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551B1 - 포장박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551B1
KR102123551B1 KR1020200020440A KR20200020440A KR102123551B1 KR 102123551 B1 KR102123551 B1 KR 102123551B1 KR 1020200020440 A KR1020200020440 A KR 1020200020440A KR 20200020440 A KR20200020440 A KR 20200020440A KR 102123551 B1 KR102123551 B1 KR 102123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llet
support
reinforcement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환
Original Assignee
장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환 filed Critical 장정환
Priority to KR1020200020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98Overall construction reinforcements
    • B65D2519/00432Non-integral, e.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71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corner posts to the pallet
    • B65D2519/00676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3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 B65D2519/0095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stackable
    • B65D2519/0096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stackable when loaded
    • B65D2519/0097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stackable when loaded through corne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하 이격된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를 구비하는 팔렛트부(10): 팔렛트부(10)의 직립된 벽판(21)이 연장되어 물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박스부(20); 박스부(20)의 내측에서 직립되는 복 수의 지지봉(30); 지지봉(30)의 하단이 끼움식으로 체결되도록 팔렛트부(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지지봉(30)의 하단 및 벽판(21)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보강부(42); 및 지지봉(30)의 상단에 끼움식으로 체결되어 벽판(21)의 상단 및 외면을 지지하는 상부 보강부(41);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박스 조립체{PACKING BOX ASSEMBLY}
본 발명은 포장박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물 포장 자재의 압축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포장박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이다.
일반적으로, 수출용 화물 또는 국내 운송용 화물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포장 박스는 종이, 목재, 플라스틱,금속 재질로 제작 가능하나, 이중 화물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골판지와 같은 종이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종이재질의 포장박스는 골판지를 이용하여 사각형 또는 원형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포크레인의 선단에서 돌출되는 포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목재 또는 금속 재질의 팔렛트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트럭과 같은 대형 운송 장치에 포장박스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종이 박스 본체를 지지하는 팔렛트에 지게차의 포크가 인입되어 트럭이나 또는 기차 위치로 적재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장박스는 팔레트와 종이 박스 본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다단으로 적층시에 하측에 위치된 포장박스가 적층된 타 포장박스의 중량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위와 같이 적층시 중량에 의한 포장박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박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나의 박스를 하나의 팔레트로 지지한 뒤에 트럭에 하나씩 적재하거나, 또는 중량이 가벼운 다수개의 박스를 하나의 팔렛트 상면에 적층시켜 트럭에 적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예를 들면, 해외 수출시 컨테이너에는 3단 이상으로 적재가 필요하며, 4단 적재시 1단의 박스(예를 들면, CARTON BOX)가 총 3톤이상의 힘을 버텨내야한다. 하지만 종래의 박스는 자체의 압축강도로 3톤이상을 버텨 낼 수 없기에 적층되는 높이를 조절하거나, 박스내에 별도의 지지 기둥을 설치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박스 내에서 지지 기둥을 설치할 경우에 직립된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워 결국에는 기울어진 상태로 변형됨에 따라 압축강도를 보강하는 것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2981호(2016.10.3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물 포장박스를 다단 적층시에 하단의 포장박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압축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포장박스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팔렛트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비용 절감이 가능한 포장박스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하 이격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팔렛트부와, 팔렛트부에 대해 직립된 벽판이 연장되어 물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박스부와, 박스부의 내측에서 직립되는 복수의 지지봉과, 지지봉의 하단이 끼움식으로 체결되도록 팔렛트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지지봉의 하단 및 벽판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보강부와, 팔렛트부의 상면에 놓여진 하부판의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어 하부 보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지지봉의 상단에 끼움식으로 체결되어 벽판의 상단 및 외면을 지지하는 상부 보강부를 포함하고, 하부 보강부는 팔렛트부의 상면에 놓여지도록 수평면을 이루는 하부판과, 지지봉의 하단이 인입되도록 하부판에 관통형성되는 인입구 및 하부판의 제1 내지 제4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향 연장되어 벽판의 하단 외면에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외판을 포함하고, 고정부는 팔렛트부의 상면으로 삽입되는 고정핀 및 인입구를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핀에서 상향 연장되고 지지봉이 나사 체결되도록 외면에서 나사선이 형성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중량물을 보관 및 이송하는 포장박스들이 다단으로 적층될 시에 하단에 위치된 포장박스들의 압축 강도를 보강할 수 있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판의 압축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일체형 팔렛트를 제공함에 따라 재 사용이 가능하여 포장박스의 운반시에 팔렛트의 신규 제작 또는 구매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박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지지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부 보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부 보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하부 보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하부 보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적층된 포장 박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충격완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충격완충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박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박스부(20)와, 박스부(20)를 지지하는 팔렛트부(10)와, 박스부(20) 내측에서 직립되는 지지봉(30)과, 지지봉(30)의 상단과 하단에서 벽판(21)의 압축 강도를 보강하는 상부 보강부(41)와 하부 보강부(42)를 포함한다.
박스부(20)는 직립되어 양 끝단이 상호 연결되므로 내측에 수납공간을 구획(형성)하는 벽판(21)을 포함한다. 벽판(21)은 골판지와 같은 종이재질로서 지지봉(30)의 외측에서 팔렛트부(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박스부(20)는 팔렛트부(10)의 상면에서 벽판(21)으로만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박스부(20) 내측에서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판(22')과, 벽판(21)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커버판(도시되지 않음)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팔렛트부(10)는 박스부(20)의 하중을 지지하고, 지게차의 포크가 체결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팔렛트부(10)는 상호 이격된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서 직립되는 연결기둥(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봉(30)은 복수로서 박스부(20)의 벽판(21) 내측에서 직립되도록 설치된다. 지지봉(3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지지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봉(30)은 직립된 봉체(31)와, 봉체(31)의 상단에서 내향된 삽입구(32)를 포함한다.
봉체(31)는 직립된 원형, 타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봉체(31)의 상단은 벽판(21)의 내측에서 직립되어 상측에 체결되는 상부 보강부(41)가 체결되고, 하단은 팔렛트부(10)의 상면 또는 바닥판(22')을 통하여 노출되는 하부 보강부(42)에 체결된다.
삽입구(32)는 봉체(31)의 선단에서 내향된 구멍으로서 후술되는 상부 보강부(41)의 끼움돌기(412)(도 3 참조)에 체결된다.
상부 보강부(41)는 봉체(31)의 선단에 체결되어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상부 보강부(41)의 상세 구성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상부 보강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상부 보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보강부(41)는 평면 연장된 상부판(411)과, 상부판(411)에서 하향 연장되는 끼움돌기(412)와, 상부판(411)의 1면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1상부외판(413)과, 상부판(411)의 2면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2상부외판(413')을 포함한다.
상부판(411)은 수평면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봉체(31)의 선단에 적층된다.
끼움돌기(412)는 상부판(411)의 중심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봉체(31)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구(32)에 체결된다.
제1상부외판(413)과 제2상부외판(413')은 상부판(411)의 제1 내지 제4면 중 인접된 제1면과 제2면에서 각각 하향 연장된다. 여기서 제1상부외판(413)과 제2상부외판(413')은 벽판(21)의 외면에 밀착되어 벽판(21) 상단의 강도를 보강한다.
하부 보강부(42)는 팔렛트부(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인입되는 봉체(31)를 지지하고, 벽판(21) 하단의 압축 강도를 보강한다. 하부 보강부(42)에 대한 설명은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하부 보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하부 보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보강부(42)는 수평면으로 연장되는 하부판(421)과, 하부판(421)의 중심부에서 관통되어 봉체(31)의 하단이 인입되는 인입구(422)와, 하부판(421)에서 직립되도록 상향되는 제1하부외판(423)과 제2하부외판(423')을 포함한다.
하부판(421)은 수평면을 이루어 팔렛트부(10)의 상부 플레이트(110) 상면에 설치된다.
인입구(422)는 봉체(31)의 하단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하부판(421)의 중심부에서 관통형성된다.
제1하부외판(423)과 제2하부외판(423')은 하부판(421)의 제1 내지 제4면 중, 인접된 2개의 면에서 각각 상향되어 직립된다. 따라서 제1하부외판(423)과 제2하부외판(423')은 하부판(421)의 제1면과 제2면에서 각각 직립되어 벽판(21)의 하단 외면에 밀착된다.
즉, 하부 보강부(42)는 지지봉(30)의 하단을 고정하되, 하부판(421)과 제1하부외판(423) 및 제2하부외판(423')으로 벽판(21) 하단의 압축 강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시예의 작용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포장박스 조립체는 팔렛트부(10)의 각 모서리에 하부 보강부(42)가 설치되고, 골판지로 이루어진 벽판(21)이 연장 및 절곡되어 팔렛트부(10)의 상면에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을 구획한다. 여기서 벽판(21)은 하부 보강부(42)의 하부판(421)에 하단이 놓여지고, 하단의 외면이 하부 보강부(42)의 제1하부외판(423)과 제2하부외판(423')에 각각 밀착된다.
그리고 지지봉(30)은 봉체(31)의 하단이 하부 보강부(42)의 인입구(422)에 인입된다. 따라서 보강부는 벽판(21)에 의해 구획된 물품의 수납 공간 내에서 기울어짐 없이 직립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상부 보강부(41)는 지지봉(30)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구(32)에 끼움돌기(412)가 삽입되면서 지지봉(30) 및 벽판(21)의 모서리 상단에 설치된다. 이때, 제1상부외판(413)과 제2상부외판(413')은 벽판(21)의 상단 외면에 밀착되도록 조립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포장박스 조립체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하단에 위치된 벽판(21)은 상부 보강부(41) 및 하부 보강부(42)에 의해 상단과 하단이 각각 보강됨에 따라 상측의 포장박스 조립체의 하중에 따른 압축강도에 버틸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다단 적층된 포장박스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측에 놓여진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와,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의 상단에 적층되는 제2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를 포함한다.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는 팔렛트부(10)의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하부 보강부(42)들을 설치하고, 벽판(21)을 설치하여 하부 보강부(42)의 고정 및 물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또한, 작업자는 개방된 벽판(21)의 상부를 통하여 바닥판(22')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판(22')은 각 모서리별로 절개된 절개구(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가 형성되며, 하부 보강부(42)의 하부판(421)은 절개구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또는 벽판(21)의 상부에는 내측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커버판(도시되지 않음)이 추가됨도 가능하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벽판(21) 및/또는 바닥판(22')의 설치가 완료되면, 복수의 지지봉(30)을 하부 보강부(42)에 체결한다. 여기서 지지봉(30)은 하부 보강부(42)의 인입구(422)에 하단을 삽입하여 벽판(21) 내측 공간에 직립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부 보강부(41)는 끼움돌기(412)가 지지봉(30)의 삽입구(32)에 삽입되면서 상부외판(413, 413')들이 벽판(21)의 상단 외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부 보강부(41)의 설치가 완료되면, 내측에 제품을 수납한 뒤에 커버판(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판(도시되지 않음)은 벽판(21)의 상부에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얹혀진 상태이거나 테이프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커버판(도시되지 않음)은 선택적으로 적용되며, 상황에 따라서 벽판(21)에 의해 구획된 물품의 수납공간이 개방된 상태로 다른 포장박스 조립체가 적층됨도 가능하다.
또는 벽판(21)과 바닥판(22')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동일한 과정으로 복수의 포장박스 조립체를 조립한 뒤에 순차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지게차의 포크를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의 공간부(140)로 인입시킨 뒤에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를 지정된 장소로 이동시킨다.
또한, 작업자는 다른 복수의 포장박스 조립체들을 같은 방식으로 이동한뒤에 제1포장박스 조립체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시킨다.
예를 들면, 제2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의 하부 플레이트(120')는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의 커버판(도시되지 않음) 상면 또는 벽판(21) 상단에 적재한다. 따라서 제2포장박스 조립체의 하부 플레이트(120')는 제1포장박스 조립체의 상부 보강부(41)의 상부에 적층된다. 그러므로 .
이때, 제2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는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의 박스부(20) 내측으로 인출된 지지봉(30)에 의해 그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포장박스 조립체는 상부 보강부(41)와 하부 보강부(42)가 벽체의 상단과 하단의 단부에서 외면으로 연장 및 밀착됨에 따라 상측에서 가해지는 압축강도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상부 보강부(41, 41')와 하부 보강부(42, 42')는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압축강도를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봉(30)와 하부 보강부(42)의 체결구조를 보강하여 하부 보강부(42)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지지봉(30)과 하부 보강부(42)와, 하부 보강부(42) 및 지지봉(30)을 고정키는 고정부(60)를 포함한다.
하부 보강부(42)는 수평면을 이루는 하부판(421)과 하부판(421)에서 관통된 인입구(422)와, 하부판(421)의 제1면과 제2면에서 각각 직립된 제1하부외판(423)과 제2하부외판(423')을 포함한다.
지지봉(30)은 하단의 내측에서 나사선을 더 포함한다.
고정부(60)는 팔렛트부(1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핀(62)과, 고정핀(62)의 상측에서 상향 돌출되는 체결수단(61)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핀(62)과 체결수단(61)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핀(62)은 끝단이 뾰족한 핀으로서 인입구(422)를 통하여 인입된 후 팔렛트부(10)의 상면에 망치나 기타 치구에 의해 타격으로 삽입된다.
체결수단(61)은 외면에서 나사선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수단(61)은 인입구(422)를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측에서 인입되는 지지봉(30)의 하단 내측의 나사선에 체결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하부 보강부(42)를 상부 플레이트(110)에 설치한 뒤에 고정부(60)를 삽입하여 하부 보강부(42)를 상부 플레이트(110)에 고정시킨 후, 지지봉(30)을 하부 보강부(42)의 인입구(422)를 통하여 인출된 고정부(60)의 체결수단(61)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은 하부 보강부(42)를 상부 플레이트(110)에 고정시킨 후 지지봉(30)을 결합하는 것으로서 하부 보강부(42)가 지지봉(30)의 설치 과정중에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부 보강부(42) 및 지지봉(30)간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렛트부(10)에 지지봉(30)을 직접 끼움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박스부(20), 팔렛트부(10), 지지봉(30), 상부 보강부(41)를 포함한다. 이중 박스부(20)와 지지봉(30) 및 상부 보강부(41)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팔렛트부(10)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를 연결하는 연결기둥(130)과, 박스부(20)를 지지하는 지지턱(150)과, 지지봉(30)이 탈부착되는 삽입관(160)을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110)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지지틀(111)과, 상부 지지틀(111)의 내측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상부 지지바(112)와, 제1 상부 지지바(112)들에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제2 상부 지지바(113)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틀(111)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후 그 끝단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서 제1 상부 지지바(112)와 제2 상부 지지바(113)들이 연결되는 내측 공간을 형성한다.
제1상부 지지바(112)는 상호 이격되는 복수로서, 예를 들면, 상호 대향되는 상부 지지틀(111)의 1 내면과 제3 내면 사이에 연장되어 박스부(20)가 안착되는 공간을 지지한다.
제2 상부 지지바(113)는 제1 상부 지지바(112)가 연장되지 않고 상호 대향되는 상부 지지틀(111)의 제2 내면과 제4내면 사이에 연장되어 박스부(20)가 안착되는 공간을 지지한다. 이때 제2 상부 지지바(113)는 제1 상부 지지바(112)들과 연결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부 지지틀(111)과 제1 상부 지지바(112) 및 제2 상부 지지바(113)는 일체형의 플레이트로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틀(111)과 제1 상부 지지바(112) 및 제2 상부 지지바(113)의 상면은 다수개의 마찰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찰돌기(도시되지 않음)는 바닥판(22')의 하면과 마찰을 발생시켜 박스부(20)의 이동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20)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측에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지게차의 포크가 인입되는 공간부(140)를 형성한다. 즉, 하부 플레이트(120)는 지면 또는 하측의 타 포장박스 조립체에서 커버판(도시되지 않음) 또는 벽판(21)의 상단에 올려져 상측의 상부 플레이트(110)를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하부 플레이트(120)는 하부 지지틀(121)과, 제1 하부 지지바(122)와 제2 하부 지지바(123)를 포함한다. 이중 하부 지지틀(121)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후 그 끝단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서 제1 상부 지지바(112)와 제2 상부 지지바(113)들이 연결되는 내측 공간을 형성한다.
제1 하부 지지바(122)는, 예를 들면, 상호 대향되는 하부 지지틀(121)의 제1 내면(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과 제3 내면(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 사이에 연장되어 박스부(20)가 안착되는 공간을 지지한다.
제2 하부 지지바(123)는 제1 하부 지지바(122)가 연장되지 않고 상호 대향되는 하부 지지틀(121)의 제2 내면(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에서 연장되어 그 사이에서 위치된 제1 하부 지지바(122)와 교차되면서 제4 내면(도면부호 부여되지 않음)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하부 지지틀(121)과 제1 하부 지지바(122) 및 제2 하부 지지바(123)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제1 하부 지지바(122)와 제2 하부 지지바(123)를 복수로 설치할 수 있다.
연결기둥(130)은 복수로서 상부 지지틀(111)의 하면과 하부 지지틀(121)의 상면 사이에서 직립되어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연결기둥(130)은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공간부(140)를 구획하도록 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지지턱(150)은 상부 지지틀(111)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내측에 설치되는 박스부(20)의 벽판(21)의 하단 외면을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턱(150)은 복수로서 'ㄱ', 'ㄴ' 또는 'ㅡ' 형 중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예를 들면, 박스부(20)의 벽판(21)은 지지봉(30)의 외측과 지지턱(150)의 내측 사이에 끼움된다.
삽입관(160)은 상하측이 모두 개방되어 연통되는 관으로서 상부 플레이트(110)에서 하부 플레이트(120)로 연통된다. 특히 삽입관(160)의 상단은 지지봉(30)의 하단이 인입된다. 여기서 삽입관(160)은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서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관으로서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 보강부(41)는 지지봉(30)과 벽판(21)이 설치된 이후에 지지봉(30)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구(32)에 끼움돌기(412)가 체결되면서 벽판(21)의 상단 단부와 외면을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봉(30)은 삽입구(32)의 내면에서 상부 보강부(41)의 끼움돌기(412)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내면에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복수의 마찰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봉(30)의 하단은 삽입관(160)의 하측 외면이 걸림될 수 있도록 단턱(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팔렛트부(10)에 일체로 구성된 삽입관(160)과 지지턱(150)에 의해 하부 보강부(4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봉(30)들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수납된 제품들이 벽판(21)에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복수의 안전바(도시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전바(도시되지 않음)는 섬유, 고무, 나무, 플라스틱,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그이상이 조합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고, 양 끝단에서 지지봉(30)들 외면에 끼움될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고리는 원형의 고리로서 일부가 절개되어 지지봉(30)의 외면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거나 원형의 완전체로서 지지봉(30)의 상단을 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로는 고리는 박스부(20) 외측을 지향하여 형성되어 안전바와 벽판(21)이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즉, 안전바(도시되지 않음)들은 박스부(20) 내측에서 벽판(21)과 이격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이용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은 포장박스를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2단, 3단 또는 그 이상으로 적층시킬 때 하측 박스부(20)의 내측에서 직립된 지지봉(30)들과 팔렛트부(10) 및 상부 보강부(41)에 의해 압축강도가 지지됨에 따라 종래와 같은 하중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실시예들과 같이 다단으로 적층된 포장박스 조립체들이 2 이상의 열로서 배열된 상태로 운송중(예를 들면, 자동차, 선박, 비행기)에 기상환경이나 돌발 상황(예를 들면, 급출발, 급제동, 추돌)으로 인하여 벽면 또는 다른 열의 포장박스 조립체들과의 충돌시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충격완충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충격완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충격완충부가 체결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충격완충부(50, 5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완충바(51, 51')와, 팔렛트부(10)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는 끼움바(52, 52')를 구비한다.
완충바(51, 51')는 종이 또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완충바(51, 51')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 또는 밀폐되어 내측이 빈 공간을 유지하여 충돌시 발생된 충격을 흡수한다. 또는 완충바(51, 51')는 내측에 종이나 액체, 고무, 섬유, 플라스틱 중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이 조합된 충완재(53, 53')가 충진될 수 있다.
특히 충완재(53)는 물이 충진될 경우 화재 발생시에도 유용할 수 있다.
끼움바(52, 52')는 완충바(51, 51')의 중단 또는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140)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된다. 이를 위하여 끼움바(52)는 선단의 높이가 완충바(51)의 연결되는 후단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된다. 즉, 끼움바(52, 52')는 선단의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하향 또는 상향되는 경사면(52a, 52a')으로 형성되어 공간부(140)에 인입이 용이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충격완충부(50, 50')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바(52)가 완충바(51)의 중단에 형성되는 제1충격완충부(50)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바(52)가 완충바(51)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충격완충부(50')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2의 (a)에서 직립된 완충바(51)가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변형되거나, 상하가 반전된 형상의 완충바(51)로 응용이 가능하다.
이중, 도 12의 (a)에 도시된 제1충격완충부(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된 포장박스 조립체에서 2단 이상의 포장박스 조립체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에 도시된 제2충격완충부(50')는 1단(가장 하측에 위치된) 포장박스 조립체에 체결된다.
예를 들면, 충격완충부(50, 50')는 포장박스 조립체에서 벽면을 향하는 팔렛트부(10)의 측부(해당 방향의 공간부(140))에 끼움식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충격완충부(50)는 지진이나, 태풍으로 인하여 포장박스 조립체들이 벽면으로 이동될 때 먼저 벽면에 접촉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제품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팔렛트부(10)의 측부는 끼움바(52)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끼움바(52)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는 측부 하면과 상면에 마찰돌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돌기(도시되지 않음)는 팔렛트부(10)의 측부를 구성하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과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복수가 돌출되어 끼움바(52)의 상면과 하면과의 마찰력을 높인다.
또는 팔렛트부(10)의 측부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에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상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과, 하부 플레트(120)의 상면에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과의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하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바(52)는 상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과 하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 사이로 인입되면서 점차 좁아지는 간격에 의하여 보다 강한 압력에 의해 끼움시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상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과 하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은 상하측에서 이격되되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행될 시에 그 간격이 점차 좁아짐에 따라 인입되는 끼움바(52)를 가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상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과 하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은 마찰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추가됨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박스부(20) 내측에서 직립된 지지봉(30)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서 상부 보강부(41) 및/또는 하부 보강부(42)가 조립되어 다단 적층된 중량물 포장 박스들 중 하측의 포장박스의 압축 강도를 보강할 수 있어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사용 가능한 일체형 팔렛트를 제공함에 따라 포장박스의 운반시에 팔렛트를 신규 제작 또는 구매하지 않기에 종래와 달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팔렛트부 20 : 박스부
21 : 벽판 22 : 바닥판
30 : 지지봉 31 : 봉체
32 : 삽입구 41 : 상부 보강부
42 : 하부 보강부 50 : 충격완충부
51 : 완충바 52 : 끼움바
53 : 충완재 60 : 고정부
61 : 체결수단 62 : 고정핀
110 : 상부 플레이트 111 : 상부 지지틀
112 : 제1 상부 지지바 113 : 제2 상부 지지바
120 : 하부 플레이트 121 : 하부 지지틀
122 : 제1 하부 지지바 123 : 제2 하부 지지바
130 : 연결기둥 140 : 공간부
150 : 지지턱 160 : 삽입관
411 : 상부판 412 : 끼움돌기
413, 413; : 상부외판 421 : 하부판
422 : 인입구 423, 423' : 하부외판

Claims (8)

  1. 상하 이격된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를 구비하는 팔렛트부(10);
    팔렛트부(10)에 대해 직립된 벽판(21)이 연장되어 물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박스부(20);
    박스부(20)의 내측에서 직립되는 복 수의 지지봉(30);
    지지봉(30)의 하단이 끼움식으로 체결되도록 팔렛트부(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지지봉(30)의 하단 및 벽판(21)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보강부(42);
    팔렛트부(10)의 상면에 놓여진 하부판(421)의 인입구(422)를 통해 인입되어 하부 보강부(4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60); 및
    지지봉(30)의 상단에 끼움식으로 체결되어 벽판(21)의 상단 및 외면을 지지하는 상부 보강부(41);를 포함하고,
    하부 보강부(42)는
    팔렛트부(10)의 상면에 놓여지도록 수평면을 이루는 하부판(421);
    지지봉(30)의 하단이 인입되도록 하부판(421)에 관통형성되는 인입구(422); 및
    하부판(421)의 제1 내지 제4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향 연장되어 벽판(21)의 하단 외면에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외판(423, 423');을 포함하고,
    고정부(60)는
    팔렛트부(10)의 상면으로 삽입되는 고정핀(62); 및
    인입구(422)를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핀(62)에서 상향 연장되고, 지지봉(30)이 나사 체결되도록 외면에서 나사선이 형성되는 체결수단(6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봉(30)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봉체(31)의 상단에서 내향된 삽입구(32);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부 보강부(41)는
    수평면을 이루는 상부판(411);
    상부판(411)에서 하향 연장되어 삽입구(32)에 끼움되는 끼움돌기(412); 및
    상부판(411)의 제1 내지 제4면 중에서 하향 연장되어 벽판(21)의 상단 외면에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외판(413, 413');을 포함하는 포장박스 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20440A 2020-02-19 2020-02-19 포장박스 조립체 KR10212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440A KR102123551B1 (ko) 2020-02-19 2020-02-19 포장박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440A KR102123551B1 (ko) 2020-02-19 2020-02-19 포장박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551B1 true KR102123551B1 (ko) 2020-06-16

Family

ID=7114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440A KR102123551B1 (ko) 2020-02-19 2020-02-19 포장박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939B1 (ko) * 2021-11-22 2022-07-05 주식회사 공단수출포장 수출용 포장박스
KR20220156300A (ko) 2021-05-18 2022-11-25 성우로텍(주) 지지구가 구비된 팔레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6319U (ja) * 1984-02-02 1985-08-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パレツト
JPH04173547A (ja) * 1990-11-02 1992-06-22 Daifuku Co Ltd 枠部への支柱連結構造
KR20110051436A (ko) * 2009-11-10 2011-05-18 중앙알칸(주) 파렛트
KR101393207B1 (ko) * 2012-10-15 2014-05-08 주식회사 우일팩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KR20140144389A (ko) * 2013-06-10 2014-12-19 두리포장산업(주) 포장 장치
KR101672981B1 (ko) 2014-12-09 2016-11-04 금강기계공업(주) 운송용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6319U (ja) * 1984-02-02 1985-08-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パレツト
JPH04173547A (ja) * 1990-11-02 1992-06-22 Daifuku Co Ltd 枠部への支柱連結構造
KR20110051436A (ko) * 2009-11-10 2011-05-18 중앙알칸(주) 파렛트
KR101393207B1 (ko) * 2012-10-15 2014-05-08 주식회사 우일팩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KR20140144389A (ko) * 2013-06-10 2014-12-19 두리포장산업(주) 포장 장치
KR101672981B1 (ko) 2014-12-09 2016-11-04 금강기계공업(주) 운송용 포장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300A (ko) 2021-05-18 2022-11-25 성우로텍(주) 지지구가 구비된 팔레트
KR102415939B1 (ko) * 2021-11-22 2022-07-05 주식회사 공단수출포장 수출용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3551B1 (ko) 포장박스 조립체
US3072313A (en) Figure 4 corner post
US7624887B2 (en) Reusable transport packaging
US3073500A (en) Container
US20130140213A1 (en) Package for shipping hazardous material bottles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2990951A (en) Paperboard containers and method of erecting and simultaneously loading same
KR101672981B1 (ko) 운송용 포장박스
KR102150318B1 (ko) 골판지에 종이 보강대를 이용한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US5096112A (en) Interlocking pallet for paperboard container with attaching strips
US11603230B2 (en) Self-contained continuous carton system with self erecting stacking shoulders
CN108502384B (zh) 一种可拆卸运输的交换箱以及装箱方法
KR200469485Y1 (ko) 골판지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US11299321B2 (en) Modular pallet system for transporting bulky and fragile goods in a multi-story constellation
KR200404794Y1 (ko) 골판지 포장박스
KR102128541B1 (ko) 포장박스 조립체
KR20210019939A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US107933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lletless shipment of gas cylinder arrays
JP5596988B2 (ja) 貨物車両用荷台ラック
KR100821676B1 (ko) 지관과 앵글을 이용한 조립식 중량물 포장박스 및 그제조방법
KR102484003B1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US20050028709A1 (en) Packaging system
KR20140144389A (ko) 포장 장치
KR102663064B1 (ko) 자동차 부품 홀더형 박스
KR101103413B1 (ko) 운송 베이스를 선적 팔레트에 고정하는 수단
CN210063868U (zh) 一种高强度纸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