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581B1 - 선박용 도어 - Google Patents

선박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581B1
KR101028581B1 KR1020080112019A KR20080112019A KR101028581B1 KR 101028581 B1 KR101028581 B1 KR 101028581B1 KR 1020080112019 A KR1020080112019 A KR 1020080112019A KR 20080112019 A KR20080112019 A KR 20080112019A KR 101028581 B1 KR101028581 B1 KR 10102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door plate
ship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056A (ko
Inventor
마용규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이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현 filed Critical 이종현
Priority to KR102008011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5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4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2019/0053Locking means for ports, doors, windows, covers, or the like, e.g. providing for watertight closure when locked
    • B63B2019/0069Locking means for ports, doors, windows, covers, or the like, e.g. providing for watertight closure when locked comprising movable positive fit locking members, e.g. swivelling locking clips, or dogs
    • B63B2019/0076Locking means for ports, doors, windows, covers, or the like, e.g. providing for watertight closure when locked comprising movable positive fit locking members, e.g. swivelling locking clips, or dogs comprising multiple positive fit locking members arranged for simultaneous locking action
    • B63B2019/0084Locking means for ports, doors, windows, covers, or the like, e.g. providing for watertight closure when locked comprising movable positive fit locking members, e.g. swivelling locking clips, or dogs comprising multiple positive fit locking members arranged for simultaneous locking action with mechanical drive for effecting simultaneous loc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2Fibre reinforced plastics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도어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함으로써 선박용 도어의 제작, 설치 및 사용상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종래 비중이 큰 철강 재질로 제작하였던 것을 상대적으로 비중이 훨씬 낮은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작하여 선박용 도어의 경량화를 실현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인 제작, 설치 및 사용상의 어려움을 해소함과 아울러 선박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 해수의 강한 부딪힘에도 충격을 분산시켜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우며, 특히 빗물이나 해수에 의한 산화부식에 취약했던 종래 기술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도어를 제공한다.
선박용 도어, 섬유강화 복합소재(FRP), 융기부, 락킹수단, 구름롤러

Description

선박용 도어{DOOR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도어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함으로써 선박용 도어의 제작, 설치 및 사용상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종래 비중이 큰 철강 재질로 제작하였던 것을 상대적으로 비중이 훨씬 낮은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작하여 선박용 도어의 경량화를 실현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인 제작, 설치 및 사용상의 어려움을 해소함과 아울러 선박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 해수의 강한 부딪힘에도 충격을 분산시켜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우며, 특히 빗물이나 해수에 의한 산화부식에 취약했던 종래 기술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도어는 상갑판과 내실과의 사이에, 즉 선박의 선체 벽면에 개구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풍우 또는 해수가 들이 닥쳐도 내실로 침입하지 않고 수밀되도록 해야 한다.
종래의 선박용 도어는 선박의 선체 벽면에 개방된 공간부의 둘레로부터 돌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회동힌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를 개폐하는 도어플레이트와, 상기 도어플레이트 배면의 외주 내측으로 패킹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패킹홀더와, 상기 도어플레이트 전면에 돌출된 회동핸들을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을 상기 패킹에 밀착시켜 수밀한 락킹을 수행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박용 도어는 도어플레이트가 비중이 큰 철강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고가이며, 용접 불량에 따른 흠결 및 파손이 쉽고, 그 큰 중량으로 인하여 선박 전체의 무게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설치상의 어려움이 있고,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큰 중량으로 인하여 공간부를 개방하거나 밀폐하기 위해 사용상의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플레이트는 일반적인 평판 형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전면으로 강한 풍우나 해수가 들이닥쳐 큰 충격이 전달되고, 전면에 수직으로 입사된 강한 풍우나 해수는 도어플레이트를 거쳐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회동힌지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될 수 있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도어플레이트 및 회동힌지와 연결되는 도어플레이트의 연결부의 페인트칠이 벗겨져 철강 재질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빗물 또는 해수에 의한 산화로 쉽게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선박용 도어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박용 도어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함으로써 선박용 도어의 제작, 설치 및 사용상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종래 비중이 큰 철강 재질로 제작하였던 것을 상대적으로 비중이 훨씬 낮은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작하여 선박용 도어의 경량화를 실현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인 제작, 설치 및 사용상의 어려움을 해소함과 아울러 선박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 해수의 강한 부딪힘에도 충격을 분산시켜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우며, 특히 빗물이나 해수에 의한 산화부식에 취약했던 종래 기술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도어의 제공을 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도어는, 선박의 선체 벽면에 개방된 공간부의 둘레로부터 돌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회동힌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를 개폐하는 도어플레이트와, 상기 도어플레이트 배면의 외주 내측으로 패킹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패킹홀더와, 상기 도어플레이트 전면에 돌출된 회동핸들을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을 상기 패킹에 밀착시켜 수밀한 락킹을 수행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플레이트는, 전면에 아치 형상으로 융기된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힌지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융기부가 상기 도어플레이트와 일체로 섬유강화 복합소재(FRP, Fiber Reinforce Plastics)를 적층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배면에 위치하되 상기 회동핸들의 축과 동일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핸들과 함께 회전하는 주동 락킹부재와, 상기 주동 락킹부재의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바를 매개로 상기 주동 락킹부재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종동 락킹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주동 락킹부재 및 종동 락킹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주동 락킹부재 및 종동 락킹부재를 걸어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동 락킹부재 및 종동 락킹부재 각각은, 회전축을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에 힌지 결합된 회전지지부와, 상기 고정부재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원통 형상의 구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동 락킹부재의 회전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내측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표면에 겔코우트용 수지를 코팅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선박용 도어는, 회동힌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도어플레이트 전체가 섬유강화 복합수지로 제작되어 선박용 도어의 제작 및 설치상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종래 비중이 큰 철강 재질에 비하 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훨씬 낮아 선박용 도어의 경량화를 실현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인 개폐에 따른 사용상의 어려움을 해소함과 아울러 선박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 특히 빗물이나 해수에 의한 산화부식에 취약했던 종래 기술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어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된 융기부를 통해 해수의 강한 부딪힘에도 충격을 분산시켜 선박용 도어가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락킹부재의 걸림부에 구름롤러가 설치되어 선박용 도어를 폐쇄한 후 락킹시 보다 부드럽고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1의 실시예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의 실시예의 락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및 6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도어 중 락킹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도어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도어플레이트(200), 패킹(350)이 수용된 패킹홀더(300), 회동핸들(410)에 의해 락킹을 수행하는 락킹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플레이트(200)는 융기부(210) 및 연결부(220)를 포함하되 일체로 섬유강화 복합소재(FRP, Fiber Reinforced Plastics)를 적층하여 제작된다. 또한, 상기 락킹수단(400)은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동 락킹부재(420), 종동 락킹부재(430), 지지바(440) 및 고정부재(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동 락킹부재(420) 및 종동 락킹부재(430)는 각각 몸체부(421, 431), 회전지지부(424, 434), 걸림부(423, 433) 및 구름롤러(424, 434)로 구성되되, 특히 상기 주동 락킹부재(420)는 내측핸들(4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선체 벽면에 개방된 공간부(110)의 둘레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프레임(100)은 선갑의 선체 벽면과 같이 보통 강철로 제작되고, 상기 공간부(110)의 둘레를 따라 선박의 선체 벽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프레임(100)의 전면은 후술할 도어플레이트(200)의 배면에 형성된 패킹홀더(300)의 패킹(350)에 밀착되고, 프레임(100)의 후면은 후술할 락킹수단(400)에 접촉되어 락킹된다.
도어플레이트(2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된 회동힌지(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110)를 개폐한다. 상기 도어플레이트(2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된 회동힌지(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연결부(2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도어플레이트(200)가 상기 공간부(110)를 폐쇄시 수밀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플레이트(200)는 배면의 외주 내측으로 패킹(350)을 수용하도록 패킹홀더(300)가 형성되며, 락킹수단(400)에 의해 상기 도어 플레이트(200) 전면에 돌출된 회동핸들(410)을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100)을 상기 패킹(350)에 밀착시켜 수밀한 락킹을 수행하게 된다.
도어플레이트(200)는 보통 평평한 판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플레이트(200)의 전면에 아치 형상으로 융기된 융기부(210)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도어플레이트(200)로 강력한 풍우나 해수가 들이 닥치더라도 상기 융기부(210)의 융기된 면을 따라 도어플레이트(200)의 외측으로 분산됨으로써, 도어플레이트(200)는 큰 충격을 받지 않는다. 결국, 도어플레이트(200)에 집중되는 하중 분산과 함께 특히 도어플레이트(200)의 연결부(220) 및 회동힌지(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도어플레이트(200)는 특히 내후성, 내수성, 내유성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섬유강화 복합소재(FRP: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제작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상기 회동힌지(120)에 결합되는 연결부(220) 및 융기부(210)와 일체로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적층하여 제작된다. 상기 섬유강화 복합소재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와 같은 섬유재를 수지로 다층 접착하여 경화시킨 복합재료로서, 철강 소재에 비하여 경량으로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작이 용이하고 기계적인 강도는 오히려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섬유강화 복합소재는 고분자 재료에 첨가되는 섬유재의 종류에 따라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비중이 1.6 정도로 제작할 수 있어서 비중이 7.85인 강철 소재에 비하여 매우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강철 소재인 도어플레이트에 비하여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작된 도어플레이트(200)는 그 무게가 20~30%정도에 불과하여 설 치 및 작업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형성하기 위한 섬유재로 사용되는 소재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케블라섬유, 보론섬유, SiC섬유 및 Al2O3섬유 등이 있으며, 상기 섬유재는 그 방향성에 따라 일정한 방향성 없이 산개되어 있는 Non-Axial Type, 일방향성을 갖는 Mono-Axial Type, 이방향성을 갖는 Biaxial Type 및 그 이상의 방향성을 갖는 Multi-Axial Type 등으로 구별된다. 상기 섬유강화 복합소재는 전술한 섬유재 각각의 소재 및 그 방향성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달라진다. 상기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형성하기 위해 전술한 섬유재를 다층 접착하는 수지로는 일반적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이용된다.
본 발명의 도어플레이트(200)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도어플레이트(200)의 형상을 갖는 틀(미도시)을 먼저 준비하고, 상기 틀의 내표면에 왁스층을 형성한 다음,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와 같은 섬유재를 수지로 다층 접착하여 경화시킨 후, 상기 틀을 떼어낸다. 마지막으로 상기 도어플레이트(200)의 외표면에 겔코우트용 수지(미도시)를 코팅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내후성, 내수성, 내유성 및 내산화성을 더욱 강화시킴으로써 빗물이나 해수에 의한 산화부식의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락킹수단(400)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핸들(410)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임(100)을 상기 패킹(350)에 밀착시켜 수밀한 락킹을 수행한다. 락킹수단(4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동 락킹부재(420), 종동 락킹부 재(430), 지지바(440) 및 고정부재(450)로 구성된다. 상기 락킹수단(400) 중 주동 락킹부재(420)는 상기 도어플레이트(200)의 배면에 위치하되 상기 회동핸들(410)의 축과 동일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핸들(410)과 함께 회전한다. 즉, 회동핸들(410)과 동일한 회전축에 의해 회동핸들(410)의 회전에 다라 주동 락킹부재(420)는 함께 회전하게 된다. 종동 락킹부재(430)는 상기 주동 락킹부재(420)의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도어플레이트(20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바(440)를 매개로 상기 주동 락킹부재(420)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한다. 고정부재(450)는 상기 프레임(100)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주동 락킹부재(420) 및 종동 락킹부재(4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주동 락킹부재(420) 및 종동 락킹부재(430)를 걸어 고정시킨다.
락킹수단(400)의 락킹 수행은 주동 락킹부재(420) 및 종동 락킹부재(430)가 고정부재(450)에 걸려져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동 락킹부재(420) 및 종동 락킹부재(430)는 각각 몸체부(421, 431), 회전지지부(422, 432), 걸림부(423, 433) 및 구름롤러(424, 4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421, 431)는 주동 및 종동 락킹부재(420, 430) 각각의 회전축을 말하며, 회전지지부(422, 432)는 각각의 상기 몸체부(421, 43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440)에 힌지 결합된 것이고, 걸림부(423, 433)는 상기 고정부재(450)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며, 구름롤러(424, 434)는 원통 형상으로 각각의 상기 걸림부(423, 424)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이때, 도어플레이트(200)의 전면에 회동핸들(410)을 회동시켜 락킹수단(400)을 작동하는 것처럼, 도 어플레이트(200)의 배면, 즉 선체의 내실에서도 락킹수단(400)을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주동 락킹부재(420)의 회전지지부(4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내측핸들(425)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내측핸들(425)을 회전시켜 주동 락킹부재(420)의 회전지지부(422) 역시 회전됨으로써, 주동 락킹부재(420) 및 종동 락킹부재(430)가 고정부재(450)로부터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어 락킹 또는 락킹 해제되는 것이다.
락킹수단(400)의 작동과정을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플레이트(200)가 프레임(100)의 공간부(110)로부터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플레이트(200)를 회동시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10)를 폐쇄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도어플레이트(200)의 배면에 형성된 패킹홀더(300)의 패킹(350)이 프레임(100)의 전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공간부(110)는 폐쇄된다. 도 1의 공간부(110)가 폐쇄된 상태의 배면을 도 3을 참조하면, 주동 락킹부재(410)와 회동핸들(410)은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하여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회동핸들(410)을 회동시킴으로써 락킹수단(400)의 락킹을 수행하게 되는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핸들(410)을 회동시키면 락킹수단(400)의 주동 락킹부재(420)가 회전하고, 주동 락킹부재(420)의 회전지지부(422)와 연결된 지지바(440)는 종동 락킹부재(430)의 회전지지부(43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국 종동 락킹부재(430)는 주동 락킹부재(42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주동 락킹부재(420) 및 종동 락킹부재(430) 각각의 걸림부(423, 433)는 상기 걸림부(423, 43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름롤러(424, 434)와 함께 회전하 여 고정부재(450)에 각각 걸리게 된다. 결국, 도어플레이트(200)의 배면에 형성된 패킹홀더(300)의 패킹(350)이 프레임(100)의 전면에 밀착되어 수밀한 락킹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플레이트(200)의 락킹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설명한 락킹의 역과정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1의 실시예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의 실시예의 락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및 6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도어 중 락킹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110 : 공간부 120 : 회동힌지
200 : 도어플레이트
210 : 융기부 220 : 연결부
300 : 패킹홀더 310 : 패킹
400 : 락킹수단 410 : 회동핸들
420 : 주동 락킹부재 430 : 종동 락킹부재
421, 431 : 몸체부 422, 432 : 회전지지부
423, 433 : 걸림부 424, 434 : 구름롤러
425 : 내측핸들
440 : 지지바 450 : 고정부재

Claims (5)

  1. 선박의 선체 벽면에 개방된 공간부의 둘레로부터 돌출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회동힌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를 개폐하는 도어플레이트;
    상기 도어플레이트 배면의 외주 내측으로 패킹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패킹홀더;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전면에 돌출된 회동핸들의 축과 동일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동 락킹부재와, 상기 주동 락킹부재의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 락킹부재와, 상기 주동 락킹부재와 상기 종동 락킹부재를 연결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지지바와, 상기 주동 락킹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내측핸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핸들 또는 내측핸들을 회동하면 상기 프레임이 상기 패킹에 밀착되는 락킹수단; 및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전면에서 아치형상으로 융기되어 형성되고, 풍우나 해수를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분산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힌지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융기부가 상기 도어플레이트와 일체로 섬유강화 복합소재(FRP, Fiber Reinforce Plastics)를 적층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주동 락킹부재 및 종동 락킹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주동 락킹부재 및 종동 락킹부재를 걸어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 락킹부재 및 종동 락킹부재 각각은,
    회전축을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에 힌지 결합된 회전지지부와,
    상기 고정부재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원통 형상의 구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핸들은 상기 주동 락킹부재의 회전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측핸들을 회전하면 상기 주동 락킹부재의 회전지지부가 회전되어 상기 주동 락킹부재 및 종동 락킹부재가 고정부재로부터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표면에 겔코우트용 수지를 코팅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KR1020080112019A 2008-11-12 2008-11-12 선박용 도어 KR101028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019A KR101028581B1 (ko) 2008-11-12 2008-11-12 선박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019A KR101028581B1 (ko) 2008-11-12 2008-11-12 선박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056A KR20100053056A (ko) 2010-05-20
KR101028581B1 true KR101028581B1 (ko) 2011-04-12

Family

ID=4227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019A KR101028581B1 (ko) 2008-11-12 2008-11-12 선박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5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513U (ko) 2011-10-18 2013-04-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실 도어
KR20130002512U (ko) 2011-10-18 2013-04-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실 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206B1 (ko) * 2011-12-27 2013-06-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어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10029B1 (ko) * 2019-04-15 2019-08-12 (주)광림마린테크 선박 등에 설치되는 냉동 창고용 도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2289A (ja) * 2004-10-05 2006-05-25 Shizuoka Fusuma Shokai:Kk 仕切り戸およびそれに用いる湾曲部材および湾曲部材の製造方法
JP2007534865A (ja) * 2004-04-21 2007-11-29 ジェルドウィ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繊維強化複合体、及び繊維強化複合体を含む建築用構造物
KR100794281B1 (ko) * 2006-12-20 2008-01-17 (주)삼부에이티씨 선박용 도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4865A (ja) * 2004-04-21 2007-11-29 ジェルドウィ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繊維強化複合体、及び繊維強化複合体を含む建築用構造物
JP2006132289A (ja) * 2004-10-05 2006-05-25 Shizuoka Fusuma Shokai:Kk 仕切り戸およびそれに用いる湾曲部材および湾曲部材の製造方法
KR100794281B1 (ko) * 2006-12-20 2008-01-17 (주)삼부에이티씨 선박용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513U (ko) 2011-10-18 2013-04-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실 도어
KR20130002512U (ko) 2011-10-18 2013-04-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실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056A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581B1 (ko) 선박용 도어
KR101028580B1 (ko) 선박용 맨홀장치
KR101807971B1 (ko) 선박용 웨더타이트 방화 도어
US7887381B2 (en) Electrically powered watercraft
US9957732B1 (en) Compression latch
KR101080221B1 (ko) 선박의 오일탱크용 해치
KR101013096B1 (ko) 선박용 스몰 해치
KR101073446B1 (ko) 선박용 엑세스 해치
KR100794281B1 (ko) 선박용 도어
KR101105843B1 (ko) 선박용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KR20090088534A (ko) 머쉬룸 벤틸레이터
KR200427330Y1 (ko) 선박용 방향타
KR101165617B1 (ko) 선박용 도어의 힌지 잠금장치
US9260063B2 (en) Composite truck box
CN205370300U (zh) 一种单把手连动门
CN210285231U (zh) 一种持久型防锈环氧金属防护底漆存储装置
CN208085938U (zh) 一种防火缆绳舱口盖
KR101807972B1 (ko) 선창이 구비된 선박용 웨더타이트 방화 도어
JP4563596B2 (ja) 船外機
CN206769565U (zh) 具有自锁紧功能的锁装置及自行车
ES2709888T3 (es) Submarino
US11186345B1 (en) Marine vessel door system
US8470432B2 (en) Hardshell cover
US11203399B1 (en) Portable foldable house for pets and humans
US6283057B1 (en) Boat with articulating bow and method for articulating the bow of a b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