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204B1 -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204B1
KR101631204B1 KR1020150182754A KR20150182754A KR101631204B1 KR 101631204 B1 KR101631204 B1 KR 101631204B1 KR 1020150182754 A KR1020150182754 A KR 1020150182754A KR 20150182754 A KR20150182754 A KR 20150182754A KR 101631204 B1 KR101631204 B1 KR 101631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amplifier
resistor
capaci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철
Original Assignee
유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철 filed Critical 유승철
Priority to KR1020150182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4Control arrangements for mechanically-drive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4Control arrangements for mechanically-driven presses
    • B30B15/148Electrical control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2Circuit arrangements for protecting su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인크리멘탈 방식의 디지털 프레스와 엡솔루트 방식의 디지털 프레스 모두와 호환 가능하여 하나의 구동장치로 두 가지 방식의 디지털 프레스 모두를 구동시킬 수 있는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프레스의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모듈과, 디지털 프레스의 작업 설정 횟수를 출력하는 설정횟수파트, 디지털 프레스의 작업 수행 횟수를 출력하는 수행횟수파트를 포함하는 출력모듈과, 디지털 프레스의 프레스 램을 구동시키는 회전축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검출모듈과,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입력모듈, 출력모듈 및 검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검출모듈은 인크리멘탈 타입 또는 엡솔루트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동작 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통해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 상기 프레스 램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및, 상기 검출모듈의 두 가지 타입을 호환하여 제어하는 호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DIGITAL PRESS DRIVE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프레스를 구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인크리멘탈 방식의 디지털 프레스와 엡솔루트 방식의 디지털 프레스 모두와 호환 가능하여 하나의 구동장치로 두 가지 방식의 디지털 프레스 모두를 구동시킬 수 있는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프레스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왕복 운동하는 프레스 램을 구비하고, 프레스 램 하단부에 제조용 금형의 상형을 고정하고, 프레스 램 하부에 제조용 금형의 하형을 고정하여, 프레스 램의 상하 왕복 운동을 통해 하형에 안착된 재료를 압축, 절단하여 원하는 형태로 제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지털 프레스를 구동하기 위해 종래에는 복수의 릴레이 또는 리미트 스위치 등을 조합하여 구성한 구동장치를 이용하거나, PLC 로직 콘트롤러 등과 같은 별도의 컨트롤러에 시퀀스 제어 프로그램을 탑재시켜 구동시켰다.
이러한 디지털 프레스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41449호 (2001년07월24일) [프레스 기기의 구동 표시장치](이하 종래기술)가 있는데, 종래기술에는 회전축, 즉 상부 금형의 작업속도와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 및 확인할 수 있는 프레스 기기의 구동 표시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이, 회전축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엔코더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엔코더는 상대 번지 방식인 인크리멘탈 타입과 절대 번지 방식인 엡솔루트 타입이 있는데, 종래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한 타입의 엔코더를 특정하여 이에 맞는 동작 제어 명령을 실행시켰다.
그러나 비용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 인크리멘탈 타입의 엔코더와 고정적 기준 값을 통한 유사 상황 대비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 엡솔루트 타입의 엔코더는 서로 트레이드오프(Trade-Off) 관계에 있는 장점을 갖는 바, 업계에서는 상황에 맞게 둘 중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각각의 엔코더에 맞는 동작 제어 명령을 탑재한 제어모듈을 구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두 타입을 혼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오히려 더 많은 비용을 소요하게 되고, 더불어 구동 장치의 보관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해야 한다는 측면에서도 불편함이 제기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인크리멘탈 방식의 디지털 프레스와 엡솔루트 방식의 디지털 프레스 모두와 호환 가능하여 하나의 구동장치로 두 가지 방식의 디지털 프레스 모두를 구동시킬 수 있는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디지털 프레스의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모듈과, 디지털 프레스의 작업 설정 횟수를 출력하는 설정횟수파트, 디지털 프레스의 작업 수행 횟수를 출력하는 수행횟수파트를 포함하는 출력모듈과, 디지털 프레스의 프레스 램을 구동시키는 회전축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검출모듈과,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입력모듈, 출력모듈 및 검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검출모듈은 인크리멘탈 타입 또는 엡솔루트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동작 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통해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 상기 프레스 램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및, 상기 검출모듈의 두 가지 타입을 호환하여 제어하는 호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환제어부는 각각 동작 제어 명령을 내장한 인크리멘탈 타입 제어파트 및 엡솔루트 타입 제어파트를 구비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검출모듈의 타입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인크리멘탈 타입 제어파트 또는 상기 엡솔루트 타입 제어파트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 및, 노이즈 검출 시 상기 필터링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조정부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 및,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101)를 구비한 출력단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단회로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1) 및 일단은 상기 캐패시터(C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01)(R1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02) 및 저항(R10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0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력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103)(R104) 및 캐패시터(C10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두 병렬 저항(R103)(R104)은 입력단회로의 저항(R101)과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는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제1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 제2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 및,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는 앰프(A101),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07),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8) 및 캐패시터(C104), 상기 앰프(A10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10) 및, 상기 앰프(A10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9) 및 캐패시터(C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증폭회로는 앰프(A102), 상기 앰프(A10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6), 이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1), 상기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2) 및 캐패시터(C107) 및, 상기 앰프(A10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3) 및 캐패시터(C108)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증폭회로의 (+)단은 상기 제1증폭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회로는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5)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7) 및 캐패시터(C110)가 연결되고, (-)단에는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A102)가 연결된 제1비교기(A103)와, (+)단은 상기 제1비교기(A103)의 (-)단과 연결되고,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4)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6) 및 캐패시터(C109)가 연결된 제2비교기(A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류방지회로는 상기 검출회로의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01)(D10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필터구동부는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및, 바이어스회로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딜레이회로는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18)과 역방향 다이오드(D103)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회로는 제1앰프(A105), 제2앰프(A106), 트랜지스터(Q102), 다수의 저항(R119 내지 R126) 및, 캐패시터(C111 내지 C113)로 이루어지되, 상기 트랜지스터(Q10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106)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일단이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20) 및 캐패시터(C111)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상기 바이어스회로와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과 제2앰프(A10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104)가 개재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저항(R122)과, 일단이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124) 및 캐패시터(C112)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바이어스회로는 일단은 상기 릴레이회로에 타단은 상기 구동회로의 제1앰프(A105)의 출력단 및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25)(R126) 및 캐패시터(C1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구비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장치로 인크리멘탈 방식의 디지털 프레스와 엡솔루트 방식의 디지털 프레스 모두를 구동시킬 수 있어, 두 가지 타입에 맞는 구동장치를 구비함에 따른 비용적, 공간적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인크리멘탈 방식의 디지털 프레스와 엡솔루트 방식의 디지털 프레스 모두와 호환 가능하여 하나의 구동장치로 두 가지 방식의 디지털 프레스 모두를 구동시킬 수 있는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이하 본 구동장치(D))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동장치(D)는 입력모듈(1), 출력모듈(2), 검출모듈(3) 및 제어모듈(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입력모듈(1)은 디지털 프레스의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구성으로, 디지털 프레스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이다. 본 구동장치(D)는 입력모듈(1)을 통해 디지털 프레스의 작업 설정, 작업 수행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데, 이러한 입력모듈(1)은 버튼, 레버, 터치스크린, 스위치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모듈(2)은 디지털 프레스의 동작에 관한 상태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제어모듈(4)에 의한 구동 명령을 출력하여 디지털 프레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출력모듈(2)은 디지털 프레스의 작업 설정 횟수를 출력하는 설정횟수파트(21)와 디지털 프레스의 작업 수행 횟수를 출력하는 수행횟수파트(23)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작업자는 설정된 작업 횟수, 그리고 그 작업이 몇 회 수행되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출력모듈(2)은 전체 설정 작업 횟수, 에러 발생 여부, 디지털 프레스의 현재 동작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파트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검출모듈(3)은 디지털 프레스의 프레스 램을 구동시키는 회전축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대표적으로 엔코더가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엔코더는 디지털 프레스의 램이 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검출모듈(3)(엔코더)은 크게 인크리멘탈 타입 또는 엡솔루트 타입으로 이루어지는데, 인크리멘탈 타입은 축의 현재 값을 기준 값으로 하여 지정된 방향으로 램을 구동시키는 회전축이 얼마나 회전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쉽게 말해 상대 번지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엡솔루트 타입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기준으로 하여 기준 값에 대해 지정된 방향으로 램을 구동시키는 회전축이 얼마나 회전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쉽게 말해 절대 번지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인크리멘탈 타입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반면, 엡솔루트 타입은 전원 인가 차단 후에도 축의 위치가 소실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입력모듈(1), 출력모듈(2) 및 검출모듈(3)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고, 그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의 도시를 생략하여도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어려움이 없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동장치(D)는 제어신호를 통해 입력모듈(1), 출력모듈(2) 및 검출모듈(3)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모듈(4)은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입력모듈(1)에 의해 입력된 동작 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통해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41), 프레스 램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45) 및, 검출모듈(3)의 두 가지 타입을 호환하여 제어하는 호환제어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제어부(41)는 마이컴, CPU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동제어부(45) 및 호환제어부(43)는 각 종 전기소자(집적회로 칩, 저항, 캐패시터, 인덕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동제어부(45)는 중앙제어부(41)의 명령에 따라 디지털 프레스의 프레스 램의 구동을 제어하는데, 예를 들면 디지털 프레스의 클러치를 구동시켜 회전축을 회동시키고 이를 통해 프레스 램의 승강을 수행하거나 또는 디지털 프레스의 클러치를 접속 및 개방하여 프레스의 램의 정위치를 조절하는 등의 동작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중앙제어부(41), 구동제어부(45) 및 호환제어부(43)에 관한 소자 단위의 설명은 생략하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그 실시는 충분히 유추 및 추론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특히 호환제어부(43)에 관한 소자 단위의 실시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호환제어부(43)는 각각 동작 제어 명령을 내장한 인크리멘탈 타입 제어파트(431) 및 엡솔루트 타입 제어파트(431)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구동장치(D)는 중앙제어부(41)로부터 전송받은 검출모듈(3)의 타입에 관한 정보에 따라 인크리멘탈 타입 제어파트(431) 또는 엡솔루트 타입 제어파트(431)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호환제어부(43)는 멀티플렉서(MUX), 트라이 스테이트(Tri-Status) 회로 등과 같은 선택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부(41)는 로드셀과 같이 검출모듈(3)의 접속을 감지하는 파트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고, 접속된 검출모듈(3)(엔코더)의 타입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파트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인크리멘탈 타입의 검출모듈(3)이 접속된 경우, 제어모듈(4)은 인크리멘탈 타입 제어파트(431)의 동작 제어 명령을 검출모듈(3)로 전송하여 디지털 프레스의 프레스 램을 제어하고, 엡솔루트 타입의 검출모듈(3)이 접속된 경우, 제어모듈(4)은 엡솔루트 타입 제어파트(431)의 동작 제어명령을 검출모듈(3)로 전송하여 디지털 프레스의 프레스 램을 제어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 본 구동장치(D)를 구현하기 위한 PCB기판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상기한 입력모듈(1)의 결합을 위한 커넥팅 소켓, 출력모듈(2)의 결합을 위한 커넥팅 소켓을 확인할 수 있고, 기판에 장착된 검출모듈(3)의 구성과, 제어모듈(4)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추가로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호환제어부(43)의 구비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구동장치(D)의 제어모듈(4)은 제어신호를 통해 각 구성(입력모듈(1), 출력모듈(2) 및 검출모듈(3))의 동작을 제어한다는 것을 상기한 바 있다.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 등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이 각 구성의 동작에 맞도록 조정하고,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여 제어부를 통한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신호생성수단(5)을 추가로 도입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제2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수단(5)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모듈(4)은 신호생성수단(5)을 포함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수단(5)은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 및,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을 참고하여 각 부 별로 살펴보면, 먼저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51),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512),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513),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출력단회로(5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회로(51)는 입력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출력단회로(514)를 구성하는 npn트랜지스터(Q101)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스위칭회로(51)의 구성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나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입력단회로(512)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1) 및 일단은 캐패시터(C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1)(R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접지단회로(513)는 트랜지스터(Q10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02) 및 저항(R10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06)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출력단회로(514)는 npn트랜지스터(Q101)와 트랜지스터(Q10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103)(R104) 및 캐패시터(C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두 병렬 저항(R103)(R104)은 입력단회로(512)의 저항(R101)과 연결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레벨조정부(51)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낮을 경우 스위칭회로(5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01)에 전원을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101)를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만큼 상승시킨다.
또한 레벨조정부(51)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위칭회로(5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0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트랜지스터(Q101)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만큼 하강시킨다.
이 때 입력단회로(512), 접지단회로(513) 및 출력단회로(514)의 저항(R101 내지 R106)과 캐패시터(C101 내지 C103)는 트랜지스터(Q101)의 이득을 결정하여 설정 전압 레벨을 세팅하는데, 특히 입력단회로(512)의 캐패시터(C101)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고, 출력단회로(514)의 캐패시터(C103)는 조정된 레벨을 갖는 제어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는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521), 제1증폭회로(521)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522), 제2증폭회로(522)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523) 및,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5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증폭회로(521)는 앰프(A101)와, 일단은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07), 일단은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8) 및 캐패시터(C104), 앰프(A10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10), 그리고 앰프(A10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9) 및 캐패시터(C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증폭회로(522)는 앰프(A102)와, 앰프(A10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6), 이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1), 상기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2) 및 캐패시터(C107), 그리고 앰프(A10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3) 및 캐패시터(C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2증폭회로(522)의 (+)단은 제1증폭회로(521)의 출력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증폭회로(521) 및 제2증폭회로(522)는 제어신호를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검출회로(523)는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제1비교기(A103)의 (+)단에는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5)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7) 및 캐패시터(C110)가 연결되고, 제1비교기(A103)의 (-)단에는 제2증폭회로(522)의 앰프(A102)와 제2비교기(A104)의 (+)단이 연결된다.
또한 제2비교기(A104)의 (+)단은 제1비교기(A103)의 (-)단과 연결되고, 제2비교기(A104)의 (-)단에는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4)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6) 및 캐패시터(C109)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1비교기(A103)는 하이패스필터로, 제2비교기(A104)는 로우패스필터로 동작하여 설정된 레벨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특히 이러한 노이즈 신호의 레벨 기준 범위 설정은 제1비교기(A103)의 (+)단에 연결된 저항(R115)(R117) 및 캐패시터(C110), 제2비교기(A104)의 (-)단에 연결된 저항(R114)(R116) 및 캐패시터(C109)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이를 위해 두 저항(R116)(R117)을 가변저항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역류방지회로(524)는 검출회로(523)의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01)(D10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역류방지회로(524)는 검출회로(523)를 통과하는 전류가 역류하여 재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후술하는 필터구동부(53)로부터 노이즈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는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531), 딜레이회로(531)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532),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구동회로(532) 및 바이어스회로(533)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5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딜레이회로(531)는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18)과 역방향 다이오드(D10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531)는 릴레이회로(534)가 빠르게 온/오프를 반복하여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 번 릴레이회로(534)가 동작하고 난 후에는 일정시간동안 릴레이회로(534)를 오프시키지 않으며 노이즈 검출 시 마다 다시 시간을 리셋시켜, 딜레이 설정을 통한 안정적 구동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구동회로(532)는 제1앰프(A105), 제2앰프(A106) 및 트랜지스터(Q102), 그리고 다수의 저항(R119 내지 R126) 및 캐패시터(C111 내지 C113)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트랜지스터(Q10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534)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106)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일단이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20) 및 캐패시터(C111)가 병렬로 연결된다.
아울러 제1앰프(A105)의 (-)단에는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이 연결된다.
또한 제2앰프(A106)의 (+)단에는 바이어스회로(533)와 제1앰프(A10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특히 제1앰프(A105)의 출력단과 제2앰프(A10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104)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저항(R122)과, 일단이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124) 및 캐패시터(C112)가 병렬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바이어스회로(533)는 일단은 릴레이회로(534)에 타단은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105)의 출력단 및 제2앰프(A106)의 (+)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25)(R126) 및 캐패시터(C113)로 이루어진다.
릴레이회로(534)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성으로, 간략하게 생략하여 표현하여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터구동부(53)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이어스회로(533)는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105) 및 제2앰프(A106)에 인가되는 전압의 동작점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바이어스회로(533)에 의해 결정된 전압이 제1앰프(A105)와 제2앰프(A106)에 인가된다.
또한 제2앰프(A106)의 (-)단에 연결된 저항(R122)(R123)(R124)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2앰프(A106)는 구동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 노이즈검출부(52)로부터 딜레이회로(531)와 제1앰프(A105) 그리고 역방향 다이오드(D104)를 통해 작동신호(노이즈검출부(52)가 노이즈를 검출한 후 출력하는 신호)가 주어지면 구동 대기 상태인 제2앰프(A106)가 구동하여 트랜지스터(Q102)를 작동시키고, 트랜지스터(Q102)는 릴레이회로(534)를 구동시킨다.
이 후 릴레이회로(534)는 필터링부(54)를 구동하여 제어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회로(534)에 의해 구동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는 릴레이회로(534)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회로(541), 신호입력회로(541)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메인필터회로(542) 및,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입력회로(541)는 필터구동부(53)의 릴레이회로(534)에 연결되어 필터링회로(542)(543)의 구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아울러 제어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필터링회로(542)(543)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입력회로(541)는 일 예로, 멀티플랙서와 같은 선택기로 이루어져, 구동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메인필터회로(542)의 입력단이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 즉 두 경로를 선택하여 입력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호입력회로(541)와 관련한 도면의 도시 및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메인필터회로(542)는 신호입력회로(541)의 출력단에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D105), 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 이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순방향 다이오드(D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순방향 다이오드(D105)는 전류의 일 방향 흐름을 차단하여, 메인필터회로(542)로부터 신호입력회로(541)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다이오드(D106)는 노이즈 제거 효율을 보다 높여준다.
다음으로,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는 앰프(A107)와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 그리고 바이어싱된 저항(R128 내지 R135) 및 캐패시터(C116, C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브필터회로(543)를 살펴보면, 앰프(A107)의 (+)단에는 3개의 저항(R128)(R129)(R130)이 연결되어 있는데, 하나(R128)는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둘(R129)(R130)은 이에 병렬로 연결되며, 앰프(A107)의 (+)단은 두개의 저항(R129)(R130) 사이에 연결된다.
앰프(A107)의 (-)단에는 캐패시터(C116)와 이에 상호 병렬을 이루며 연결된 두개의 저항(R131)(R132) 및 기준 전압 입력단(Sref)이 연결되어 있는데, 두개의 저항(R131)(R132) 중 하나(R131)는 기준 전압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R132)는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캐패시터(C116)는 두개의 저항(R131)(R13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앰프(A107)의 출력단에는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가 연결되는데, 제1트랜지스터(Q103)와 앰프(A107) 사이에는 저항(R133)이 구비되어 앰프(A107)의 출력 전압을 일정 강하하여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의 구동을 위한 동작점을 생성한다.
제1트랜지스터(Q103)는 npn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한 앰프(A107)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제2트랜지스터(Q104)의 베이스와 연결된다.
제2트랜지스터(Q104)는 pnp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트랜지스터(Q103)의 컬렉터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된다.
특히 제2트랜지스터(Q104)와 제어신호의 출력단 사이에는 직렬 배치된 두 저항(R134)(R135)과 둘 사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17)가 구비된다.
이러한 서브필터회로(543)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앰프(A107)의 (-)단에 구비된 두 저항(R131)(R132) 및 캐패시터(C116)는 기준 전압 입력단(Sref)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해 기준 전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기준 전압은 노이즈의 제거를 위한 기준이 되고, 기준 전압보다 높거나 낮은 전압 레벨은 모두 노이즈로 간주되어 제거된다.
다음으로 앰프의 (+)단에 구비된 세 개의 저항(R128)(R129)(R130)은 메인필터회로(542)를 통과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준 전압과 비교 가능하도록 강하시키는데,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 전압 레벨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앰프(A107)는 비교기로 동작하여, 기준 전압 레벨과 제어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잔존 노이즈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서브필터회로(543)의 제1트랜지스터(Q103)와 제2트랜지스터(Q104)는 제어신호가 잔존 노이즈를 포함하여 기준 전압보다 순간적으로 높거나 낮을 때(일반적인 경우 노이즈에 의해 전압이 상승된다.) 온 되어 노이즈만큼 상승한 전압을 캐패시터(C117)에 충전시키고 이에 하강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은 기준 전압 레벨만큼이 된다.
이 후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에 해당하면 제1트랜지스터(Q103) 및 제2트랜지스터(Q104)는 턴 오프되고, 이 후 캐패시터(C117)에 저장된 전압은 병렬 연결된 저항(R135)을 통해 방전되어 원상 복구 된다.
이러한 필터링부(54)의 구성은 메인필터회로(542)를 통해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남은 잔존 노이즈와 순간 유입되는 노이즈를 서브필터회로(543)를 통해 2차적으로 제거하여 노이즈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클린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각 구성의 오작동 및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물론 필터링부(54)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한 레벨조정부(51)는 안정된 신호의 전압 레벨을 설정하여 주기 때문에 제어신호를 일정 레벨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52)를 통해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보다 민감하게 노이즈를 검출해내고, 필터구동부(53)를 통해 필터링부(54)의 구동이 노이즈 검출에 따른 선택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여 필터링부(54)의 수명, 특히 필터링부(54)에 구비된 캐패시터(C114 내지 C117)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아울러 필터링부(54)가 항시 구동하지 않고, 노이즈 검출 여부에 따라 선택적 구동된다는 점은 전력 소모 감소에 있어서도 현저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본 구동장치
1: 입력모듈 2: 출력모듈
3; 검출모듈 4: 제어모듈
41; 중앙제어부 43: 호환제어부
45: 구동제어부
5: 신호생성수단

Claims (4)

  1. 디지털 프레스의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모듈;
    디지털 프레스의 작업 설정 횟수를 출력하는 설정횟수파트, 디지털 프레스의 작업 수행 횟수를 출력하는 수행횟수파트를 포함하는 출력모듈;
    디지털 프레스의 프레스 램을 구동시키는 회전축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검출모듈; 및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입력모듈, 출력모듈 및 검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검출모듈은 인크리멘탈 타입 또는 엡솔루트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동작 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통해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 상기 프레스 램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및, 상기 검출모듈의 두 가지 타입을 호환하여 제어하는 호환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 및, 노이즈 검출 시 상기 필터링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조정부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 및,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101)를 구비한 출력단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단회로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1) 및 일단은 상기 캐패시터(C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01)(R1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02) 및 저항(R10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0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력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103)(R104) 및 캐패시터(C10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두 병렬 저항(R103)(R104)은 입력단회로의 저항(R101)과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는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제1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 제2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 및,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는 앰프(A101),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07),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8) 및 캐패시터(C104), 상기 앰프(A10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10) 및, 상기 앰프(A10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9) 및 캐패시터(C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증폭회로는 앰프(A102), 상기 앰프(A10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6), 이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1), 상기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2) 및 캐패시터(C107) 및, 상기 앰프(A10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3) 및 캐패시터(C108)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증폭회로의 (+)단은 상기 제1증폭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회로는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5)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7) 및 캐패시터(C110)가 연결되고, (-)단에는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A102)가 연결된 제1비교기(A103)와,
    (+)단은 상기 제1비교기(A103)의 (-)단과 연결되고,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4)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6) 및 캐패시터(C109)가 연결된 제2비교기(A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류방지회로는 상기 검출회로의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01)(D10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환제어부는
    각각 동작 제어 명령을 내장한 인크리멘탈 타입 제어파트 및 엡솔루트 타입 제어파트를 구비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검출모듈의 타입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인크리멘탈 타입 제어파트 또는 상기 엡솔루트 타입 제어파트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구동부는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및, 바이어스회로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딜레이회로는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18)과 역방향 다이오드(D103)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회로는 제1앰프(A105), 제2앰프(A106), 트랜지스터(Q102), 다수의 저항(R119 내지 R126) 및, 캐패시터(C111 내지 C113)로 이루어지되,
    상기 트랜지스터(Q10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106)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일단이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20) 및 캐패시터(C111)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상기 바이어스회로와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과 제2앰프(A10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104)가 개재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저항(R122)과, 일단이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124) 및 캐패시터(C112)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바이어스회로는 일단은 상기 릴레이회로에 타단은 상기 구동회로의 제1앰프(A105)의 출력단 및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25)(R126) 및 캐패시터(C1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
  4. 삭제
KR1020150182754A 2015-12-21 2015-12-21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 KR101631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754A KR101631204B1 (ko) 2015-12-21 2015-12-21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754A KR101631204B1 (ko) 2015-12-21 2015-12-21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204B1 true KR101631204B1 (ko) 2016-06-16

Family

ID=5635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754A KR101631204B1 (ko) 2015-12-21 2015-12-21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2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914A (ja) * 1996-09-30 1998-04-21 Sumitomo Metal Ind Ltd 押出プレスのラム速度制御方法およびラム速度制御装置
KR100377332B1 (ko) * 2000-04-18 2003-03-26 정창환 위치 제어방법과 위치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914A (ja) * 1996-09-30 1998-04-21 Sumitomo Metal Ind Ltd 押出プレスのラム速度制御方法およびラム速度制御装置
KR100377332B1 (ko) * 2000-04-18 2003-03-26 정창환 위치 제어방법과 위치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587B1 (ko) 엘이디 조명기구
JP2004185615A (ja) 電気機器および電気機器の駆動方法
KR101631204B1 (ko) 디지털 프레스용 엔코더 호환형 구동장치
EP3087363B1 (en) Digital temperature sensor with integrated digital temperature filter
KR0185465B1 (ko) 압솔루트엔코더 및 그의 현재위치 생성방법
KR200480489Y1 (ko) 제동 성능이 향상된 모터장치
CN109491300B (zh) 一种开关量信号的输出电路及方法
US9787318B2 (en) Signal control device
CN219574645U (zh) 一种电流检测电路控制装置和控制系统
KR101614821B1 (ko) 방수형 발신기
KR101746213B1 (ko) 정풍량 환기팬
CN116366063A (zh) 信号采集电路、芯片及信号采集方法
JP2007538209A (ja) 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制御用センサ
CN104810783B (zh) 模拟电流输出模块
KR101644147B1 (ko) 엔코더가 구비된 모터 어셈블리
JP2005315817A (ja) 回転角度センサ
JP5804447B2 (ja) パルスカウント装置
JPH0979004A (ja) ターニング装置のゼロ速度検出装置
JP2008290658A (ja) 車両制御装置
JP5457152B2 (ja) インバータ装置
TWI843299B (zh) 控制裝置及加工機器
KR20170002321U (ko) 크레인형 수위계측 장치
JP3270201B2 (ja) 電気的操作装置
JP2015175676A (ja) 電子制御装置
KR101967314B1 (ko) 입력 신호 진단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 진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