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751Y1 - 적재용 파레트 - Google Patents
적재용 파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9751Y1 KR200469751Y1 KR2020130002688U KR20130002688U KR200469751Y1 KR 200469751 Y1 KR200469751 Y1 KR 200469751Y1 KR 2020130002688 U KR2020130002688 U KR 2020130002688U KR 20130002688 U KR20130002688 U KR 20130002688U KR 200469751 Y1 KR200469751 Y1 KR 20046975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truts
- fixing piece
- bottom portion
- loa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3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to the pallet
- B65D2519/00641—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수산물이나 기타 제품을 다단으로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는 적재용 파레트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네 모서리 부근에서 연결되는 전.후방 지주, 상기 전후방 지주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용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재용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주들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외측면에서 결합되며, 상기 후방 지주들은 상기 바닥부의 배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 지주간 거리보다 상기 후방 지주간 거리가 좁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용 레일은 상기 지주에 대해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받침용 레일의 전후 양단부에 고정편이 결합되고, 상기 전방 지주의 후방면과 상기 후방 지주의 외측면에 상기 고정편이 끼워지는 결합구가 마련됨으로써 적재함을 포개어 보관시 상기 결합구로 인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파레트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농수산물이나 기타 제품을 다단으로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는 적재용 파레트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적재용 파레트에 삽입되는 적재함들을 기존 적재용 파레트와 비교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많이 포개어 사용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각종 농산품의 경우 수확 후 바로 판매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여러 사정상 저온 창고에서 장시간 보관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농산품을 보관할 때 보통 다단 적재가 가능한 적재용 파레트를 이용하게 된다.
본 고안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50830호의 "농수산물 보관용 파레트"가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농수산물 보관용 파레트는 사각형의 베이스프레임(2) 양측 전후방에 지주(3,3')를 세우고, 후방에 위치하는 양측 지주(3')의 상단을 연결부재(4)로 용접 연결하고, 연결부재(4)와 베이스프레임(2)간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5)를 용접하여 보강하고, 전후측 지주(3,3')의 상단을 연결부재(6)로 연결하고 그 하측으로는 전후측 지주 상간에 베이스프레임(2)과 수평방향으로 1개 이상의 레일(7)을 배치하여 각목과 같은 받침대(8)를 안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레일(7)을 지주(3,3')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주에 다수개의 결합공(9)을 형성하고 레일의 양측 단부에 결합공(9)에 끼울 수 있는 고정편(10)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결합공(9)에 고정편(10)을 끼워 레일(7)을 결합한 후 레일 위에 받침대(8)를 놓거나 받침대없이 박스 형태를 적재함을 올려두게 된다. 적재함에는 보관하고자 하는 농산물이 수용된다. 수용되는 농산물에 따라 하나의 적재용 파레트에 다수개의 적재함이 설치될 수 있다.
적재용 파레트를 미사용시에는 보관 장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적재함을 적재용 파레트에 끼워서 적재함을 다단으로 포개어 쌓아두게 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지주에 마련되는 결합공(9)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지주(3)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적재함을 쌓을 때 적재함의 좌우 끝단이 결합공에 걸려서 쉽게 적재용 파레트 속으로 넣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적재함을 적재용 파레트에 넣어 적층할 시 결합공에 적재함의 좌우 끝단이 걸림으로써 적재함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2와 같은 종래기술이 있었다.
전방 지주(200)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구(M)를 지주의 높이방향으로 중간쯤에 하나만 마련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결합구(M) 이하의 높이까지만 적재함(90)을 적층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또 다른 종래기술로 도 3과 같은 기술도 있었다.
적재용 파레트에 적층 보관되는 적재함(90)과 결합구(M)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두 전방 지주(200)간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한 것이다. 전방 지주(200)간 거리를 증가시킴에 따라 적재용 파레트에 적재함(90)을 보다 쉽게 넣거나 빼낼 수 있지만, 적재함(90)과 전방지주(200)간 공간이 넓어져 적재함(90)이 다단 적층된 상태로 적재용 파레트를 옮기는 경우와 같은 경우 적재함(90)이 좌우로 흔들려 전복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적재용 파레트는 적재용 파레트 자체를 2단 이상으로 쌓아두기도 한다. 이를 위해 전후방 지주 상단에 삿갓 형태의 제2연결부재(A2)를 두게 되며, 제2연결부재(A2)의 위치는 전방지주(200)의 중심축보다 내측으로 편심된 위치가 된다. 따라서 적재함(90)과 결합공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전방 지주(200)간 거리를 멀게 할수록 적재용 파레트를 적층시 전방지주(200) 상단에 연결되는 브라켓(210)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가 증가되어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방 지주와 후방 지주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탈부착이 가능한 받침용 레일을 두도록 하는 적재용 파레트를 제공하되,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받침용 레일의 설치를 위해 전방 지주에 마련되는 결합구의 위치를 개선함으로써 적재용 파레트에 보관하게 되는 적재함과 결합구의 간섭을 배제하여 사용상 편리하고, 보다 많은 적재함을 적층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적재용 파레트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네 모서리 부근에서 연결되는 전.후방 지주, 상기 전후방 지주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용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재용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주들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외측면에서 결합되며, 상기 후방 지주들은 상기 바닥부의 배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 지주간 거리보다 상기 후방 지주간 거리가 좁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용 레일은 상기 지주에 대해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받침용 레일의 전후 양단부에 고정편이 결합되고, 상기 전방 지주의 후방면과 상기 후방 지주의 외측면에 상기 고정편이 끼워지는 결합구가 마련됨으로써 적재함을 포개어 보관시 상기 결합구로 인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전방 지주의 후방면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구에 끼워지는 고정편은, 상기 받침용 레일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ㄱ 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적재용 파레트는 적재용 파레트에 다수의 적재함을 적층 보관할 때 결합구로 인한 간섭이 없어 적재함을 보다 쉽게 적재할 수 있고, 보다 많은 적재함을 적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방지주에 결합되는 결합구를 여러 개 마련하여도 적재함의 보관에 지장이 없기 때문에 실제 적재용 파레트를 사용할 시에는 다수의 결합구를 이용하여 적재용 파레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존 방식과 달리 전방지주간 거리를 멀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적재함이 다수 적층된 상태로 적재용 파레트를 이동하거나 할 시 적재함의 좌우 흔들림이 적어 안정성이 높다는 효과가 있고, 전방지주의 최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적재용 파레트의 다단 적층시에도 연결부재를 받치는 브라켓에 과도한 굽힘 모멘트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농수산물 보관용 파레트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또 다른 종래기술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적재용 파레트의 사시도.
도 5는 결합구에 보관용 레일의 고정편이 결합되는 관계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6은 보관용 레일을 제거한 상태에서 적재함을 적층하는 사용 상태도.
도 7은 고정편과 결합구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대한 결합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또 다른 종래기술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적재용 파레트의 사시도.
도 5는 결합구에 보관용 레일의 고정편이 결합되는 관계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6은 보관용 레일을 제거한 상태에서 적재함을 적층하는 사용 상태도.
도 7은 고정편과 결합구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대한 결합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적재용 파레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결합구에 보관용 레일의 고정편이 결합되는 관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보관용 레일을 제거한 상태에서 적재함을 적층하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고정편과 결합구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적재용 파레트는 기본적으로 사각 형상의 바닥부(100)가 마련되며, 바닥부(100)의 네 모서리 부근에서 하나씩의 지주가 수직 상방으로 연결되며, 특히 앞쪽 두 개의 지주는 전방 지주(200)라 하며, 뒷쪽 두 개의 지주는 후방 지주(300)라 부르도록 한다.
그리고 두 후방 지주(300) 상단을 연결시키는 제1연결부재(A1)가 마련되며, 전방 지주(200) 상단 내측에는 짧은 브라켓(210)이 결합되며, 브라켓(210)과 제1연결부재(A1)를 연결시키는 삿갓 형태의 제2연결부재(A2)가 마련된다. 그리고 바닥부(100)의 좌우 양단에도 삿갓 형태의 바닥홈(110)이 마련된다.
삿갓 형태의 바닥홈(110)과 삿갓 형태의 제2연결부재(A2)를 두는 것은 어느 하나의 적재용 파레트 위에 또 다른 적재용 파레트를 적층하고자 할 때 정확하게 제2연결부재(A2)에 바닥홈(110)이 맞물려 자리를 잡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방 지주(200)들은 바닥부(100)의 좌우 외측면에서 결합되나, 후방 지주(300)들은 바닥부(100)의 배면쪽에 결합되되, 전방 지주(200)간 거리보다 후방 지주(300)간 거리가 좁도록 형성된다. 물론 전방 지주(200)간 거리보다 후방 지주(300)간 거리가 좁도록 하는 것은 종래기술에서도 실시되고 있던 공지의 기술이다.
전방 지주(200)와 후방 지주(300)를 이용하여 적재용 파레트를 공간적으로 구획하여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받침용 레일(400)이 마련된다. 즉, 받침용 레일(400)은 도면과 같이 좌측 또는 우측의 전방 지주(200)와 후방 지주(300)를 연결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특히, 본 고안의 경우 받침용 레일(400)은 전방 지주(200) 및 후방 지주(300)에 대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다.
받침용 레일(400)이 전후방 지주(200,300)에 대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받침용 레일(400)의 전후 양단부의 하면에 고정편이 결합되며, 전방 지주(200)의 후방면 및 후방 지주(300)의 외측면에는 고정편이 끼워지는 결합구가 마련된다. 고정편 중 받침용 레일(400)의 전방측에 결합되는 것을 전방 고정편(K1)이라 하며, 후방측에 결합되는 것을 후방 고정편(K2)이라 한다. 그리고 결합구는 전방 지주(200)의 후방면에 결합되는 것을 전방 결합구(M1)라 하고, 후방 지주(3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후방 결합구(M2)라 부르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은 기존 기술과 달리 전방 지주(200)의 내측면이 아닌 후방면에 전방 결합구(M1)가 마련되게 하여 적재용 파레트에 적재함(90)을 보관시 전방 결합구(M1)로 인한 간섭이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지주(200)의 후방면에 마련되는 전방 결합구(M1)에 전방 고정편(K1)의 하단이 결합된다. 전방 고정편(K1)은 그 상단이 받침용 레일(400)의 하부에 고정되며 그 하단이 받침용 레일(400)의 외측에 위치되어 전발 결합구(M1)에 삽입 된다. 아울러 전방 고정편(K1)의 하단(A)의 형태는 수직판 형태이되 그 수직판의 형태는 바닥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판 형태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판재를 레이저 커팅과 같은 방법으로 판재를 ㄱ 자 형상으로 재단하여 전방 고정편(K1)을 제작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판재를 레이저 커팅과 같은 방법으로 판재를 ㄱ 자 형상으로 재단하여 전방 고정편(K1)을 제작하도록 하였다.
마찬가지로 후방 지주(3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후방 결합구(M2)에 후방 고정편(K2)의 하단이 결합된다. 후방 고정편(K2)은 그 상단이 받침용 레일(400)의 하부에 고정되며 그 하단이 후방 결합구(M2)에 삽입된다.
후방 고정편(K2)의 하단(A)의 형태는 수직판 형태이되 그 수직판의 형태는 바닥부(10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판 형태이다.
본 실시예의 후방 고정편(K2)은 판재를 벤딩시켜서 후방 고정편(K2)을 제작하도록 한다.
후방 고정편(K2)의 하단(A)의 형태는 수직판 형태이되 그 수직판의 형태는 바닥부(10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판 형태이다.
본 실시예의 후방 고정편(K2)은 판재를 벤딩시켜서 후방 고정편(K2)을 제작하도록 한다.
한편, 전방 지주(200) 및 후방 지주(300)에 마련되는 전.후방 결합구(M1,M2)는 ㄷ 자 단면을 이루어 그 양단이 전방 지주(200) 혹은 후방 지주(300)에 결합됨으로써 전.후방 고정편(K1,K2)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적재용 파레트의 경우 적재용 파레트에 사용되는 적재함(90)의 폭을 두 전방 지주(200)간 거리보다 미소하게 작은 정도로 제작하여도 적재함을 적재용 파레트에 넣거나 뺄 때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고, 적재용 파레트에 삽입된 적재함(90)은 전방 지주(200)와 이격거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동시 등에 적재함이 흔들리거나 하지 않아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동일한 적재용 파레트를 적층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제2연결부재(A2)의 형성 위치는 바닥부(100)의 바닥홈(110)과 동일선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기술의 경우 전방 지주(200)의 내측면에 결합구(M)를 두었기 때문에 적재함(9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전방 지주(200)간 거리를 바닥부(100)의 폭보다 길도록 해야만 했었다. 따라서 기존 기술의 경우 제2연결부재(A2)를 지지하는 브라켓(210)의 길이가 그만큼 길어져 굽힘모멘트가 많이 발생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의 경우 전방지주(200)의 후방면에 전방 결합구(M1)가 마련되기 때문에 전방 지주(200)간 거리를 바닥부(100)의 폭과 동일하게 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제2연결부재(A2)를 지지하는 브라켓(210)을 짧게 해도 되므로 굽힘 모멘트가 감소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경우 적재용 파레트에 여러 개의 적재함(90)을 적층하여 보관하기에도 유리한 측면이 있다. 기존 기술의 경우 전방 지주(200)의 내측면에 결합구(M)가 하나라도 형성되면, 결합구(M)보다 낮은 위치까지는 적재함(90)을 쌓을 수 있었으나 그 이상은 불편했으므로 보관할 수 있는 적재함의 개수가 적었다. 이에 비해 본 고안은 아무런 구애를 받지 않고 적재함(90)을 최대한 많이 쌓아 올려서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적재용 파레트는 각종 농수산물이나 기타 공산품을 보관하기 위한 적재용 파레트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100 : 바닥부 110 : 바닥홈
200 : 전방 지주 210 : 브라켓
300 : 후방 지주 400 : 받침용 레일
A1 : 제1연결부재 A2 : 제2연결부재
90 : 적재함 K1 : 전방 고정편
K2 : 후방 고정편
M1 : 전방 결합구
M2 : 후방 결합구
A : 전방 고정편 혹은 후방 고정편의 하단
200 : 전방 지주 210 : 브라켓
300 : 후방 지주 400 : 받침용 레일
A1 : 제1연결부재 A2 : 제2연결부재
90 : 적재함 K1 : 전방 고정편
K2 : 후방 고정편
M1 : 전방 결합구
M2 : 후방 결합구
A : 전방 고정편 혹은 후방 고정편의 하단
Claims (2)
-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네 모서리 부근에서 연결되는 전.후방 지주, 상기 전후방 지주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용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재용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주들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외측면에서 결합되며, 상기 후방 지주들은 상기 바닥부의 배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 지주간 거리보다 상기 후방 지주간 거리가 좁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용 레일은 상기 지주에 대하여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받침용 레일의 전후 양단부의 하면에 고정편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편 중 전방 고정편은 그 상단이 상기 받침용 레일의 하부에 고정되며 그 하단이 상기 받침용 레일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전방 고정편의 하단은 상기 바닥부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판 형태이며,
상기 고정편 중 후방 고정편은 그 상단이 상기 받침용 레일의 하부에 고정되며 그 하단이 상기 바닥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판 형태이며,
상기 전방 지주의 후방면에 수직판 형태의 상기 전방 고정편의 하단이 끼워지는 ㄷ 자 형상의 전방 결합구가 마련되고,
상기 후방 지주의 외측면에 수직판 형태의 상기 후방 고정편의 하단이 끼워지는 ㄷ 자 형상의 후방 결합구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받침용 레일을 제거하고 적재함을 포개어 보관시 상기 적재함과 상기 전.후방 결합구간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파레트.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2688U KR200469751Y1 (ko) | 2013-04-10 | 2013-04-10 | 적재용 파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2688U KR200469751Y1 (ko) | 2013-04-10 | 2013-04-10 | 적재용 파레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9751Y1 true KR200469751Y1 (ko) | 2013-11-05 |
Family
ID=5073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2688U KR200469751Y1 (ko) | 2013-04-10 | 2013-04-10 | 적재용 파레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9751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0148B1 (ko) * | 2020-03-10 | 2020-12-11 | 한인호 |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 |
KR200493970Y1 (ko) | 2020-12-31 | 2021-07-08 | 거창피엘티 주식회사 | 다단 적재가 가능한 적재용 파레트 |
KR102282418B1 (ko) | 2021-03-05 | 2021-07-27 | 이은희 | 건축용 트위스트 판넬 성형장치 |
KR20230099975A (ko) | 2021-12-28 | 2023-07-05 | 정문진 | 다단 적재 파레트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식 스토리지 랙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52642A (ja) * | 1991-05-30 | 1992-12-07 | Daifuku Co Ltd | フレーム形コンテナにおける中間台の取付装置 |
JP2005088999A (ja) | 2003-08-08 | 2005-04-07 | Seiki Juko Kk | パレット |
KR20100025443A (ko) * | 2008-08-27 | 2010-03-09 | 거창물류 주식회사 | 물품 적재함 및 보관대 조립 방법 및 부속 |
-
2013
- 2013-04-10 KR KR2020130002688U patent/KR20046975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52642A (ja) * | 1991-05-30 | 1992-12-07 | Daifuku Co Ltd | フレーム形コンテナにおける中間台の取付装置 |
JP2005088999A (ja) | 2003-08-08 | 2005-04-07 | Seiki Juko Kk | パレット |
KR20100025443A (ko) * | 2008-08-27 | 2010-03-09 | 거창물류 주식회사 | 물품 적재함 및 보관대 조립 방법 및 부속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0148B1 (ko) * | 2020-03-10 | 2020-12-11 | 한인호 | 진입 안내 및 충격완화 구조를 가지는 다단 적재식 파레트 |
KR200493970Y1 (ko) | 2020-12-31 | 2021-07-08 | 거창피엘티 주식회사 | 다단 적재가 가능한 적재용 파레트 |
KR102282418B1 (ko) | 2021-03-05 | 2021-07-27 | 이은희 | 건축용 트위스트 판넬 성형장치 |
KR20230099975A (ko) | 2021-12-28 | 2023-07-05 | 정문진 | 다단 적재 파레트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식 스토리지 랙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9751Y1 (ko) | 적재용 파레트 | |
KR102159975B1 (ko) | 컨테이너 | |
KR200479390Y1 (ko) | 적재용 파레트 | |
KR20120114264A (ko) | 팰릿 랙, 팰릿 랙 유닛 및 팰릿 랙을 구비한 컨테이너 | |
JP6122823B2 (ja) | 収容ラック | |
JP2013227020A (ja) | 積載構造体 | |
JP2008100696A (ja) | 包装トレー用ラック | |
KR102079642B1 (ko) | 적재대 | |
US20160052670A1 (en) | Container | |
CN104210792B (zh) | 具备储存式中间架的倒嵌套支架 | |
JP3194349U (ja) | 互換性のある棚枠を備えるネスティングラック | |
JP6603735B2 (ja) | パレット機能を有するラック及び保管システム | |
US20130206620A1 (en) | Collapsible Garment Stillage | |
CN210654061U (zh) | 白车身装载料架 | |
JP4796369B2 (ja) | 育苗ポット用カゴ型トレイ | |
KR200472409Y1 (ko) | 접이식 파렛트 랙 | |
JP3194350U (ja) | 支持構造体 | |
EP2896577B1 (en) | Supporting and stack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s | |
JP4487187B2 (ja) | ラック | |
EP2927147B1 (en) |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 big-bag | |
JP2018079969A (ja) | 折畳み型物流用コンテナ | |
JP3219511U (ja) | パレット用支持棚 | |
CA2921803C (en) | A shelf | |
CN220375022U (zh) | 一种可伸缩的巧固架 | |
CN221025263U (zh) | 包装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