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72Y1 - 선박용 실 도어 - Google Patents

선박용 실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872Y1
KR200480872Y1 KR2020110009267U KR20110009267U KR200480872Y1 KR 200480872 Y1 KR200480872 Y1 KR 200480872Y1 KR 2020110009267 U KR2020110009267 U KR 2020110009267U KR 20110009267 U KR20110009267 U KR 20110009267U KR 200480872 Y1 KR200480872 Y1 KR 200480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plate
opening
ship
weathert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513U (ko
Inventor
성기룡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9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7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5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5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Abstract

선박용 실 도어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실 도어는, 풍우밀 도어가 설치되는 도어 개구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 개구부의 하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힌지 타입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풍우밀 도어가 설치되는 개구부의 하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실 도어{SILL DOOR FOR SHIP}
본 고안은, 선박용 실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풍우밀 도어가 설치되는 개구부의 하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선박용 실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도어는 상갑판과 내실과의 사이에, 즉 선박의 선체 벽면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풍우 및 해수가 내실로 침입하지 않도록 수밀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선박용 도어의 일 예가 아래의 특허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1028581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선박용 도어는 국제만재흘수선조약(ICLL)의 규정에 의해 상갑판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어야만 했다. 즉, 종래 선박용 도어의 하단부와 상갑판 사이에는 일정 이상의 높이 차가 발생하므로, 즉 일정 높이 이상의 문턱(sill)이 항상 구비되므로 선박의 건조 작업중 작업자의 이동에 있어서 불편이 발생하였다.
즉, 작업자가 선박 건조작업을 위해 개구부를 출입함에 있어서 문턱에 의해 일정 이상의 주의를 항상 기울여야 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피로도가 증가하였으며 나아가서는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28581호 (2011. 04. 04 등록)
본 고안의 목적은, 풍우밀 도어가 설치되는 개구부의 하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선박용 실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선박의 건조 작업 및 정박시에는 하측으로 힌지 회전하여 사람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고 선박의 항해시에는 상측으로 힌지 회전하여 개구부를 폐쇄함으로써 풍우 및 해수가 실내 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선박용 실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풍우밀 도어가 설치되는 도어 개구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 개구부의 하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힌지 타입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박용 실 도어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체의 하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측으로 회전시킨 상기 도어 플레이트를 상기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벽체에 형성되는 걸림구; 및 상기 걸림구에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으로 회전시킨 상기 도어 플레이트를 상기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벽체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네트;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체의 상호 접촉 부위에는 수밀을 위한 수밀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수밀부재는 고무, 우레탄, 스티로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부의 상부 영역에는 풍우밀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를 상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단부는 상기 풍우밀 도어의 하단부에 접촉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풍우밀 도어의 상호 접촉 부위에는 수밀을 위한 수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380mm 이상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선박용 실 도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도어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풍우밀 도어가 설치되는 개구부의 하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의 건조 작업 및 정박시에는 도어 플레이트를 하측으로 힌지 회전하여 사람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고, 선박의 항해시에는 상측으로 힌지 회전하여 개구부를 폐쇄함으로써 풍우 및 해수가 실내 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둘째, 도어 플레이트, 개구부를 구성하는 벽체 및 풍우밀 도어에 수밀부재를 구비시킴으로써, 풍우 및 해수의 실내 유입을 더욱 차단할 수 있다.
셋째, 도어 플레이트 및 벽체에 복수의 마그네트를 구비함으로써, 도어 플레이트의 벽체 고정 작업 및 이격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실 도어가 하측으로 회전하여 도어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실 도어가 상측으로 회전하여 도어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실 도어에서 제1 및 제2 마그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실 도어가 하측으로 회전하여 도어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실 도어가 상측으로 회전하여 도어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실 도어에서 제1 및 제2 마그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실 도어는, 선박 건조 과정 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건조작업을 실시하도록 함과 더불어 수밀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풍우밀 도어(100)가 설치되는 도어 개구부(110)에 구비되되 도어 개구부(110)의 하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힌지 타입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
부연하자면, 선박 건조작업시 또는 선박이 정박한 상태일 경우, 도어 플레이트(200)는 도어 개구부(110)의 하부 영역을 개방시켜 문턱(sill)을 낮춤으로써 작업자, 승무원 및 승객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플레이트(200)는, 도어 개구부(110)를 형성하는 벽체(300)의 하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선박의 건조작업시 또는 선박이 정박한 상태일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도어 플레이트(200)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문턱을 낮출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대로 선박의 항해시에는 도어 플레이트(20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도어 개구부(110)의 하부 영역을 폐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 플레이트(2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개구부(110)의 상부 영역에는 통상의 풍우밀 도어(1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도어 플레이트(200)를 상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도어 플레이트(200)의 상단부는 풍우밀 도어(100)의 하단부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풍우밀 도어(100) 및 도어 플레이트(200)는, 선박의 항해시 풍우나 넘쳐 들어오는 해수(green water)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는 등 일정 이상의 수밀성(水密性)을 갖도록 구비된다. 즉, 도어 개구부(110)가 풍우밀 도어(100) 및 도어 플레이트(20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풍우 또는 그린 워터는 벽체(30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 공간(객실, 운전실) 내측으로의 침입이 제한된다. 이를 위해, 풍우밀 도어(100)에는 통상의 수밀 구조가 구비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도어 플레이트(200)에도 수밀 구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플레이트(200)와 풍우밀 도어(100)의 상호 접촉 부위에는 수밀을 위한 수밀부재(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수밀부재(410)는 풍우밀 도어(100) 및 도어 플레이트(200) 중 적어도 한군데 이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플레이트(200)의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도어 플레이트(20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도어 개구부(110)의 하부 영역을 폐쇄한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풍우 등의 침입을 제한하도록, 도어 플레이트(200)와 도어 개구부(110)를 형성하는 벽체(300)의 상호 접촉 부위에는 수밀을 위한 또 다른 수밀부재(420)가 구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에 대해 벽체(300)의 내측 실내공간을 수밀시키는 수밀부재(410,420)는, 고무, 우레탄, 스티로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으로 회전시킨 도어 플레이트(200)를 벽체(3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고정수단은 일 예로 기구적인 걸림 결합을 이용하여 도어 플레이트(200)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벽체(300)에 형성되는 걸림구(320), 걸림구(320)에 걸림 결합되도록 도어 플레이트(200)에 구비되는 걸림고리(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고리(230)는 도어 플레이트(200)의 상단 양측에 각각 1개씩 구비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걸림구(320) 및 걸림고리(230)는 각각 벽체(300) 및 도어 플레이트(200)의 높이(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플레이트(20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걸림고리(230)를 걸림구(320)에 결합시킬 때 그 결합이 더욱 용이하도록, 구체적으로 걸림고리(230)의 단부 영역이 상측으로 더욱 젖혀진 후 걸림구(320)에 걸림되도록 걸림고리(230)는 일정 이상의 연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다.
다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은 다른 예로 자력을 이용하여 도어 플레이트(200)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벽체(300)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네트(330), 제1 마그네트(330)에 부착 가능하도록 도어 플레이트(200)에 구비되는 제2 마그네트(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마그네트(330,240)는 각각 벽체(300)와 도어 플레이트(200)의 높이(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된다. 또한, 도어 플레이트(200)를 상측으로 회전시킨 경우, 제1 및 제2 마그네트(330,240)는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고정수단으로서 복수의 마그네트가 적용되는 경우, 전술한 걸림고리(230) 및 걸림구(320)에 비해 도어 플레이트(200)의 벽체(300) 고정 및 이격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 플레이트(200)는 도어 개구부(110)의 하부 영역을 폐쇄하여 풍우 및 해수의 실내 침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제만재흘수선조약(ICLL)의 규정에 적합하도록 380mm 이상의 높이(H)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리하자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박의 건조작업 및 정박시에는 도어 플레이트(200)를 하측으로 쉽게 회전시켜 데크(갑판) 상에 배치함으로써, 작업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갖게 되며, 반대로 선박의 항해시에는 상측으로 회전되어 도어 개구부(110)를 폐쇄함으로써 풍우 및 해수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풍우밀 도어 110: 도어 개구부
200: 도어 플레이트 230: 걸림고리
240: 제2 마그네트 300: 벽체
320: 걸림구 330: 제1 마그네트
410,420: 수밀부재

Claims (7)

  1. 풍우밀 도어가 설치되는 도어 개구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 개구부의 하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힌지 타입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측으로 회전시킨 상기 도어 플레이트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벽체에 형성되는 걸림구; 및 상기 걸림구에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벽체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네트;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체의 상호 접촉 부위에는 수밀을 위한 수밀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수밀부재는 고무, 우레탄, 스티로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 개구부의 상부 영역에는 풍우밀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를 상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단부는 상기 풍우밀 도어의 하단부에 접촉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풍우밀 도어의 상호 접촉 부위에는 수밀을 위한 수밀부재가 구비되는 선박용 실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체의 하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박용 실 도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380mm 이상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선박용 실 도어.
KR2020110009267U 2011-10-18 2011-10-18 선박용 실 도어 KR200480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267U KR200480872Y1 (ko) 2011-10-18 2011-10-18 선박용 실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267U KR200480872Y1 (ko) 2011-10-18 2011-10-18 선박용 실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13U KR20130002513U (ko) 2013-04-26
KR200480872Y1 true KR200480872Y1 (ko) 2016-07-25

Family

ID=5242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267U KR200480872Y1 (ko) 2011-10-18 2011-10-18 선박용 실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401B1 (ko) * 2013-07-11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블라인드 셔터
KR200481515Y1 (ko) 2014-11-10 2016-10-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힌지형 문턱을 구비한 선박용 풍우밀 도어 시스템
KR200488331Y1 (ko) * 2015-04-23 2019-01-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세미리그의 도어 수밀 장치
KR20170001806U (ko) * 2015-11-16 2017-05-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트러스터 메인터넌스 룸 해치 커버용 감시 시스템
CN111502487A (zh) * 2020-04-17 2020-08-07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用门槛及包括其的船用门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668A (ja) * 2001-05-14 2002-11-27 Akira Ohata 敷居構造
KR200322793Y1 (ko) * 2003-05-02 2003-08-14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침수예방을 위한 방수벽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08Y2 (ko) * 1984-12-10 1991-02-25
KR20070058064A (ko) * 2005-12-01 2007-06-07 임동현 잠금기능을 갖는 비상문을 셔터의 내,외측에서 열 수있도록 한 방화셔터
KR101028581B1 (ko) 2008-11-12 2011-04-12 이종현 선박용 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668A (ja) * 2001-05-14 2002-11-27 Akira Ohata 敷居構造
KR200322793Y1 (ko) * 2003-05-02 2003-08-14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침수예방을 위한 방수벽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13U (ko) 201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872Y1 (ko) 선박용 실 도어
KR101927571B1 (ko) 해양 선박
CN105109623A (zh) 一种舷侧门
KR200481096Y1 (ko) 선박용 실 도어
KR102334439B1 (ko)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
KR100768756B1 (ko) 선박용 쥐막이
KR20140042213A (ko) 선박용 맨홀 커버
CN108974254A (zh) 船用防海盗内开式舷窗
KR200483229Y1 (ko) 선박용 슬라이딩방식 풍우밀 도어
KR101259943B1 (ko) 선박용 도어
KR200481515Y1 (ko) 힌지형 문턱을 구비한 선박용 풍우밀 도어 시스템
KR200325251Y1 (ko) 선박용 수밀 도어
CN204754500U (zh) 一种用于船舶舱室的快速逃生锁
KR20130056954A (ko) 선박의 해치 구조
JP2016222231A (ja) 避難用船舶
KR101302992B1 (ko) 구명정
KR101029653B1 (ko)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도크게이트 개폐방법 및 그도크게이트
TWI639535B (zh) 包含具有可潛的船尾平台的可動船尾艙門之船
KR20150048314A (ko) 경사를 갖는 풍우밀 스틸도어
KR200467422Y1 (ko) 선박용 도어의 잠금 장치
JP6865241B2 (ja) 通船ゲート装置
US3487483A (en) Houseboat having improved wall opening
CN109367701A (zh) 带有景观天窗的玻璃钢船艇
CN212267760U (zh) 一种用于小船舷墙上的潜水门装置
KR101391364B1 (ko) 해상구조물의 해치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