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407B1 - 도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407B1
KR102236407B1 KR1020210031684A KR20210031684A KR102236407B1 KR 102236407 B1 KR102236407 B1 KR 102236407B1 KR 1020210031684 A KR1020210031684 A KR 1020210031684A KR 20210031684 A KR20210031684 A KR 20210031684A KR 102236407 B1 KR102236407 B1 KR 102236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gear
unit
mov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형
Original Assignee
황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형 filed Critical 황재형
Priority to KR102021003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64Overhead conveying means, i.e. the object or other work being suspended from the conveying means; Details thereof, e.g. hanging hooks

Landscapes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트 분사 장치를 이용하여 금속재 외부면에 도장을 입히는 도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작업 라인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라인부; 두 개의 반원이 마주 보는 상태에서 대각 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두 개의 반원이 마주 보는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하단 고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장 시스템{PAINTING SYSTEM}
본 발명은 도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인트 분사 장치를 이용하여 금속재 외부면에 도장을 입힐 수 있도록 구현한 도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업물을 일정한 속도로 작업자들이 배치된 작업영역을 통과하도록 이송하고, 제조 공정의 순서대로 배치된 작업자들이 작업물에 부속품을 순서대로 조립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컨베이어 시스템과 같은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작업물을 적절한 속도로 작업영역을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이송 시스템이 필요한데, 특히 대형 제품을 제조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작업물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천정 이송장치가 적용된다.
도장 작업 역시 천정 이송 장치에 거치되는 부품들이 페인트 분사 장치 사이를 지나면서 도장이 이루어지는데, 부품들의 크기에 따라 천정 이송 장치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중간에 연결 장치를 추가하여 높이를 변경시켜야 하므로 부품 별로 거치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추가적인 작업 시간을 소요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744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29777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도장 시스템에 사용되는 천정 이송 장치의 좌우 이동을 이용하여 도장 대상물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도장 대상물에 따라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도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송 과정에서 자동으로 높이가 조정되므로 사람에 의한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높이를 낮추어 놓을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도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페인트 분사 장치를 이용하여 금속재 외부면에 도장을 입히는 도장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 라인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라인부, 두 개의 반원이 마주 보는 상태에서 대각 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두 개의 반원이 마주 보는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하단 고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인부는, 긴축을 따라 내부가 비어있고, 아랫면 중심 부분이 뚫려 있는 통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는, 통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및 이동부와 하단 고리부를 연결하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는, 직사각형의 양쪽 끝이 반원으로 이어지고, 중심 부분은 연결축으로 이어지는 이동 중심부, 이동 중심부의 연결축에서 이어져서 돌출된 부분에 끼워져서 회전하는 바퀴부, 이동 중심부의 반원 부분을 연결하는 체인부 및 이동 중심부의 연결축과 회전부를 연결하는 상단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부는, 상단 고리부와 연결되는 상단 고리 연결부, 하단 고리부와 연결되는 하단 고리 연결부 및 상단 고리 연결부 및 하단 고리 연결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장 시스템은, 상단 고리 연결부와 하단 고리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하로 신축할 수 있는 신축부 및 신축부의 상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신축부는, 샤프트의 형태로 상부는 상단 고리부와 연결되는 상부 걸이부 및 측면에 판형의 기어인 상부 내측 기어부를 구비하는 상부 연결부, 샤프트의 형태로 하부는 하단 고리부와 연결되는 하부 걸이부 및 측면에 판형의 기어인 하부 내측 기어부를 구비하는 하부 연결부, 상부 연결부, 하부 연결부 및 조정부를 연결하는 본체부 및 상부 연결부 및 하부 연결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는, 본체부를 좌우로 관통하는 회전축부,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부 내측 기어부 및 하부 내측 기어부와 맞물리며, 회전축부를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내측 원형 기어부 및 본체부의 외부 일측면에 위치하고, 회전축부를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외측 원형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정부는, 본체부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본체부의 측면에 맞닿아서 본체부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본체부를 받쳐주는 라인 롤러부, 본체부의 타측면에 위치하고, 외측 원형 기어부와 맞물리는 라인 기어부 및 라인 롤러부 및 라인 기어부와 라인부를 연결하는 라인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인 기어부는, 상부 일측면으로 둘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하부에 판형 기어가 배치되는 상부 라인 기어부, 하부 일측면으로 둘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상부에 판형 기어가 배치되는 하부 라인 기어부 및 회전축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긴축을 따라 중앙의 일부가 함몰되는 중앙 홈부 및 중앙 홈부의 윗면에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는, ‘十’자 형태이고, 가운데가 원형으로 뚫려 있는 고정 중심부, 고정 중심부의 라인 기어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본체부에서 돌출되는 돌출 날개부, 돌출 날개부의 반대측에 본체부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지지부, 돌출 날개부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탄성 날개부, 탄성 날개부를 고정 지지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정 탄성부, 고정 중심부에서 상부 내측 기어부 및 하부 내측 기어부로 삽입되는 고정 삽입부 및 고정 중심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도장 시스템에 사용되는 천정 이송 장치의 좌우 이동을 이용하여 도장 대상물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도장 대상물에 따라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송 과정에서 자동으로 높이가 조정되므로 사람에 의한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높이를 낮추어 놓을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이 단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신축부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신축부의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신축부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분사 장치(S)를 이용하여 금속재 외부면에 도장을 입히는 도장 시스템(10)은 라인부(100), 연결부(300) 및 하단 고리부(500)를 포함한다.
라인부(100)는 작업 라인을 따라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작업 라인은 제품의 제작을 위해서 사용되는 각각의 부품의 조립을 위해서 부품이 거쳐가는 곳으로 각각의 공정에는 작업자 또는 해당 작업을 위한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두 개의 반원이 마주 보는 상태에서 대각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반원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반대쪽 끝끼리 연결되며, 두 개의 반원 중에서 하나는 라인부(100)에 걸리게 되고, 다른 하나는 아래 방향으로 배치된다. 아래 방향으로 배치되는 반원에는 후술하는 하단 고리부(500)가 걸리게 된다.
하단 고리부(500)는 두 개의 반원이 마주 보는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단 고리부(500)는 두 개의 반원이 마주 보는 상태에서 같은 쪽 끝끼리 연결되며, 두 개의 반원 중에서 하나는 연결부(300)의 아래 쪽 반원에 걸려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아래 방향으로 배치된다.
아래 방향으로 배치되는 반원에는 가공 대상 부품(P)이 걸리게 되어 부품이 바닥면에서 이격되어 이송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라인부(100)는 통로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300)는 이동부(310) 및 회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로부(110)는 긴축을 따라 내부가 비어있고, 아랫면 중심 부분이 뚫려 있는 형태이다.
통로부(110)는 라인부(100)의 내측에 비어있는 공간으로, 아랫면의 중심 일부가 뚫려 있어서, 뚫린 공간으로는 연결부(300)가 이어질 수 있다.
이동부(310)는 통로부(1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310)는 통로부(110) 내부에 삽입되어서 통로부(1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 대상 부품(P)들을 편리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회전부(330)는 이동부(310)와 하단 고리부(500)를 연결하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330)를 이용하여 가공 대상 부품(P)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들은 별도의 분리 과정없이 가공 대상 부품(P)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이동부(310)는 이동 중심부(311), 바퀴부(313), 체인부(315) 및 상단 고리부(3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중심부(311)는 직사각형의 양쪽 끝이 반원으로 이어지고, 중심 부분은 연결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동 중심부(311)는 일반적인 체인의 형태에 중심 부분이 연결축을 이용하여 이어져 있으며, 연결축은 이동 중심부(311)를 벗어나서 돌출될 수 있다.
바퀴부(313)는 이동 중심부(311)의 연결축에서 이어져서 돌출된 부분에 끼워져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바퀴부(313)는 통로부(110)의 내측 통로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연결부(300)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체인부(315)는 이동 중심부(311)의 반원 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체인부(315)는 이동 중심부(311)의 반원 부분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인에 의해 복수 개의 이동 중심부(311)가 연결되므로 각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한 곳에서 인장력을 발생시키게 되면, 모든 이동 중심부(311)가 움직이게 된다.
상단 고리부(317)는 이동 중심부(311)의 연결축과 회전부(33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330)는, 상단 고리 연결부(331), 하단 고리 연결부(333) 및 힌지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고리 연결부(331)는 상단 고리부(317)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있으며, 하단은 평평한 면으로 후술하는 힌지부(335)와 연결된다.
하단 고리 연결부(333)는 하단 고리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하단 고리 연결부(333)는 회전부(33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중심 부분이 아래로 처져 있어서 여기에 걸리게 될 경우 좌우로 밀리지 않고, 가운데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힌지부(335)는 상단 고리 연결부(331) 및 하단 고리 연결부(333)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힌지부(335)는 상단 고리 연결부(331) 및 하단 고리 연결부(333)의 사이에 위치하며,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이 단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신축부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장 시스템(10)은 신축부(700) 및 조정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축부(700)는 상단 고리 연결부(331)와 하단 고리 연결부(333) 사이에 위치하며, 상하로 신축할 수 있다
가공 대상 부품(P)의 크기나 작업 공정에 따라 가공 대상 부품(P)의 위치를 위쪽 또는 아래 쪽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신축부(700)는 가공 대상 부품(P)을 상하로 이동시켜서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조정부(900)는 신축부(700)의 상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정부(900)에 의해 신축부(700)의 신장 또는 수축의 정도가 조정되면 가공 대상 부품(P)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신축부(700)는 상부 연결부(710), 하부 연결부(730), 본체부(750) 및 고정부(7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연결부(710)는 샤프트의 형태로 상부는 상단 고리부(317)와 연결되는 상부 걸이부(711) 및 측면에 판형의 기어인 상부 내측 기어부(7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연결부(710)는 신축부(700)를 상단 고리부(317)에 연결시키며, 내측에는 상부 내측 기어부(713)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본체부(750)의 내측 원형 기어부(753)와 맞물려서 신축부(700) 전체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연결부(730)는 샤프트의 형태로 하부는 하단 고리부(500)와 연결되는 하부 걸이부(731) 및 측면에 판형의 기어인 하부 내측 기어부(733)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연결부(730)는 상부 연결부(710)와 대응되며, 상부 연결부(710)와의 차이점은 끝부분의 모양이 하단 고리부(5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V'자와 비슷한 모양을 가지므로 하단 고리 연결부(333)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단 고리부(500)가 여기에 걸리게 될 경우 좌우로 밀리지 않고, 가운데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하부 내측 기어부(733) 후술하는 본체부(750)의 내측 원형 기어부(753)와 맞물려서 상하로 움직여서 하단 고리부(500)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본체부(750)는 상부 연결부(710), 하부 연결부(730) 및 조정부(900)를 연결할 수 있다.
본체부(750)는 상부 연결부(710) 및 하부 연결부(730)와는 후술하는 내측 원형 기어부(753) 및 고정부(770)와 맞물려서 연결하게 되고, 조정부(900)와는 후술하는 외측 원형 기어부(755)와 일시적으로 맞물려서 연결할 수 있다.
고정부(770)는 상부 연결부(710) 및 하부 연결부(7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770)는 본체부(750)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상부 연결부(710) 및 하부 연결부(730)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본체부(750)가 조정부(900)와 맞물릴 때에는 고정이 해제되어, 상부 연결부(710) 및 하부 연결부(730)는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체부(750)는 회전축부(751), 내측 원형 기어부(753) 및 외측 원형 기어부(75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부(751)는 본체부(750)를 좌우로 관통할 수 있다.
회전축부(751)는 내측 원형 기어부(753) 및 외측 원형 기어부(755)의 회전축이므로 본체부(750)의 내측와 외측을 관통하게 된다.
내측 원형 기어부(753)는 본체부(75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부 내측 기어부(713) 및 하부 내측 기어부(733)와 맞물리며, 회전축부(751)를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내측 원형 기어부(75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 내측 기어부(713) 및 하부 내측 기어부(733)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어 가공 대상 부품(P)이 아래 쪽으로 내려오게 되고, 내측 원형 기어부(753)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 내측 기어부(713) 및 하부 내측 기어부(733)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겨서 가공 대상 부품(P)이 위쪽으로 올라오게 된다.
외측 원형 기어부(755)는 본체부(750)의 외부 일측면에 위치하고, 회전축부(751)를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외측 원형 기어부(755)는 후술하는 조정부(900)와 맞물려서 회전하게 되고, 회전력을 회전축부(751)를 통해 내측 원형 기어부(753)로 전달하여 본체부(75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조정부(900)는 라인 롤러부(910), 라인 기어부(930) 및 라인 고정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부(900)는 신축부(700)와는 분리되어 있는 구성으로 신축부(700)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때만 사용한다. 따라서, 가공, 조립 및 도장 과정에서 가공 대상 부품(P)의 상하 위치를 조정해야 할 경우 조정부(900)를 배치하면 별다른 조정 작업 없이 좌우 이동에 따라 가공 대상 부품(P)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라인 롤러부(910)는 본체부(750)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본체부(750)의 측면에 맞닿아서 본체부(750)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본체부(750)를 받쳐줄 수 있다.
라인 롤러부(910)는 본체부(750)의 일측면 중에서 외측 원형 기어부(755)가 없는 측면에 위치하고, 외측 원형 기어부(755)가 라인 기어부(930)에 제대로 끼워질 수 있도록 본체부(750)를 받치면서 원통이 회전하여 본체부(750)가 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라인 기어부(930)는 본체부(750)의 타측면에 위치하고, 외측 원형 기어부(755)와 맞물릴 수 있다.
라인 기어부(930)는 본체부(750)의 타측면, 즉, 본체부(750)의 외측 원형 기어부(755)가 있는 측면에 위치하여 외측 원형 기어부(755)를 회전시킬 수 있다.
라인 고정부(950)는 라인 롤러부(910) 및 라인 기어부(930)와 라인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라인 고정부(950)는 라인 롤러부(910) 및 라인 기어부(930)의 상부면과 라인부(100)를 연결하여 라인 롤러부(910) 및 라인 기어부(930)를 고정시키며, 작업 라인의 변화에 따라 작업자들이 임의로 조정부(9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라인 기어부(930)는 상부 라인 기어부(931), 하부 라인 기어부(933), 중앙 홈부(935) 및 높이 조절부(9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라인 기어부(931)는 상부 일측면으로 둘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하부에 판형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라인 기어부(931)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기어로 외측 원형 기어부(755)가 전진하면서 맞물릴 경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내측 원형 기어부(753)도 시게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본체부(750)가 하강하여 가공 대상 부품(P)을 아래로 내릴 수 있게 된다.
하부 라인 기어부(933)는 하부 일측면으로 둘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상부에 판형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라인 기어부(933)는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돌출된 기어로 외측 원형 기어부(755)가 전진하면서 맞물릴 경우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내측 원형 기어부(753)도 시게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본체부(750)가 상승하여 가공 대상 부품(P)을 위로 올릴 수 있게 된다.
중앙 홈부(935)는 회전축부(7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긴축을 따라 중앙의 일부가 함몰될 수 있다.
중앙 홈부(935)는 회전축부(751)가 삽입되므로 중앙 홈부(935)가 아래로 내려가 있으면 회전축부(751)도 아래로 내려가고, 외측 원형 기어부(755)는 하부 라인 기어부(933)와 맞물리게 되고, 반대로 중앙 홈부(935)가 위로 올라가 있으면 회전축부(751)도 위로 올라가고, 외측 원형 기어부(755)는 상부 라인 기어부(931)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중앙 홈부(935)가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상태에 따라서 신장 또는 수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높이 조절부(937)는 중앙 홈부(935)의 윗면에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수 있다.
높이 조절부(937)는 중앙 홈부(935)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조정되므로 작업 라인의 상황에 따라 미리 설정함으로써, 작업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가공 대상 부품(P)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신축부의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시스템의 신축부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770)는 고정 중심부(771), 돌출 날개부(772), 고정 지지부(773), 탄성 날개부(774), 고정 탄성부(775), 고정 삽입부(776) 및 제동부(777)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770)는 본체부(750)가 조정부(900)를 지날 때에는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신장 또는 축소가 될 수 있도록 하고, 본체부(750)가 조정부(900)에 지나가기 전이거나 지나간 후이면 본체부(750)가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중심부(771)는 ‘十’자 형태이고, 가운데가 원형으로 뚫려 있는 형태이다.
돌출 날개부(772)는 고정 중심부(771)의 라인 기어부(93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본체부(750)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돌출 날개부(772)는 고정 중심부(771)의 ‘十’자 형태 중 하나의 돌출 부분으로 라인 기어부(93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본체부(750)에서도 돌출된다.
따라서, 본체부(750)가 라인 기어부(930)에 진입하게 되면 라인 기어부(930)의 윗부분에 의해 밀려서 뒤로 이동하면서 고정 중심부(771)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 후술하는 고정 삽입부(776)가 상부 내측 기어부(713) 및 하부 내측 기어부(733)로 빠져나오도록 하여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고정 지지부(773)는 돌출 날개부(772)의 반대측에 본체부(750)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 지지부(773)는 본체부(750)의 상부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위치가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으며, 후술하는 고정 탄성부(775)의 일측이 걸쳐지는 부분이다.
탄성 날개부(774)는 돌출 날개부(772)의 반대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탄성 날개부(774)는 고정 중심부(771)의 ‘十’자 형태 중 하나의 돌출 부분으로 돌출 날개부(772)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고정 탄성부(775)의 일측이 걸쳐져서 탄성 날개부(774)는 고정 탄성부(775)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지지부(77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후술하는 고정 삽입부(776)가 상부 내측 기어부(713) 및 하부 내측 기어부(733)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 탄성부(775)는 탄성 날개부(774)를 고정 지지부(773)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 탄성부(775)는 탄성 날개부(774) 및 고정 지지부(773)를 연결하여 서로가 가까워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고정 삽입부(776)는 고정 중심부(771)에서 상부 내측 기어부(713) 및 하부 내측 기어부(733)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 삽입부(776)는 고정 중심부(771)의 ‘十’자 형태 중에서 돌출된 부분으로 중간에 힌지가 있어 꺽어지는 형태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삽입부(776)는 돌출 날개부(772)가 라인 기어부(930)에 의해 뒤로 밀려나면 상부 내측 기어부(713) 및 하부 내측 기어부(733)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돌출 날개부(772)가 라인 기어부(930)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더 이상의 외력이 없으므로 고정 탄성부(775)가 탄성 날개부(774)를 고정 지지부(773)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서 고정 삽입부(776)는 상부 내측 기어부(713) 및 하부 내측 기어부(733)로 삽입된다.
제동부(777)는 고정 중심부(771)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제동부(777)는 본체부(750)의 상부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구성으로 돌출 날개부(772) 및 탄성 날개부(774)와 맞닿아서 돌출 날개부(772) 및 탄성 날개부(774)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제동을 걸 수 있다.
도장 시스템(10)에 사용되는 천정 이송 장치의 좌우 이동을 이용하여 도장 대상물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도장 대상물에 따라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송 과정에서 자동으로 높이가 조정되므로 사람에 의한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높이를 낮추어 놓을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도장 시스템
100: 라인부
300: 연결부
500: 하단 고리부
700: 신축부
900: 조정부

Claims (1)

  1. 페인트 분사 장치를 이용하여 금속재 외부면에 도장을 입히는 도장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 라인을 따라 연결 설치되며, 내측에 긴축을 따라 내부가 비어있으면서 아랫면 중심 부분이 뚫려 있는 통로부가 형성된 라인부;
    상기 통로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통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체결되는 S자 형상의 상단 고리부;
    두 개의 반원이 마주 보는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하단 고리부;
    상기 상단 고리부와 상기 하단 고리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하로 신축할 수 있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의 상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직사각형의 양쪽 끝이 반원으로 이어지고, 중심 부분은 연결축으로 이어지는 이동 중심부;
    상기 이동 중심부의 연결축에서 이어져서 돌출된 부분에 끼워져서 회전하는 바퀴부; 및
    상기 이동 중심부의 반원 부분을 연결하는 체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는,
    샤프트의 형태로 상부는 상기 상단 고리부와 연결되는 상부 걸이부 및 측면에 판형의 기어인 상부 내측 기어부를 구비하는 상부 연결부;
    샤프트의 형태로 하부는 상기 하단 고리부와 연결되는 하부 걸이부 및 측면에 판형의 기어인 하부 내측 기어부를 구비하는 하부 연결부;
    상기 상부 연결부, 상기 하부 연결부 및 조정부를 연결하는 본체부; 및
    상기 상부 연결부 및 상기 하부 연결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를 좌우로 관통하는 회전축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내측 기어부 및 상기 하부 내측 기어부와 맞물리며,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내측 원형 기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부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외측 원형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맞닿아서 상기 본체부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상기 본체부를 받쳐주는 라인 롤러부;
    상기 본체부의 타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외측 원형 기어부와 맞물리는 라인 기어부; 및
    상기 라인 롤러부 및 상기 라인 기어부와 상기 라인부를 연결하는 라인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라인 기어부는,
    상부 일측면으로 둘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하부에 판형 기어가 배치되는 상부 라인 기어부;
    하부 일측면으로 둘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상부에 판형 기어가 배치되는 하부 라인 기어부; 및
    상기 회전축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긴축을 따라 중앙의 일부가 함몰되는 중앙 홈부; 및
    상기 중앙 홈부의 윗면에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도장 시스템.
KR1020210031684A 2021-03-10 2021-03-10 도장 시스템 KR102236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684A KR102236407B1 (ko) 2021-03-10 2021-03-10 도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684A KR102236407B1 (ko) 2021-03-10 2021-03-10 도장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200 Division 2020-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407B1 true KR102236407B1 (ko) 2021-04-05

Family

ID=7546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684A KR102236407B1 (ko) 2021-03-10 2021-03-10 도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40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226U (ko) * 1987-12-26 1989-08-08 쌍미실업 주식회사 분업 봉제시스템의 재봉물 이송장치
JP3084299U (ja) * 2001-08-27 2002-03-08 メカテック有限会社 塗装装置
KR100897441B1 (ko) 2008-01-10 2009-05-14 주식회사남선알미늄 도장라인 전처리실의 형재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20140046300A (ko) * 2012-10-10 2014-04-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레일 이송 장치
KR101629777B1 (ko) 2015-08-31 2016-06-14 (주)대진피앤씨 도장설비용 천정 이송장치
KR200480974Y1 (ko) * 2014-10-27 2016-08-01 (주)한국나노텍 행거 자동 회전 장치
KR20190014425A (ko) * 2017-08-02 2019-02-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레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226U (ko) * 1987-12-26 1989-08-08 쌍미실업 주식회사 분업 봉제시스템의 재봉물 이송장치
JP3084299U (ja) * 2001-08-27 2002-03-08 メカテック有限会社 塗装装置
KR100897441B1 (ko) 2008-01-10 2009-05-14 주식회사남선알미늄 도장라인 전처리실의 형재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20140046300A (ko) * 2012-10-10 2014-04-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레일 이송 장치
KR200480974Y1 (ko) * 2014-10-27 2016-08-01 (주)한국나노텍 행거 자동 회전 장치
KR101629777B1 (ko) 2015-08-31 2016-06-14 (주)대진피앤씨 도장설비용 천정 이송장치
KR20190014425A (ko) * 2017-08-02 2019-02-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레일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407B1 (ko) 도장 시스템
KR200480974Y1 (ko) 행거 자동 회전 장치
CA2284391A1 (en) Improved method for preparing pre-coated aluminum-alloy components and components prepared thereby
EP3231562A1 (en) Automatic production system
EP3184179B1 (en) Plant for the horizontal painting of shaped doors
US8434728B2 (en) I-beam track with a separate attachment portion
KR101783674B1 (ko) 차륜 도장 라인의 휠 행거 수평수직 유지장치
JP2001038263A (ja) 塗装マスク装置
CN110813588A (zh) 用于喷涂工件的方法和设备
JPH11147686A (ja) 建物ユニット用吊り治具
JPH07137979A (ja) 吊り具
US6688820B2 (en) Cargo bed structure of truck
CN207254610U (zh) 滑移门工装组件
US10519009B2 (en) Portable lifting arm
JP2002233799A (ja) 塗装台
JP2018203441A5 (ko)
KR102063044B1 (ko) 헤밍 시스템
CN107023542A (zh) 挂钩结构
CN110404740A (zh) 工件涂装生产线中烘干工位用高温停止器
JP2955678B2 (ja) 粘性材の塗布方法
US3690611A (en) Hanger
JPS6225349Y2 (ko)
JPH0543901Y2 (ko)
JP2012066634A (ja) 成形天井材用接着剤塗布装置
KR101824151B1 (ko) 운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