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08Y1 - 적층식 포장 박스 - Google Patents

적층식 포장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08Y1
KR200480908Y1 KR2020140005279U KR20140005279U KR200480908Y1 KR 200480908 Y1 KR200480908 Y1 KR 200480908Y1 KR 2020140005279 U KR2020140005279 U KR 2020140005279U KR 20140005279 U KR20140005279 U KR 20140005279U KR 200480908 Y1 KR200480908 Y1 KR 2004809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plate
pallet
guide member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255U (ko
Inventor
김구환
Original Assignee
김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구환 filed Critical 김구환
Priority to KR2020140005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0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3Containers presenting a continuous stacking profile along the upper or lower edge of at least two opposit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에 포장할 대상물건을 안착 배치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로방향 단위프레임 및 세로방향 단위프레임이 상호 결합된 사각형태를 가지며, 상면 모서리부에는 기둥연결대가 수직하게 직립 형성된 팔레트, 팔레트의 상면 좌,우측 테두리 부분에 상호 대향되게 안착 배치되는 좌,우판, 팔레트의 상면 전,후측 테두리 부분에 상호 대향되게 안착 배치되는 전,후판, 일단이 기둥연결대에 연결 결합되며, 상호 맞닿는 좌,우판과 전,후판의 측면을 걸림상태로 지지하도록 'ㄱ' 단면형상을 가지는 기둥부재, 상호 맞닿는 좌,우판 과 전,후판의 상단 부분을 연결상태로 고정하도록 좌,우판 상단 테두리 부분에 각각 삽입되는 'n'단면형상의 메인앵글부와, 전,후판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각각 삽입되도록 메인앵글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n'단면형상의 연결앵글부로 구성된 상부가이드부재, 상부가이드부재의 외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연결 결합되는 'ㄱ'단면 형상을 가지는 상부고정브라켓, 팔레트와 좌,우판 및 상기 전,후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좌,우판 및 전,후판의 상부에 안착 배치되며, 저면 테두리 둘레로는 상부가이드부재의 외측과 상부고정브라켓 내측 사이에 삽입상태로 걸림되도록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단이 형성된 덮개판을 포함하며, 상부고정브라켓의 상단 테두리 높이는 상부가이드부재의 상단 테두리 높이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적층식 포장 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층식 포장 박스{Packing boxes for stacking}
본 고안은 적층식 포장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물품을 포장한 상태로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적층식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각종 부품이나 제품을 포장한 상태로 운송할 때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물건의 파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많은 양의 물건을 적재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박스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박스는 종이를 이용한 종이박스, 합성수지의 플라스틱 박스, 나무를 이용한 나무박스 등이 사용된다. 이때, 종이박스나 나무박스의 경우는 보온성과 쿠션은 양호하나 외부의 충격과 습기에 취약하며, 플라스틱박스도 외부로 부터의 충격을 어느 정도는 흡수할 수 있으나, 커다란 충격에는 파손되어 재활용이 어려운 결함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충격흡수가 뛰어나면서 재활용이 가능한 철재 박스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철재 박스는 철재 베이스판 부위에 전방철판 및 후방철판과 양측의 측면철판을 결합하여 박스형태로 만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철재 박스는 필요에 따라 각 판부를 결합하여 조립시 각 구성 철판의 접합부를 용접하거나 결합부를 볼트와 너트등으로 체결하는 과정을 거쳐 박스가 완성됨으로 인해, 박스의 조립이나 해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건의 운반을 완료한 후 빈 박스만을 회수시 부피를 줄이기 위한 해체과정에서 각 구성 철판의 접합부나 결합부가 파손되어 재활용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박스를 적층할 경우에는 안정적인 적층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박스는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8179호(1999.02.25)에 제시된다.
본 고안은, 조립 및 해체가 쉽고, 복수의 포장박스를 안정적으로 적층 가능하게 하는 적층식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부에 포장할 대상물건을 안착 배치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로방향 단위프레임 및 세로방향 단위프레임이 상호 결합된 사각형태를 가지며, 상면 모서리부에는 기둥연결대가 수직하게 직립 형성된 팔레트, 상기 팔레트의 상면 좌,우측 테두리 부분에 상호 대향되게 안착 배치되는 좌,우판, 상기 팔레트의 상면 전,후측 테두리 부분에 상호 대향되게 안착 배치되는 전,후판, 일단이 상기 기둥연결대에 연결 결합되며, 상호 맞닿는 상기 좌,우판과 상기 전,후판의 측면을 걸림상태로 지지하도록 'ㄱ' 단면형상을 가지는 기둥부재, 상호 맞닿는 상기 좌,우판 과 상기 전,후판의 상단 부분을 연결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좌,우판 상단 테두리 부분에 각각 삽입되는 'n'단면형상의 메인앵글부와, 상기 전,후판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메인앵글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n'단면형상의 연결앵글부로 구성된 상부가이드부재, 상기 상부가이드부재의 외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연결 결합되는 'ㄱ'단면 형상을 가지는 상부고정브라켓, 상기 팔레트와 상기 좌,우판 및 상기 전,후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좌,우판 및 상기 전,후판의 상부에 안착 배치되며, 저면 테두리 둘레로는 상기 상부가이드부재의 외측과 상기 상부고정브라켓 내측 사이에 삽입상태로 걸림되도록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단이 형성된 덮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고정브라켓의 상단 테두리 높이는 상기 상부가이드부재의 상단 테두리 높이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적층식 포장 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팔레트에 연결 결합되며,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기둥부재 상단에 연결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측면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연결대의 일측 및 상기 기둥부재의 하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기둥연결대와 상기 기둥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브라켓와 상기 상부가이드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덮개판의 절곡단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포장 박스는, 팔레트에 좌,우판 및 전,후판을 수직하게 배치한 후, 기둥부재와 상부가이드부재로 좌,우판 및 전,후판을 고정되게 하는 바, 조립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부가이드부재에는 상부고정브라켓이 상부로 돌출되게 연결 설치됨으로서, 다른 포장 박스를 적층 배치시 걸림상태로 안정적인 적층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포장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적층식 포장 박스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포장 박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적층식 포장 박스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식 포장 박스는, 팔레트(100), 좌,우판(200), 전,후판(300), 기둥부재(400), 상부가이드부재(500), 상부고정브라켓(600), 덮개판(70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팔레트(100)는 포장하고자 하는 대상물건을 얹은 상태에서 지지하는 바닥 부분 프레임이다. 더불어, 상기 팔레트(100)는 이후 설명될 좌,우판(200) 및 전,후판(300)을 직립상태로 연결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팔레트(100)는 사각형의 틀 구조를 가지도록 복수의 가로방향 단위프레임(101) 및 복수의 세로방향 단위프레임(102)이 상호 수직하게 연결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100)의 상부에는 평판구조의 밑판프레임(도면미도시)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밑판프레임은 상기 팔레트(100) 상부에 대상물건을 배치시, 상기 대상물건을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팔레트(100)는 지게차의 포크 부분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100)의 상면 모서리 테두리 부분에는 기둥연결대(110)를 수직하게 결합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둥연결대(110)는 이후 설명될 좌,우판(200) 및 전,후판(300)의 하단 모서리부분 외측을 각각 걸림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ㄱ'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기둥연결대(110)의 일측에는 이후 설명될 기둥부재(400)를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800)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체결공(1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팔레트(100)의 상면 테두리 부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연결대(110) 사이의 상기 팔레트(100)의 상면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전,후판(300)의 하단 중앙 부분을 안정적으로 걸림시킬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의 보조연결대(120)를 수직하게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연결대(120)에는 이후 설명될 측면가이드부재(900)의 일단을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800)로 결합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1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판(200)은 상기 팔레트(100)의 상부 좌측 및 우측에 상호 대향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좌측 벽 및 우측 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좌,우판(200)은 사각 형태의 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봉 형상 가로방향 단위프레임 및 복수의 봉 형상 세로방향 단위프레임을 상호 수직하게 연결 결합시킨 사각틀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좌,우판(200)은 상기 팔레트(100)의 상부 좌측 및 우측에 상호 대향된 상태로 수직하게 직립 배치되어, 좌측 벽 및 우측 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좌,우판(200)은 사각 형태의 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봉 형상 가로방향 단위프레임 및 복수의 봉 형상 세로방향 단위프레임을 상호 수직하게 연결 결합시킨 사각틀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후판(300)은 상기 팔레트(100)의 상부 전측 및 후측에 상호 대향된 상태로 수직하게 직립 배치되어, 전측 벽 및 후측 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전,후판(300)은 사각 형태의 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봉 형상 가로방향 단위프레임 및 복수의 봉 형상 세로방향 단위프레임을 상호 수직하게 연결 결합시킨 사각틀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기둥부재(400)는 상기 팔레트(100)의 상부에 수직하게 직립 배치된 상기 좌,우판(200) 및 상기 전,후판(300)의 상호 맞닿게 되는 측면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기둥부재(400)는 상기 좌,우판(200)의 양측 테두리부분 및 상기 전,후판(300)의 양측 테두리부분과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좌,우판(200) 및 상기 전,후판(300)을 걸림시킬 수 있도록 'ㄱ'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기둥부재(400)는 상기 좌,우판(200)의 양측 테두리부분 및 상기 전,후판(300)의 양측 테두리부분을 걸림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팔레트(100)의 상면 모서리부에 각각 결합 설치되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부재(400)의 하단을 각각 상기 팔레트(100)의 기둥연결대(110)에 고정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부재(400)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팔레트(100)의 기둥연결대(11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800)를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401)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401)은 상기 기둥부재(400)를 상기 팔레트(100) 상부에 직립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기둥연결대(110)에 형성된 체결공(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800)를 통해 상기 기둥부재(400)의 하단과 상기 기둥연결대(110)를 상호 연결상태로 고정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부재(500)는 상기 팔레트(100)의 상부에 수직하게 직립 배치된 상기 좌,우판(200) 및 상기 전,후판(300)의 상호 맞닿게 되는 상단 부분을 연결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이드부재(500)는 상기 좌,우판(200)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삽입되는 메인앵글부(510)와, 상기 메인앵글부(510)의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전,후판(300)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삽입되는 연결앵글부(52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앵글부(510)는 상기 좌,우판(200)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되도록 'n'단면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앵글부(520)는 상기 전,후판(300)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되도록 'n'단면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상부고정브라켓(600)은 상기 상부가이드부재(500) 외측면에 연결상태로 결합 설치되어, 다른 포장 박스(도면미도시)를 이후 설명될 상기 덮개판(700)의 상부에 적층 배치시,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포장 박스를 걸림상태로 유지시켜 안정적인 적층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상부고정브라켓(600)은 상기 상부가이드부재(500)의 외측 모서리 부분, 즉, 상기 상부가이드부재(500)의 메인연결부(510)와 연결앵글부(520)가 연결되는 부분에 각각 연결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고정브라켓(600)은 상기 상부가이드부재(500) 외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고정브라켓(600)의 하단은 상기 상부가이드부재(500) 외측면에 연결부(601)를 통해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고정브라켓(600)과 상기 상부가이드부재(500)의 상호 마주보는 면부 사이의 간격은 이후 설명될 덮개판(700)의 절곡단(710)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상부고정브라켓(600)은 상부에 적층되는 포장 박스의 팔레트 부분 모서리가 걸림되도록 'ㄱ'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고정브라켓(600)의 상단 테두리 높이는 상기 상부가이드부재(500)의 상단 테두리 높이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고정브라켓(600)은 상기 좌,우판(200) 및 상기 전,후판(300)의 상부에 상기 포장 박스를 적층시, 적층되는 상기 포장 박스의 하단을 안정적인 걸림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판(700)은 상기 팔레트(100)와 상기 좌,우판(200) 및 상기 전,후판(3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팔레트(100)의 상방에 대향된 상태로 상기 좌,우판(200) 및 상기 전,후판(300) 상부에 안착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덮개판(700)은 사각형의 평판으로 형성되며, 이때, 저면 테두리 둘레로는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단(710)이 형성된다.
더불어,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층식 포장박스에는, 상기 좌,우판(200) 및 상기 전,후판(300)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측면가이드부재(9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측면가이드부재(900)는 봉 형상 부재로서,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팔레트(1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기둥연결대(110)나 상기 보조연결대(12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800)를 통해 체결상태로 연결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가이드부재(9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기둥부재(400) 상단에 상기 체결부재(800)를 통해 체결상태로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가이드부재(900)는 상기 좌,우판(200) 및 상기 전,후판(300)을 안정적으로 보강 지지할 수 있도록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게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의 상기 적층식 포장 박스의 조립 작업을 설명하면, 상기 팔레트(100)의 상부 테두리 부분에 상기 좌,우판(200) 및 상기 전,후판(300)을 각각 수직하게 배치시킨다.
이후, 상기 기둥부재(400)가 상기 좌,우판(200) 및 상기 전,후판(300)을 걸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부재(400)의 하단을 상기 팔레트(100)의 기둥연결대(110)에 상기 체결부재(800)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부재(500)가 상기 좌,우판(200) 및 상기 전,후판(300)의 상단 테두리 부분을 연결시키도록 삽입 설치한다.
이렇게, 상기 팔레트(100) 상부에 상기 좌,우판(200) 및 상기 전,후판(300)을 수직하게 직립시켜 형성된 공간에 포장한 대상물건을 삽입 배치한 후, 상기 덮개판(700)으로 상부를 폐쇄시키면 된다.
반면, 대상물건을 포장한 다른 팔레트를 상부에 적층할 경우에는, 상부에 적층되는 팔레트의 하단 부분이 하부에 배치된 상기 상부고정브라켓(600)에 의해 걸림상태로 배치됨으로서, 안정적인 적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적층식 포장 박스는, 상기 팔레트(100)에 상기 좌,우판(200) 및 상기 전,후판(300)을 수직하게 배치한 후, 상기 기둥부재(400)와 상기 상부가이드부재(500)로 상기 좌,우판(200) 및 상기 전,후판(300)을 고정되게 하는 바, 조립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가이드부재(500)에는 상부고정브라켓(600)이 상부로 돌출되게 연결 설치됨으로서, 다른 포장 박스를 적층 배치시 걸림상태로 안정적인 적층을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팔레트 110: 기둥연결대
120: 보조연결대 200: 좌,우판
300: 전,후판 400: 기둥부재
500: 상부가이드부재 510: 메인앵글부
520: 연결앵글부 600: 상부고정브라켓
700: 덮개판 710: 절곡단
800: 체결부재 900: 측면가이드부재

Claims (4)

  1. 상부에 포장할 대상물건을 안착 배치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로방향 단위프레임 및 세로방향 단위프레임이 상호 결합된 사각형태를 가지며, 상면 모서리부에는 기둥연결대가 수직하게 직립 형성된 팔레트와;
    상기 팔레트의 상면 좌,우측 테두리 부분에 상호 대향되게 안착 배치되는 좌,우판과;
    상기 팔레트의 상면 전,후측 테두리 부분에 상호 대향되게 안착 배치되는 전,후판과;
    일단이 상기 기둥연결대에 연결 결합되며, 상호 맞닿는 상기 좌,우판과 상기 전,후판의 측면을 걸림상태로 지지하도록 'ㄱ' 단면형상을 가지는 기둥부재와;
    상호 맞닿는 상기 좌,우판 과 상기 전,후판의 상단 부분을 연결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좌,우판 상단 테두리 부분에 각각 삽입되는 'n'단면형상의 메인앵글부와, 상기 전,후판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메인앵글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n'단면형상의 연결앵글부로 구성된 상부가이드부재와;
    상기 상부가이드부재의 외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연결 결합되는 'ㄱ'단면 형상을 가지는 상부고정브라켓; 및,
    상기 팔레트와 상기 좌,우판 및 상기 전,후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좌,우판 및 상기 전,후판의 상부에 안착 배치되며, 저면 테두리 둘레로는 상기 상부가이드부재의 외측과 상기 상부고정브라켓 내측 사이에 삽입상태로 걸림되도록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단이 형성된 덮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고정브라켓의 상단 테두리 높이는 상기 상부가이드부재의 상단 테두리 높이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적층식 포장 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팔레트에 연결 결합되며,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기둥부재 상단에 연결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측면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는 적층식 포장 박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연결대의 일측 및 상기 기둥부재의 하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기둥연결대와 상기 기둥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적층식 포장 박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브라켓와 상기 상부가이드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덮개판의 절곡단 두께에 대응되는 적층식 포장 박스.
KR2020140005279U 2014-07-14 2014-07-14 적층식 포장 박스 KR2004809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79U KR200480908Y1 (ko) 2014-07-14 2014-07-14 적층식 포장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79U KR200480908Y1 (ko) 2014-07-14 2014-07-14 적층식 포장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55U KR20160000255U (ko) 2016-01-22
KR200480908Y1 true KR200480908Y1 (ko) 2016-07-20

Family

ID=5531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279U KR200480908Y1 (ko) 2014-07-14 2014-07-14 적층식 포장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0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854Y1 (ko) 2006-06-08 2006-08-25 금강기계공업(주) 철재 포장박스
KR100860330B1 (ko) 2007-05-10 2008-09-25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파렛트용 지지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8831B2 (ja) * 1998-02-02 2002-07-08 株式会社山口紙器工業所 組立式コンテナ
KR101465840B1 (ko) * 2012-10-22 2014-11-26 주식회사 우일팩 중량물 포장박스의 조립식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854Y1 (ko) 2006-06-08 2006-08-25 금강기계공업(주) 철재 포장박스
KR100860330B1 (ko) 2007-05-10 2008-09-25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파렛트용 지지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55U (ko)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6849B2 (ja) 液体の輸送用および貯蔵用容器のためのパレット状ベースフレーム
KR101440881B1 (ko) 종이 포장상자용 앵글
KR101672981B1 (ko) 운송용 포장박스
KR102150318B1 (ko) 골판지에 종이 보강대를 이용한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KR101115606B1 (ko) 팔레트의 강도 보강구조
KR101613010B1 (ko) 철재 박스
CN112424076A (zh) 一种形成用于洗涤机装置的装运支撑件的方法
KR200469485Y1 (ko) 골판지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KR200480908Y1 (ko) 적층식 포장 박스
KR102123551B1 (ko) 포장박스 조립체
KR200469751Y1 (ko) 적재용 파레트
KR200478977Y1 (ko) 적층식 포장 박스
KR200478978Y1 (ko) 적층식 포장 박스
KR101498783B1 (ko) 포장용 팰리트
JP6106422B2 (ja) 輸送用コンテナ
KR20150003896U (ko)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KR102248198B1 (ko) 적재용 조립식 종이박스
KR200421857Y1 (ko) 조립 밀폐형 박스
KR101631903B1 (ko) 물품포장용 파레트
KR20160000073U (ko)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KR102593174B1 (ko) 조립식 파레트의 적층 이탈 방지용 스토퍼 부재
KR102545936B1 (ko)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포장박스
KR20120000525U (ko) 화물운반용 조립식 철제상자
CN213832722U (zh) 一种木质包装箱
KR102241222B1 (ko) 조립식 파렛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