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541B1 - 포장박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541B1
KR102128541B1 KR1020190168661A KR20190168661A KR102128541B1 KR 102128541 B1 KR102128541 B1 KR 102128541B1 KR 1020190168661 A KR1020190168661 A KR 1020190168661A KR 20190168661 A KR20190168661 A KR 20190168661A KR 102128541 B1 KR102128541 B1 KR 10212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llet
support
box assembly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환
Original Assignee
장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환 filed Critical 장정환
Priority to KR1020190168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5Separate or attached stacking elements
    • B65D5/006Separate corner posts and lik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15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the pal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품이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박스부와, 박스부가 놓여지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와 하측으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빈 공간을 갖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팔렛트부를 포함하고, 팔렛트부는 박스부 내면으로 인출되도록 상부 플레이트에서 직립되어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봉을 포함하는 포장박스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박스 조립체{PACKING BOX ASSEMBLY}
본 발명은 포장박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중에 의한 손상 방지 및 다단 적재 가능한 포장박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출용 화물 또는 국내 운송용 화물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포장 박스는 종이, 목재, 플라스틱,금속 재질로 제작 가능하나, 이중 화물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골판지와 같은 종이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종이재질의 포장박스는 골판지를 이용하여 사각형 또는 원형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포크레인의 선단에서 돌출되는 포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목재 또는 금속 재질의 팔렛트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트럭과 같은 대형 운송 장치에 포장박스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종이 박스 본체를 지지하는 팔렛트에 지게차의 포크가 인입되어 트럭이나 또는 기차 위치로 적재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장박스는 팔레트와 종이 박스 본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다단으로 적층시에 하측에 위치된 포장박스가 적층된 타 포장박스의 중량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위와 같이 적층시 중량에 의한 포장박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박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나의 박스를 하나의 팔레트로 지지한 뒤에 트럭에 하나씩 적재하거나, 또는 중량이 가벼운 다수개의 박스를 하나의 팔렛트 상면에 적층시켜 트럭에 적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포장박스의 운반시 팔렛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팔렛트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1회성 물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팔렛트를 물품의 운반시마다 신규로 제작해야됨에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2981호(2016.10.3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팔렛트와 일체형으로 적층 가능하여 다단 적층시에 상측의 하중으로 인하여 하측의 박스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적재 및 적층 작업이 용이한 포장박스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팔렛트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비용 절감이 가능한 포장박스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품이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박스부와, 박스부가 놓여지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와 하측으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빈 공간을 갖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팔렛트부 및 팔렛트부의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충격완충부를 포함하고, 팔렛트부는 박스부 내면으로 인출되도록 상부 플레이트에서 직립되어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봉을 포함하고, 충격 완충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완충바와, 완충바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팔렛트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는 끼움바와, 종이, 고무, 섬유, 플라스틱 중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이 조합되어 완충바에 충진되는 충완재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포장박스와 팔렛트가 상호 체결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 짐에 따라 다단으로 적층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하중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렛트와 박스를 일체형으로 조립시킬 수 있어 재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포장박스의 운반시에 별도의 팔렛트를 신규 제작 또는 구매하지않기에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박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박스부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팔렛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팔렛트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지지봉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적층된 포장박스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충격완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충격완충부가 도립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박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박스부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박스부(20)와, 박스부(20)를 지지하는 팔렛트부(10)를 포함한다.
박스부(20)는 상면을 밀폐시키는 커버판(21)과, 직립되어 양 끝단이 상호 연결되므로 내측에 수납공간을 구획(형성)하는 벽판(22)과,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판(21)과, 벽판(22)과, 바닥판(23)은 골판지와 같은 종이재질로 제작된다. 이중 커버판(21)과 바닥판(23)은 조립과 해제가 용이하고, 벽판(22)은 팔렛트부(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벽판(22)은 후술되는 지지봉(140)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도시된 바를 예로 들자면, 각 모서리에서 절개된 절개구(23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판(23)은 벽판(22)이 팔렛트부(10)의 상면에 고정된 이후에 인출된 지지봉(140)이 절개구(23a)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강되어 팔렛트부(10)의 상면에 놓이도록 하강된다. 이때 바닥판(23)은 별도의 치구에 의한 고정 과정 없이 그 상태로 조립된다.
또는 바닥판(23)은 접착제, 나사, 테이프, 또는 기타 고정 치구에 의해 팔렛트부(10)의 상면 또는 벽판(22)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벽판(22)과 바닥판(23)은 일체형으로서 바닥판(23)에 절개구(23a)를 형성한 뒤에 상부 플레이트(110)에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팔렛트부(10)는 박스부(20)의 하중을 지지하고, 지게차의 포크가 체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팔렛트부(10)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팔렛트부(10)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팔렛트부(10)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를 연결하는 연결기둥(130)과, 상부 플레이트(110)에서 탈부착되는 복수의 지지봉(140)과, 박스부(20)를 지지하는 지지턱(150)과, 지지봉(140)이 탈부착되는 삽입관(160) 을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110)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지지틀(111)과, 상부 지지틀(111)의 내측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상부 지지바(112)와, 제1 상부 지지바(112)들에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제2 상부 지지바(113)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틀(111)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후 그 끝단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서 제1 상부 지지바(112)와 제2 상부 지지바(113)들이 연결되는 내측 공간을 형성한다.
제1상부 지지바는 상호 이격되는 복수로서, 예를 들면, 상호 대향되는 상부 지지틀(111)의 1 내면과 제3 내면 사이에 연장되어 박스부(20)가 안착되는 공간을 지지한다.
제2 상부 지지바(113)는 제1 상부 지지바(112)가 연장되지 않고 상호 대향되는 상부 지지틀(111)의 제2 내면과 제4내면 사이에 연장되어 박스부(20)가 안착되는 공간을 지지한다. 이때 제2 상부 지지바(113)는 제1 상부 지지바(112)들과 연결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부 지지틀(111)과 제1 상부 지지바(112) 및 제2 상부 지지바(113)는 일체형의 플레이트로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틀(111)과 제1 상부 지지바(112) 및 제2 상부 지지바(113)의 상면은 다수개의 마찰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찰돌기(도시되지 않음)는 바닥판(23)의 하면과 마찰을 발생시켜 박스부(20)의 이동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20)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측에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지게차의 포크가 인입되는 공간부(170)를 형성한다. 즉, 하부 플레이트(120)는 지면 또는 하측의 타 포장박스 조립체에서 커버판(21)의 상면에 올려져 상측의 상부 플레이트(110)를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하부 플레이트(120)는 하부 지지틀(121)과, 제1 하부 지지바(122)와 제2 하부 지지바(123)를 포함한다. 이중 하부 지지틀(121)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후 그 끝단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서 제1 상부 지지바(112)와 제2 상부 지지바(113)들이 연결되는 내측 공간을 형성한다.
제1 하부 지지바(122)는, 예를 들면, 상호 대향되는 하부 지지틀(121)의 제1 내면(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과 제3 내면(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 사이에 연장되어 박스부(20)가 안착되는 공간을 지지한다.
제2 하부 지지바(123)는 제1 하부 지지바(122)가 연장되지 않고 상호 대향되는 하부 지지틀(121)의 제2 내면(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에서 연장되어 그 사이에서 위치된 제1 하부 지지바(122)와 교차되면서 제4 내면(도면부호 부여되지 않음)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하부 지지틀(121)과 제1 하부 지지바(122) 및 제2 하부 지지바(123)는 일체형의 플레이트로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제1 하부 지지바(122)와 제2 하부 지지바(123)가 1개로 도시되었으나,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연결기둥(130)은 복수로서 상부 지지틀(111)의 하면과 하부 지지틀(121)의 상면 사이에서 각각 직립되어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가 이격된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연결기둥(130)은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공간부(170)를 구획하도록 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지지턱(150)은 상부 지지틀(111)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내측에 설치되는 박스부(20)의 벽판(22)을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턱(150)은 복수로서 'ㄱ', 'ㄴ' 또는 'ㅡ' 형 중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예를 들면, 박스부(20)의 벽판(22)은 지지봉(140)의 외측과 지지턱(150)의 내측 사이에 끼움된다.
삽입관(160)은 상하측이 모두 개방되어 연통되는 관으로서 상부 플레이트(110)에서 하부 플레이트(120)로 연통설치된다. 삽입관(160)은 상측에서 인입되는 지지봉(140)을 지지한다. 여기서 삽입관(160)의 하단은 개방되었으나, 커버판(21)에 의해 가로막힌 상태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커버판(21)의 상면에 하부 플레이트(120)가 올려진 상태에서 커버판(21)이 막힌 상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삽입관(160)은 다른 실시예로서 커버판(21)에 지지봉(140)의 상단이 인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될 경우에 아래쪽에서 직립된 지지봉(140)의 상단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삽입관(160)은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서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관으로서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지지봉(140)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지지봉(14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봉(140)은 직립된 봉체(141)와, 봉체(141)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지지돌기(142)와, 하단에서 하향 돌출되는 삽입돌기(143)로 구성된다.
봉체(141)는 직립된 원형, 타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서 벽판(22)을 지지한다. 예를 들면, 봉체(141)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외측 상면(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별)에 복수가 설치되어 상부 지지틀(111)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벽판(22)의 내면에 밀착되어 지지한다. 여기서 벽판(22)은 지지턱(150)의 내측과 지지봉(140)의 외측 사이를 따라서 연장되면서 소정의 형상을 유지한다.
지지돌기(142)는 봉체(141)의 상단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측의 커버판(21)의 하면을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돌기(142)는 커버판(21)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측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돌기(142)는 커버판(21)에서 관통된 관통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상측에 위치된 타 삽입관(160)의 개방된 하단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지돌기(142)와 봉체(141) 사이에는 삽입관(160)의 하측 외면이 걸림될 수 있도록 단턱(143)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돌기(1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되거나 타원형과 삼각형 및 다각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즉, 지지봉(140)의 형상은 명세서에 기재된 바로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그외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한 범위 내의 다양한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봉(140)들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수납된 제품들이 벽판에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복수의 안전바(도시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전바(도시되지 않음)는 섬유, 고무, 나무, 플라스틱,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그이상이 조합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고, 양 끝단에서 지지봉(140)들 외면에 끼움될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고리는 원형의 고리로서 일부가 절개되어 지지봉(140)의 외면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거나 원형의 완전체로서 지지봉(140)의 상단을 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로는 고리는 박스부(20) 외측을 지향하여 형성되어 안전바와 벽판이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즉, 안전바(도시되지 않음)들은 박스부(20) 내측에서 벽판(22)과 이격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이용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은 포장박스를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2단, 3단 또는 그 이상으로 적층시킬 때 하측 박스부의 내측에서 직립된 지지봉들에 의해 하중이 지지됨에 따라 종래와 같은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중 2단으로 적층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적층된 포장박스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측에 놓여진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와,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의 상단에 적층되는 제2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를 포함한다.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는 먼저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지지봉(140)을 삽입관(160)의 상단에 체결한 뒤에 지지봉(140)의 외측으로 벽판(22)을 설치한다. 벽판(22)은 상부 지지틀(111)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며 내면에 지지봉(140)이 밀착되고, 외면 하측에서 지지턱(150)의 내측에 밀착된다.
따라서 벽판(22)은 지지봉(140)과 지지턱(150)의 조합으로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후 작업자는 개방된 벽판(22)의 상부를 통하여 바닥판(23)을 인입하되, 지지봉(140)이 절개구(23a)를 통하여 인출되도록 상측에서 가압한다. 따라서 바닥판(23)은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놓여지면서 박스부(2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내측에 제품을 수납한 뒤에 커버판(21)을 설치한다. 여기서 커버판(21)은 벽판(22)의 상부에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얹혀진 상태이거나 테이프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벽판(22)과 바닥판(23)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동일한 과정으로 제2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지게차의 포크를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의 공간부(170)로 인입하여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을 지정된 장소로 이동시킨다.
또한, 작업자는 제2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의 공간부(170)에 포크를 인입한 뒤에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의 커버판(21) 상면으로 적층시킨다.
이때 제2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의 하부 플레이트(120')를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의 커버판(21) 상면에 적재한다. 이때, 제2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는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의 박스부(20) 내측으로 인출된 지지봉(140)에 의해 그 하중이 지지된다. 즉, 상측의 제2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는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의 커버판(21)의 상면에 직접 적층되나, 제1 포장박스 조립체(10, 20, 30)에서 박스부(20) 내측에 직립된 지지봉(140)에 의해 그 하중이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이 2단 또는 그 이상의 다단으로 적층된 포장박스 조립체들이 2 이상의 열로서 배열된 상태로 운송중(예를 들면, 자동차, 선박, 비행기)에 기상환경이나 돌발 상황으로 인하여 벽면 또는 다른 열의 포장박스 조립체들과의 충돌시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충격완충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충격완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충격완충부가 체결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충격완충부(3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완충바(31, 31')와, 팔렛트부(10)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는 끼움바(32, 32')를 구비한다.
완충바(31, 31')는 종이 또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완충바(31, 31')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 또는 밀폐되어 내측이 빈 공간을 유지하여 충돌시 발생된 충격을 흡수한다. 또는 완충바(31)는 내측에 종이나 액체, 고무, 섬유, 플라스틱 중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이 조합된 충완재(33, 33')가 충진될 수 있다.
특히 충완재(33, 33')는 물이 충진될 경우 화재 발생시에도 유용할 수 있다.
끼움바(32, 32')는 완충바(31, 31')의 중단 또는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170)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된다. 이를 위하여 끼움바(32, 32')는 선단의 높이가 완충바(31)의 연결되는 후단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된다. 즉, 끼움바(32, 32')이 선단의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하향 또는 상향되는 경사면(32a, 32a')으로 형성되어 공간부(170)에 인입이 용이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충격완충부(3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바(32)가 완충바(31)의 중단에 형성되는 제1충격완충부(30)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바(32')가 완충바(31')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충격완충부(30')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0의 (a)에서 직립된 완충바(31)가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변형되거나, 도 10의 (b)에서 상하가 반전된 형상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이중, 도 10의 (a)에 도시된 제1충격완충부(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된 포장박스 조립체에서 2단 이상의 포장박스 조립체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된 제2충격완충부(30')는 1단(가장 하측에 위치된) 포장박스 조립체에 체결된다.
예를 들면, 충격완충부(30, 30')는 포장박스 조립체에서 벽면을 향하는 팔렛트부(10)의 측부(해당 방향의 공간부(70))에 끼움식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충격완충부(30)는 지진이나, 태풍으로 인하여 포장박스 조립체들이 벽면으로 이동될 때 먼저 벽면에 접촉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제품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팔렛트부(10)의 측부는 끼움바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끼움바(32, 32')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는 측부 하면과 상면에 마찰돌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돌기(도시되지 않음)는 팔렛트부(10)의 측부를 구성하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과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복수가 돌출되어 끼움바(32, 32')의 상면과 하면과의 마찰력을 높인다.
또는 팔렛트부(10)의 측부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에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상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과, 하부 플레트(120)의 상면에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과의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하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바(32, 32')는 상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과 하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 사이로 인입되면서 점차 좁아지는 간격에 의하여 보다 강한 압력에 의해 끼움시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상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과 하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은 상하측에서 이격되되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행될 시에 그 간격이 점차 좁아짐에 따라 인입되는 끼움바(32, 32')를 가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상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과 하부 경사판(도시되지 않음)은 마찰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추가됨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지지봉(140)이 박스부(20) 내측에서 직립된 상태로 조립되기에 상측으로 적층되는 타 포장박스 조립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음에 따라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렛트와 박스를 일체형으로 조립시킬 수 있어 재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포장박스의 운반시에 별도의 팔렛트를 신규 제작 또는 구매해야되는 종래와 달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팔렛트부 20 : 박스부
21 : 커버판 22 : 벽판
23 : 바닥판 30 : 충격완충부
31 : 완충바 32 : 끼움바
33 : 충완재 110 : 상부 플레이트
111 : 상부 지지틀 112 : 제1 상부 지지바
113 : 제2 상부 지지바 120 : 하부 플레이트
121 : 하부 지지틀 122 : 제1 하부 지지바
123 : 제2 하부 지지바 130 : 연결기둥
140 : 지지봉 141 : 봉체
142 : 지지돌기 143 : 삽입돌기
150 : 지지턱 160 : 삽입관
170 : 공간부

Claims (7)

  1. 제품이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박스부(20);
    박스부(20)가 놓여지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측으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빈 공간을 갖는 공간부(170)를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120)를 구비하는 팔렛트부(10); 및
    팔렛트부(10)의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충격완충부(30);를 포함하고,
    팔렛트부(10)는
    박스부(20) 내면으로 인출되도록 상부 플레이트(110)에서 직립되어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봉(140);을 포함하고,
    충격 완충부(3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완충바(31, 31')와, 완충바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팔렛트부(10)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는 끼움바(32, 32')와, 종이, 고무, 섬유, 플라스틱 중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이 조합되어 완충바(31, 31')에 충진되는 충완재(33, 33');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팔렛트부(10)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박스부(20)의 외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턱(150);을 더 포함하는 포장박스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박스부(20)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서 지지턱(150)들과 지지봉(140)들 사이를 따라 연장되어 내측에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벽판(22);
    수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23); 및
    벽판(22)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커버판(21);을 포함하는 포장박스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팔렛트부(10)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 연장되어 지지봉(140)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하측으로 연통되는 복수의 삽입관(160);을 더 포함하는 포장박스 조립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바닥판(23)은
    수납공간으로 지지봉(140)들이 각각 인출되도록 절개된 복수의 절개구(23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박스부(20)는
    골판지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조립체.
  7. 팔렛트부(10)와, 팔렛트부(10)에 지지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박스부(20) 및 충격을 완충시키는 충격완충부(30)를 각각 구비하여 상하측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포장박스 조립체;를 포함하고,
    팔렛트부(10)는
    상하측에서 상호 이격된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서 직립된 복수의 지지봉(140)을 구비하고,
    박스부(20)는
    지지봉(140)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서 연장되어 내측에 제품이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벽판(22)과, 수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23)과, 벽판(22)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커버판(21)을 구비하고,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포장박스 조립체들에서 상측의 하부 플레이트(120)는 하측에서 박스부(20) 내측으로 인출되도록 직립된 지지봉(140)들에 의해 지지되고,
    충격완충부(3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완충바(31, 31')와, 완충바(31, 31')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팔렛트부(10)의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는 끼움바(32, 32')와, 종이, 고무, 섬유, 플라스틱 중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이 조합되어 완충바(31, 31')에 충진되는 충완재(33, 33');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조립체.
KR1020190168661A 2019-12-17 2019-12-17 포장박스 조립체 KR10212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661A KR102128541B1 (ko) 2019-12-17 2019-12-17 포장박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661A KR102128541B1 (ko) 2019-12-17 2019-12-17 포장박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541B1 true KR102128541B1 (ko) 2020-06-30

Family

ID=7112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661A KR102128541B1 (ko) 2019-12-17 2019-12-17 포장박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5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341U (ko) * 1998-03-03 1999-10-05 차쾌호 팰릿 적재용 지지구
KR20130142567A (ko) * 2012-06-20 2013-12-30 (주)승산팩 박스가 결합 가능한 파렛트
KR20140144389A (ko) * 2013-06-10 2014-12-19 두리포장산업(주) 포장 장치
KR101672981B1 (ko) 2014-12-09 2016-11-04 금강기계공업(주) 운송용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341U (ko) * 1998-03-03 1999-10-05 차쾌호 팰릿 적재용 지지구
KR20130142567A (ko) * 2012-06-20 2013-12-30 (주)승산팩 박스가 결합 가능한 파렛트
KR20140144389A (ko) * 2013-06-10 2014-12-19 두리포장산업(주) 포장 장치
KR101672981B1 (ko) 2014-12-09 2016-11-04 금강기계공업(주) 운송용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3048B1 (en) Glass packaging article
KR102123551B1 (ko) 포장박스 조립체
JP2013227021A (ja) 積載構造体
KR101672981B1 (ko) 운송용 포장박스
JP2013227020A (ja) 積載構造体
KR102128541B1 (ko) 포장박스 조립체
US20110011312A1 (en) Pallet for containing and transporting objects
KR200404794Y1 (ko) 골판지 포장박스
JP2009161241A (ja) 碍子のコンテナ輸送用梱包具
KR200469485Y1 (ko) 골판지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KR20210019939A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US107933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lletless shipment of gas cylinder arrays
JP5596988B2 (ja) 貨物車両用荷台ラック
KR200437854Y1 (ko) 완충기능을 구비한 스틸 파레트
KR102484003B1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KR102340948B1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KR101840709B1 (ko) 파렛트
KR101103413B1 (ko) 운송 베이스를 선적 팔레트에 고정하는 수단
JP2007320572A (ja) パレット
JP5307456B2 (ja) 中仕切、及びこの中仕切を備えた包装箱
KR102663064B1 (ko) 자동차 부품 홀더형 박스
JP3182969U (ja) 緩衝機能を有する包装用紙箱
KR102624003B1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EP0457118A1 (en) Transport package
KR101243010B1 (ko)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