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803B1 - 전착행거 유동장치 - Google Patents

전착행거 유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803B1
KR101669803B1 KR1020150074681A KR20150074681A KR101669803B1 KR 101669803 B1 KR101669803 B1 KR 101669803B1 KR 1020150074681 A KR1020150074681 A KR 1020150074681A KR 20150074681 A KR20150074681 A KR 20150074681A KR 101669803 B1 KR101669803 B1 KR 101669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position
electrodeposited
line
piece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식
Original Assignee
김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식 filed Critical 김상식
Priority to KR102015007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25D17/28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with means for moving the objects individually through the apparatus during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착행거 유동장치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전착조(12)를 단계적으로 통과하는 전착라인(10)과, 전착라인(10)에 견인되어 이동하며 피전착물(A)이 거치되는 행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행거부(20)는 전착라인(10)에 설치되는 견인트레이(30)에 견인되어 이동하며, 상기 행거부(20)는 전착조(12) 상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밀편(40) 작동력에 의해 견인트레이(30)와 함께 선회작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밀편이 전착조 상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단계적으로 이동하는 행거부를 좌우로 왕복 선회 유동시킴에 따라 피전착물과 전착액 간의 접촉 침투율이 세부 조절되어 미세홈이나 조잡한 형상을 가진 피전착물에 대한 전착불량이 방지되고, 특히 밀편 작동여부, 작동거리를 포함하는 간단한 설정변경으로 다양한 규격 및 형상의 피전착물에 대한 전착조건 변경이 용이한 범용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착행거 유동장치{Electro deposition hanger movable device}
본 발명은 전착행거 유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착조에 담긴 행거부를 선회 유동시켜 피전착물과 전착액 간의 접촉 침투율을 세부 조절하므로 미세홈이나 조잡한 형상을 가진 피전착물에 대한 전착불량이 방지되는 전착행거 유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착 도장은 자동차 바디를 비롯하여, 자동차 부품, 전기 제품 및 건재(建材) 등의 도장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전착 도장과정은 피전착물에 전기 화학적으로 도포막을 형성시키는 전착 공정 및 미전착 도료 등을 세척하기 위한 세정 공정, 또한 도포막을 경화시키기 위한 건조-베이킹 공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피전착물은 행거에 거치된 상태로 전착라인을 타고 이동하며 각각의 전착공정을 단계적으로 수행하고 있지만, 피전착물이 복잡한 형상(미세홈, 복잡한 구조)을 가진 경우 전착액 침투율이 저하되어 기포, 공기층, 미전착부가 발생되는 등의 전착불량으로 이어지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특허 제10-1229921호를 살펴보면, 전착조를 통과하는 작업 대상물이 진동부와 요철부에 의해 복수의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작업 대상물의 외벽에 도막이 형성될 때에 도막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작업 대상물에 진동력을 가하여 공기층이 형성되는 등의 전착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나, 전착라인에 적용시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첫째, 진동부가 요철부를 타고 이동해야만 진동력이 발생되는 구조적 특성상 요철부가 설치되는 전착조를 전차라인 방향으로 길게 확장 형성해야 하고, 이로 인해 전착액 사용량 증가, 넓은 설치공간 확보를 포함하는 전착라인 설비 구축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둘째, 작업 대상물 규격, 형상에 따라 진동력 정도를 상이하게 설정해야 하지만, 진동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전착조 바닥에 시공된 요철부를 교체해야 하므로, 사실상 진동력 변경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셋째, 진동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과 거치대 간에 마찰되어, 작업 대상물 표면이 긁히거나 전착도장이 벗겨지는 등의 전착불량이 발생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전착조에 담긴 행거부를 선회 유동시켜 피전착물과 전착액 간의 접촉 침투율을 세부 조절하므로 미세홈이나 조잡한 형상을 가진 피전착물에 대한 전착불량이 방지되는 전착행거 유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전착조(12)를 단계적으로 통과하는 전착라인(10)과, 전착라인(10)에 견인되어 이동하며 피전착물(A)이 거치되는 행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행거부(20)는 전착라인(10)에 설치되는 견인트레이(30)에 견인되어 이동하며, 상기 행거부(20)는 전착조(12) 상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밀편(40) 작동력에 의해 견인트레이(30)와 함께 선회작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견인트레이(30)는 전착라인(10)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선회되고, 하부에 행거부(20)의 고리(22)가 걸리도록 걸이대(34)가 형성되며, 고리(22)는 전착라인(10)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확장된 판형고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편(40)은 단일의 구동부에 의해 받침축(42a)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는 구동바(42) 양단에 연결되어 승하강이송되면서, 행거부(20) 상단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1) 양측 2개소에서 가압력이 교대로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편(40)은 각각의 구동부에 의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어, 행거부(20) 또는 견인트레이(30) 양측에서 교대로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행거부(20)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감지편(24)과, 전착라인(1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감지편(24)을 인식하는 센서(26)와, 센서(26)를 통하여 감지편(24)이 감지된 행거부(20)에 대해 밀편(40) 작동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밀편이 전착조 상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단계적으로 이동하는 행거부를 좌우로 왕복 선회 유동시킴에 따라 피전착물과 전착액 간의 접촉 침투율이 세부 조절되어 미세홈이나 조잡한 형상을 가진 피전착물에 대한 전착불량이 방지되고, 특히 밀편 작동여부, 작동거리를 포함하는 간단한 설정변경으로 다양한 규격 및 형상의 피전착물에 대한 전착조건 변경이 용이한 범용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착행거 유동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착행거 유동장치의 밀편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착행거 유동장치의 감지편과 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착행거 유동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전착행거 유동장치는 전착조에 담긴 행거를 선회 유동시켜 피전착물과 전착액 간의 접촉 침투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미세홈이나 조잡한 형상을 가진 피전착물에 대한 전착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전착라인(10), 행거부(20), 견인트레이(30), 밀편(4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착행거 유동장치는 전착조(12)를 단계적으로 통과하는 전착라인(10)과, 전착라인(10)에 견인되어 이동하며 피전착물(A)이 거치되는 행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착조(12)는 전착공정에 공정별로 구비되는 탕세, 예비탈지, 본탈지, 수세, 표면조정, 화성피막, 전착을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각 단계에 필요한 물, 전착액을 포함하는 액을 수용하는 탱크로서,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전착라인(10)을 따라 연속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착라인(10)은 체인, 와이어, 레일을 포함하는 이송라인이 설정된 구간을 따라 궤도운동하며 전착작업의 각 공정을 연속 수행하고, 이때 전착라인(10)은 해당하는 전착조(12) 상부에서 멈춘상태로 하강하여 피전착물(A)을 전착조(12) 내부로 투입한 후, 각 전착단계별 공정을 수행하고, 이후 승강되어 다음 전착조(12)로 피전착물(A)이 이동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에 전착라인(10)은 궤도운동을 위한 구동수단 외에 상하 작동을 위한 구동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 상기 행거부(20)는 후술하는 견인트레이(30)에 의해 전착라인(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전착물(A)이 이격배치된 상태로 거치되도록 복수의 거치고리가 구비된다. 도 1 내지 5에서 행거부(20)는 거치고리에 의해 피전착물(A)이 복층, 복열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에 예비 행거부(20)에 복수의 피전착물(A)을 거치한 상태로 준비하고, 전착라인(10)으로 연속 투입하여 전착공정이 수행되며, 전착공정이 완료된 행거부(20)는 전착라인(10)에서 분리하여 피전착물(A)을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행거부(20)는 전착라인(10)에 설치되는 견인트레이(30)에 견인되어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행거부(20)는 일단이 전착라인(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착라인(10)에서 하부로 연정되어 행거부(20) 상단에 형성된 고리(22)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견인트레이(30)는 전착라인(10)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선회되고, 하부에 행거부(20)의 고리(22)가 걸리도록 걸이대(34)가 형성되며, 고리(22)는 전착라인(10)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확장된 판형고리로 형성된다. 이에 견인트레이(30)는 상단부가 전착라인에 적어도 2개의 접점에서 고정됨에 따라 전착라인(10) 이동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선회운동이 제한되는 반면, 좌우방향으로 선회운동이 허용됨에 따라 후술하는 밀편(40)의 가압력이 작용시 좌우방향으로 선회 유동되어 전착액과의 접촉 침투율이 향상되는데 반해 전후방향으로 전착조(12)와 충돌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행거부(20)의 고리(22)가 판형고리로 형성됨에 따라 행거부(20)의 고리(22)를 견인트레이(30)의 걸이대(34)에 단순 걸어두는 형태로 설치하더라도 판형 고리(22)에 의해 걸이대(34)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고리(22)와 걸이대(34) 간의 좌우 유동이 제한된다. 이에 밀편(40) 가압력이 견인트레이(30) 또는 행거부(20)로 작용시, 도 2 내지 4와 같이 행거부(20)가 견인트레이(30) 상단부를 축으로 선회되어 회전반경이 확대되므로, 행거부(20)가 선회 유동시 선회반경의 최하단 지점과 최상단 지점사이 거리 편차가 미비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행거부(20)가 전착조(12) 내부에서 선회 유동되는 중에 피전착물(A)이 전착액 수면 위 즉, 공기 중으로 노출되어 전착불량으로 이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행거부(20)는 정지상태에서 전착조(12) 상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밀편(40) 작동력에 의해 견인트레이(30)와 함께 선회작동되도록 구비된다. 밀편(40)은 행거부(20)의 좌우 선회 유동을 필요로 하는 전착조(12) 상측 즉, 전착라인(10)을 지지하는 골조프레임에 고정되어 전착라인(10)과 함께 승하강이송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밀편(40)은 실린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에 의해 왕복이송 가압력이 행거부(20) 측으로 전달되어, 전착조(12)에 수용된 행거부(20)를 좌우로 왕복 선회 유동시킴에 따라 피전착물(A)과 전착액 간의 접촉 침투율이 인위적으로 조절되면서 미세홈이나 조잡한 형상을 가진 피전착물(A)에 대한 전착불량이 방지되는바, 이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상기 밀편(40)은 단일의 구동부에 의해 받침축(42a)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는 구동바(42) 양단에 연결되어 상하이송되고, 한 쌍의 밀편(40)과 대응하면서 행거부(20) 상단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1) 양측 2개소에서 가압력이 교대로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구동바(42)는 전착라인(10) 상측에 설치되어 전착라인(10)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일의 구동부(M) 작동에 의해 받침축(42a)을 중심으로 시소운동된다. 구동바(42) 양단에는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바형태의 밀편(40) 상단부와 장공(40a) 및 핀(40b)으로 연결되며, 이때 밀편(40) 하단부에는 롤러가 구비되어 행거부(20)의 가이드레일(21)을 가압하게 된다.
이처럼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밀편(40)이 구동바(42) 양단에 연결되어, 구동바(42)의 시소운동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승하강작동되면서 가이드레일(21) 양측을 교대로 가압함에 따라 행거부(20)가 밀편(40)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왕복 선회 유동된다. 이에 구동바(42)의 시소운동에 의해 한 쌍의 밀편(40)이 상호 역방향으로 승하강됨에 따라 단일의 구동부를 이용한 제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때 행거부(20)와 밀편(40)이 직접 연결되지 않고, 상방향 이송되는 밀편(40)은 가이드레일(21)과 비접촉된 상태로 하방향 이송되는 밀편(40)이 가이드레일(21)과 일시적인 접촉에 의해 가압력이 전달되는 구조이다.
이에 복수의 행거부(20) 중에 어느 하나의 행거부(20)를 선택적으로 선회 유동되도록 설정가능함은 물론 기존에 사용 중인 행거부(20)에 가이드레일(21)을 부착하는 간단한 구조변경만으로 선회 유동 구성이 간단하게 적용되는 이점이 있다.
도 3 내지 4에서, 상기 밀편(40)은 각각의 구동부에 의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어, 행거부(20) 또는 견인트레이(30) 양측에서 교대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도 3에서 밀편(40)은 견인트레이(30)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되고, 각각의 구동부에 의해 횡방향으로 왕복이송되어 행거부(20) 또는 견인트레이(30)를 가압하되, 한 쌍의 밀편(40)이 상호 역방향으로 왕복이송되어 행거부(20)를 좌우 선회 유동시키고, 또한, 도 4에서 밀편(40)은 견인트레이(30)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되고, 각각의 구동부에 의해 종방향으로 왕복이송되어 행견인트레이(30)를 상부에서 가압하되, 한 쌍의 밀편(40)이 상호 역방향으로 왕복이송되어 행거부(20)가 좌우 선회 유동된다.
이처럼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밀편(40)이 상호 역방향으로 승하강작동되면서 행거부(20) 또는 견인트레이(30) 양측에서 교대로 가압력이 전달되므로 행거부(20)가 좌우방향으로 왕복 선회 유동된다.
이때 밀편이 행거부(20) 또는 견인트레이(30)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일시적인 접촉에 의해 밀편(40)의 가압력이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복수의 행거부(20) 중에 어느 하나의 행거부(20)를 선택적으로 선회 유동되도록 설정가능함은 물론 기존에 사용중인 행거부(20)를 구조변경하지 않고 밀편(40)이 간단하게 적용된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도 2 내지 도 4에서 밀편(40)과, 밀편(40)에 가압되는 피가압면(가이드레일)은 음양각구조로 맞물려 가압력이 전달되는 중에 밀편(40)이 피가압면상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즉, 도 1과 같이 밀편(40) 하부에 구비되는 롤러(41)는 가이드레일(21)이 수용되어 음양각 구조로 맞물리도록 외주면에 음각부(41a)가 형성된다.
또 밀편(40)을 포함하는 조립체를 전체적으로 승하강 높낮이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봉 및 구동부를 더 구비하여 행거부(20)의 사이즈에 따라 위치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행거부(20)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감지편(24)과, 전착라인(1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감지편(24)을 인식하는 센서(26)와, 센서(26)를 통하여 감지편(24)이 감지된 행거부(20)에 대해 밀편(40) 작동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26)는 밀편(40)이 설치되는 전착조(12) 보다 전방 위치에 설치되고, 해당 전착조(12)로 이동하는 행거부(20)에 대한 감지편(24) 존재여부를 검출하여 밀편(40) 작동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즉, 다양한 규격 및 형상의 피전착물(A)을 복합적으로 연속 전착도장시, 외주면에 미세한 홈이 형성되는 피전착물(A)(예컨대, 타이임밸트풀리 등)의 경우에는 일반 전착방식(전착조에 단순 수용하는 방식)으로 작업시 미세한 홈으로 전착액 침투율이 저하되어 전착불량으로 이어짐으로, 전착불량율이 높은 피전착물(A)이 거치된 행거부(20)에는 감지편(24)을 설치하여 다른 행거부(20)들과 구분하고, 이어서 행거부(20)를 견인트레이(30)에 걸어 투입하게 되면, 도 5처럼 전착라인(10)에 의해 행거부(20)가 전방향으로 간헐이송되며 감지편(24)이 센서(26)를 터치하게 되고, 센서(26)는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하여 밀편(40) 작동 지령을 내리므로, 감지편(24)이 구비된 행거부(20)에 대해서만 밀편(40) 가압력이 작용하여 행거부(20)가 좌우 선회 유동된다.
이처럼 밀편(40) 작동여부에 따라 행거부(20)가 선택적으로 좌우 선회 유동되므로 전착라인 변경없이 다양한 규격 및 형상의 피전착물(A)을 복합적으로 전착도장가능한 범용성이 제공되고, 또 제어부에서 밀편(40)의 작동거리까지 제어되어 행거부(20)의 선회 유동범위까지 조절됨에 따라 피전착물(A)과 전착액 간의 접촉 침투율이 인위적으로 조절되어 전착시간 및 전착두께를 포함하는 세부적인 전착조건이 간편하게 설정변경가능한 이점이 있다.
10: 전착라인 20: 행거부
30: 견인트레이 40: 밀편

Claims (5)

  1. 전착 각 단계에 필요한 물, 전착액을 포함하는 액이 수용되도록 복수개 연속배치되는 전착조(12)와, 전착조(12)를 단계적으로 통과하는 전착라인(10)과, 전착라인(10)에 설치되는 견인트레이(30)에 견인되어 이동하며 피전착물(A)이 거치되는 복수의 행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착라인(10)은 전착조 상부에 정지되어 승하강작동에 의해 피전착물(A)을 전착조(12) 내부로 투입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행거부(20)가 정지상태에서 전착조(12) 상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전착라인(10)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일의 구동부(M)에 의해 받침축(42a)을 중심으로 시소운동되는 구동바(42);
    상기 구동바(42)의 양단에서 장공(40a) 및 핀(40b)으로 연결되어, 시소운동력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상하이송되는 한 쌍의 밀편(40);
    상기 한 쌍의 밀편(40)과 대응하는 행거부(20) 상단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1);
    상기 가이드레일(21)과 대응하는 밀편(40) 하단부에 구비되어, 가이드레일(21)이 수용되어 음양각 구조로 맞물리도록 외주면에 음각부(41a)가 형성되는 롤러(41);
    상기 한 쌍의 밀편(40)이 상호 역방향으로 상하이송되면서 가이드레일(21) 양측 2개소에서 가압력이 교대로 작용하며,
    상기 행거부(20)는 밀편(40) 가압력에 의해 견인트레이(30)와 함께 선회작동되며,
    상기 구동바(42) 일측에서 하방향 이송되는 밀편(40)이 가이드레일(21)과 일시적인 접촉에 의해 가압력이 전달시, 구동바(42) 다른 일측에서 상방향 이송되는 밀편(40)은 가이드레일(21)과 비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견인트레이(30)는 전착라인(10)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선회되고, 하부에 행거부(20)의 고리(22)가 걸리도록 걸이대(34)가 형성되며, 고리(22)는 전착라인(10)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확장된 판형고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행거 유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20)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감지편(24)과, 전착라인(1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감지편(24)을 인식하는 센서(26)와, 센서(26)를 통하여 감지편(24)이 감지된 행거부(20)에 대해 밀편(40) 작동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행거 유동장치.
KR1020150074681A 2015-05-28 2015-05-28 전착행거 유동장치 KR101669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681A KR101669803B1 (ko) 2015-05-28 2015-05-28 전착행거 유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681A KR101669803B1 (ko) 2015-05-28 2015-05-28 전착행거 유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803B1 true KR101669803B1 (ko) 2016-10-27

Family

ID=5724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681A KR101669803B1 (ko) 2015-05-28 2015-05-28 전착행거 유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8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444A (ko)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화신 도장용 행거 장치
CN111850659A (zh) * 2019-04-26 2020-10-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金属被膜的成膜装置
US11274378B2 (en) * 2020-01-27 2022-03-15 Engineering And Software System Solutions, Inc. Adaptive apparatus for release of trapped gas bubbles and enhanced agitation for a plating system
KR102594807B1 (ko) * 2023-07-12 2023-10-27 백온기 이송용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0495A (ja) * 1993-02-15 1994-08-30 Honda Motor Co Ltd ディッピング処理装置
JPH06330389A (ja) * 1993-05-18 1994-11-29 Suzuki Motor Corp 浸漬式塗装前処理装置
JPH09330U (ja) * 1996-08-14 1997-06-06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蔵装置における断熱箱体構造
KR101229921B1 (ko) * 2010-10-29 2013-02-15 주식회사화신 전착도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0495A (ja) * 1993-02-15 1994-08-30 Honda Motor Co Ltd ディッピング処理装置
JPH06330389A (ja) * 1993-05-18 1994-11-29 Suzuki Motor Corp 浸漬式塗装前処理装置
JPH09330U (ja) * 1996-08-14 1997-06-06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蔵装置における断熱箱体構造
KR101229921B1 (ko) * 2010-10-29 2013-02-15 주식회사화신 전착도장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444A (ko)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화신 도장용 행거 장치
KR102105294B1 (ko) 2018-09-28 2020-04-28 (주)화신 도장용 행거 장치
CN111850659A (zh) * 2019-04-26 2020-10-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金属被膜的成膜装置
US11459667B2 (en) * 2019-04-26 2022-10-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ilm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metal film
CN111850659B (zh) * 2019-04-26 2023-03-1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金属被膜的成膜装置
US11274378B2 (en) * 2020-01-27 2022-03-15 Engineering And Software System Solutions, Inc. Adaptive apparatus for release of trapped gas bubbles and enhanced agitation for a plating system
KR102594807B1 (ko) * 2023-07-12 2023-10-27 백온기 이송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803B1 (ko) 전착행거 유동장치
CN103628049B (zh) 表面处理装置以及槽体
KR20190110077A (ko) 표면 처리 장치
US9016464B2 (en) Tilting multiplier
CN106325205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轮毂安装孔柔性自动加工系统
KR101303296B1 (ko) 수압전사방법 및 수압전사 자동화시스템
CN107097419A (zh) 基于六轴机械手的光固化3d打印智能生产线
CN109277264B (zh) 散热膏涂覆装置
CN108328276A (zh) 一种金属板材酸洗装置的下料组件
CN104014685A (zh) 洗衣机内桶生产线的移料装置
CN107059097A (zh) 一种电镀装置
JP2004346391A (ja) メッキ装置
KR101892364B1 (ko) 전기도금 강판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160011779A (ko) 자동 도금장치
KR101485986B1 (ko) 플로우 코팅 장치
JP5532476B2 (ja) 塗装システム
US6202830B1 (en) Conveyor arrangement and conveyor line
JP5560507B2 (ja) 塗装用吹付処理装置
JP2007077477A (ja) 前処理電着塗装装置及び前処理電着塗装装置の被処理物搬送方法
CN210256930U (zh) 一种手套浸胶装置
JP4755729B1 (ja) 電気メッキ装置
JP2001335995A (ja) 複数列のメッキ処理タンクを設置したメッキ処理装置、及び一列又は複数列のメッキ処理タンクを設置したメッキ処理装置における製品の高速乗換え装置
JPWO2020105524A1 (ja) 治具搬送部材並びに表面処理装置及び方法
JP6746581B2 (ja) ラミネート製品用ローラシステム
KR101180101B1 (ko) 금속제품의 합성수지 코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