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939B1 - 수출용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수출용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939B1
KR102415939B1 KR1020210161002A KR20210161002A KR102415939B1 KR 102415939 B1 KR102415939 B1 KR 102415939B1 KR 1020210161002 A KR1020210161002 A KR 1020210161002A KR 20210161002 A KR20210161002 A KR 20210161002A KR 102415939 B1 KR102415939 B1 KR 102415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vibration
plate
concave groove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우상
정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단수출포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단수출포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단수출포장
Priority to KR1020210161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6Pallets comprising a flexible load carrier extending between guide element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출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된 화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에 의한 화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수출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는, 내부 공간에 수출용 화물을 수용하며, 상기 포장박스는, 상면에 상기 화물이 설치되는 하판, 상기 하판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하판의 모서리를 둘러 결합되는 측판, 상기 측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상판 및 상기 하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판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판에는 상기 하판의 모서리와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연결하며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주가 더 포함되고, 상기 지주는 상기 상판의 무게를 지지하며, 내부에 진동방해물질을 수용한다.

Description

수출용 포장박스{EXPORT PACKAGING BOX}
본 발명은 수출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된 화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에 의한 화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수출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기계부품이나 물품과 같이 중량과 부피가 평균대비 큰 물품 등은 컨테이너에 선적 시 충격 등으로부터의 보호 또는 오염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철재 재질, 목재 재질 또는 고분자수지 재질의 수출용 포장박스에 포장되어 항공, 해상 또는 육로를 이용하여 운반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수출용 포장박스는 항공 운송, 해상 운송, 육로 운송 등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내부에 수용된 화물에 그대로 전해져 운송 과정 중 진동에 따른 화물의 파손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운송 과정 중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 하고, 진동이 화물에 전달되는 것을 방해 할 수 있는 수출용 포장박스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2219호 (2015년09월18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7902호 (2014년11월12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수용된 화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에 의한 화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수출용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는, 내부 공간에 수출용 화물을 수용하며, 상기 포장박스는, 상면에 상기 화물이 설치되는 하판, 상기 하판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하판의 모서리를 둘러 결합되는 측판, 상기 측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상판 및 상기 하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판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판에는 상기 하판의 모서리와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연결하며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주가 더 포함되고, 상기 지주는 상기 상판의 무게를 지지하며, 내부에 진동방해물질을 수용한다.
상기 지주는, 내부에 상기 진동방해물질이 수용되는 관을 구비하며, 상기 관은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방해물질은 유동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하판의 상면에는 상기 화물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진동흡수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진동흡수모듈 각각은,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하부패널, 상기 하부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패널은, 중심부가 하단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오목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하부오목홈과 대칭되도록 중심부가 상단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오목홈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흡수모듈 각각은, 상기 하부오목홈 및 상기 상부오목홈 간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볼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부재는, 상기 하부오목홈 및 상기 상부오목홈과 접하도록 굴러 이동하여 상기 진동흡수모듈은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하부패널 및 상기 상부패널은, 내부에 상기 진동방해물질을 수용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하부면이 지면에 접촉하는 하부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 상부면에 하부면이 접하는 상부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부재 및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각각 서로 접촉하는 면은 저마찰소재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한다.
상기 하부지지부재는, 중심부가 하단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지지오목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부재는, 상기 하부지지오목홈과 대칭되도록 중심부가 상단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지지오목홈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오목홈 및 상기 상부지지오목홈 간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지지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볼부재는, 상기 하부오목홈 및 상기 상부오목홈과 접하도록 굴러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는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하부지지부재 및 상기 상부지지부재는, 내부에 상기 진동방해물질을 수용한다.
본 발명인 수출용 포장박스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된 화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에 의한 화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진동흡수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진동흡수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의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판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방사선조사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는 내부 공간에 수출용 화물(A)을 수용하여 항공, 해상 또는 육로를 통해 운송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는, 도 1을 참조하면, 하판(100), 측판(200), 상판(300) 및 지지부재(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판(100)은, 상면에 화물(A, 도 8 참조)이 설치된다. 이때의 화물(A)은 진공포장, 랩핑과정 등을 거친 후 하판(100)의 상면에 설치된다. 하판(100)의 상면에 설치된 화물(A)은 설치된 위치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목(미도시)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화물(A)을 고정하는 고정목은 하판(100) 뿐만 아니라 측판(2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하판(100)의 상면에는, 화물(A)에 가해지는 수평방향 진동을 흡수하는 복수개의 진동흡수모듈(110)이 포함되어 하판(100)의 상면을 복수개로 구획하며 진동흡수모듈(110)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후술한다.
하판(100)의 하부에는, 하판(10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재(400)가 포함된다. 지지부재(40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의 수직방향 하중을 견디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400)를 통해 하판(10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에는 지게차(Fork Lift, Stacker)의 포크가 삽입되어 수출용 포장박스(1000)를 운반한다. 도 1은 도시의 편의상 지지부재(400)가 하판(100)의 각 꼭지점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 꼭지점에서 타 꼭지점을 향해 연장되도록 일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판(100)의 모서리에는 하판(100)과 직각방향으로 하판(100)의 모서리를 둘러 결합되는 복수개의 측판(200)이 포함된다. 복수개의 측판(200)은 각 모서리가 서로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의 측면을 이룬다. 측판(200)의 각 모서리가 서로 결합된 부분에는, 도 2를 통해 후술할 지주(210)가 포함된다.
측판(200)의 상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의 내부 공간을 마침내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상판(300)이 결합된다. 상판(300)은 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도 8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판(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측판(200)의 일 모서리가 서로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의 측면을 이룬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측판(200) 각 모서리가 서로 결합된 부분에는 지주(210)가 포함된다. 지주(210)는 측판(200)의 모서리가 서로 결합된 부분 뿐만 아니라 단일 측판(200)의 일면에도 포함될 수 있다. 지주(210)는 하판(100)의 모서리와 상판(300)의 모서리를 연결하며, 하판(100)의 꼭지점과 상판(300)의 꼭지점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지주(210)는 하판(100) 및 상판(300)과 직각방향으로 결합된다. 측, 하판(100) 및 상판(300)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한다면, 지주(210)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한다. 지주(210)는 상판(300)의 무게를 지지한다. 지주(210)는 내부에 진동방해물질을 수용한다.
진동방해물질은 물, 기름 등 유동성 물질을 포함한다. 어떠한 재료의 용기라도 그 속에 물, 기름 등 유동성 물질이 담겨있으면 두드렸을 때 소리가 매우 작으며 그 소리의 여운도 짧다. 이는 용기에 담겨있는 유동성 물질이 용기의 진동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주(210)는 진동방해물질을 포함하여 지주(210) 내부로의 진동을 방해 및 흡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 내부에 수용된 화물(A)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21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210)는, 도 2를 참조하면, 내부에 진동방해물질이 수용되는 관(211)을 구비한다. 관(211)은 지주(2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주(210)는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관(211)도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다. 관(211)의 양단은 관(211)의 내부에 진동방해물질이 수용된 후 마감되어 관(211)의 내부공간은 진동방해물질이 수용된 후 밀폐된다. 관(211)의 양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211)의 양단은 지주(210)의 양단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판(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진동흡수모듈(11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진동흡수모듈(11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판(100)의 상면에는 화물(A)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진동흡수모듈(110)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진동흡수모듈(110)은, 도 3을 참조하면, 하편의 상면을 복수개로 구획한다. 복수개의 진동흡수모듈(110) 간의 간격은 도시의 편의상 멀게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더 가까운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흡수모듈(110)은, 도 4를 참조하면, 하판(100)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하부패널(113), 하부패널(113)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패널(115)을 포함한다. 하부패널(113) 및 상부패널(115) 간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에는 볼부재(117)가 포함된다. 상세하게는, 하부패널(113)은 중심부가 하단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오목홈(114)을 포함하고, 상부패널(115)은 그 하부오목홈(114)과 대칭되도록 중심부가 상단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오목홈(116)을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오목홈(114) 및 상부오목홈(116) 간 형성되는 공간에는 볼부재(117)가 설치된다. 볼부재(117)의 외면은 하부오목홈(114) 및 상부오목홈(116)과 접하도록 굴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진동흡수모듈(110)의 하부패널(113)과 상부패널(115)은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하부오목홈(114), 상부오목홈(116) 및 볼부재(117)에 의해 진동흡수모듈(110)은 하판(100)을 향해 이동한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진동흡수모듈(110)의 특정 측면에는,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자석부재(111, 112)가 더 포함된다. 서로 인접한 진동흡수모듈(110)의 특정 측면에는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N극과 S극이 할당된 자석부재(111, 112)가 포함된다.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하부패널(113) 및 상부패널(115)은 일정 거리 이동한 후 자석부재(111, 112)의 척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원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패널(113) 및 상부패널(115)은 내부에 전술한 진동방해물질이 수용된다. 따라서 진동방해물질을 통해 진동흡수모듈(110)은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함과 함께, 다른 방향의 진동도 흡수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 내부로 향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하부패널(113) 및 상부패널(115)의 내부에는 진동방해물질이 수용되는 공간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4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400)의 일 실시예는, 도 5를 참조하면, 하부지지부재(410) 및 상부지지부재(420)를 포함한다. 하부지지부재(410)는 하부면이 지면에 접촉한다. 상부지지부재(420)의 하부면은 하부지지부재(410)의 상부면에 접한다. 이때 하부지지부재(410) 및 상부지지부재(420)의 각각 서로 접촉하는 면(401)은 공지된 저마찰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지지부재(420)와 하부지지부재(410)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지지부재(400)는,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한다. 저마찰소재는, 예를 들어, 질화규소를 통한 세라믹 저마찰소재, 저마찰다결정 다이아몬드 및 DLC(Diamond Like Carbon) 코팅을 통한 저마찰소재, 호스타폼(Hostaform) MT 슬라이드X(SlideX) POM 열가소성 수지 폴리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4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부재(410) 및 상부지지부재(420)는 각각, 도 6을 참조하면, 하부지지오목홈(4101) 및 상부지지오목홈(4201)을 포함한다. 하부지지부재(410)는 중심부가 하단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지지오목홈(4101)을 포함하고, 상부지지부재(420)는 그 하부지지오목홈(4101)과 대칭되도록 중심부가 상단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지지오목홈(4201)을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지지오목홈(4101) 및 상부지지오목홈(4201) 간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지지볼부재(117)가 설치된다. 지지볼부재(117)는 외면이 하부오목홈(114) 및 상부오목홈(116)과 접하도록 굴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지지부재(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지지부재(420)와 하부지지부재(410)의 서로 접촉하는 면(401)이 저마찰소재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과 함께 하부오목홈(114), 상부오목홈(116) 및 지지볼부재(117)에 의해 수평방향의 진동을 더 흡수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 내부에 수용된 화물(A)로 향하는 진동을 방해 및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400)의 하부지지부재(410) 및 상부지지부재(420)는, 진동흡수모듈(110)의 하부패널(113) 및 상부패널(115)과 달리, 상부지지부재(420) 및 하부지지부재(410)의 서로 접하는 면(401)이 존재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진동흡수모듈(110)과 달리 지지부재(400)는 하중을 지지하는 면적이 좁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 및 내부에 수용된 화물(A)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지지부재(420) 및 하부지지부재(410)의 서로 접하는 면(401)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지지부재(410) 및 상부지지부재(420)의 내부에는, 전술한 진동방해물질이 수용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400)의 수평방향의 진동 흡수와 함께 다른 방향의 진동도 함께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부지지부재(410) 및 상부지지부재(420)의 내부에는 진동방해물질이 수용되는 공간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400)의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400)는, 도 7을 참조하면, 하부지지부재(410) 및 상부지지부재(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400)는 하부지지부재(410) 및 하부지지부재(41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상부지지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지지부재(410)는, 아래에서부터 제1 하부지지부재(411), 제2 하부지지부재(413) 및 제3 하부지지부재(415)를 포함하며, 상부지지부재(420)는 아래에서부터 제1 상부지지부재(421), 제2 상부지지부재(423) 및 제3 상부지지부재(425)를 포함한다.
하부지지부재(410)의 최하부면에 위치하는 제1 하부지지부재(411)는 수출용 포장박스(1000)의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위치되어야 하므로, 유연성 및 방수에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하부지지부재(411)는 설치 장소의 바닥면과 밀착하여 설치되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설치 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수분침투 등의 이물질 오염을 막기 위해 방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지지부재(411)의 하부면은 외부의 충격시 발생하는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내구성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지지부재(42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제3 상부지지부재(425)는 하판(100)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위치하여야 하므로, 수출용 포장박스(1000)의 하중으로 인한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부지지부재(42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제3 상부지지부재(425)는 휨 강도가 우수한 철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지지부재(410)는 제1 하부지지부재(411), 제2 하부지지부재(413) 및 제3 하부지지부재(4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하부지지부재(411)는 지진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진동을 흡수시킬 수 있는 고무 등의 진동 흡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부지지부재(411)는 고무나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가지게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수직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게 될 수 있다.
제2 하부지지부재(413)는,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 하부 서스펜더(4133) 및 하부 공간(4135)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는 제2 하부지지부재(41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 및 후술할 상부 방진고무패드(4231)는 4개의 다각형으로 동일한 형상,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는 지진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흡수시킬 수 있는 고무 등의 진동 흡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는 제1 하부지지부재(41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제1 하부지지부재(411)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가 모두 고무나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직 방향의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의 하부면과 제1 하부지지부재(411)의 상부면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와 제1 하부지지부재(411)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부지지부재(411)와 제2 하부지지부재(413)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서스펜더(4133)는 복귀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 소재로 이루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서스펜더(4133)의 하부면과 제1 하부지지부재(411)의 상부면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하부 서스펜더(4133)와 제1 하부지지부재(411)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부지지부재(411)와 제2 하부지지부재(413)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의 하부면과 제1 하부지지부재(411)의 상부면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와 제1 하부지지부재(411)를 고정 결합하며, 하부 서스펜더(4133)의 상부면과 제3 하부지지부재(415)의 하부면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하부 서스펜더(4133)와 제3 하부지지부재(415)를 고정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와 하부 서스펜더(4133)의 측면은 서로 고정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와 하부 서스펜더(4133)의 측면이 고정결합되지 않음으로써, 지진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지지부재(400)가 하판(100)으로부터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원래 위치 또는 형상으로의 복귀 기능이 있는 하부 서스펜더(4133)의 원활한 복귀 동작에 의해 수평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할 수 있다.
하부 공간(4135)은 제1 하부지지부재(411)와 제3 하부지지부재(415) 사이의 진공 공간을 유지함으로써, 하부 서스펜더(4133)의 탄성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진동 또는 외부 충격시 발생하는 수평 방향의 진동을 더욱 용이하게 흡수 및 감쇠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 공간(4135) 내부에는 전술한 진동방해물질이 수용될 수도 있다.
제3 하부지지부재(415)는 제2 하부지지부재(413)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하부지지부재(415)는 전술한 저마찰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 하부지지부재(415)의 하부면과 제2 하부지지부재(413)의 상부면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제2 하부지지부재(413)와 제3 하부지지부재(415)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하부지지부재(413)와 제3 하부지지부재(415)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하부지지부재(410)는 지진 또는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진동을 흡수하는 소재로 이루어져 순서대로 적층되는 제1 하부지지부재(411) 및 제2 하부지지부재(413)의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에 의해 수직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하고,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의 사이에 배치된 하부 서스펜더(4133)의 복귀 기능에 의해 수평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40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부재(420)는 제1 상부지지부재(421), 제2 상부지지부재(423) 및 제3 상부지지부재(4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지지부재(420)의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부재(410)의 구조와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하부지지부재(410)의 구조에 대하여 반전된 구조일 수도 있다. 이때, 하부지지부재(410)의 제1 하부지지부재(411)와 상부지지부재(420)의 제3 상부지지부재(425)의 구조 및 기능이 서로 동일하고, 하부지지부재(410)의 제2 하부지지부재(413)와 상부지지부재(420)의 제2 상부지지부재(423)의 구조 및 기능이 서로 동일하며, 하부지지부재(410)의 제3 하부지지부재(415)와 상부지지부재(420)의 제1 상부지지부재(421)의 구조 및 기능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하부지지부재(415)의 전체면에 맞대응하여 적층되는 제1 상부지지부재(421)가 동일한 저마찰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진 또는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수평 방향에 대한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상부지지부재(420) 및/또는 화물(A)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제2 상부지지부재(423)는 상부 방진고무패드(4231), 상부 서스펜더(4233) 및 상부 공간(42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방진고무패드(4231)는 제2 상부지지부재(42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방진고무패드(4231)는 지진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흡수시킬 수 있는 고무 등의 진동 흡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 방진고무패드(4231)의 하부면과 제1 상부지지부재(421)의 상부면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상부 방진고무패드(4231)와 제1 상부지지부재(421)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부지지부재(423)와 제1 상부지지부재(421)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서스펜더(4233)는 복귀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 소재로 이루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 상부지지부재(425)의 하부면과 상부 서스펜더(4233)의 상부면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상부 서스펜더(4233)와 제3 상부지지부재(425)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부지지부재(423)와 제3 상부지지부재(425)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부 방진고무패드(4231)와 상부 서스펜더(4233)의 측면은 서로 고정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부 방진고무패드(4231)와 상부 서스펜더(4233)의 측면이 고정결합되지 않음으로써, 지진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지지부재(400)가 하판(100)으로부터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원래 위치 또는 형상으로의 복귀 기능이 있는 상부 서스펜더(4233)의 원활한 복귀 동작에 의해 수평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할 수 있다.
상부 공간(4235)은 제1 상부지지부재(421)와 제3 상부지지부재(425) 사이의 진공 공간을 유지함으로써, 상부 서스펜더(4233)의 탄성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진동 또는 외부 충격시 발생하는 수평 방향의 진동을 더욱 용이하게 흡수 및 감쇠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 공간(4235) 내부에는 전술한 진동방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상부지지부재(425)는 상부 방진고무패드(4231)와 동일한 재질, 예를 들어, 지진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진동을 흡수시킬 수 있는 고무 등의 진동 흡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상부 방진고무패드(4231)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제3 상부지지부재(425)가 모두 고무나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직 방향의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상부지지부재(423)의 상부면과 제3 상부지지부재(425)의 하부면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제2 상부지지부재(423)와 제3 상부지지부재(425)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부지지부재(423)와 제3 상부지지부재(425)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부지지부재(420)는 지진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 진동을 흡수하는 소재로 이루어져 순서대로 적층되는 제2 상부지지부재(423)의 상부 방진고무패드(4231) 및 제3 상부지지부재(425)에 의해 수직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하고, 상부 방진고무패드(4231)의 사이에 배치된 상부 서스펜더(4233)의 복귀 기능에 의해 수평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지지부재(410) 및 상부지지부재(420)를 포함하는 지지부재(400)는 지진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수직 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함으로써, 진동 흡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저마찰소재로 이루어지는 제3 하부지지부재(415) 및 제1 상부지지부재(421)가 별도의 접착제 없이 맞대응하여 위치함으로써, 수평 방향의 진동을 흡수 및 감쇠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지지부재(400)는 하부지지부재(410) 및 상부지지부재(420)가 교대로 반복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400)는 수출용 포장박스(1000)의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순차적으로 제1 하부지지부재(411), 제2 하부지지부재(413), 제3 하부지지부재(415)가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1 하부지지부재(411)와 제2 하부지지부재(413) 사이 및/또는 제2 하부지지부재(413)와 제3 하부지지부재(415)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부지지부재(413)는 하부 서스펜더(4133) 및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서스펜더(4133) 및 하부 방진고무패드(4131)는 순서에 상관없이 제1 하부지지부재(411)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적층될 수 있다. 다음, 제3 하부지지부재(415)의 전체면에 제1 상부지지부재(421)가 맞대응하여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3 하부지지부재(415)와 제1 상부지지부재(421)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제1 상부지지부재(421)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제2 상부지지부재(423)가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상부지지부재(423)는 상부 방진고무패드(4231) 및 상부 서스펜더(4233)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방진고무패드(4231) 및 상부 서스펜더(4233)는 순서에 상관없이 제1 상부지지부재(421)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적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2 상부지지부재(423) 위에 제3 상부지지부재(425)가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1 상부지지부재(421)와 제2 상부지지부재(423)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하부지지부재(415) 및 제1 상부지지부재(421)는 각각,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오목홈(4101) 및 상부지지오목홈(4201)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하부지지부재(415) 및 제1 상부지지부재(421)가 각각 포함하는 하부지지오목홈(4101) 및 상부지지오목홈(4201) 간 형성되는 공간에는 지지볼부재(117)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하부지지부재(415) 및 제1 상부지지부재(421) 간 수평방향의 진동 흡수를 더욱 극대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지지부재(411), 제2 하부지지부재(413), 제3 하부지지부재(415), 제1 상부지지부재(421), 제2 상부지지부재(423) 및 제3 상부지지부재(425)의 두께는 도 7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판(300)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x선 조사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판(300)은, 도 8을 참조하면, 내부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판(300)의 내부공간에는 하부의 화물(A)을 향해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조사수단(3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판(300)의 내부공간에 방사선조사수단(310)이 구비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하판(100), 측판(200) 및 상판(300)은 방사선의 차폐가 가능하도록 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하판(100), 측판(200) 및 상판(300)은 모두 방사선의 차폐가 가능하도록 납을 포함한 연판을 포함하여 제작된다. 이때 연판은, 일 실시예로서 99% 이상의 납을 포함할 수 있다. 하판(100), 측판(200) 및 상판(300)의 차폐 납 중량은, 일 실시예로서, 납 연판의 두께 6mm인 경우 500kg 내외의 납이 소요되고, 상판(300)은 98kg, 측판(200) 및 하판(100)은 134kg의 납 연판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는, 방사선차폐시설을 포함하며, 현장 방사선 조사 가능한 신고발생장치 용량의 차폐시설일 수 있다.
방사선조사수단(310)은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을 포함한다. 방사선원은 화물(A)을 향해 방사선을 조사한다. 방사선은, x-ray 또는 γ-ray일 수 있다. 방사선원은 x-ray를 조사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 즉 예를 들면 공지된 엑스선 튜브(미도시) 또는 공지된 엑스선 발생장치(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원이 조사하는 x-ray는 방사선 조사 대상물의 밀도와 두께에 따라 에너지 및 투과량이 달라질 수 있다. 방사선원이 γ-ray를 조사하는 경우 co-60 또는 ir-192가 사용될 수 있다. 방사선원이 γ-ray를 조사하는 경우, γ-ray 조사기는 소형 및 경량으로 야외촬영에 편리하며, 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하고 좁은 곳에서도 방사선원을 밀어 넣어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방사선 에너지를 조절할 수 없어 x-ray를 사용하여 취득한 투과이미지보다 상질이 떨어지며, 방사선 노출을 중지 시킬 수 없어 방사선 안전관리에 주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원이 조사하는 방사선은 x-ray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일 실시예로서 x-ray의 출력은 150kv, 3mA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의 내부공간에는 방사선이 조사되는 이미지플레이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플레이트는, 일정 두께를 갖는 유연한 판으로 휘진성 형광체가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휘진성 형광체는, 엑스선, 전자, 자외선 등에 의해 여기(勵起)될 때, 준에너지 상태에서 흡수된 에너지를 저장한다. 휘진성 형광체는,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 자극을 받게 되면 흡수된 에너지에 대응하는 에너지를 발광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미지플레이트는 x-ray에 의해 감광되어 잠상이 형성된다. 이미지플레이트에 감광되어 형성된 잠상은 이미지변환부(미도시)에 의해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현상처리 될 수 있다. 방사선 조사 대상물의 내부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이물질의 밀도가 대부분 방사선 조사 대상물의 밀도보다 작아서 이물질 부분을 투과한 방사선 양이 방사선 조사 대상물을 투과한 선량에 비해 많기 때문에, 잠상 또는 변환된 최종 이미지에서 검게 나타날 수 있다. 이미지플레이트에 감광되어 형성된 잠상은 CR 시스템의 공지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이미지변환부는, 예를 들면, 이미지플레이트에 감광되어 형성된 잠상을 현상처리하는 데 필요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변환부는, 광학스캐너(미도시), 광전자증배관(미도시), A/D 컨버터(미도시) 또는 이미지프로세서(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스캐너는 이미지플레이트의 표면을 스캔할 수 있고, 광전자증배관은, 이미지플레이트에 형성된 잠상을 광학적 신호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A/D 컨버터는 광전자증배관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A/D 컨버터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이미지프로세서의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프로세싱 이미지로 변환되고, 최종적인 프로세싱 이미지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컴퓨터와 같은 영상처리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수단(310) 및 이미지플레이트 사이에는,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플레이트 상에는 방사선 조사 대상물인 화물(A)이 배치될 수 있다. 화물(A)에 방사선이 조사되면, 조사된 방사선이 화물(A)을 통과하고, 이미지플레이트를 감광시켜, 이미지플레이트 상에서 잠상을 형성한다. 이미지플레이트 상에서 형성된 잠상을 통해 화물(A)이 수출용 포장박스(1000) 내부에 고정된 모습, 화물(A)이 고정된 위치, 고정된 각도 또는 화물(A)의 내부구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수출용 포장박스(1000)의 내부는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포장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내부의 모습을 볼 수가 없다. 따라서 운송 중 발생하는 충격, 진동 등에 의해 화물(A)에 손상이 가해져 내부결함이 발생하거나 최초 설치된 위치에서 변동된 사실은 수출용 포장박스(1000)를 해체하기 전에는 알 수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의 상판(300) 내부공간에 전술한 바와 같이 방사선조사수단(310) 및 그에 따른 구성들을 포함하여 화물(A)의 고정된 위치에서의 변동, 화물(A)의 내부구조 또는 화물(A)의 내부결함을 수출용 포장박스(1000)를 해체하지 않고서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포장박스(1000)는, 화물(A)이 고정된 위치가 변동하거나, 화물(A)의 내부결함이 발생한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인디케이터는 측판(200)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최초 화물(A)이 고정된 상태에서의 방사선 조사 이미지와, 운송 중 또는 운송 완료 후의 방사선 조사 이미지의 차이를 연산하여 화물(A)이 고정된 위치의 변동, 화물(A)의 내부결함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수단(310)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수출용 포장박스(1000)의 운송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흡수탄성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흡수탄성수단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중심부는 고무, 스프링 등 탄성수단이 구비되고, 상면과 하면은 각각 방사선조사수단(310) 및 상판(300)의 각 벽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진동흡수탄성수단에 의해 고르지 못한 노면 등에서의 이동에 의해 생기는 진동을 흡수하여 방사선조사수단(310)의 내구성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또한 방사선조사수단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방사선조사수단이 위치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트 장치(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수단(310)의 하단부인 상판(300)의 하부에는 방사선이 투과되는 방사선조사창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조사수단(310) 부근에는 방사선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장치(미도시) 및 방사선을 제어하는 방사선제어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 하판 110 : 진동흡수모듈
111 : 자석부재 112 : 자석부재
113 : 하부패널 114 : 하부오목홈
115 : 상부패널 116 : 상부오목홈
117 : 볼부재 200 : 측판
210 : 지주 211 : 관
300 : 상판 310 : 방사선조사수단
400 : 지지부재 410 : 하부지지부재
4101 : 하부지지오목홈 411 : 제1 하부지지부재
413 : 제2 하부지지부재 4131 : 하부 방진고무패드
4133 : 하부 서스펜더 4135 : 하부 공간
415 : 제3 하부지지부재 420 : 상부지지부재
4201 : 상부지지오목홈 421 : 제1 상부지지부재
423 : 제2 상부지지부재 4231 : 상부 방진고무패드
4233 : 상부 서스펜더 4235 : 상부 공간
425 : 제3 상부지지부재 1000 : 수출용 포장박스
A : 화물

Claims (5)

  1. 내부 공간에 수출용 화물을 수용하는 수출용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는,
    상면에 상기 화물이 설치되는 하판;
    상기 하판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하판의 모서리를 둘러 결합되는 측판;
    상기 측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상판; 및
    상기 하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판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측판에는 상기 하판의 모서리와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연결하며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주가 더 포함되고,
    상기 지주는 상기 상판의 무게를 지지하며, 내부에 진동방해물질을 수용하고,
    상기 지주는, 내부에 상기 진동방해물질이 수용되는 관을 구비하며,
    상기 관은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방해물질은 유동성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하판의 상면에는 상기 화물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진동흡수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진동흡수모듈 각각은,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하부패널; 및
    상기 하부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패널은, 중심부가 하단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오목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하부오목홈과 대칭되도록 중심부가 상단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오목홈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흡수모듈 각각은,
    상기 하부오목홈 및 상기 상부오목홈 간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볼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부재는, 상기 하부오목홈 및 상기 상부오목홈과 접하도록 굴러 이동하여 상기 진동흡수모듈은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하부패널 및 상기 상부패널은, 내부에 상기 진동방해물질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용 포장박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하부면이 지면에 접촉하는 하부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 상부면에 하부면이 접하는 상부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부재 및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각각 서로 접촉하는 면은 저마찰소재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용 포장박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재는, 중심부가 하단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지지오목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부재는, 상기 하부지지오목홈과 대칭되도록 중심부가 상단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지지오목홈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오목홈 및 상기 상부지지오목홈 간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지지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볼부재는, 상기 하부오목홈 및 상기 상부오목홈과 접하도록 굴러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는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하부지지부재 및 상기 상부지지부재는, 내부에 상기 진동방해물질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용 포장박스.
KR1020210161002A 2021-11-22 2021-11-22 수출용 포장박스 KR102415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002A KR102415939B1 (ko) 2021-11-22 2021-11-22 수출용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002A KR102415939B1 (ko) 2021-11-22 2021-11-22 수출용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939B1 true KR102415939B1 (ko) 2022-07-05

Family

ID=8240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002A KR102415939B1 (ko) 2021-11-22 2021-11-22 수출용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277B1 (ko) 2023-06-29 2024-02-06 주식회사 천우글로벌수출포장 내구성이 강화된 수출용 포장 케이스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0967A (ja) * 2001-12-03 2003-06-17 Nippon Avionics Co Ltd 高衝撃・振動吸収構造体
KR20070013698A (ko) * 2005-07-27 2007-01-31 이분옥 이중완충수단을 갖는 파렛트
KR20070017521A (ko) * 2004-07-23 2007-02-12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판형상체 곤포 상자, 판형상체 반송 방법 및 판형상체적재·취출 방법
KR20130109683A (ko) * 2012-03-28 2013-10-08 양동호 볼베어링 타입 면진 장치
KR101457902B1 (ko) 2014-08-11 2014-11-12 주식회사 성화수출포장 수출용 포장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1552219B1 (ko) 2015-06-03 2015-09-18 (주)케이에이치수출포장 수출 포장용 목재 박스
KR101946815B1 (ko) * 2018-03-16 2019-02-12 유태윤 포장용 조립식 상자
KR102123551B1 (ko) * 2020-02-19 2020-06-16 장정환 포장박스 조립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0967A (ja) * 2001-12-03 2003-06-17 Nippon Avionics Co Ltd 高衝撃・振動吸収構造体
KR20070017521A (ko) * 2004-07-23 2007-02-12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판형상체 곤포 상자, 판형상체 반송 방법 및 판형상체적재·취출 방법
KR20070013698A (ko) * 2005-07-27 2007-01-31 이분옥 이중완충수단을 갖는 파렛트
KR20130109683A (ko) * 2012-03-28 2013-10-08 양동호 볼베어링 타입 면진 장치
KR101457902B1 (ko) 2014-08-11 2014-11-12 주식회사 성화수출포장 수출용 포장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1552219B1 (ko) 2015-06-03 2015-09-18 (주)케이에이치수출포장 수출 포장용 목재 박스
KR101946815B1 (ko) * 2018-03-16 2019-02-12 유태윤 포장용 조립식 상자
KR102123551B1 (ko) * 2020-02-19 2020-06-16 장정환 포장박스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277B1 (ko) 2023-06-29 2024-02-06 주식회사 천우글로벌수출포장 내구성이 강화된 수출용 포장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939B1 (ko) 수출용 포장박스
Love et al. A hybrid structural control system using a tuned liquid damper to reduce the wind induced motion of a base isolated structure
JP2007297898A (ja) 地下シェルターおよび地下シェルター耐力間仕切壁形成方法
KR101537369B1 (ko) 건축물의 진동 완화용 복합형 댐퍼
JPS5963592A (ja) 固体原子炉用耐震支持構造体
CN101548160A (zh) 具有包含辐射屏蔽材料的结构梁的散装材料分析仪装置
IT201800002453A1 (it) Dispositivo antisismico
ES2618313T3 (es) Cuerpo estructural para construcciones de protección contra la radiación
KR20190036675A (ko) 서버랙의 면진장치
KR102353007B1 (ko) 동흡진기를 장착한 원전설비용 3차원 통합 면진장치
KR101879420B1 (ko) 내진성능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또는 분전반 그리고 그 설치방법
JP2017207370A (ja) 放射線遮蔽体
JP2013170894A (ja) 放射線防護体
US7244951B2 (en) Stimulable phosphor panel
JP2013170890A (ja) 放射線遮蔽容器
CN108463928A (zh) 系统隔离和光学隔间密封
KR101933870B1 (ko) 아파트 구조물의 저층부 측 내진설계를 갖는 내진 보강방법
JPH04111810A (ja) 水中免震構法及び水中免震構造
JP2013170891A (ja) 放射線防護体
Shrestha et al. On component isolation of conceptual advanced reactors
Poudel Effect of Torsional Ground Motion Component on Floor Acceleration Response in Flexible SMRF Buildings
JP2001228286A (ja) キャスクの制振装置
JP2013170892A (ja) 放射線防護体
JP6295021B2 (ja) 放射性汚染物質保管施設とその構築方法
JP2005106554A (ja) 放射性物質貯蔵建物および放射性物質貯蔵建物における換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