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821B1 - 방수형 발신기 - Google Patents

방수형 발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821B1
KR101614821B1 KR1020160010270A KR20160010270A KR101614821B1 KR 101614821 B1 KR101614821 B1 KR 101614821B1 KR 1020160010270 A KR1020160010270 A KR 1020160010270A KR 20160010270 A KR20160010270 A KR 20160010270A KR 101614821 B1 KR101614821 B1 KR 101614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amplifier
resistor
capacitor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세종
Original Assignee
디투유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투유이앤씨(주) filed Critical 디투유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6001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an energy-accumulating element discharged through the load by a switching device controlled by an external signal and not incorporating positive feedbac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용자가 눌러서 경보를 울리는 발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경보를 작동시키기 위한 푸쉬유닛과, 푸쉬유닛이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되, 하우징에 개폐가능한 커버를 구비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되, 커버 또는 하우징 또는 이들 모두에 방수유닛을 구비함으로서 이물질, 물기, 습기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합선등으로 경보가 울리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록킹유닛을 더 구비하여 방수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형 발신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수형 발신기{FIRE TRANSMITTER EQUIPPED WITH COVER}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용자가 눌러서 경보를 울리는 발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경보를 작동시키기 위한 푸쉬유닛과, 푸쉬유닛이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되, 하우징에 개폐가능한 커버를 구비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되, 커버 또는 하우징 또는 이들 모두에 방수유닛을 구비함으로서 이물질, 물기, 습기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합선등으로 경보가 울리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록킹유닛을 더 구비하여 방수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형 발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소화전 또는 건물 벽등에 구비되어 있는 경보기를 누름으로서 경보가 작동하고, 경보로 인하여 사람들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하며, 자동으로 인근 소방서와 연결되어 화재의 초기진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발신기가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발신기에 대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696740호 『화재경보장치 및 화재경보시스템』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화재특성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센서와, 각각의 화재특성에 의해서 미리 결정된 제1 수치가 초과되어질 때 경보장치가 작동되는 평가회로를 포함하고, 각각의 화재특성의 더 높은 제2 수치는 하나이상의 센서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모니터 되어지며, 만일 상기 제2 수치가 초과되어진다면 각각의 대피경로의 불사용성을 표시하는 경보 신호가 작동되어지는 화재경보장치 및 화재경보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경보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한 잘못된 경보가 울릴 수 있고, 초기화재발생시 화재규모가 작아 센서가 인식하지 못하여 초기진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155282호 『소방용 경보장치』와 등록특허 제10-1058553호 『소방용 경보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 등록실용신안 제20-0155282호 『소방용 경보장치』는 소화전에 결합되는 경보장치가 통합되어 소화전에 결합될 때 발생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 것으로, 소환전에 결합하는 항시표시등, 발신기, 발신기 확인램프, 전화잭, 소화전 기동램프, 기판등을 별도로 제작한 지지판에 일체로 결합하고, 이 지지판과 경종을 연결하여 소화전에 결합하며, 지지관에 커버를 결합하므로써 소화전에 경보장치를 간단히 결합하고, 외부재선에 커넥터를 결합하여 기판과 용이하게 결합하므로 배선작업시 발생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며, 또한 커버에 의하여 램프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소방용 경보장치를 제시하고,
상기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1058553호 『소방용 경보장치』는 경보설비함의 전면 패널에 경종이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화재경계구역으로 전달되는 경종의 경보음이 화재안전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경보설비함의 전면패널에 경종을 설치하므로 경종의 작업공간을 확보 및 경종의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경종의 분실 및 파손을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경보설비함의 전면 패널에 설치된 경종에서 경보음이 발생될 때, 감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 전달되므로 경보음이 발생되는 경종에서 1m 떨어진 위치에서 90db 이상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화재안전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소방용 경보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소방용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경종등을 통하여 경보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대피 및 초기진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나, 화재진압시 사용되는 소화벨브의 물이나 스프링클러에 의한 물등의 물기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유닛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전기 합선등으로 인하여 기계가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발신스위치와, 발신스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신기 확인램프와, 전화 또는 인터폰을 연결하기 위한 전화연결잭와, 발신스위치, 발신기 확인램프 및 전화연결잭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연결케이블과 결합되는 연결단자가 마련된 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정면에 결합되어 본체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와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어 회로기판을 보호하는 보호캡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소화전의 경보장치에 설치되는 발신기의 회로기판에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배선의 단부에 접속단자에 대응되는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손쉽게 배선과 발신기를 연결 설치할 수 있는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소방용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손쉽게 배선과 발신기를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화재진압 또는 스프링클러 작동, 나아가 청소등으로 인하여 물기가 경보장치 내부로 투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작동 및 고장발생으로 화재 발생시에 경보기가 작동되지 않아, 화재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방수형 발신기에 있어서, 화재발생시 사용자가 누르는 푸쉬유닛과, 상기 푸쉬유닛이 구비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에 노출부를 구비하여 푸쉬유닛이 하우징 외부로 개방되도록 하고,
노출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구비함으로서 푸쉬유닛이 실수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형 발신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커버 또는 하우징 또는 이들 모두에 방수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물기 등의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록킹유닛을 더 구비하여 커버와 하우징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형 발신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는
푸쉬유닛;
상기 푸쉬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푸쉬유닛이 노출되는 노출부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노출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과 커버를 결합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 또는 하우징 또는 이들 모두에는 방수유닛이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와 하우징을 밀착시키는 록킹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푸쉬유닛이 하우징에 돌출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에 커버를 구비하여 푸쉬유닛이 잘못 눌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경보기의 오작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또는 커버 또는 이들 모두에 방수유닛을 구비함으로서 하우징내에 물기등의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합선, 누전등이 발생하여 경보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커버에 결합되어 커버와 하우징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록킹유닛을 구비함으로서 하우징 내로 물기 등의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여 방수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의 변형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의 신호생성수단의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P)는 푸쉬유닛(10)과 상기 푸쉬유닛(10)이 구비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30)로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화재발생여부를 인지한 사용자가 가압함으로서 건물 전체에 경보를 울리고, 근처 소방서에 자동으로 신호를 보내는 발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발신기에는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는 푸쉬유닛(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푸쉬유닛(10)은 PCB(11)와, 누름부(13), 전화잭연결부(15) 및 누름판(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푸쉬유닛(10)에는 PCB(11)가 구비되고, 상기 PCB(11) 상부에는 경보신호를 전달하는 누름부(13)와 음성신호를 전달을 위한 전화잭연결부(15)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13) 상부에는 상기 누름부(13)보다 직경이 큰 누름판(17)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누름판(17)을 이용하여 누름부(13)를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화잭연결부(15)를 통하여 화재발생지역, 화재상태 등의 상황정보를 직접 구두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의 초기진압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유닛(10)은 하우징(2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20)은 발신기(P)가 구비되는 벽체나 소화전등에 결합되는 제1 분체(21)와, 상기 제1 분체(21)와 결합하는 제2 분체(23)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분체(21)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푸쉬유닛(10)을 내부에 안착하는 안착부(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211)는 벽체 내부에 투입되게 되고, 상기 제1 분체(21)에는 상기 벽체와 고정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유닛(213)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고정유닛(213)은 각각 상기 제1 분체(21)에 고정되는 고정축(213A)과 상기 고정축(213A)의 단부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바(213B)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분체(21)가 벽체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분체(21)에 구비되는 고정유닛(213)의 회전바(213B)를 회전시켜, 회전바(213B)의 단부가 상기 벽체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 분체(21)가 벽체등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1 분체(21)와 제2 분체(23)는 종래의 고정방법에 따라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체(21)와 결합하는 제2 분체(23)는 벽체외부로 돌출되는 노출부(23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노출부(231)의 일측에는 결합유닛(40)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노출부(231)에는 상기 누름판(17)을 가압할수 있도록 누름판(17)이 관통되는 제1 관통공(231C)이 구비되고, 상기 전화잭연결부(15)가 보일 수 있는 제2 관통공(231D)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관통공(231C)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구비되는 푸쉬유닛(10)의 누름부(13)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관통공(231D)을 통하여 음석신호를 전달하도록 송수신기등을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에는 상기 노출부(231)를 개폐하는 커버(30)가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30)는 상기 노출부(23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1)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재(31)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하여 쉽게 깨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P)는 상기 커버(30)와 상기 하우징(20)을 결합하는 결합유닛(4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유닛(40)은 상기 하우징(20)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결합부(41)와, 상기 제1 결합부(41)와 힌지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30)에 구비되는 제2 결합부(43)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결합부(43)에는 회전봉(43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결합부(41)는 상기 회전봉(431)의 양단부와 결합되는 지지부(411)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회전봉(431)과 상기 지지부(411)는 회전핀(47)을 통하여 결합됨으로서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20)으로부터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다.
더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결합유닛(40)에는 상기 커버(3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스토퍼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회전봉(431)의 외면에는 요철성형 되어 있는 요철부와, 상기 제1 결합부(41)에 구비되어 상기 요철부와 접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30)가 개방되었을 경우 상기 요철부가 상기 걸림턱에 의해 걸려 자동으로 커버(3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전화잭연결부(15)를 이용한 음성신호 전달을 하는 경우거나, 상기 커버(30)를 개방하여 누름판(17)을 누르는 경우 등에도 용이하게 경보를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검 및 청소등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상기 커버(30)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커버(30)가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30)와 하우징(20)을 연결하는 상기 결합유닛(40)은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나아가 상기 커버(30)에는 록킹유닛(60)이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록킹유닛(60)에는 상기 개폐부재(31)가 노출되는 개방부(6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유닛(60)의 내측 일부 또는 모두에는 걸림돌기(65)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31)에는 상기 걸림돌기(65)에 결합하는 대응턱(33)이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31)와 상기 록킹유닛(60)이 상호 결합되되 상기 개폐부재(31)로부터 상기 록킹유닛(60)이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 록킹유닛(60)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이유는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20)에 밀착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후술하는 방수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어 하우징(20) 내부로 물기나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P)에는 커버(30) 또는 하우징(20) 또는 이들 모두에 방수유닛(7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방수유닛(70)은 상기 하우징(20)의 제1 분체(21)와 제2 분체(23) 사이에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방수부재(71)와, 상기 커버(30)에 구비되는 제2 방수부재(73)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방수부재(71)는 상기 제1 분체(21)와 제2 분체(2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분체(21)와 제2 분체(23)가 결합되는 경우에 각각의 분체 틈새로 물기나 이물질등이 투입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푸쉬유닛(10)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누전이나 합선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2 방수부재(73)는 상기 커버(30)에 구비되어 있는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방수부재(73)는 상기 커버(3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30)와 노출부(231) 사이의 틈새를 막음으로서 물기등의 이물질이 하우징(20)의 노출부(231)를 통하여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P)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록킹유닛(6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록킹유닛(60)은 상기 커버(30)에 구비되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커버(30)에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공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시 상기 록킹유닛(60)의 내측에는 결합돌기(63)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20)의 노출부(231) 외측에는 돌출형성되는 테두리부(231A)와 상기 테두리부(231A)의 일부에 상기 결합돌기(63)와 대응 결합하는 결합홈(231B)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231A)는 나사산 형상으로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이에 따라서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20)의 노출부(231)를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록킹유닛(60)의 결합돌기(63)가 상기 하우징(20)의 결합홈(231B)에 삽입되게 되고, 상기 록킹유닛(60)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63)가 상기 하우징(20)의 테두리부(231A)를 따라 회전하게 되어 경사지게 이루어진 테두리부(231A)에 의하여 상기 커버(30)를 하우징(20) 방향으로 가압하여 커버(30)와 하우징(2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커버(30)에 구비되는 제2 방수부재(73)의 방수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P)는 방수커넥터(215A)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20)에는 상기 푸쉬유닛(10)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215)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215)에는 방수커넥터(215A)가 더 구비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푸쉬유닛(10)은 경보기와 연결되는 케이블과 연결되게 되는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하우징(20)의 안착부(211) 일측에 구비되는 삽입공(215)을 통하여 푸쉬유닛(10)과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는 삽입공(215)을 통하여 물기 또는 이물질 등이 투입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P)는 방수커넥터(215A)를 더 구비하게 된다.
상기 방수커넥터(215A)는 상기 삽입공(215)에 구비되어 케이블과 삽입공(215)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도록 하여, 물기등의 이물질이 삽입공(215)을 통하여 하우징(20)의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발신기(P)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발신기(P)의 누름판(17)을 가압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개폐부재(31)를 깬 후에 누름판(17)을 눌러 경보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개폐부재(31)는 잔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신체적 상해를 입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31)의 하부에는 가압판(19)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판(19)의 중앙에는 가압돌기(191)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나아가 이 경우에는 상기 누름판(17)은 상기 노출부(231)의 정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가압돌기(191)가 누름판(17)을 직접 누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압판(19)에는 복수개의 받침부(193)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193)의 하부에는 각각 탄성체(195)가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탄성체(19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가압판(19)이 개폐부재(31)에 근접하여 위치하게 되고, 위급시에 상기 개폐부재(31)를 가압하거나 깨는 경우에 상기 개폐부재(31)가 상기 가압판(19)을 누르고, 가압판(19)의 구비되는 가압돌기(191)가 상기 누름판(17)을 누르면서 경보를 작동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기존의 개폐부재(31)를 깬 후에 누름판(17)을 눌러 경보를 울리는 경우에는 개폐부재(31)의 잔해물로 인하여 사용자가 신체적 상해를 입을 수 있었으나, 가압돌기(191)가 구비된 가압판(19)을 별도로 구비함에 따라 누개폐부재(31)를 깨기 위하여 충격을 가함과 동시에 가압돌기(191)가 누름판(17)을 눌러 경보를 작동시킴으로서 사용자가 누름판(17)을 별도로 누를 필요가 없음에 따라 위급시에도 신속하게 경보를 울릴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에 상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개폐부재(31)에도 개폐부재(31)의 두께가 얇아지는 절단부(311)가 상기 받침부(193)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개폐부재(31)를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절단부(311)가 절단됨으로서 개폐부재(31)의 잔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적 상해등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방수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은 건물의 주전원 케이블에 연결되게 되어 전원을 인가받고, 경보 신호를 전달하게 되며,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주전원에 연결되는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 등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이 각 구성의 동작에 맞도록 조정하고,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여 제어부를 통한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신호생성수단(5)을 추가로 도입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수단(5)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수단(5)은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 및,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고하여 각 부 별로 살펴보면, 먼저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51),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512),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513),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출력단회로(5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회로(51)는 입력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출력단회로(514)를 구성하는 npn트랜지스터(Q101)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스위칭회로(51)의 구성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나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입력단회로(512)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1) 및 일단은 캐패시터(C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1)(R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접지단회로(513)는 트랜지스터(Q10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02) 및 저항(R10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06)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출력단회로(514)는 npn트랜지스터(Q101)와 트랜지스터(Q10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103)(R104) 및 캐패시터(C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두 병렬 저항(R103)(R104)은 입력단회로(512)의 저항(R101)과 연결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레벨조정부(51)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낮을 경우 스위칭회로(5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01)에 전원을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101)를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만큼 상승시킨다.
또한 레벨조정부(51)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위칭회로(5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0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트랜지스터(Q101)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만큼 하강시킨다.
이 때 입력단회로(512), 접지단회로(513) 및 출력단회로(514)의 저항(R101 내지 R106)과 캐패시터(C101 내지 C103)는 트랜지스터(Q101)의 이득을 결정하여 설정 전압 레벨을 세팅하는데, 특히 입력단회로(512)의 캐패시터(C101)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고, 출력단회로(514)의 캐패시터(C103)는 조정된 레벨을 갖는 제어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는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521), 제1증폭회로(521)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522), 제2증폭회로(522)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523) 및,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5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증폭회로(521)는 앰프(A101)와, 일단은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07), 일단은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8) 및 캐패시터(C104), 앰프(A10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10), 그리고 앰프(A10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9) 및 캐패시터(C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증폭회로(522)는 앰프(A102)와, 앰프(A10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6), 이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1), 상기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2) 및 캐패시터(C107), 그리고 앰프(A10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3) 및 캐패시터(C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2증폭회로(522)의 (+)단은 제1증폭회로(521)의 출력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증폭회로(521) 및 제2증폭회로(522)는 제어신호를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검출회로(523)는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제1비교기(A103)의 (+)단에는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5)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7) 및 캐패시터(C110)가 연결되고, 제1비교기(A103)의 (-)단에는 제2증폭회로(522)의 앰프(A102)와 제2비교기(A104)의 (+)단이 연결된다.
또한 제2비교기(A104)의 (+)단은 제1비교기(A103)의 (-)단과 연결되고, 제2비교기(A104)의 (-)단에는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4)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6) 및 캐패시터(C109)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1비교기(A103)는 하이패스필터로, 제2비교기(A104)는 로우패스필터로 동작하여 설정된 레벨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특히 이러한 노이즈 신호의 레벨 기준 범위 설정은 제1비교기(A103)의 (+)단에 연결된 저항(R115)(R117) 및 캐패시터(C110), 제2비교기(A104)의 (-)단에 연결된 저항(R114)(R116) 및 캐패시터(C109)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이를 위해 두 저항(R116)(R117)을 가변저항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역류방지회로(524)는 검출회로(523)의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01)(D10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역류방지회로(524)는 검출회로(523)를 통과하는 전류가 역류하여 재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후술하는 필터구동부(53)로부터 노이즈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는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531), 딜레이회로(531)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532),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구동회로(532) 및 바이어스회로(533)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5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딜레이회로(531)는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18)과 역방향 다이오드(D10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531)는 릴레이회로(534)가 빠르게 온/오프를 반복하여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 번 릴레이회로(534)가 동작하고 난 후에는 일정시간동안 릴레이회로(534)를 오프시키지 않으며 노이즈 검출 시 마다 다시 시간을 리셋시켜, 딜레이 설정을 통한 안정적 구동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구동회로(532)는 제1앰프(A105), 제2앰프(A106) 및 트랜지스터(Q102), 그리고 다수의 저항(R119 내지 R126) 및 캐패시터(C111 내지 C113)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트랜지스터(Q10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534)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106)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일단이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20) 및 캐패시터(C111)가 병렬로 연결된다.
아울러 제1앰프(A105)의 (-)단에는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이 연결된다.
또한 제2앰프(A106)의 (+)단에는 바이어스회로(533)와 제1앰프(A10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특히 제1앰프(A105)의 출력단과 제2앰프(A10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104)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저항(R122)과, 일단이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124) 및 캐패시터(C112)가 병렬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바이어스회로(533)는 일단은 릴레이회로(534)에 타단은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105)의 출력단 및 제2앰프(A106)의 (+)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25)(R126) 및 캐패시터(C113)로 이루어진다.
릴레이회로(534)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성으로, 간략하게 생략하여 표현하여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터구동부(53)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이어스회로(533)는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105) 및 제2앰프(A106)에 인가되는 전압의 동작점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바이어스회로(533)에 의해 결정된 전압이 제1앰프(A105)와 제2앰프(A106)에 인가된다.
또한 제2앰프(A106)의 (-)단에 연결된 저항(R122)(R123)(R124)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2앰프(A106)는 구동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 노이즈검출부(52)로부터 딜레이회로(531)와 제1앰프(A105) 그리고 역방향 다이오드(D104)를 통해 작동신호(노이즈검출부(52)가 노이즈를 검출한 후 출력하는 신호)가 주어지면 구동 대기 상태인 제2앰프(A106)가 구동하여 트랜지스터(Q102)를 작동시키고, 트랜지스터(Q102)는 릴레이회로(534)를 구동시킨다.
이 후 릴레이회로(534)는 필터링부(54)를 구동하여 제어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다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회로(534)에 의해 구동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는 릴레이회로(534)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회로(541), 신호입력회로(541)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메인필터회로(542) 및,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입력회로(541)는 필터구동부(53)의 릴레이회로(534)에 연결되어 필터링회로(542)(543)의 구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아울러 제어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필터링회로(542)(543)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입력회로(541)는 일 예로, 멀티플랙서와 같은 선택기로 이루어져, 구동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메인필터회로(542)의 입력단이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 즉 두 경로를 선택하여 입력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호입력회로(541)와 관련한 도면의 도시 및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메인필터회로(542)는 신호입력회로(541)의 출력단에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D105), 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 이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순방향 다이오드(D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순방향 다이오드(D105)는 전류의 일 방향 흐름을 차단하여, 메인필터회로(542)로부터 신호입력회로(541)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다이오드(D106)는 노이즈 제거 효율을 보다 높여준다.
다음으로,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는 앰프(A107)와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 그리고 바이어싱된 저항(R128 내지 R135) 및 캐패시터(C116, C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브필터회로(543)를 살펴보면, 앰프(A107)의 (+)단에는 3개의 저항(R128)(R129)(R130)이 연결되어 있는데, 하나(R128)는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둘(R129)(R130)은 이에 병렬로 연결되며, 앰프(A107)의 (+)단은 두개의 저항(R129)(R130) 사이에 연결된다.
앰프(A107)의 (-)단에는 캐패시터(C116)와 이에 상호 병렬을 이루며 연결된 두개의 저항(R131)(R132) 및 기준 전압 입력단(Sref)이 연결되어 있는데, 두개의 저항(R131)(R132) 중 하나(R131)는 기준 전압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R132)는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캐패시터(C116)는 두개의 저항(R131)(R13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앰프(A107)의 출력단에는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가 연결되는데, 제1트랜지스터(Q103)와 앰프(A107) 사이에는 저항(R133)이 구비되어 앰프(A107)의 출력 전압을 일정 강하하여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의 구동을 위한 동작점을 생성한다.
제1트랜지스터(Q103)는 npn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한 앰프(A107)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제2트랜지스터(Q104)의 베이스와 연결된다.
제2트랜지스터(Q104)는 pnp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트랜지스터(Q103)의 컬렉터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된다.
특히 제2트랜지스터(Q104)와 제어신호의 출력단 사이에는 직렬 배치된 두 저항(R134)(R135)과 둘 사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17)가 구비된다.
이러한 서브필터회로(543)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앰프(A107)의 (-)단에 구비된 두 저항(R131)(R132) 및 캐패시터(C116)는 기준 전압 입력단(Sref)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해 기준 전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기준 전압은 노이즈의 제거를 위한 기준이 되고, 기준 전압보다 높거나 낮은 전압 레벨은 모두 노이즈로 간주되어 제거된다.
다음으로 앰프의 (+)단에 구비된 세 개의 저항(R128)(R129)(R130)은 메인필터회로(542)를 통과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준 전압과 비교 가능하도록 강하시키는데,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 전압 레벨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앰프(A107)는 비교기로 동작하여, 기준 전압 레벨과 제어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잔존 노이즈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서브필터회로(543)의 제1트랜지스터(Q103)와 제2트랜지스터(Q104)는 제어신호가 잔존 노이즈를 포함하여 기준 전압보다 순간적으로 높거나 낮을 때(일반적인 경우 노이즈에 의해 전압이 상승된다.) 온 되어 노이즈만큼 상승한 전압을 캐패시터(C117)에 충전시키고 이에 하강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은 기준 전압 레벨만큼이 된다.
이 후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에 해당하면 제1트랜지스터(Q103) 및 제2트랜지스터(Q104)는 턴 오프되고, 이 후 캐패시터(C117)에 저장된 전압은 병렬 연결된 저항(R135)을 통해 방전되어 원상 복구 된다.
이러한 필터링부(54)의 구성은 메인필터회로(542)를 통해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남은 잔존 노이즈와 순간 유입되는 노이즈를 서브필터회로(543)를 통해 2차적으로 제거하여 노이즈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클린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각 구성의 오작동 및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물론 필터링부(54)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한 레벨조정부(51)는 안정된 신호의 전압 레벨을 설정하여 주기 때문에 제어신호를 일정 레벨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52)를 통해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보다 민감하게 노이즈를 검출해내고, 필터구동부(53)를 통해 필터링부(54)의 구동이 노이즈 검출에 따른 선택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여 필터링부(54)의 수명, 특히 필터링부(54)에 구비된 캐패시터(C114 내지 C117)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아울러 필터링부(54)가 항시 구동하지 않고, 노이즈 검출 여부에 따라 선택적 구동된다는 점은 전력 소모 감소에 있어서도 현저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방수형 발신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발신기 10 : 푸쉬유닛 11 : PCB
13 : 누름부 15 : 전화잭연결부 17 : 누름판
19 : 가압판 191 : 가압돌기 193 : 받침부
195 : 탄성체 20 : 하우징 21 : 제1 분체
211 : 안착부 213 : 고정유닛 213A : 고정축
213B : 회전바 215 : 삽입공 215A : 방수커넥터
23 : 제2 분체 231 : 노출부 231A : 테두리부
231B : 결합홈 231C : 제1 관통공 231D : 제2 관통공
30 : 커버 31 : 개폐부재 311 : 절단부
33 : 대응턱 40 : 결합유닛 41 : 제1 결합부
411 : 지지부 43 : 제2 결합부 431 : 회전봉
45 : 스토퍼부재 451 : 걸림턱 453 : 요철부
47 : 회전핀 70 : 방수유닛 71 : 제1 방수부재
73 : 제2 방수부재 60 : 록킹유닛 61 : 개방부
63 : 결합돌기 65 : 걸림돌기

Claims (4)

  1. 푸쉬유닛(10);
    상기 푸쉬유닛(10)이 구비되고, 상기 푸쉬유닛(10)이 노출되는 노출부(231)를 구비한 하우징(20);
    상기 노출부(23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1)로 이루어지는 커버(30); 및
    상기 하우징(20)과 커버(30)를 결합하는 결합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30) 또는 하우징(20) 또는 이들 모두에는 방수유닛(70)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20)에는 상기 푸쉬유닛(10)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215)이 구비되되,
    상기 삽입공(215)에는 방수커넥터(215A)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20)의 방수커넥터(215)에 삽입되는 케이블은 주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주전원에는 상기 푸쉬유닛(10)의 동작에 따라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되,
    상기 주전원과 제어부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 및, 노이즈 검출 시 상기 필터링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조정부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 및,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101)를 구비한 출력단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단회로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1) 및 일단은 상기 캐패시터(C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01)(R1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02) 및 저항(R10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0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력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103)(R104) 및 캐패시터(C10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두 병렬 저항(R103)(R104)은 입력단회로의 저항(R101)과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는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제1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 제2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 및,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는 앰프(A101),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07),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8) 및 캐패시터(C104), 상기 앰프(A10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10) 및, 상기 앰프(A10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9) 및 캐패시터(C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증폭회로는 앰프(A102), 상기 앰프(A10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6), 이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1), 상기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2) 및 캐패시터(C107) 및, 상기 앰프(A10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3) 및 캐패시터(C108)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증폭회로의 (+)단은 상기 제1증폭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회로는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5)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7) 및 캐패시터(C110)가 연결되고, (-)단에는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A102)가 연결된 제1비교기(A103)와,
    (+)단은 상기 제1비교기(A103)의 (-)단과 연결되고,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4)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6) 및 캐패시터(C109)가 연결된 제2비교기(A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류방지회로는 상기 검출회로의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01)(D10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구동부는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및, 바이어스회로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딜레이회로는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18)과 역방향 다이오드(D103)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회로는 제1앰프(A105), 제2앰프(A106), 트랜지스터(Q102), 다수의 저항(R119 내지 R126) 및, 캐패시터(C111 내지 C113)로 이루어지되,
    상기 트랜지스터(Q10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106)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일단이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20) 및 캐패시터(C111)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상기 바이어스회로와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과 제2앰프(A10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104)가 개재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저항(R122)과, 일단이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124) 및 캐패시터(C112)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바이어스회로는 일단은 상기 릴레이회로에 타단은 상기 구동회로의 제1앰프(A105)의 출력단 및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25)(R126) 및 캐패시터(C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릴레이회로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회로, 신호입력회로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메인필터회로 및, 메인필터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신호입력회로는 상기 메인필터회로 및 서브필터회로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단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필터회로는 상기 신호입력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D105), 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 이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순방향 다이오드(D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필터회로는 앰프(A107)와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 바이어싱된 저항(R128 내지 R135) 및 캐패시터(C116, C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앰프(A107)의 (+)단에는 상기 메인필터회로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128), 이에 병렬로 연결된 두 저항(R129)(R130)이 연결되고, 상기 앰프(A107)의 (+)단은 두개의 저항(R129)(R130)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앰프(A107)의 (-)단에는 캐패시터(C116), 이에 상호 병렬을 이루며 연결되며 기준 전압 입력단(Sref)에 연결된 저항(R131), 그라운드에 연결된 저항(R132)이 연결되되, 상기 캐패시터(C116)는 두개의 저항(R131)(R13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는 npn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 앰프(A107)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Q104)의 베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104)는 pnp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Q103)의 컬렉터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104)와 제어신호의 출력단 사이에는 직렬 배치된 두 저항(R134)(R135)과 둘 사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1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발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30)와 하우징(20)을 밀착시키는 록킹유닛(6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발신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유닛(10)은
    PCB(11)와, 상기 PCB(11) 상부에 경보신호를 전달하는 누름부(13)와,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전화잭연결부(15), 상기 누름부(13)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13)를 가압할 수 있는 누름판(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발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에는
    벽체와 고정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0)에 고정되는 고정축(213A)과, 상기 고정축(213A) 단부에 구비되는 회전바(213B)로 이루어진 고정유닛(21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발신기.
KR1020160010270A 2016-01-27 2016-01-27 방수형 발신기 KR101614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270A KR101614821B1 (ko) 2016-01-27 2016-01-27 방수형 발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270A KR101614821B1 (ko) 2016-01-27 2016-01-27 방수형 발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821B1 true KR101614821B1 (ko) 2016-04-22

Family

ID=5591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270A KR101614821B1 (ko) 2016-01-27 2016-01-27 방수형 발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8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376B1 (ko) * 2016-03-29 2017-02-21 세우씨앤이(주) 비드 밀
KR102022987B1 (ko) 2019-06-28 2019-09-19 김춘규 도로터널의 화재 알림 방수형 발신기
KR102048738B1 (ko) * 2019-05-22 2019-11-26 디투유이앤씨(주) 방진 및 방수형 전자식 경보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651B1 (ko) 2014-02-24 2014-08-18 (주)미래이앤아이 방수형 시각경보기
KR101444819B1 (ko) * 2013-12-09 2014-09-26 (주)미래이앤아이 커버가 부착된 방수형 발신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819B1 (ko) * 2013-12-09 2014-09-26 (주)미래이앤아이 커버가 부착된 방수형 발신기
KR101430651B1 (ko) 2014-02-24 2014-08-18 (주)미래이앤아이 방수형 시각경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376B1 (ko) * 2016-03-29 2017-02-21 세우씨앤이(주) 비드 밀
KR102048738B1 (ko) * 2019-05-22 2019-11-26 디투유이앤씨(주) 방진 및 방수형 전자식 경보기
KR102022987B1 (ko) 2019-06-28 2019-09-19 김춘규 도로터널의 화재 알림 방수형 발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821B1 (ko) 방수형 발신기
RU2161785C2 (ru) Встроенная аварий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потребительского газов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утечки газа
KR20120072381A (ko) 로스트 파트너 기능을 구비한 보청기 시스템
KR101657155B1 (ko) 표시등 어셈블리
US20020080924A1 (en) Telephone line monitoring and alarm apparatus
WO2006087566A1 (en) Wireless remote controllable fire and smoke alarm system
WO2018002577A1 (en) Heat alarm integrated into a mains power plug
JP4191983B2 (ja) 電流表示装置
KR101444819B1 (ko) 커버가 부착된 방수형 발신기
KR200480489Y1 (ko) 제동 성능이 향상된 모터장치
KR200422495Y1 (ko) 화재감지용 종단저항이 설치된 지연 타임스위치.
JPH0254991B2 (ko)
JP6773372B2 (ja) インタフェース回路
US6067345A (en) Emergency alarming apparatus
JP2000207660A (ja) ガス警報器
JPH1164427A (ja) 断線報知方法および装置
MY125066A (en) Alarm reporting apparatus
KR102385698B1 (ko)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케이블 고장구간 점검 시스템
KR20000067287A (ko) 전기설비 원격관리 시스템
JP3174488B2 (ja) 防災監視制御装置の通話装置
JPH0664676B2 (ja) 安全装置
JP2007295496A (ja) オーディオアンプ用保護回路
JPH0452900A (ja) 火災報知設備用機器
JP2000276670A (ja) 防災監視装置
JP2802014B2 (ja) 防災監視装置の電話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