기 위한 베어링이 매립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전축(55) 및 제2 회전축(56)을 통해 피이송물(2)을 원활하게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부(57)는 피이송물(2)을 제자리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함체부(51)의 상면에 설치된다.
모터부(57)는 작업자 제어에 의해 작동되며, 약 3분 내지 10분 동안 작동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58)는 제1 회전축(55)과 모터부(57)의 모터축에 각각 장착되는 제1,2 기어 및 모터부(57)의 작동에 의해 제1,2기어에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는 타이밍 밸트(583)를 포함한다.
설치판(59)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함체부(51)의 내부에서 피이송물(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진동바(60)는 설치판(59)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진동바(60)는 피이송물(2)이 모터부(57)의 구동으로 제자리 회전될 시 충돌하여 이물질 제거에 필요한 충격,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진동바(60)는 피이송물(2)이 충돌될 시 해당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진동바(6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바(60)는 피이송물(2)이 회전에 의해 충돌할 시 일정수준으로 휘어지면서 피이송물(2)을 통과시킨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피이송물(2)의 바(2a)에는 진동바(60)와의 충돌에 의해 충격, 진동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피이송물(2)로부터 분리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피이송물(2)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기팬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함체부(51)의 바닥면이나 측벽면에는 흡기팬에 의해 흡기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이 형성되거나 또는, 배출관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전,후진 실린더(61)는 진동바(60)를 피이송물(2)의 회전 경로상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회전 경로상에서 이탈시키는 구성이다.
전,후진 실린더(61)는 함체부(51)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결합된다.
전,후진 실린더(61)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전,후진 실린더(61)의 피스톤은 설치판(59)에 결합된다.
전,후진 실린더(61)가 설치판(59)을 전진시키면 진동바(60)가 피이송물(2)의 회전경로 상에 배치되어, 피이송물(2)은 회전되는 과정에서 진동바(60)에 반복적으로 충돌하게 된다.
그리고, 전,후진 실린더(61)가 설치판(59)을 후진시키면 진동바(60)가 피이송물(2)의 회전경로상에서 이탈된다.
부가 설치판(65)은 함체부(51)의 내부에서 피이송물(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설치판(65)은 설치판(59)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부가 전,후진 실린더(62)는 후술되는 감쌈부(63)를 피이송물(2)에 적용시키는 구성이다.
부가 전,후진 실린더(62)는 함체부(51)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1개씩 설치될 수 있다.
부가 전,후진 실린더(62)는 전,후진 실린더(61)와 수평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부가 전,후진 실린더(62)의 피스톤은 부가 설치판(65)에 결합된다.
부가 전,후진 실린더(62)는 모터부(57)의 작동이 정지되고. 전,후진 실린더(61)가 진동바(60)를 이탈시키면 감쌈부(63)를 전진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이때, 전,후진 실린더(61)는 모터부(57)의 작동이 정지되면 설치판(59)을 후진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그리고, 전,후진 실린더(61)가 설치판(59)을 전진시키는 작동은 작업자가 전,후진 실린더(61)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함체부(51)에는 제어판넬이 설치되고, 제어판낼에는 모터부(57)와, 전,후진 실린더(61)와, 부가 전,후진 실린더(62) 및 후술되는 바이브레이터(64)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버튼들이 마련될 수 있다.
감쌈부(63)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부가 설치판(65)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감쌈부(63)는 도 5에 도시된 부가 설치판(65)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부가 설치판(65)에 1개씩 설치될 수도 있다.
감쌈부(63)는 부가 전,후진 실린더(62)에 의해 전진될 시 피이송물(2)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된 바아(2a)를 각각 감싼다.
이때, 감쌈부(63)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이송물(2)의 전면과 후면 및 측면을 동시에 감싼다.
그리고, 감쌈부(63)의 내면에는 피이송물(2)의 외면을 스크래핑하기 위한 복수개의 브러쉬(631)가 설치된다.
브러쉬(631)는 피이송물(2)의 전면 및 후면을 스크래핑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바이브레이터(64)는 감쌈부(63)의 외면에 각각 설치된다. 바이브레이터(64)는 감쌈부(63)가 전진되어 피이송물(2)을 감싸면 진동을 발생시켜 피이송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낙하되도록 한다.
바이브레이터(64)는 피이송물(2)의 외면과 내면 전체에 진동을 발생시킴에 따라 이물질 제거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지그(1)는 제거수단(50)의 모터부(57)와, 동력전달부(58)와, 설치판(59)과, 진동바(60)를 통해 피이송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고, 감쌈부(63) 및 바이브레이터(64)를 통해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함에 따라 이물질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도장공정시 작업자가 피이송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직접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이송용 지그 10 : 지그부
11 : 지지편 12 : 연결구
13 : 장착홈 20 : 매개부
21 : 걸이부 22 : 걸이홀
30 : 커플러 31 : 고리부
40 : 부가 커플러 41 : 부가 고리부
42 : 부가 걸이부 50 : 제거수단
51 : 함체부 52 : 제1 장착부
53 : 제2 장착부 54 : 가압부
55 : 제1 회전축 56 : 제2 회전축
57 : 모터부 58 : 동력전달부
581 : 제1 기어 582 : 제2 기어
583 : 타이밍 밸트 59 : 설치판
60 : 진동바 61 : 전,후진 실린더
62 : 부가 전,후진 실린더 63 : 감쌈부
631 : 브러쉬 64 : 바이브레이터

Claims (3)

  1. 피이송물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일측과 타측에 피이송물에 형성된 지지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고,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용 지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부는 복수개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편으로 서로 다른 피이송물의 지지면을 각각 지지하고,
    상기 지그부 중 최상층에 위치된 지그부가 상기 이송장치에 연결되어 이송되며,
    상기 지그부들의 상측과 하측에는 다단연결을 위한 연결구 및 장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에 상기 장착홈에 걸려 고정되는 걸이부 및 하층에 위치된 지그부의 연결구와 수직선상에 위치되며 걸이홀이 각각 형성된 매개부;
    상기 지그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하측과 상측에 하층에 위치된 지그부에 형성된 연결구와 이 지그부의 상층에 배치된 지그부에 고정된 걸이부의 걸이홀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고리부가 형성된 커플러;
    하측과 최상층에 위치된 지그부의 연결구에 걸려 고정되는 부가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이송장치에 형성된 고리유닛이 걸려 고정되는 부가 걸이부가 형성된 부가 커플러; 및
    상기 피이송물에 지그부를 적용하기 전에 상기 피이송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거수단은,
    내부에 상기 피이송물이 기립된 상태로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체부;
    상기 피이송물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2 장착부;
    상기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에 각각 체결되며, 그 끝단이 상기 피이송물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제1 장착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함체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2 장착부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함체부의 바닥면에 관통설치되는 제2 회전축;
    상기 함체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피이송물을 제자리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모터부;
    상기 제1 회전축과 모터부의 모터축에 각각 장착되는 제1,2 기어 및 상기 모터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2기어에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는 타이밍 밸트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함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피이송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설치판;
    상기 설치판의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이송물이 상기 모터부의 구동으로 제자리 회전될 시 충돌하여 이물질 제거에 필요한 충격, 진동을 발생시키고,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진동바;
    상기 진동바를 상기 피이송물의 회전경로상에 배치시키거나 또는 이탈시키도록 상기 설치판을 선택적으로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 실린더;
    상기 함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피이송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설치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부가 설치판;
    상기 함체부의 내부 양측벽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모터부의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전,후진 실린더가 상기 진동바를 이탈시키면 상기 부가 설치판을 상기 피이송물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부가 전,후진 실린더;
    상기 부가 설치판의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부가 전,후진 실린더가 상기 부가 설치판을 전진시키면 상기 피이송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감싸며, 내면에 상기 피이송물의 외면을 스크래핑하기 위한 복수개의 브러쉬가 설치된 감쌈부; 및
    상기 감쌈부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피이송물에 이물질 제거에 필요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이송용 지그.
  2. 삭제
  3. 삭제
KR1020230090145A 2023-07-12 2023-07-12 이송용 지그 KR102594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145A KR102594807B1 (ko) 2023-07-12 2023-07-12 이송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145A KR102594807B1 (ko) 2023-07-12 2023-07-12 이송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807B1 true KR102594807B1 (ko) 2023-10-27

Family

ID=8851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0145A KR102594807B1 (ko) 2023-07-12 2023-07-12 이송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8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63U (ko) * 2014-10-27 2016-05-09 (주)한국나노텍 행거 자동 회전 장치
KR20160090200A (ko) 2015-01-21 2016-07-29 (주)선일기업 분체도장용 지그
KR101669803B1 (ko) * 2015-05-28 2016-10-27 김상식 전착행거 유동장치
KR20180130916A (ko) * 2017-05-30 2018-12-10 주식회사화신 도장용 행거장치
CN113600373A (zh) * 2021-08-13 2021-11-05 南京三叶虫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自动清洗喷涂生产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63U (ko) * 2014-10-27 2016-05-09 (주)한국나노텍 행거 자동 회전 장치
KR20160090200A (ko) 2015-01-21 2016-07-29 (주)선일기업 분체도장용 지그
KR101669803B1 (ko) * 2015-05-28 2016-10-27 김상식 전착행거 유동장치
KR20180130916A (ko) * 2017-05-30 2018-12-10 주식회사화신 도장용 행거장치
CN113600373A (zh) * 2021-08-13 2021-11-05 南京三叶虫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自动清洗喷涂生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6300A (en) Process of coating a series of metal members
KR100623936B1 (ko) 핸드폰 케이스 자동 코팅장치용 제전 및 제진기
CN101422768B (zh) 粉末涂敷设备以及粉末涂敷方法
CN111715448A (zh) 一种木门喷涂漆面设备
CN100569384C (zh) 供涂漆制品设备用的涂漆橱
KR102594807B1 (ko) 이송용 지그
ITBO20000278A1 (it) Metodo ed apparato per la verniciatura in orizzontale di manufatti inlegno od in derivati del legno ed a prevalente estensione piana .
KR101594514B1 (ko) 분체도장설비의 로딩/언로딩 장치
KR200420057Y1 (ko) 기계 부품용 세척장치
ITBG20100068A1 (it) Cabina di verniciatura per impianti di verniciatura di manufatti.
JPH10245283A (ja) 施釉設備
CN210816415U (zh) 一种快速进料的移动式清洗机
JP5284675B2 (ja) 粉体塗装装置
CN216403187U (zh) 一种振动给料的烘干通道
KR101659757B1 (ko) 도장장치용 스핀들 연결 로드
US4360431A (en) Self-unloading centrifuge
CN2259237Y (zh) 超音波洗净机的送料装置
IT201900010464A1 (it) Macchina e metodo per la decorazione di prodotti con materiali granulari
JPH072225B2 (ja) 山留部品の連続再生方法及び装置
CN220970118U (zh) 螺栓清洗设备
CN215159118U (zh) 玻璃无尘传送室
CN218614669U (zh) 一种新型预制块布料机
CN217392710U (zh) 一种铝单板真石漆喷涂用全覆盖喷涂结构
JPH0999266A (ja) 小物品の頭部自動塗装装置
JPH025430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