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489Y1 - 제동 성능이 향상된 모터장치 - Google Patents

제동 성능이 향상된 모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489Y1
KR200480489Y1 KR2020160000249U KR20160000249U KR200480489Y1 KR 200480489 Y1 KR200480489 Y1 KR 200480489Y1 KR 2020160000249 U KR2020160000249 U KR 2020160000249U KR 20160000249 U KR20160000249 U KR 20160000249U KR 200480489 Y1 KR200480489 Y1 KR 200480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unit
amplifier
terminal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원
Original Assignee
대화기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화기전(주) filed Critical 대화기전(주)
Priority to KR2020160000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4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4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2Details of stopping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 인가가 차단될 때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회전자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킨 모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원소스의 (+)단에 연결된 제1접점 및 (-)단에 연결된 제2접점을 갖는 전원부, 상기 제1접점 또는 상기 제2접점에 선택적으로 통전되어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칭소자를 구비한 스위칭부 및 상기 제1접점과 상기 스위칭소자의 일단과 상기 전동유닛의 일단이 연결된 제1노드 및 상기 스위칭소자의 타단과 상기 전동유닛의 타단이 연결된 제2노드를 구비한 출력부를 구비한 릴레이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릴레이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동 성능이 향상된 모터장치{MOTOR APPARATUS}
본 고안은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인가가 차단될 때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회전자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킨 모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인가를 통해 회전하는 모터장치는 전원을 차단하더라도 회전 관성에 의해 일정시간 계속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 관성에 의해 모터장치는 발전기로써 동작하여, 이 역으로 생성된 전력에 의해 과열되거나 또는 제품 소자의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종래에는 모터장치의 회전을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제동하는 별도의 제동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야 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물리적으로 모터장치의 회전을 제동하는 방법은 제동장치의 별도 구비에 의한 공간 확보를 필요로 하고, 이에 모터장치의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나 모터장치 및 다른 장치들을 집적 배열해야 하는 경우 등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모터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0488523호 (2005년04월30일) [모터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종래기술1)이 있는데, 종래기술1은 제동을 위한 브레이킹 전용 릴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1도 상기한 물리적 제동장치에 비해 적을 뿐, 이 역시 별도의 공간 확보를 필요로 함은 물론, 고가의 브레이킹 전용 릴레이 구비에 따른 비용적 부담 문제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과 차별화된 모터장치의 제동에 대한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자의 회전을 위해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전원을 제외한 폐회로를 구성하여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회로를 구성하는 릴레이유닛을 하우징 내 내장하여 모터장치 및 모터장치가 탑재되는 제품의 소형화 및 집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회전축의 회전을 억제하는 감속기어를 구비하여 별도의 물리적 제동장치를 생략하면서도 제동 특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회전자 및 정류자를 갖는 전동유닛과 이 전동유닛을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모터장치에 있어서,
전원소스의 (+)단에 연결된 제1접점 및 (-)단에 연결된 제2접점을 갖는 전원부, 상기 제1접점 또는 상기 제2접점에 선택적으로 통전되어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칭소자를 구비한 스위칭부 및 상기 제1접점과 상기 스위칭소자의 일단과 상기 전동유닛의 일단이 연결된 제1노드 및 상기 스위칭소자의 타단과 상기 전동유닛의 타단이 연결된 제2노드를 구비한 출력부를 구비한 릴레이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릴레이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동유닛은 상기 회전자와 결합된 회전축 및 이 회전축에 맞물려 전원 미 공급 시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억제하는 감속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릴레이유닛은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 및, 노이즈 검출 시 상기 필터링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레벨조정부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 및,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101)를 구비한 출력단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단회로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1) 및 일단은 상기 캐패시터(C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01)(R1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02) 및 저항(R10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0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력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103)(R104) 및 캐패시터(C10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두 병렬 저항(R103)(R104)은 입력단회로의 저항(R101)과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는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제1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 제2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 및,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는 앰프(A101),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07),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8) 및 캐패시터(C104), 상기 앰프(A10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10) 및, 상기 앰프(A10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9) 및 캐패시터(C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증폭회로는 앰프(A102), 상기 앰프(A10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6), 이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1), 상기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2) 및 캐패시터(C107) 및, 상기 앰프(A10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3) 및 캐패시터(C108)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증폭회로의 (+)단은 상기 제1증폭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회로는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5)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7) 및 캐패시터(C110)가 연결되고, (-)단에는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A102)가 연결된 제1비교기(A103)와, (+)단은 상기 제1비교기(A103)의 (-)단과 연결되고,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4)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6) 및 캐패시터(C109)가 연결된 제2비교기(A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류방지회로는 상기 검출회로의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01)(D10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구동부는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및, 바이어스회로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딜레이회로는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18)과 역방향 다이오드(D103)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회로는 제1앰프(A105), 제2앰프(A106), 트랜지스터(Q102), 다수의 저항(R119 내지 R126) 및, 캐패시터(C111 내지 C113)로 이루어지되, 상기 트랜지스터(Q10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106)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일단이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20) 및 캐패시터(C111)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상기 바이어스회로와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과 제2앰프(A10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104)가 개재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저항(R122)과, 일단이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124) 및 캐패시터(C112)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바이어스회로는 일단은 상기 릴레이회로에 타단은 상기 구동회로의 제1앰프(A105)의 출력단 및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25)(R126) 및 캐패시터(C1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전원 차단 시 회전자의 회전 관성에 의한 잔여 회전을 빠르게 제동시킬 수 있고, 아울러 소형화 및 집적화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릴레이유닛에 관한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신호생성수단).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원 인가가 차단될 때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회전자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킨 모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터장치(이하 본 모터장치(M))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모터장치(M)는 회전자(21) 및 정류자(23)로 이루어진 전동유닛(2)과 이 전동유닛(2)을 감싸는 하우징(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자(21)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구성이고, 정류자(23)는 회전자(21)의 일 방향 회전을 위해 전류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구성으로, 본 고안에서의 회전자(21) 및 정류자(23)는 일반적인 모터장치에 구비된 회전자(21)와 크게 다르지 않은 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여도 통상의 기술자가 본 고안을 실시하기에 무리가 없을 것이다.
본 고안의 핵심 특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유닛(2)에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여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릴레이유닛(3)이 하우징(1) 내에 내장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릴레이유닛(3)의 하우징(1) 내 내장은 본 모터장치(M)의 부피를 줄여주어 본 모터가 사용되는 제품의 소형화 및 집적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릴레이유닛(3)의 내장을 통해 본 모터장치(M)는 하우징(1)에 의한 릴레이 보호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모터장치(M)는 전동유닛(2)이 회전자(21)와 결합된 회전축(25) 및 이 회전축(25)에 맞물려 전원 미 공급 시 회전축(25)의 회전을 억제하는 감속기어(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원 인가 차단 시 폐회로를 구성하고, 이 폐회로에 의해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회전자(21)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본 모터장치(M)는 회전축(25)에 감속기어(27)를 결합하여 회전축(25)의 회전 관성을 억제함으로써 보다 강화된 회전자(21)의 제동 성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릴레이유닛(3)에 대한 상세도이다.
한편, 본 고안의 핵심은 릴레이의 회로적 구성에 있는데, 도 2를 참고하여 이를 설명하면, 릴레이유닛(3)은 전원소스(4)와 연결된 전원부(31),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칭부(33), 그리고 전동유닛(2)(진동자 및 회전자(21))에 연결된 출력부(35)를 포함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부 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전원부(31)는 전원소스(4)의 (+)단에 연결된 제1접점(311) 및 (-)단에 연결된 제2접점(312)을 갖는 구성으로, 스위칭부(33)의 전원 공급 제어를 위한 두 접점을 제공한다.
또한 스위칭부(33)는 제1접점(311) 또는 제2접점(312)에 선택적으로 통전되어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칭소자(330)를 구비하여, 전원소스(4)의 전원을 전동유닛(2)으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한다.
아울러 출력부(35)는 제1노드(351)와 제2노드(352)를 구비하는데, 여기에서 제1노드(351)는 제1접점(311)과 스위칭소자(330)의 일단과 전동유닛(2)의 일단이 연결된 노드이고, 제2노드(352)는 스위칭소자(330)의 타단과 전동유닛(2)의 타단이 연결된 노드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동작 및 그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릴레이유닛(3)이 전동유닛(2)에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경우, 스위칭소자(330)는 제2접점(312)에 통전되어 '전원소스(4)의 (+)단 - 제1접점(311) - 제1노드(351) - 전동유닛(2) - 제2노드(352) - 스위칭소자(330) - 제2접점(312) - 전원소스(4)의 (-)단'의 경로를 갖는 제1폐회로를 구성한다. 이러한 제1폐회로는 전원소스(4)의 전원을 전동유닛(2)에 인가하도록 동작한다.
또는 릴레이유닛(3)이 전동유닛(2)에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경우, 스위칭소자(330)는 제1접점(311)에 통전되어 '제1접점(311) - 제1노드(351) - 전동유닛(2) - 제2노드(352) - 스위칭소자(330)'의 경로를 갖는 제2폐회로를 구성한다. 이러한 제2폐회로는 본 고안의 핵심 특징인 역기전력을 발생시켜 회전자(21)의 회전을 위한 전류와 반대 방향의 전류를 생성함으로써 회전자(21)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저항력을 통해 회전하던 회전자(21)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역기전력은 일명 '전기자 반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전원소스(4)와 연결되지 않은 제2폐회로를 구성하여 역기전력을 회전자(21)의 제동에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장치는 제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릴레이유닛(3)은 제어부(37)가 제어신호를 통해 스위칭부(33)를 제어하는데, 다시 말해 릴레이유닛(3)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인 제어부(37)가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 제어신호를 스위칭부(33)에 전송하여 상기한 스위칭부(33)의 전원 인가 또는 전원 차단 동작(스위칭소자(330)의 접점 선택)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31)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 등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이 각 구성의 동작에 맞도록 조정하고,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여 제어부(37)를 통한 안정된 스위칭부(33)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신호생성수단(5)을 추가로 도입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 3(본 고안의 실시예)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수단(5)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수단(5)은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 및,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을 참고하여 각 부 별로 살펴보면, 먼저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51),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512),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513),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출력단회로(5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회로(51)는 입력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출력단회로(514)를 구성하는 npn트랜지스터(Q101)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스위칭회로(51)의 구성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나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입력단회로(512)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1) 및 일단은 캐패시터(C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1)(R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접지단회로(513)는 트랜지스터(Q10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02) 및 저항(R10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06)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출력단회로(514)는 npn트랜지스터(Q101)와 트랜지스터(Q10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103)(R104) 및 캐패시터(C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두 병렬 저항(R103)(R104)은 입력단회로(512)의 저항(R101)과 연결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레벨조정부(51)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낮을 경우 스위칭회로(5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01)에 전원을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101)를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만큼 상승시킨다.
또한 레벨조정부(51)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위칭회로(5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0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트랜지스터(Q101)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만큼 하강시킨다.
이 때 입력단회로(512), 접지단회로(513) 및 출력단회로(514)의 저항(R101 내지 R106)과 캐패시터(C101 내지 C103)는 트랜지스터(Q101)의 이득을 결정하여 설정 전압 레벨을 세팅하는데, 특히 입력단회로(512)의 캐패시터(C101)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고, 출력단회로(514)의 캐패시터(C103)는 조정된 레벨을 갖는 제어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는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521), 제1증폭회로(521)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522), 제2증폭회로(522)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523) 및,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5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증폭회로(521)는 앰프(A101)와, 일단은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07), 일단은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8) 및 캐패시터(C104), 앰프(A10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10), 그리고 앰프(A10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9) 및 캐패시터(C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증폭회로(522)는 앰프(A102)와, 앰프(A10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6), 이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1), 상기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2) 및 캐패시터(C107), 그리고 앰프(A10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3) 및 캐패시터(C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2증폭회로(522)의 (+)단은 제1증폭회로(521)의 출력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증폭회로(521) 및 제2증폭회로(522)는 제어신호를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검출회로(523)는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제1비교기(A103)의 (+)단에는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5)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7) 및 캐패시터(C110)가 연결되고, 제1비교기(A103)의 (-)단에는 제2증폭회로(522)의 앰프(A102)와 제2비교기(A104)의 (+)단이 연결된다.
또한 제2비교기(A104)의 (+)단은 제1비교기(A103)의 (-)단과 연결되고, 제2비교기(A104)의 (-)단에는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4)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6) 및 캐패시터(C109)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1비교기(A103)는 하이패스필터로, 제2비교기(A104)는 로우패스필터로 동작하여 설정된 레벨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특히 이러한 노이즈 신호의 레벨 기준 범위 설정은 제1비교기(A103)의 (+)단에 연결된 저항(R115)(R117) 및 캐패시터(C110), 제2비교기(A104)의 (-)단에 연결된 저항(R114)(R116) 및 캐패시터(C109)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이를 위해 두 저항(R116)(R117)을 가변저항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역류방지회로(524)는 검출회로(523)의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01)(D10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역류방지회로(524)는 검출회로(523)를 통과하는 전류가 역류하여 재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후술하는 필터구동부(53)로부터 노이즈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는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531), 딜레이회로(531)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532),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구동회로(532) 및 바이어스회로(533)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5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딜레이회로(531)는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18)과 역방향 다이오드(D10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531)는 릴레이회로(534)가 빠르게 온/오프를 반복하여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 번 릴레이회로(534)가 동작하고 난 후에는 일정시간동안 릴레이회로(534)를 오프시키지 않으며 노이즈 검출 시 마다 다시 시간을 리셋시켜, 딜레이 설정을 통한 안정적 구동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구동회로(532)는 제1앰프(A105), 제2앰프(A106) 및 트랜지스터(Q102), 그리고 다수의 저항(R119 내지 R126) 및 캐패시터(C111 내지 C113)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트랜지스터(Q10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534)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106)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일단이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20) 및 캐패시터(C111)가 병렬로 연결된다.
아울러 제1앰프(A105)의 (-)단에는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이 연결된다.
또한 제2앰프(A106)의 (+)단에는 바이어스회로(533)와 제1앰프(A10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특히 제1앰프(A105)의 출력단과 제2앰프(A10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104)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저항(R122)과, 일단이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124) 및 캐패시터(C112)가 병렬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바이어스회로(533)는 일단은 릴레이회로(534)에 타단은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105)의 출력단 및 제2앰프(A106)의 (+)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25)(R126) 및 캐패시터(C113)로 이루어진다.
릴레이회로(534)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성으로, 간략하게 생략하여 표현하여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터구동부(53)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이어스회로(533)는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105) 및 제2앰프(A106)에 인가되는 전압의 동작점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바이어스회로(533)에 의해 결정된 전압이 제1앰프(A105)와 제2앰프(A106)에 인가된다.
또한 제2앰프(A106)의 (-)단에 연결된 저항(R122)(R123)(R124)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2앰프(A106)는 구동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 노이즈검출부(52)로부터 딜레이회로(531)와 제1앰프(A105) 그리고 역방향 다이오드(D104)를 통해 작동신호(노이즈검출부(52)가 노이즈를 검출한 후 출력하는 신호)가 주어지면 구동 대기 상태인 제2앰프(A106)가 구동하여 트랜지스터(Q102)를 작동시키고, 트랜지스터(Q102)는 릴레이회로(534)를 구동시킨다.
이 후 릴레이회로(534)는 필터링부(54)를 구동하여 제어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회로(534)에 의해 구동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는 릴레이회로(534)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회로(541), 신호입력회로(541)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메인필터회로(542) 및,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입력회로(541)는 필터구동부(53)의 릴레이회로(534)에 연결되어 필터링회로(542)(543)의 구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아울러 제어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필터링회로(542)(543)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입력회로(541)는 일 예로, 멀티플랙서와 같은 선택기로 이루어져, 구동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메인필터회로(542)의 입력단이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 즉 두 경로를 선택하여 입력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호입력회로(541)와 관련한 도면의 도시 및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메인필터회로(542)는 신호입력회로(541)의 출력단에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D105), 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 이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순방향 다이오드(D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순방향 다이오드(D105)는 전류의 일 방향 흐름을 차단하여, 메인필터회로(542)로부터 신호입력회로(541)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다이오드(D106)는 노이즈 제거 효율을 보다 높여준다.
다음으로,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는 앰프(A107)와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 그리고 바이어싱된 저항(R128 내지 R135) 및 캐패시터(C116, C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브필터회로(543)를 살펴보면, 앰프(A107)의 (+)단에는 3개의 저항(R128)(R129)(R130)이 연결되어 있는데, 하나(R128)는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둘(R129)(R130)은 이에 병렬로 연결되며, 앰프(A107)의 (+)단은 두개의 저항(R129)(R130) 사이에 연결된다.
앰프(A107)의 (-)단에는 캐패시터(C116)와 이에 상호 병렬을 이루며 연결된 두개의 저항(R131)(R132) 및 기준 전압 입력단(Sref)이 연결되어 있는데, 두개의 저항(R131)(R132) 중 하나(R131)는 기준 전압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R132)는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캐패시터(C116)는 두개의 저항(R131)(R13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앰프(A107)의 출력단에는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가 연결되는데, 제1트랜지스터(Q103)와 앰프(A107) 사이에는 저항(R133)이 구비되어 앰프(A107)의 출력 전압을 일정 강하하여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의 구동을 위한 동작점을 생성한다.
제1트랜지스터(Q103)는 npn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한 앰프(A107)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제2트랜지스터(Q104)의 베이스와 연결된다.
제2트랜지스터(Q104)는 pnp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트랜지스터(Q103)의 컬렉터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된다.
특히 제2트랜지스터(Q104)와 제어신호의 출력단 사이에는 직렬 배치된 두 저항(R134)(R135)과 둘 사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17)가 구비된다.
이러한 서브필터회로(543)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앰프(A107)의 (-)단에 구비된 두 저항(R131)(R132) 및 캐패시터(C116)는 기준 전압 입력단(Sref)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해 기준 전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기준 전압은 노이즈의 제거를 위한 기준이 되고, 기준 전압보다 높거나 낮은 전압 레벨은 모두 노이즈로 간주되어 제거된다.
다음으로 앰프의 (+)단에 구비된 세 개의 저항(R128)(R129)(R130)은 메인필터회로(542)를 통과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준 전압과 비교 가능하도록 강하시키는데,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 전압 레벨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앰프(A107)는 비교기로 동작하여, 기준 전압 레벨과 제어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잔존 노이즈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서브필터회로(543)의 제1트랜지스터(Q103)와 제2트랜지스터(Q104)는 제어신호가 잔존 노이즈를 포함하여 기준 전압보다 순간적으로 높거나 낮을 때(일반적인 경우 노이즈에 의해 전압이 상승된다.) 온 되어 노이즈만큼 상승한 전압을 캐패시터(C117)에 충전시키고 이에 하강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은 기준 전압 레벨만큼이 된다.
이 후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에 해당하면 제1트랜지스터(Q103) 및 제2트랜지스터(Q104)는 턴 오프되고, 이 후 캐패시터(C117)에 저장된 전압은 병렬 연결된 저항(R135)을 통해 방전되어 원상 복구 된다.
이러한 필터링부(54)의 구성은 메인필터회로(542)를 통해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남은 잔존 노이즈와 순간 유입되는 노이즈를 서브필터회로(543)를 통해 2차적으로 제거하여 노이즈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클린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각 구성의 오작동 및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물론 필터링부(54)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한 레벨조정부(51)는 안정된 신호의 전압 레벨을 설정하여 주기 때문에 제어신호를 일정 레벨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52)를 통해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보다 민감하게 노이즈를 검출해내고, 필터구동부(53)를 통해 필터링부(54)의 구동이 노이즈 검출에 따른 선택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여 필터링부(54)의 수명, 특히 필터링부(54)에 구비된 캐패시터(C114 내지 C117)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아울러 필터링부(54)가 항시 구동하지 않고, 노이즈 검출 여부에 따라 선택적 구동된다는 점은 전력 소모 감소에 있어서도 현저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본 모터장치
1: 하우징
2: 전동유닛 21: 회전자
23: 정류자 25: 회전축
27: 감속기어
3: 릴레이유닛 31: 전원부
311: 제1접점 312: 제2접점
33: 스위칭부 330: 스위칭소자
35: 출력부 351: 제1노드
352: 제2노드 37: 제어부
4: 전원소스 5: 신호생성수단

Claims (3)

  1. 회전자(21) 및 정류자(23)를 갖는 전동유닛(2);과 이 전동유닛(2)을 감싸는 하우징(1);을 포함하는 모터장치에 있어서,

    전원소스(4)의 (+)단에 연결된 제1접점(311) 및 (-)단에 연결된 제2접점(312)을 갖는 전원부(31),
    상기 제1접점(311) 또는 상기 제2접점(312)에 선택적으로 통전되어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칭소자(330)를 구비한 스위칭부(33) 및
    상기 제1접점(311)과 상기 스위칭소자(330)의 일단과 상기 전동유닛(2)의 일단이 연결된 제1노드(351) 및 상기 스위칭소자(330)의 타단과 상기 전동유닛(2)의 타단이 연결된 제2노드(352)를 구비한 출력부(35)를 구비한 릴레이유닛(3);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릴레이유닛(3)은 상기 하우징(1) 내에 내장되고,
    상기 릴레이유닛(3)이 전동유닛(2)에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경우, 스위칭소자(330)가 제2접점(312)에 통전되어 '전원소스(4)의 (+)단 - 제1접점(311) - 제1노드(351) - 전동유닛(2) - 제2노드(352) - 스위칭소자(330) - 제2접점(312) - 전원소스(4)의 (-)단'의 경로를 갖는 제1폐회로를 구성하여, 전원소스(4)의 전원을 전동유닛(2)에 인가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릴레이유닛(3)이 전동유닛(2)에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경우, 스위칭소자(330)가 제1접점(311)에 통전되어 '제1접점(311) - 제1노드(351) - 전동유닛(2) - 제2노드(352) - 스위칭소자(330)'의 경로를 갖는 제2폐회로를 구성하여, 상기 회전자(21)의 회전을 위한 전류와 반대 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전동유닛(2)은 상기 회전자(21)와 결합된 회전축(25) 및 이 회전축(25)에 맞물려 전원 미 공급 시 상기 회전축(25)의 회전을 억제하는 감속기어(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유닛(3)은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칭부(33)를 제어하는 제어부(3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7)에는 상기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 및, 노이즈 검출 시 상기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를 포함하는 신호생성수단(5)이 구비되고,
    상기 레벨조정부(51)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511),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512),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513) 및,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101)를 구비한 출력단회로(514)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단회로(512)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1) 및 일단은 상기 캐패시터(C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01)(R1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단회로(513)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02) 및 저항(R10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0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력단회로(514)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103)(R104) 및 캐패시터(C10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두 병렬 저항(R103)(R104)은 입력단회로(512)의 저항(R101)과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52)는 상기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521), 제1증폭회로(521)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522), 제2증폭회로(522)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523) 및,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524)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521)는 앰프(A101),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07),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8) 및 캐패시터(C104), 상기 앰프(A10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10) 및, 상기 앰프(A10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9) 및 캐패시터(C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증폭회로(522)는 앰프(A102), 상기 앰프(A10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6), 이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1), 상기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2) 및 캐패시터(C107) 및, 상기 앰프(A10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3) 및 캐패시터(C108)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증폭회로(522)의 (+)단은 상기 제1증폭회로(52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회로(523)는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5)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7) 및 캐패시터(C110)가 연결되고, (-)단에는 상기 제2증폭회로(522)의 앰프(A102)가 연결된 제1비교기(A103)와,
    (+)단은 상기 제1비교기(A103)의 (-)단과 연결되고,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4)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6) 및 캐패시터(C109)가 연결된 제2비교기(A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류방지회로(524)는 상기 검출회로(523)의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01)(D10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구동부(53)는 상기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531),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532),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533) 및, 바이어스회로(533)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534)를 포함하되,
    상기 딜레이회로(531)는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18)과 역방향 다이오드(D103)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회로(532)는 제1앰프(A105), 제2앰프(A106), 트랜지스터(Q102), 다수의 저항(R119 내지 R126) 및, 캐패시터(C111 내지 C113)로 이루어지되,
    상기 트랜지스터(Q10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106)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일단이 상기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20) 및 캐패시터(C111)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상기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상기 바이어스회로와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과 제2앰프(A10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104)가 개재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저항(R122)과, 일단이 상기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124) 및 캐패시터(C112)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바이어스회로(533)는 일단은 상기 릴레이회로(534)에 타단은 상기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105)의 출력단 및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25)(R126) 및 캐패시터(C1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KR2020160000249U 2016-01-15 2016-01-15 제동 성능이 향상된 모터장치 KR200480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49U KR200480489Y1 (ko) 2016-01-15 2016-01-15 제동 성능이 향상된 모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49U KR200480489Y1 (ko) 2016-01-15 2016-01-15 제동 성능이 향상된 모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489Y1 true KR200480489Y1 (ko) 2016-05-31

Family

ID=5609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249U KR200480489Y1 (ko) 2016-01-15 2016-01-15 제동 성능이 향상된 모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4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031A (ko) * 2016-07-28 2018-02-07 주식회사 아이테크 에어컨 실외기용 자동개폐 루버
KR20180025699A (ko) * 2016-09-01 2018-03-09 (주)이노씨앤에프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전자칠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031A (ko) * 2016-07-28 2018-02-07 주식회사 아이테크 에어컨 실외기용 자동개폐 루버
KR101897711B1 (ko) * 2016-07-28 2018-09-12 주식회사 아이테크 에어컨 실외기용 자동개폐 루버
KR20180025699A (ko) * 2016-09-01 2018-03-09 (주)이노씨앤에프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전자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9984B2 (ja) ファンの正回転/逆回転を制御するシステムと方法
US8232755B2 (en) Motor with circuits for protecting motor from input power outages or surges
KR200480489Y1 (ko) 제동 성능이 향상된 모터장치
JP5386665B2 (ja) アンプ故障検出回路
JP5026346B2 (ja) モーター装置及びモーター速度制御システム
KR101843394B1 (ko)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JP2007065961A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電子制御方法
US20160315568A1 (en) Motor drive circuit and method
KR101614821B1 (ko) 방수형 발신기
KR101657155B1 (ko) 표시등 어셈블리
KR101746213B1 (ko) 정풍량 환기팬
KR101644147B1 (ko) 엔코더가 구비된 모터 어셈블리
KR101631204B1 (ko)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
JP2003111475A (ja) 異常回転数検出装置を備える可変速度フアンモータ
KR101708376B1 (ko) 비드 밀
TWI739192B (zh) 馬達堵轉檢測電路
JP4170054B2 (ja) 保護回路を備えたdc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回路
KR100685346B1 (ko) 모터 제어장치
KR1017674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
JP3048931B2 (ja) ファン拘束電流防止回路
KR100471079B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 리셋회로
KR0184564B1 (ko) 모터 보호 회로
JP3672674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08236814A (ja) モータのpwm制御回路
JP3596247B2 (ja) 直流電動機の速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