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699A -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전자칠판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전자칠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5699A KR20180025699A KR1020160112708A KR20160112708A KR20180025699A KR 20180025699 A KR20180025699 A KR 20180025699A KR 1020160112708 A KR1020160112708 A KR 1020160112708A KR 20160112708 A KR20160112708 A KR 20160112708A KR 20180025699 A KR20180025699 A KR 201800256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noise
- circuit
- signal
- control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6—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including resistors
-
- H02M2001/006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서가 이루어지는 판서유니트가 사용자가 판서하기에 용이한 위치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종래의 전자칠판에 비해 판서가 용이하고, 아울러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보다 용이한 판서가 가능한 전자칠판에 관한 것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판서유니트, 그리고 상기 판서유니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거치대 및 이 거치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표시유니트, 그리고 상기 판서유니트 하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평으로 배치되는 판서유니트, 그리고 상기 판서유니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거치대 및 이 거치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표시유니트, 그리고 상기 판서유니트 하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칠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서가 이루어지는 판서유니트가 사용자가 판서하기에 용이한 위치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종래의 전자칠판에 비해 판서가 용이하고, 아울러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보다 용이한 판서가 가능한 전자칠판에 관한 것이다.
학교, 학원, 기업체 등 각종 강의실에서는 교육, 강의, 설명, 프리젠테이션 등의 진행을 위해 전자칠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절자칠판을 화이트보드에 프로젝터를 통해 강의 내용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판서와 강의 내용을 출력함으로써 강의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프로젝터를 이용하는 전자칠판은 출력되는 화면 품질이 다소 떨어지는데, 예를 들면 강의 내용과 판서 간의 괴리에 따른 집중력 저하, 또는 프로젝터 빔과 판서 내용의 겹침에 따른 가시성 저하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88000호(2011년11월23일)[프로젝터 일체형 전자칠판](종래기술1)이 있는데, 종래기술1은 전자칠판의 프레임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화이트보드와 프로젝터를 일체화시켜 판서용 칠판과 화이트보드의 강의 내용을 간섭 없이 동시에 교육 받는 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프로젝터 일체형 전자칠판을 제시하고 있으나, 종래기술1은 프로젝터 영상 조사에 따른 출력 강의 영상 품질 저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이에 따라 등록특허 제10-1517599호(2015년04월28일)[전자칠판 장치](종래기술2)와 같이, 종래의 프로젝터 영상 조사 방식을 탈피하여 스크린 형식의 전자칠판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2 역시, 판서가 이루어지는 스크린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강의자가 판서를 할 때 손목을 꺾어서 진행하거나 또는 입력기기를 잡는 방식을 연필 따위를 잡는 방식과는 달리하여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판서유니트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강의자가 일반적인 필기를 하는 동작과 동일한 동작으로 판서가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입력이 이루어지는 판서유니트와 출력이 이루어지는 표시유니트를 별도 구비하며, 판서유니트는 수평 배치하여 입력이 용이하게 하고, 표시유니트는 수직 배치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쉽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높이조절수단을 도입하여 다양한 강의자의 신장에 맞추어 판서유니트의 배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수동으로 판서유니트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고, 버튼 조작 등과 같은 방법으로 간편하게 판서유니트의 승강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판서유니트, 그리고 상기 판서유니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거치대 및 이 거치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표시유니트, 그리고 상기 판서유니트 하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판서유니트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이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인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에 구비된 터치센서와 상기 스크린에 접촉하는 입력기기로 이루어진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판서유니트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승강에 의해 상기 판서유니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 및 제어신호를 통해 승강부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제어신호의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갖는 신호생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수평형 판서유니트의 구비를 통해 강의자가 일반적인 필기를 하는 동작과 동일한 동작으로 판서가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입력이 이루어지는 판서유니트와 출력이 이루어지는 표시유니트를 별도 구비하며, 판서유니트는 수평 배치하여 입력이 용이하게 하고, 표시유니트는 수직 배치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쉽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높이조절수단을 도입하여 다양한 강의자의 신장에 맞추어 판서유니트의 배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가 수동으로 판서유니트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고, 버튼 조작 등과 같은 방법으로 간편하게 판서유니트의 승강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세도(판서유니트).
도 3은 본 발명의 상세도(높이조절수단).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상세도(판서유니트).
도 3은 본 발명의 상세도(높이조절수단).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판서가 이루어지는 판서유니트(1)가 사용자가 판서하기에 용이한 위치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종래의 전자칠판에 비해 판서가 용이하고, 아울러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보다 용이한 판서가 가능한 전자칠판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3)이 구비된 전자칠판(이하 본 전자칠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사용자의 개념을 둘로 나누면 강의자와 수강자로 나눌 수 있는데, 강의자는 본 전자칠판을 활용하여 교육, 강의, 설명 등을 진행하는 사용자이고, 수강자는 본 전자칠판에 표시되는 판서 내용, 즉 교육, 강의, 설명 등을 받아들이는 사용자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본 전자칠판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바, 출력되는 화면은 다양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선 용어에 맞추어 화면에 출력되는 내용은 '강의'로 명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실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전자칠판은 크게 판서유니트(1), 표시유니트(2) 및 높이조절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설명하면, 먼저 판서유니트(1)는 판서가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강의 내용이 출력되며, 이 출력된 강의 내용에 강의자가 판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간단히 말해 판서가 진행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본 전자칠판 이 판서유니트(1)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전자칠판은 판서유니트(1)(또는 이에 대응되는 구성)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강의자가 판서를 할 때 손목을 꺾어서 진행하거나 또는 입력기기(153)를 잡는 방식을 연필 따위를 잡는 방식과는 달리하여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판서유니트(1)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강의자가 일반적인 필기를 하는 동작과 동일한 동작으로 판서가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으로, 표시유니트(2)는 강의 내용 및 판서가 출력되는 구성으로, 판서를 위한 판서유니트(1)의 화면 출력과는 달리, 오로지 수강자를 위한 출력만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표시유니트(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서유니트(1)의 일 측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거치대(21), 그리고 이 거치대(21)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표시유니트(2)는 수강자가 쉽게 출력되는 내용을 시청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배치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판서유니트(1)의 수평 배치를 통한 강의자의 편의성을 향상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력이 이루어지는 판서유니트(1)와 출력이 이루어지는 표시유니트(2)를 별도 구비하며, 판서유니트(1)는 수평 배치하여 입력이 용이하게 하고, 표시유니트(2)는 수직 배치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쉽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높이조절수단(3)은 판서유니트(1) 하부에 결합되어, 판서유니트(1)의 배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강의자의 신장에 맞추어 판서유니트(1)의 배치 높이를 조절하여 준다.
이러한 높이조절수단(3)의 구비를 통해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수평 배치된 판서유니트(1)와 더불어, 강의자가 보다 편하게 판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강의자가 편리하게 판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수강자는 강의 내용을 시청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으며, 나아가 강의자의 신체 사양에 맞도록 높이가 조절되어 보다 편리한 판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판서유니트(1)에 관한 일 실시를 구체화한 상세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전자칠판은 판서유니트(1)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프레임(11), 이 프레임(11)에 의해 둘러싸인 스크린(13) 및, 입력수단(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구성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진행하면, 프레임(11)은 스크린(13)의 외곽에 구비되어 스크린(13)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이다.
스크린(13)은 강의 내용을 출력하여, 표시유니트(2)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강의 내용을 강의자가 확인하여 판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입력수단(15)은 판서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크린(13)에 구비된 터치센서(151)와 스크린(13)에 접촉하는 입력기기(1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강의자는 입력기기(153)를 사용하여 스크린(13)에 터치하는 방식으로 판서를 진행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입력기기(153)는 반드시 기계적인 장치일 필요는 없고,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3)에 관한 일 실시를 구체화한 상세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전자칠판은 높이조절수단(3)이 결합부(31), 승강부(33) 및 제어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전자칠판은 자동으로 판서유니트(1)의 높이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제어부(35)가 승강부(33)를 제어하는 방식으로는 보편적으로 버튼 입력에 의한 높이조절이 일반적일 것이다.
높이조절수단(3)을 이루는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결합부(31)는 판서유니트(1)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보다 명확하게는 판서유니트(1)를 구성하는 프레임(11)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다.
승강부(33)는 결합부(31)에 결합되고 승강에 의해 판서유니트(1)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결합부(31)가 제1수용공을 구비하여 승강부(33)가 이 제1수용공에 수용되면서 승강하거나 또는 승강부(33)가 제2수용공을 구비하여 결합부(31)가 제2수용공에 수용되면서 결합부(31)가 승강하는 두 가지의 실린더 승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35)는 제어신호를 통해 승강부(33)의 승강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승강부(33)의 승강을 제어하며, 중앙처리장치(CPU, MCU, MICOM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결합부(31) 및 승강부(33)의 결합 구조, 제어부(35)의 회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된 기술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는 무리가 없을 것이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3)을 구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판서유니트(1)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고, 버튼 조작 등과 같은 방법으로 간편하게 판서유니트(1)의 승강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35)는 제어신호를 통해 승강부(33)는 물론,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온도, 습도, 먼지 등)에 의한 영향 등, 각종 외부요인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이즈의 유입 가능성을 원천 배제한 클린 상태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모듈(100)을 구비하여, 제어신호에 유입될 노이즈를 사전에 검출 및 제거하고, 이를 통해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신호생성모듈(100)은 여러 단계를 거쳐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며, 최종적으로 제어신호 출력에 앞서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모듈(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모듈(100)은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110),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120),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30),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140),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150) 및, 생성된 제어신호를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호생성모듈(100)은 노이즈증폭부(110)에서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함으로써 이에 포함된 노이즈 역시 증폭시켜 검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12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며, 필터부(130)에서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되, 필터구동부(140)를 통해 노이즈 검출 시에만 노이즈 제거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동작 과부하를 방지하고, 신호생성부(15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신호출력부(160)에서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한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신호생성모듈(100)의 각 부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 및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노이즈증폭부(110)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111)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증폭회로(111)와 제2증폭회로(112)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한다.
제1증폭회로(111) 및 제2증폭회로(112)의 동작 및 효과를 제1증폭회로(111)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앰프(A101)는 분배저항(R101)(R102)과 피드백저항(R106), 그리고 접지 저항에 의해 비반전 증폭기로 동작하여 신호용 전원의 전압 레벨을 증폭시킴에 따라 노이즈 역시 함께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피드백 캐패시터(C105)는 앰프(A101)의 발진을 방지한다.
제2증폭회로(112)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신호용 전원의 증폭이 이루어진다.
또한 노이즈증폭부(110)는 제1증폭회로(111)의 앰프 출력단과 제2증폭회로(112)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신호용 전원이 제1증폭회로(111)에서 1차로 증폭되고, 그 출력이 제2증폭회로(112)로 전송되어 2차 증폭됨에 따라 신호용 전원을 2중으로 보다 현저하게 증폭시켜 노이즈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노이즈검출부(120)는 비교기(121), 이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122),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가회로(122)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한다.
또한 기준회로(123)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노이즈검출부(120)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인가회로(122)는 노이즈증폭부(11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을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를 통해 직류성분을 제거하고 노이즈 성분만 남긴다. 이 후 노이즈 성분을 저항(R202)에 인가한다.
이 후 기준회로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에 의해 기준전압을 생성하고, 비교기(121)가 기준전압과 저항(R202)에 인가된 노이즈 전압을 비교함으로써 노이즈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노이즈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필터부(130)를 구동함으로써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 미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아 필터부(130)를 구동시키지 않고, 신호용 전원이 바로 신호생성부로 전달되도록 한다.(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실시의 선택은 필터구동부(14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필터구동부(14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사항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무리가 없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검출부(120)는 릴레이로 전송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회로(1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딜레이회로(124)는 상호 병렬 배치되는 역방향 다이오드(D201) 및 저항(R206)과,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124)의 구비를 통해 필터구동부(14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노이즈는 연속적, 주기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간헐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필터구동부(140)가 구동 및 비구동을 반복하면서 수명 저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딜레이회로(124)를 구비하여 필터구동부(140)의 작동 후 일정 시간 경과 전까지는 계속하여 필터구동부(140)를 구동하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필터부(130)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131)(132)(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필터링회로(131)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필터링회로(132)는 제1필터링회로(131)와 동일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제3필터링회로(133)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제2필터링회로(132)와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필터부(130)를 통해, 3단에 걸쳐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어 종래의 노이즈필터에 비해 노이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노이즈의 제거 후 직류에 가까운 일정한 파형을 갖는 신호용 전원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류나 직류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신호생성부(150)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02)(C503)(C5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는 도 4에서는 2개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복수로만 구비하면 되고, 필요한 전압 강하 정도에 따라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150)의 동작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이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를 통과하면서 제어신호에 알맞은 전압 레벨로 변환되고, 변환 과정에서 유입 또는 생성되는 잡음에 대해서는 필터링용 인덕터(L501)와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02)(C503)(C504)에 의해 제거되어,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출력부(16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신호출력부(160)는 제어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소자(161), 이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안정화회로(162),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출력제어소자(161)로 피드백하는 감지회로(163) 및, 출력제어소자(1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회로 별로 동작 및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안정화회로(162)는 직렬 연결된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와,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601)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정화회로(162)는 전달된 제어신호를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를 통해 캐패시터(C601)에 저장함으로써 신호 유입에 대한 완충을 제공하여 제어신호의 끊김을 억제하고, 출력제어소자(161)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다음 감지회로(163)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2)과 저항(R603) 및 필터링용 캐패시터(C602)(C603)를 포함한다.
이러한 감지회로(163)는 제어신호의 전류를 저항(R602)을 통해 전압으로 변환하고, 저항(R603)에 인가되며, 캐패시터(C602)(C603)를 통해 필터링되어 출력제어소자(161)로 전달한다. 이 후 출력제어소자(161)는 감지회로(163)를 통해 최종적으로 출력될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어신호의 재 필터링을 명령하게 된다.
다음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604)(C605)(C606)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6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출력제어소자(161)는 제어신호의 출력 상태를 최종적으로 점검하고 출력하기 위한 소자로 항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제품 전체에 공급되는 전원은 물론 비상상황을 대비한 추가적인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회로(164)가 신호용 전원을 적절하게 처리하여 출력제어소자(16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별도로 공급하게끔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을 통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을 캐패시터(C604)(C605)(C606)에 저장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 시에도 출력제어소자(161)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이 때 다이오드(D604)를 통해 캐패시터(C604)(C605)(C606)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지 않도록 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출력제어소자(161)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각 회로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소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판서유니트
11: 프레임 13: 스크린
15: 입력수단
151: 터치센서 153: 입력기기
2: 표시유니트
21: 거치대 23: 디스플레이
3: 높이조절수단
31: 결합부 33: 승강부
35: 제어부
100: 신호생성모듈
11: 프레임 13: 스크린
15: 입력수단
151: 터치센서 153: 입력기기
2: 표시유니트
21: 거치대 23: 디스플레이
3: 높이조절수단
31: 결합부 33: 승강부
35: 제어부
100: 신호생성모듈
Claims (4)
- 수평으로 배치되는 판서유니트;
상기 판서유니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거치대 및 이 거치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표시유니트; 및
상기 판서유니트 하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자칠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서유니트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이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인 스크린 및 이 스크린에 구비된 터치센서와 상기 스크린에 접촉하는 입력기기로 이루어진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판서유니트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승강에 의해 상기 판서유니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 및 제어신호를 통해 승강부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 청구항 3에 있어서,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제어신호의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갖는 신호생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증폭부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 및 상기 제2증폭회로는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증폭회로의 앰프 출력단과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는 비교기, 이 비교기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 비교기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인가회로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회로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링회로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고,
상기 제2필터링회로는 상기 제1필터링회로와 동일 구조를 갖고,
상기 제3필터링회로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상기 제2필터링회로(132)와 상기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502)(C503)(C5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2708A KR101906412B1 (ko) | 2016-09-01 | 2016-09-01 |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전자칠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2708A KR101906412B1 (ko) | 2016-09-01 | 2016-09-01 |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전자칠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5699A true KR20180025699A (ko) | 2018-03-09 |
KR101906412B1 KR101906412B1 (ko) | 2018-12-07 |
Family
ID=6172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2708A KR101906412B1 (ko) | 2016-09-01 | 2016-09-01 |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전자칠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641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33464A (zh) * | 2020-10-28 | 2021-01-15 | 牡丹江师范学院 | 一种古代文学教学的辅助装置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3049A (ko) * | 2011-12-28 | 2013-07-22 | (주)에스제이기획 | 전자방명록 장치 |
KR101355652B1 (ko) * | 2013-02-04 | 2014-01-29 | 임세미 | 인터렉티브 방명록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
KR101458142B1 (ko) * | 2012-12-11 | 2014-11-12 | 주식회사 다이나젠 | 컴퓨터를 내장한 터치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주문 및 결제 시스템 |
KR20150083556A (ko) * | 2014-01-10 | 2015-07-20 |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 자동 인식 높이 조절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전자 교탁 |
KR200480489Y1 (ko) * | 2016-01-15 | 2016-05-31 | 대화기전(주) | 제동 성능이 향상된 모터장치 |
KR101652461B1 (ko) * | 2016-06-17 | 2016-09-09 | 테크와이드 주식회사 |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설비 예지 진단시스템 |
-
2016
- 2016-09-01 KR KR1020160112708A patent/KR1019064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3049A (ko) * | 2011-12-28 | 2013-07-22 | (주)에스제이기획 | 전자방명록 장치 |
KR101458142B1 (ko) * | 2012-12-11 | 2014-11-12 | 주식회사 다이나젠 | 컴퓨터를 내장한 터치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주문 및 결제 시스템 |
KR101355652B1 (ko) * | 2013-02-04 | 2014-01-29 | 임세미 | 인터렉티브 방명록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
KR20150083556A (ko) * | 2014-01-10 | 2015-07-20 |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 자동 인식 높이 조절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전자 교탁 |
KR200480489Y1 (ko) * | 2016-01-15 | 2016-05-31 | 대화기전(주) | 제동 성능이 향상된 모터장치 |
KR101652461B1 (ko) * | 2016-06-17 | 2016-09-09 | 테크와이드 주식회사 |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설비 예지 진단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33464A (zh) * | 2020-10-28 | 2021-01-15 | 牡丹江师范学院 | 一种古代文学教学的辅助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6412B1 (ko) | 2018-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9390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1281667B1 (ko) | 액정표시장치의 소프트 페일 처리 회로 및 방법 | |
US9767758B2 (en) | Driving apparatus of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 |
EP3026663B1 (en) | Circuit, method and display for eliminating shutdown image sticking | |
EP3038096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490300B1 (ko) | 표시장치, 게이트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 방법 | |
US8044919B2 (en) | Backlight driving apparatus of LCD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1341904B1 (ko) |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 |
US20110012854A1 (en) | Touch Sensing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 |
KR101906412B1 (ko) |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전자칠판 | |
KR101834502B1 (ko) | 틸트 회전 및 피벗 회전이 가능한 거치대를 구비한 전자칠판 | |
KR101122657B1 (ko) | 터치모드 기능이 구비된 영상 학습장치 | |
JP2012141638A (ja) | 液晶表示素子の駆動装置及び方法 | |
CN206340173U (zh) | 书法教学仪 | |
US865406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backlight of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 |
CN106510200A (zh) | 一种多功能计算机网络授课桌 | |
KR20080049336A (ko) |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 |
US20190018542A1 (en) | Touch display driving circuit | |
KR101768185B1 (ko) |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 | |
KR102555186B1 (ko) | 표시장치, 컨트롤러 | |
US8159439B2 (en) | Data driving circuit including a first operator that generates a flag signal based on a load signal and a reset signal and a second operator that generates a horizontal scanning identical sign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102912B1 (ko) | 액정표시장치 | |
KR101287195B1 (ko) | 전원전압 공급장치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 |
JP2012242428A (ja) | 液晶駆動方法及び液晶駆動回路並びに液晶表示装置 | |
KR20150074257A (ko) | 터치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