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073U -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 Google Patents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073U
KR20160000073U KR2020140004889U KR20140004889U KR20160000073U KR 20160000073 U KR20160000073 U KR 20160000073U KR 2020140004889 U KR2020140004889 U KR 2020140004889U KR 20140004889 U KR20140004889 U KR 20140004889U KR 20160000073 U KR20160000073 U KR 201600000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eel
support
corn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연
Original Assignee
박홍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연 filed Critical 박홍연
Priority to KR2020140004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073U/ko
Publication of KR20160000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재 팔레트의 상측에는 상하 개방형으로 되도록 사면의 박스판재를 조립하여서 된 박스체를 설치하고, 상기 박수체의 상측에 판재커버를 ?워 결합시키되, 상기 철재팔레트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앵글지지테의 모서리에는 모서리지지앵글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앵글지지테의 외면에서 모서리지지앵글과 모서리지지앵글과의 사이에는 한 쌍의 결속억류편이 내측을 향하여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외면지지판을 하나 이상 장착하며, 상기 모서리지지앵글과 외면지지판의 내측에는 한쌍씩의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을 사각형으로 조립하여 철골프레임을 형성하되 철재팔레트를 형성하는 상판의 모서리와 가장자리에는 결속홈을 형성하고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밑면에서 양단과 양단 사이에는 결속돌기를 형성하여 각 결속돌기가 결속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을 조립하며, 상기 철골프레임의 내부에는 박스체를 삽입하여 설치하며, 상기 박스체를 형성하는 사면의 각 박스판재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젖혀지는 하나 이상의 지지편을 각각 형성하여 박스체의 상측에 씌워지는 판재박스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을 지지하도록 하도록 된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이다.
본 고안은, 철재팔레트와 박스체 및 철골프레임과 판재뚜껑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분해 조립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중량을 가볍게 하여 운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보관시에는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적재공간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다량을 보관할 수 있으며, 철재팔레트의 전후좌우면 가장자리와 모서리에 장착된 외면지지판과 모서리지지앵글에 의해 지지력과 결속력을 강화시켜 한쌍씩의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으로 되는 철골프레임을 설치하되 철재팔레트를 형성하는 상판의 모서리와 가장자리에는 결속홈을 형성하고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밑면에서 양단과 양단 사이에는 결속돌기를 형성하여 각 결속돌기가 결속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지지력과 조립강도를 간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철골프레임의 내부에는 박스체를 삽입하여 설치하여 박스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An Assembly Type Cargo Box}
본 고안은 각종 화물을 수납 포장하여 운반할 때에 사용되는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철재 팔레트의 상측에는 상하 개방형으로 되도록 사면의 박스판재를 조립하여서 된 박스체를 설치하고, 상기 박수체의 상측에 판재커버를 ?워 결합시키되, 상기 철재팔레트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앵글지지테의 모서리에는 모서리지지앵글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앵글지지테의 외면에서 모서리지지앵글과 모서리지지앵글과의 사이에는 한 쌍의 결속억류편이 내측을 향하여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외면지지판을 하나 이상 장착하며, 상기 모서리지지앵글과 외면지지판의 내측에는 한쌍씩의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을 사각형으로 조립하여 철골프레임을 형성하되 철재팔레트를 형성하는 상판의 모서리와 가장자리에는 결속홈을 형성하고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밑면에서 양단과 양단 사이에는 결속돌기를 형성하여 각 결속돌기가 결속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을 조립하며, 상기 철골프레임의 내부에는 박스체를 삽입하여 설치하며, 상기 박스체를 형성하는 사면의 각 박스판재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젖혀지는 하나 이상의 지지편을 각각 형성하여 박스체의 상측에 씌워지는 판재박스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을 지지하도록 하도록 된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과 유사한 종래의 운반용 상자로서는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6-34436호 " 포장 및 운반용 상자" 가 알려져 있다.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6-34436호 " 포장 및 운반용 상자"는, 고정목과 하부고정판이 저면에 고정된 고정판의 가장자리 4면에는 지지앵글을 고정시키되, 지지앵글의 상측에는 측면부재를 세워(고정) 상자를 형성하고, 각 측면부재의 상측에는 상단프레임을 씌어주되 인접하는 상단프레임 중에서 일측 상단프레임의 단부에는 측면프레임을 덧붙여 (고정시켜) 타측 측면프레임의 일측을 삽입하며, 각 상단프레임의 인접하는 모서리에는 절곡형으로 된 모서리연결부재를 결합시켜 상단프레임을 서로 고정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상자를 결합시켜 주기 위해서는 측면프레임마다 별도의 상단프레임을 각각 제작하여야 하므로 부품 수가 많아져 제작비용이 많이 소용되는 문제가 있고, 상단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측면프레임을 고정시켜야만 측면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측면프레임이 구비된 상단프레임을 상자마다 4개씩 구비하여야하므로 부품이 많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립도 용이하게 실시하 룻 없어 생산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상단프레임과 측면프레임 및 모서리연결부재가 함석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 되어 있으므로 틀리거나 일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상자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없었다.
특히 종래의 포장 및 운반용 상자는, 받침판의 상면 가장자리에 지지앵글이 단순하게 고정되어 있어, 이 지지앵글의 내측으로 전면판과 배면판 및 한 쌍의 측면판을 구비하여 조립시킬 때에 이들을 지지해주는 장치(기능)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면판과 배면판 및 측면판이 외측으로 넘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고, 따라서 이들을 받쳐 지지하면서 조립시키기 위해서는 4명의 작업자를 각 모서리에 위치하여 조립(결합)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작업성이 능률이 낮아 생산성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종래의 조립식목재상자는, 지지목 위에 설치되는 화물받침판의 외면이 지지목의 외면과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고, 화물받침판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지지앵글이 고정되어 있으며, 지지앵글의 내측에 구비되어 조립되는 전면판과 배면판 및 한 쌍의 측면판의 상단에는 상단캡이 각각 씌워져 있으며, 각 전면판과 배면판 및 한 쌍의 측면판에서 일측 단부에는 모서리결속지주가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조립식목재상자를 조립하고자 할 때에는, 전면판의 모서리결속지주에는 인접하는 측면판의 일측 단부를 결합시키고, 일 측면판의 모서리결속지주에는 배면판의 일측 단부를 결합시키며, 배면판의 모서리결속지주에는 타측 측면판의 단부를 결합시키며, 다른 측면판의 모서리결속지주에는 전면판의 일측 단부를 결합시켜 줌으로써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조립되는 종래의 조립식목재상자는, 화물받침판의 상면 가장자리에 지지앵글이 단순하게 고정되어 있어, 이 지지앵글의 내측으로 전면판과 배면판 및 한 쌍의 측면판을 구비하여 조립시킬 때에 이들을 지지해주는 장치(기능)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면판과 배면판 및 측면판이 외측으로 넘어지게 되고, 이들을 받쳐 지지하면서 조립시키기 위해서는 4명의 작업자를 각 모서리에 배치하여 조립(결합)시켜야 하며, 따라서 작업성(능률)이 낮아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0-429025호 "화물운반용 조립식 목재상자"를 제안하였다.
이는 화물받침판의 외면과 L형앵글의 수직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되는 전면판과 배면판 및 측면판의 하단이 화물받침판의 외면과 L형앵글의 수직대에 의해 지지 되어 이들이 외측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전면판과 배면판의 양단에 설치된 모서리결속지주에 측면판을 각각 결합시키거나 또는 각 측면판의 양단에 설치된 모서리결속지주에 전면판과 배면판을 각각 결합시키며, 전면판과 배면판의 상면 양단에 설치된 클립에 의해 측면판의 상면 단부를 억류시켜줌으로써 2인의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조립식 목재상자들의 가장 큰 단점은 화물받침판이 목재로 되어 있다는 것으로서, 화물을 장시간에 걸쳐 운반하거나 보관하게 되면 습기나 수분이 목재로 된 화물받침판으로 침투하게 되고, 습기나 수분이 목재로 된 화물받침판으로 침투하게 되면 화물받침판이 부패하거나 비틀림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결속력과 지지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며, 목재로 된 화물받침판의 부패가 포장지와 화물 및 상품에까지 침투하여 상품의 가치와 신뢰성을 떨어뜨린다.
특히 조립식 목재상자는 한번 사용한 후에는 목재를 재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거의 대부분 폐기 처리해야 하고, 따라서 폐기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폐단이 있다.
또한 팔레트와 포장운반상자가 철제로 형성된 것으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107426호의 운반회수용 철제팔레트와 실용신안등록 제20-214418호의 컨테이너용 포장 운반상자가 알려져 있다.
이들 종래의 철제 운반상자들은, 전후좌우의 면판을 모서리에 설치되는 앵글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하고 상단 모서리를 그립 또는 절첩판으로 고정시키므로 조립된 면판(전후좌우의 면판)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없고 조립도 용이치 못하며,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상자체가 단순히 철판을 이용하여 육면체의 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량인해 용이하게 다룰 수 없고 화물운송비용을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폐단도 있다.
본 고안은 각종 화물을 수납 포장하여 운반할 때에 사용되는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철재 팔레트의 상측에는 상하 개방형으로 되도록 사면의 박스판재를 조립하여서 된 박스체를 설치하고, 상기 박수체의 상측에 판재커버를 ?워 결합시키되, 상기 철재팔레트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앵글지지테의 모서리에는 모서리지지앵글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앵글지지테의 외면에서 모서리지지앵글과 모서리지지앵글과의 사이에는 한 쌍의 결속억류편이 내측을 향하여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외면지지판을 하나 이상 장착하며, 상기 모서리지지앵글과 외면지지판의 내측에는 한쌍씩의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을 사각형으로 조립하여 철골프레임을 형성하되 철재팔레트를 형성하는 상판의 모서리와 가장자리에는 결속홈을 형성하고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밑면에서 양단과 양단 사이에는 결속돌기를 형성하여 각 결속돌기가 결속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을 조립하며, 상기 철골프레임의 내부에는 박스체를 삽입하여 설치하며, 상기 박스체를 형성하는 사면의 각 박스판재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젖혀지는 하나 이상의 지지편을 각각 형성하여 박스체의 상측에 씌워지는 판재박스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을 지지하도록 하도록 된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철재팔레트와 박스체 및 철골프레임과 판재뚜껑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분해 조립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중량을 가볍게 하여 운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보관시에는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적재공간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다량을 보관할 수 있으며, 철재팔레트의 전후좌우면 가장자리와 모서리에 장착된 외면지지판과 모서리지지앵글에 의해 지지력과 결속력을 강화시켜 한쌍씩의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으로 되는 철골프레임을 설치하되 철재팔레트를 형성하는 상판의 모서리와 가장자리에는 결속홈을 형성하고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밑면에서 양단과 양단 사이에는 결속돌기를 형성하여 각 결속돌기가 결속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지지력과 조립강도를 간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철골프레임의 내부에는 박스체를 삽입하여 설치하여 박스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된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철재 팔레트의 상측에는 상하 개방형으로 되도록 사면의 박스판재를 조립하여서 된 박스체를 설치하고, 상기 박수체의 상측에 판재커버를 ?워 결합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철재팔레트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앵글지지테의 모서리에는 모서리지지앵글을 각각 설치한 것과;
상기 앵글지지테의 외면에서 모서리지지앵글과 모서리지지앵글과의 사이에는 한 쌍의 결속억류편이 내측을 향하여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외면지지판을 하나 이상 장착한 것과;
상기 모서리지지앵글과 외면지지판의 내측에는 한쌍씩의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을 사각형으로 조립하여 철골프레임을 형성하되, 철재팔레트를 형성하는 상판의 모서리와 가장자리에는 결속홈을 형성하고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밑면에서 양단과 양단 사이에는 결속돌기를 형성하여 각 결속돌기가 결속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을 조립한 것과;
상기 철골프레임의 내부에는 박스체를 삽입하여 설치한 것과;
상기 박스체를 형성하는 사면의 각 박스판재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젖혀지는 하나 이상의 지지편을 각각 형성하여 박스체의 상측에 씌워지는 판재박스의 전후좌우 외면을 지지하도록 하도록 된 것을 특징을 하는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1)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는,
철재 팔레트의 상측에는 상하 개방형으로 되도록 사면의 박스판재를 조립하여서 된 박스체를 설치하고, 상기 박수체의 상측에 판재커버를 ?워 결합시키되, 상기 철재팔레트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앵글지지테의 모서리에는 모서리지지앵글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앵글지지테의 외면에서 모서리지지앵글과 모서리지지앵글과의 사이에는 한 쌍의 결속억류편이 내측을 향하여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외면지지판을 하나 이상 장착하며, 상기 모서리지지앵글과 외면지지판의 내측에는 한쌍씩의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을 사각형으로 조립하여 철골프레임을 형성하되 철재팔레트를 형성하는 상판의 모서리와 가장자리에는 결속홈을 형성하고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밑면에서 양단과 양단 사이에는 결속돌기를 형성하여 각 결속돌기가 결속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을 조립하며, 상기 철골프레임의 내부에는 박스체를 삽입하여 설치하며, 상기 박스체를 형성하는 사면의 각 박스판재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젖혀지는 하나 이상의 지지편을 각각 형성하여 박스체의 상측에 씌워지는 판재박스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을 지지하도록 하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은, 철재팔레트와 박스체 및 철골프레임과 판재뚜껑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분해 조립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중량을 가볍게 하여 운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보관시에는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적재공간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다량을 보관할 수 있으며, 철재팔레트의 전후좌우면 가장자리와 모서리에 장착된 외면지지판과 모서리지지앵글에 의해 지지력과 결속력을 강화시켜 한쌍씩의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으로 되는 철골프레임을 설치하되 철재팔레트를 형성하는 상판의 모서리와 가장자리에는 결속홈을 형성하고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밑면에서 양단과 양단 사이에는 결속돌기를 형성하여 각 결속돌기가 결속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지지력과 조립강도를 간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철골프레임의 내부에는 박스체를 삽입하여 설치하여 박스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에서 철재팔레트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에서 철재팔레트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전후면지지판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에서 철재팔레트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모서리지지앵글의 설치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에서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하단프레임을 결속억류편에 의해 결속시킨 상태를 보인 각기 다른 실시 예의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에서 철재팔레트의 밑면 모서리에 모서리보조받침판을 고정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에서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철재팔레트(10)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서 철재팔레트(10)의 전후면과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전후면지지판(16)과 모서리지지앵글(18)의 설치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서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의 하단프레임(22)(42)을 결속억류편(17)에 의해 결속시킨 상태의 각기 다른 실시 예의 예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서 철재팔레트(10)의 밑면 모서리에 모서리보조받침판(15-1)을 고정 설치한 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서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1)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1)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철재팔레트(10)와, 상기 철재팔레트(10)의 상측에 조립되는 한쌍씩의 전후면철골프레임(20) 및 측면철골프레임(40)과, 조립되는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의 내측에 조립 설치되는 박스체(50), 상기 박스체(50)의 상측에 씌워지는 판재커버(60)로 크게 분리하여 형성하였다.
철재팔레트(10)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팔레트상측프레임(12)과 팔레트하측프레임(13)과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중간지지바(14)를 횡 또는 종으로 설치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보편적으로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철재팔레트와 동일한 것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철재팔레트(10)에서 상판(11)의 모서리에는 절곡형으로 된 모서리지지앵글(18)을 각각 접착(용접)하고, 상기 모서리지지앵글(18)과 모서리지지앵글(18)과의 사이에는 지지판(16)을 일체형으로 접착(용접에 의해)하여 형성하여 차후에 설명되는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을 견실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철재팔레트에서 전면과 배면에는 전후면지지판(16-1)을 접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였고,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측면지지판(16-2)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였다.
특히 상기 전후면지지판(16-1)에는 한쌍으로 된 결속억류편(17)을 좌우 이격시켜 복수로 형성하고 측면지지판(16-2)에는 하나의 결속억류편(17)을 단독으로 형성하였다.
각 결속억류편(17)은 도 1 내지 도 5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로 유지되는 한쌍씩의 결속억류편(17)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결속억류편(17)의 하단과 평판(11)과의 사이에는 전후면철골프레임(20) 또는 측면철골프레임(40)의 하단철골(22)(42)을 끼워 억류시키고, 결속억류편(17)와 결속억류편(17)와의 사이에는 차후에 설명되는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의 중간지지바철골(24)(44)을 끼워 억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철재팔레트(10)에서 상판(11)의 모서리에는 도 1과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결속홈(19)을 형성하였고, 상기 모서리결속홈(19)과 모서리결속홈(19)과의 사이에서 상판(11)의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중간결속홈(19-1)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각 모서리결속홈(19)과 인접하는 부분에는 모서리인접결속홈(19-2)을 각각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상판(11)의 모서리와 모서리부분 및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모서리결속홈(19)과 중간결속홈(19-1) 및 모서리인접결속홈(19-2)에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의 하단에 형성된 결속돌기 즉, 전후면철골프레임(20)의 모서리결속돌편(24)와 중간결속돌편(25) 그리고 측면철골프레임(40)의 모서리결속돌편(44)와 중간결속돌편(45)을 삽탈하여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을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철재팔레트(10)의 상측에 조립되는 한쌍씩의 전후면철골프레임(20)은, 도 1과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상하로 이격된 상단철골(21)과 하단철골(22)과의 사이에 철골바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고정시키되, 좌우 양단에는 측면철골바(23)를 고정시켰고, 이들 측면철골바(23)와 측면철골바(23)와의 사이에는 복수의 중간지지바철골(24)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시켰다.
상기 측면철골바(23)와 중간지지바철골(24)의 외측에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중간지지바(25)을 횡으로 유지시켜 일체형으로 고정시키되 전후면철골프레임(20)의 높이에서 1/2이하의 높이(하측부분)에 형성하거나,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간지지바(25)을 교차시켜 일체형으로 고정시켰다.
상기 하단철골(22)의 밑면에서 양단에는 모서리결속돌편(25)을 형성하였고, 상기 모서리결속돌편(25)과 모서리결속돌편(25)과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중간결속돌편(26)을 형성하였다.
상기 상단철골(21)의 양단에는 결속클립(30)을 축(35)으로 굴대시켜 결속클립(30)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차후에 설명되는 측면철골프레임(40)의 상단 모서리를 억류 또는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철재팔레트(10)의 상측에 조립되는 한쌍씩의 측면철골프레임(40)은, 도 1과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상하로 이격된 상단철골(41)과 하단철골(42)과의 사이에 철골바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고정시키되, 좌우 양단에는 측면철골바(43)를 고정시켰고, 이들 측면철골바(43)와 측면철골바(43)와의 사이에는 중간지지바철골(44-1)를 고정시켰으며, 상기 각 측면철골바(43)의 외면 중간에는 하나 이상의 억류지지편(48)을 내향으로 형성하여 전술한 전후면철골프레임(20)의 측면철골(23)의 외면을 억류하여 지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측면철골바(43)와 중간지지바철골(44)의 외측에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중간지지바(45)을 횡으로 유지시켜 일체형으로 고정시키되 측면철골프레임(40)의 높이에서 1/2이하의 높이(하측부분)에 형성하거나,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간지지바(45)을 교차시켜 일체형으로 고정시켰다.
상기 하단철골(42)의 밑면에서 양단에는 모서리결속돌편(45)을 형성하였고, 상기 모서리결속돌편(45)과 모서리결속돌편(45)과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중간결속돌편(46)을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철재팔레트(10)의 상측에서 조립 설치되는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의 내측에는 상하측으로 개방된 박스체(50)를 결합하여 설치하였다.
상기 박스체(50)는 지류 또는 합성수지판재를 다중으로 형성한 다중골판지를 이용하여 박스판재(51)를 형성하였으며, 이와 같이 박스체(50)의 박스판재(51)를 다중골판지로 형성하게 되면 강도와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내부에 내장되는 물품(상품)도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온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박스체(50)의 전면과 배면 및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박스판재(51)의 상단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편(55)을 형성하였는데, 상기 각 지지편(55)은 박스판재(51)의 상단에 한쌍의 절개선(56)을 이격시켜 수직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각각 절개하여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각 지지편(55)을 외측으로 절곡(확개)시켜 차후에 설명되는 판재커버(60)의 측면을 억류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박스체(50)의 상측에 결합되는 판재커버(60)는 지류 또는 합성수지판재를 다중으로 형성한 다중골판지를 이용하여 형성하였으며, 판재커버(60)의 외측면(전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이 박스체(50)를 형성하는 박스판재(51)와 지지편(55)과의 사이에 결합되어 억류지지되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1)의 조립 설치 및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1)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철재팔레트(10)에서 상판(11)의 사면 가장자리에는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을 조립하여 설치한다.
상기 전후면철골프레임(20)의 밑면에 형성된 모서리결속돌편(15)과 중간결속돌편(26)을 철재팔레트(10)의 상판(11)에 형성된 모서리결속홈(19)과 중간결속홈(19-1)에 삽입하여 상판(11)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전후면철골프레임(20)을 각각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상판(11)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전후면철골프레임(20)을 세워 설치하게 되면 도 5a 내지 도 5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철골프레임(20)을 형성하는 하단철골(22)을 결속억류편(17)의 하단과 평판(11)과의 사이에 결합시키고, 결속억류편(17)와 결속억류편(17)와의 사이에는 중간지지바철골(24)을 결합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상판(11)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된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의 사이에서 상판(11)의 양측 단부에는 측면철골프레임(40)을 끼워 각각 조립하여 설치하되, 측면철골프레임(40)의 밑면에 형성된 모서리결속돌편(45)과 중간결속돌편(46)을 철재팔레트(10)의 상판(11)에서 양측 단부에 형성된 모서리인접결속홈(19-2)과 중간결속홈(19-1)에 삽입하여 상판(11)의 좌우 양측에 전후면철골프레임(20)을 각각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상판(11)의 좌우 양측에 전후면철골프레임(20)을 각각 설치하게 되면 측면지지판(16-2)에 형성된 결속억류편(17)의 하단과 평판(11)과의 사이에는 측면철골프레임(40)의 하단철골(42)을 끼워져 억류시키고, 결속억류편(17)와 결속억류편(17)와의 사이에는 차후에 설명되는 측면철골프레임(40)의 중간지지바철골(44)을 끼워 억류시킨다.
상기와 같이 철재팔레트(10)의 상판(11)에서 전단부와 후단부 및 좌우 양측단부에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을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전후면철골프레임(20)의 상면 양단에 굴대 설치된 있는 결속클립(30)을 하향시켜 측면철골프레임(40)의 상단 모서리부분에 결합(삽입)하여 억류시켜 줌으로써,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의 조립(결속)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철재팔레트(10)의 상판(11)에서 전단부와 후단부 및 좌우 양측단부에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을 세워 설치하게 되면 인접하는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의 측면철골바(23)(43)의 하단이 모서리지지앵글(18)에 의해 맏쳐 지지되므로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은 더욱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철재팔레트(10)를 형성하는 상판(11)의 가장자리에서 전후면지지판(16-1)과 측면지지판(16-2) 및 모서리지지앵글(18)에 의해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의 조립 설치한 상태에서, 다중골판지와 같은 박스판재(51)를 이용하여 상하가 개방되도록 이미 사각형으로 조립되어 있는 박스체(50)를 조립되어 있는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의 내부에 조립시킨 박스체(50)에서 박스판재(51)의 상측에는 판재커버(60)를 씌워 결합시켜 주는데, 판재커버(60)의 외측면(전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이 박스체(50)를 형성하는 박스판재(51)와 지지편(55)과의 사이에 결합되어 억류 지지됨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1)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특히, 전후면철골프레임(20)과 측면철골프레임(40)의 내측에 삽입 안치되는 박스체(50)는 박스판재(51)가 지류 또는 합성수지판재로 된 다중골판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박스체(50)의 강도와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박스체(50)의 내부에 내장되는 물품(상품)은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박스박스판재(51)가 다중골판지(지류 또는 합성수지판재)가 충격을 흡수하여 내장된 물품(상품)을 온전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10: 철재팔레트
16: 지지판 17: 결속억류편
19: 모서리결속홈 19-1: 중앙결속홈
19-2: 모서리인접결속홈 20: 전후면철골프레임
21. 41: 상단철골 22. 42: 하단철골
23. 43: 측면철골 24. 34: 중간지지철골
25. 45: 모서리결속돌기 26. 46: 중간결속돌기
27. 47: 중간지지바 30: 결속클립
40: 측면철골프레임 48: 억류지지편
50: 박스체 51: 박스판재
60: 판재커버

Claims (6)

  1. 철재 팔레트의 상측에는 상하 개방형으로 되도록 사면의 박스판재를 조립하여서 된 박스체를 설치하고, 상기 박수체의 상측에 판재커버를 ?워 결합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철재팔레트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앵글지지테의 모서리에는 모서리지지앵글을 각각 고정 설치한 것과;
    상기 앵글지지테의 외면에서 모서리지지앵글과 모서리지지앵글과의 사이에는 한 쌍의 결속억류편이 내측을 향하여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외면지지판을 하나 이상 장착한 것과;
    상기 모서리지지앵글과 외면지지판의 내측에는 한쌍씩의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을 사각형으로 조립하여 철골프레임을 형성하되, 철재팔레트를 형성하는 상판의 모서리와 가장자리에는 결속홈을 형성하고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밑면에서 양단과 양단 사이에는 결속돌기를 형성하여 각 결속돌기가 결속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을 조립한 것과;
    상기 철골프레임의 내부에는 박스체를 삽입하여 설치한 것과;
    상기 박스체를 형성하는 사면의 각 박스판재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젖혀지는 하나 이상의 지지편을 각각 형성하여 박스체의 상측에 씌워지는 판재박스의 전후좌우 외면을 지지하도록 하도록 된 것;을 특징을 하는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철재팔레트를 형성하는 상판의 모서리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속홈은;
    상기 상판의 모서리에는 모서리결속홈을 형성한 것과;
    상기 모서리결속홈과 모서리결속홈과의 사이에는 중간결속홈을 하나 이상형성한 것과;
    상기 각 모서리결속홈과 인접하는 부분에는 모서리인접결속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은;
    하단철골의 밑면에서 양측 단부에는 모서리결속돌편을 형성한 것과;
    상기 하단철골의 밑면에서 모서리결속돌편과 모서리결속돌편과의 사이에는 중간결속돌편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은;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외면에 하나 이상의 중간지지바를 수평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은;
    전후면철골프레임과 측면철골프레임의 외면에 중간지지바를 교차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박스체를 형성하는 박스판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편은;
    상기 박스판재의 상단에 한쌍의 절개선을 이격시켜 수직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절개하여 절개선과 절개선과의 사이에 지지편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을 하는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KR2020140004889U 2014-06-30 2014-06-30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KR201600000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89U KR20160000073U (ko) 2014-06-30 2014-06-30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89U KR20160000073U (ko) 2014-06-30 2014-06-30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73U true KR20160000073U (ko) 2016-01-07

Family

ID=5517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889U KR20160000073U (ko) 2014-06-30 2014-06-30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07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64Y1 (ko) * 2018-05-10 2019-11-04 박홍연 스태커크레인 운반에 적합하며 조립성이 우수한 화물용 운반상자
KR20210017036A (ko) * 2019-08-06 2021-02-17 주식회사 파세로 적재용 조립식 종이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64Y1 (ko) * 2018-05-10 2019-11-04 박홍연 스태커크레인 운반에 적합하며 조립성이 우수한 화물용 운반상자
KR20210017036A (ko) * 2019-08-06 2021-02-17 주식회사 파세로 적재용 조립식 종이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1222B2 (en) Enhanced structure for packing, transportation and display of diverse products
JP6416395B2 (ja) 運搬用組立箱
US20110011312A1 (en) Pallet for containing and transporting objects
KR20160000073U (ko)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KR20210007772A (ko) 친환경 노테이핑 택배포장박스
KR20180070855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접이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KR20150003896U (ko)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KR101498783B1 (ko) 포장용 팰리트
KR20150004354U (ko)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KR102248198B1 (ko) 적재용 조립식 종이박스
KR20120000525U (ko) 화물운반용 조립식 철제상자
KR200468026Y1 (ko) 모서리가 보강된 트레이 박스
KR100801163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조립식 종이 컨테이너 박스
KR200461020Y1 (ko) 화물운반용 조립식 상자
KR101394633B1 (ko) 삼단 포장 상자
CN109720686B (zh) 陶瓷茶具包装盒及其制作方法
KR200465697Y1 (ko) 완충 포장상자
KR101631903B1 (ko) 물품포장용 파레트
RU2483994C1 (ru) Ящик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пак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варианты) и поддон для этого ящика
WO2017078514A1 (en) A reinforced corner carton
KR101270842B1 (ko) 포장용 상자
KR20120007250U (ko)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JP2005239168A (ja) 梱包容器
CN109843733B (zh) 加固纸板箱
KR20130004462U (ko) 중량물 포장박스의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