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55Y1 -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 - Google Patents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855Y1
KR200480855Y1 KR2020150000378U KR20150000378U KR200480855Y1 KR 200480855 Y1 KR200480855 Y1 KR 200480855Y1 KR 2020150000378 U KR2020150000378 U KR 2020150000378U KR 20150000378 U KR20150000378 U KR 20150000378U KR 200480855 Y1 KR200480855 Y1 KR 200480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drain hole
insertion portion
plate
burner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배
Original Assignee
김인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배 filed Critical 김인배
Priority to KR2020150000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2Side rests; Side plates; Cover lids; Splash guards; Racks outside ovens, e.g. for drying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판(11)의 외측 테두리 형상으로 단턱의 내측에 후면에서 전면으로 낮아지게 경사지게 형성된 버너 형성판(11c)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버너 삽입부(13a,13b,3c)와, 상기 버너 형성판(11c)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배수홈(14c)의 양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14a,14b)을 포함하는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에 있어서, 오버플로우 센서부(19a), 수도꼭지 밸브 제어 모듈(19b), 과열 센서부(19c), 수돗물 분배단(12-1) 및 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상판(11)의 내부로 PCB 및 MCU를 통해 형성된 제어부(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9)는 오버플로우 센서부(19a)를 통해 버너 형성판(11a)에 넘치는 국물에 대한 감지시 버너 형성판(11a)에 물을 공급하여 버너 형성판을 식히고 거기에 넘친 국물을 씻어 배수홈(14c)의 제 1 및 제 2 배수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수도꼭지 밸브 제어 모듈(19b)을 통해 상기 수돗물 분배단(12-1)에 연결된 수도꼭지를 열도록 제어하고, 과열 센서부(19c)에 의해 센싱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버너 삽입부(13a,13b,13c) 내에 삽입된 버너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Structure of oven with drain hole}
본 고안은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버너를 구비한 레인지에서 용기를 가열시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 과열로 인해 액체가 넘쳐서 화재의 위험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용기 자체에서 증기 배출을 위한 방식을 채택하여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에서도 급격한 용기의 과열로 인한 용기 내에 액체가 넘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경사 그레이팅을 구비한 배수모듈(Drain module having slope grating)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36730호)
2. 조리용기 및 이 조리용기를 구비한 전자렌지(Cooking container and microwave oven having the cooking container) (특허출원번호 제10-2002-0016388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인지의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몸체 중 상판 좌우에 배수홀을 타공처리함으로써, 렌지의 고효율 버너로 각종 음식을 조리시 상판으로 흐르는 액체를 타공한 배수홀을 통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판의 버너 상에 놓인 용기에서 넘친 국물뿐만 아니라, 과열된 상판을 식히기 위한 수도꼭지 밸브를 오픈시킨 경우 외부로 수돗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는, 상판(11)의 외측 테두리 형상으로 단턱의 내측에 형성된 버너 형성판의 전면부에 형성되되 버너 형성판에서 전면부에 수평면상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2개의 제 1 버너 삽입부(13a) 및 제 2 버너 삽입부(13b); 버너 형성판 내부에 제 1 버너 삽입부(13a) 및 제 2 버너 삽입부(13b)와 함께 형성되되 제 1 버너 삽입부(13a)와 제 2 버너 삽입부(13b)의 수평 길이 방향의 중간 영역에, 버너 형성판 상에서는 후면부에 형성되는 제 3 버너 삽입부(13c); 제 1 버너 삽입부(13a)의 원통 중심점을 기준으로 수평면상에서 좌측 전면에 형성되는 제 1 배수홀(14a); 및 제 2 버너 삽입부(13b)의 원통 중심점을 기준으로 수평면상에서 좌측 전면에 형성되는 제 2 배수홀(14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에 있어서, 상판(11) 내부의 버너 형성판의 상부면은 후면부로부터 전면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오버플로우 센서부(19a), 수도꼭지 밸브 제어 모듈(19b) 및 과열 센서부(19c)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상판(11)의 내부로 PCB 및 MCU를 통해 형성된 제어부(19); 를 포함하되, 제어부(19)는 오버플로우 센서부(19a)를 통해 상판(11)에 넘치는 국물에 대한 감지시 상판(11)을 식히기 위해 상판(11)으로 수돗물을 흘러보내기 위한 수도꼭지 밸브가 오픈된 상태인 경우, 수도꼭지 밸브 제어 모듈(19b)에 대한 제어를 통해 과열된 수도꼭지 밸브를 잠그도록 제어하며, 과열 센서부(19c)를 통해 상판(11)에 대해 센싱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감지시, 제 1 버너 삽입부(13a) 내지 제 3 버너 삽입부(13c) 내에 삽입된 버너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판(11)의 상부면 후면부 끝단에는 끝단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전면으로 하부가 각져서 돌출된 오염 방지 상부판(12a)과 연결된 구조를 갖는 오염 방지판(12);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버너 삽입부(13a), 제 2 버너 삽입부(13b) 및 제 3 버너 삽입부(13c)는 상부로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버너 삽입부(13a)와 제 2 버너 삽입부(13b)는 직경이 동일하며, 제3 버너 삽입부(13c)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버너 삽입부(13a) 내부에 삽입되는 제 1 버너와 제 2 버너 삽입부(13b) 내부에 삽입되는 제 2 버너는 대용량 용기에 대한 가열을 위한 고효율 버너이며, 제 3 버너 삽입부(13c)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제 3 버너는 대용량 용기보다 적은 일반 용기에 대한 가열을 위한 일반 버너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는, 몸체 중 상판 좌우에 배수홀을 타공처리함으로써, 렌지의 고효율 버너로 각종 음식을 조리시 상판으로 흐르는 액체를 타공한 배수홀을 통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는, 상판의 전면은 배수홀을 통해 흘러넘친 국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판의 뒷면에 오염 방지판 및 오염 방지 상판부을 설치하여 외부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는, 상판의 버너 상에 놓인 용기에서 넘친 국물뿐만 아니라, 과열된 상판을 식히기 위해 수도꼭지 밸브를 오픈시킨 경우 외부로 수돗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에 대한 좌측면도(도 2a) 및 우측면도(도 2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에 대한 제어부(19)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에 대한 좌측면도(도 2a) 및 우측면도(도 2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에 대한 제어부(19)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는 상판(11), 오염 방지판(12), 수돗물 분배단(12a-1), 오염 방지 상판부(12a), 제 1 버너 삽입부(13a), 제 2 버너 삽입부(13b), 제 3 버너 삽입부(13c), 제 1 배수홀(14a), 제 2 배수홀(14b) 및 배수로(15)를 포함한다.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는 전체적으로 스테인레스, 그 밖에 부식성에 강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판(11)은 테두리 형상으로 단턱을 형성하고 단턱이 형성된 내부에는 제 1 버너 삽입부(13a), 제 2 버너 삽입부(13b), 제 3 버너 삽입부(13c)를 형성하기 위한 전면으로 경사진 버너 형성판(11a)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버너 형성판(11a)의 전면 하부로는 제 1 배수홀(14a), 제 2 배수홀(14b)이 형성된 배수홈(14c)가 구비됨으로써, 상판(11) 내부의 흘러넘친 국물 특히 액체가 경사진 버너 형성판(11a), 배수홈(14c) 및 상기 배수홈의 제 1 배수홀(14a)과 제 2 배수홀(14b)과 각각 연결된 구조의 배수로(15)를 통해 잘 배출되도록 한다.
오염 방지판(12)은 상판(11)의 끝단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끝단에는 전면으로 하부가 각이져서 돌출된 오염 방지 상부판(12a)과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제 1 버너 삽입부(13a)는 버너 형성판 내부에 제 2 버너 삽입부(13b) 및 제 3 버너 삽입부(13c)와 함께 형성된다. 제 1 버너 삽입부(13a), 제 2 버너 삽입부(13b), 제 3 버너 삽입부(13c)는 상부로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는 원통 형상의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제 1 버너 삽입부(13a)와 제 2 버너 삽입부(13b)는 버너 형성판(11a)에서 전면부에 수평 면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 3 버너 삽입부(13c)는 제 1 버너 삽입부(13a)와 제 2 버너 삽입부(13b)의 수평 길이 방향의 중간 영역에, 버너 형성판(11a) 상에서는 후면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버너 삽입부(13a)와 제 2 버너 삽입부(13b)는 직경이 동일하며, 제 3 버너 삽입부(13c)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 버너 삽입부(13a) 내부에 삽입되는 제 1 버너와 제 2 버너 삽입부(13b) 내부에 삽입되는 제 2 버너는 대용량 용기에 대한 가열을 위한 고효율 버너이며, 제 3 버너 삽입부(13c)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제 3 버너는 대용량 용기보다 적은 일반 용기에 대한 가열을 위한 일반 버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배수홀(14a)은 버너 형성판 상에서 제 1 버너 삽입부(13a)의 수평면상의 원통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측 전면에 형성되며, 배수로(15)는 싱크대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 1 배수홀(14a)이 형성된 버너 형성판의 모서리 영역은 부채꼴 형상의 제 1 곡면 모서리 영역 플레이트가 형성됨으로써, 상판(11)에 유입될 수 있는 흘러넘친 국물에 대한 배출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제 2 배수홀(14b)은 제 1 배수홀(14a)과 대칭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버너 형성판 상에서 제 2 버너 삽입부(13b)의 수평면상의 원통 중심점을 기준으로 우측 전면에 형성되며, 제 1 배수홀(14b)과 동일하게 싱크대의 배수로(15)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 2 배수홀(14b)도 제 1 배수홀(14a)과 동일하게 제 2 배수홀(14b)이 형성된 버너 형성판의 모서리 영역은 부채꼴 형상의 제 2 곡면 모서리 영역 플레이트가 형성됨으로써, 상판(11)에 유입될 수 있는 흘러넘친 국물에 대한 배출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판(11)의 하부에 조정식 다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식 다리는 상판(11)의 하부면 모서리 영역에 4개가 형성되며, 각 하부에는 다리 롤러가 형성됨으로써, 이동이 편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4개의 조정식 다리는 개별적으로 높이가 다른 것으로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지면의 불규칙한 높이가 형성된 곳에서도 수평 조절이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판(11)의 내부로는 PCB 및 MCU를 실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에 대한 제어부(19)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에 대한 제어부(19)에 의해 제어되는 센서부(19a, 19b)가 제공된,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9)는 오버플로우 센서부(19a), 수도꼭지 밸브 제어 모듈(19b), 과열 센서부(19c)와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다. 제어부(19)는 오버플로우 센서부(19a)를 통해 상판에 넘치는 국물에 대한 감지시 수도꼭지 밸브 제어 모듈(19b)을 통해 수돗물 분배단(12a-1)에 연결된 수도꼭지를 열어서 상판, 즉 버너 형성판(11a)에 물을 공급하여 버너 형성판을 식히고 거기에 넘친 국물을 씻어 배수홈(14c)의 제 1 및 제 2 배수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9)는 과열 센서부(19c)에 의해 센싱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 1 버너 삽입부(13a) 내지 제 3 버너 삽입부(13c) 내에 삽입된 버너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몸체가 스테인리스로 형성된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10)는 몸체 중 상판(11) 좌우에 배수홀(14a, 14b)을 타공처리함으로써, 렌지의 고효율 버너로 각종 음식을 조리시 상판(11)으로 흐르는 액체를 타공한 배수홀(14a, 14b)을 통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하게 할 수 있다.
제 1 버너 삽입부(13a), 제 2 버너 삽입부(13b), 제 3 버너 삽입부(13c) 내부에서 각각 작동하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버너, 제 2 버너 및 제 3 버너로 조리시, 상판(11)으로 흐르는 액체를 타공한 배수홀(14a, 14b)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함과 동시에, 상판(11)의 뒷면에 오염 방지판(12) 및 오염 방지 상판부(12a)을 설치하여 외부로의 오염을 방지하며, 하부에는 조정식 다리를 부착하여 수평 조절이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상판으로 흘러넘친 액체 배출을 위한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11: 상판
12: 오염 방지판
12a: 오염 방지 상판부
13a: 제 1 버너 삽입부
13b: 제 2 버너 삽입부
13c: 제 3 버너 삽입부
14a: 제 1 배수홀
14b: 제 2 배수홀

Claims (6)

  1. 상판(11)의 외측 테두리 형상으로 단턱의 내측에 후면에서 전면으로 낮아지게 경사지게 형성된 버너 형성판(11c)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버너 삽입부(13a,13b,3c)와, 상기 버너 형성판(11c)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배수홈(14c)의 양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14a,14b)을 포함하는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에 있어서,
    오버플로우 센서부(19a), 수도꼭지 밸브 제어 모듈(19b), 과열 센서부(19c), 수돗물 분배단(12-1) 및 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상판(11)의 내부로 PCB 및 MCU를 통해 형성된 제어부(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9)는 오버플로우 센서부(19a)를 통해 버너 형성판(11a)에 넘치는 국물에 대한 감지시 버너 형성판(11a)에 물을 공급하여 버너 형성판을 식히고 거기에 넘친 국물을 씻어 배수홈(14c)의 제 1 및 제 2 배수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수도꼭지 밸브 제어 모듈(19b)을 통해 상기 수돗물 분배단(12-1)에 연결된 수도꼭지를 열도록 제어하고,
    과열 센서부(19c)에 의해 센싱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버너 삽입부(13a,13b,13c) 내에 삽입된 버너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판(11)의 상부면 후면부 끝단에는 끝단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전면으로 하부가 각져서 돌출된 오염 방지 상부판(12a)과 연결된 구조를 갖는 오염 방지판(1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너삽입부는 제 1 버너 삽입부(13a), 제 2 버너 삽입부(13b) 및 제 3 버너 삽입부(13c)를 포함하고, 각각 상부로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50000378U 2015-01-16 2015-01-16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 KR200480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378U KR200480855Y1 (ko) 2015-01-16 2015-01-16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378U KR200480855Y1 (ko) 2015-01-16 2015-01-16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855Y1 true KR200480855Y1 (ko) 2016-07-14

Family

ID=5649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378U KR200480855Y1 (ko) 2015-01-16 2015-01-16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8099A1 (zh) * 2017-04-14 2018-10-18 李仁涛 燃气灶安全控制系统
US20200370758A1 (en) * 2017-11-22 2020-11-26 Chad Michael Cusimano Cooking Appliance With Integral Dra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177Y1 (ko) * 2001-04-09 2001-10-11 박동웅 가스레인지 조작부 오염방지 장치
KR200315707Y1 (ko) * 2003-03-22 2003-06-09 동양매직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의 실드 상판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177Y1 (ko) * 2001-04-09 2001-10-11 박동웅 가스레인지 조작부 오염방지 장치
KR200315707Y1 (ko) * 2003-03-22 2003-06-09 동양매직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의 실드 상판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8099A1 (zh) * 2017-04-14 2018-10-18 李仁涛 燃气灶安全控制系统
US20200370758A1 (en) * 2017-11-22 2020-11-26 Chad Michael Cusimano Cooking Appliance With Integral Dr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12014002313T5 (de) Dampferzeugungsvorrichtung
KR200480855Y1 (ko) 배수홀을 갖는 레인지 구조
KR101488906B1 (ko)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
KR101922455B1 (ko)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KR20130136903A (ko) 주방 조리기기의 안전 제어 장치 및 안전 제어 방법
CN204670907U (zh) 一种电蒸箱
KR101390395B1 (ko) 주방 조리기기의 안전 제어 장치 및 안전 제어 방법
US9504357B2 (en) Insulating pot bottom for stockpots
CN203987495U (zh) 电蒸锅
KR20120119666A (ko) 순환식 위생 튀김기
KR200475796Y1 (ko) 직열구이냄비
US20160143472A1 (en) Steam heating boiler
KR20200064141A (ko) 조리 방법 및 조리 기구
KR101126419B1 (ko) 조리용 솥
KR101286836B1 (ko) 업소용 대형국솥
CN104879802A (zh) 微波炉
CN205878254U (zh) 一种中餐燃气炒菜灶
KR20090010383U (ko) 안전 조리기
JP6391255B2 (ja) 蒸気式茹で麺器
CN102551508B (zh) 利用蒸汽处理菜肴的方法、推进式煮物架及使其工作的煮物器
KR101524188B1 (ko) 물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수냉식 그릴
KR19990022467U (ko) 복합형조리기
CN205758296U (zh) 电饭煲
CN206006891U (zh) 带排水口的蒸饭煲
CN215216340U (zh) 一种集成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