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185B1 -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185B1
KR101768185B1 KR1020160129040A KR20160129040A KR101768185B1 KR 101768185 B1 KR101768185 B1 KR 101768185B1 KR 1020160129040 A KR1020160129040 A KR 1020160129040A KR 20160129040 A KR20160129040 A KR 20160129040A KR 101768185 B1 KR101768185 B1 KR 101768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unit
board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아이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아이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아이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29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작동상태 및 전원공급상태에 대한 판단을 육안 또는 화면 촬영을 통해 수행했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디스플레이의 각 보드 간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원격에서 디스플레이의 작동상태 및 전원공급상태를 감시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영상기기에서 취득한 영상을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보드와, 상기 A/D 보드에서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액정 출력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TCON 보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그리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A/D 보드의 상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 공급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DISPLAY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작동상태 및 전원공급상태 등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의 작동상태 및 전원공급상태에 대한 판단을 육안 또는 화면 촬영을 통해 수행했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디스플레이의 각 보드 간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원격에서 디스플레이의 작동상태 및 전원공급상태를 감시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는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화면을 송출하는 출력장치로, 일반적으로 모니터라는 이름으로 대표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에 관한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는 점차 고해상도를 갖게 되었고, 또한 대형화 되었으며, 또한 다수의 디스플레이가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디스플레이가 소정 장소에 설치된 후에는 육안 식별, 즉 관리자의 시각적 확인 이외에는 영상 출력 상태의 확인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여러 장소에 설치된 다수의 디스플레이를 모두 관리하여야 하는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의 설치 장소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인 경우 등과 같은 상황에서는 사람의 시각적 확인에 기대어 관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343339호(2013년12월13일)[버스정보단말기 화면상태 감시장치](종래기술1)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액정 출력 화면을 촬영하는 별도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촬영된 화면 영상을 관리자가 확인하여 관리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별도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촬영하고,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감시하는 기술의 경우, 고해상도 출력에 따른 미세한 화면 조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적합하지 않고, 또한 별도 카메라 구비를 위한 비용 부담이 문제가 되었다.
디스플레이 감시에 관한 또 다른 종래 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3-0010782호(2013년01월29일)[디스플레이 상태 감시 장치 및 시스템](종래기술2)이 있는데, 종래기술2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출력 영상의 조도 값 판별을 통한 디스플레이의 작동 상태 감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2 역시 출력되는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이면서도 정확한 디스플레이의 작동 상태 감시를 제공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의 A/D 보드와 TOCN 보드 사이에 모니터링 보드를 연결하여. A/D 보드와 TOCN 보드 간에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원격에서 디스플레이의 작동상태 및 전원공급상태를 감시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서 취득한 영상을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보드와, 상기 A/D 보드에서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액정 출력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TCON 보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그리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A/D 보드의 상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 공급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모니터링수단은 상기 A/D 보드에 연결되어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에서 생성된 분석데이터를 감시센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모니터링 보드는 일단은 상기 A/D 보드의 전원공급회로와 타단은 상기 TCON 보드의 전원공급회로에 연결된 전원감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분석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감시센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DC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니터링 보드는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수신부, 처리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생성모듈은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생성된 제어신호의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A/D 보드와 TCON 보드 간에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원격에서 A/D 보드의 상태, 즉 디스플레이의 작동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육안으로 감시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디스플레이의 작동상태를 판별할 수 있음은 물론, 화면 촬영을 위한 카메라의 구비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하며, 나아가 영상데이터를 SERDES 함으로써 케이블 전송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부가적인 효과를 갖고, 더불어 원격에서 디스플레이의 전원공급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전원은 제대로 공급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의 메인보드에 불량이 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의 각 보드 간에 영상데이터가 제대로 전송되지 않는 등에 의해 화면이 켜지지 않는 경우에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오판할 우려를 해소하는 등,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제대로 판단하여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작동상태 및 전원공급상태에 대한 판단을 육안 또는 화면 촬영을 통해 수행했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디스플레이의 각 보드 간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원격에서 디스플레이의 작동상태 및 전원공급상태를 감시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M))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M)은 디스플레이(1)와 이를 감시하는 모니터링수단(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디스플레이(1)는 영상기기에서 취득한 영상을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보드(11)와, 이 A/D 보드(11)에서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액정 출력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TCON 보드(13)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A/D 보드(11)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영상기기에서 디스플레이(1) 측으로 전송되는 화면에 관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인 영상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TCON 보드(13)는 일명 타이밍 컨트롤 보드로, A/D 보드(11)에서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액정 출력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A/D 보드(11) 및 TCON 보드(13)는 디스플레이(1)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구송요소들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공지된 기술을 참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모니터링수단(2)은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A/D 보드(11)의 상태 및 디스플레이(1)의 전원 공급 상태를 감시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수단(2)은 수신부(21), 처리부(22), 통신부(23), 송신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수신부(21)는 A/D 보드(11)에 연결되어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영상데이터의 신호 형식에 맞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A/D 보드(1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저전압 차등 시그널링) 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LVDS 또는 V-by-one 또는 이 둘이 조합된 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영상데이터는 수신부(21)에서 TTL 신호로 변환되어 처리부(22)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처리부(22)는 수신부(21)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하여 분석데이터로 생성하는 구성으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FPGA 또는 CPLD와 같은 논리회로를 포함하거나 또는 CPU, 마이컴 등과 같은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통신부(23)는 처리부(22)에서 생성된 분석데이터를 감시센터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감시센터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포트(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통신포트는 예를 들면 RS-232, RS-485, 이더넷 등이 있다.
여기에서 감시센터는 분석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전송받을 수 있고, 전송받은 분석데이터를 통해 디스플레이(1)의 작동 상태, 즉 A/D 보드(11)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이러한 감시센터는 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송신부(24)는 처리부(22)를 통과한 영상데이터를 TCON 보드(13)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영상 처리를 위해 TTL 신호로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다시 LVDS 또는 V-by-one 또는 이 둘이 조합된 신호로 변환하여 TCON 보드(13)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모니터링 보드(20)의 구비를 통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1)의 A/D 보드(11)와 TCON 보드(13) 사이에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원격에서 A/D 보드(11)의 상태, 즉 디스플레이(1)의 작동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는 종래에 디스플레이(1)의 작동상태에 대한 판단을 육안 또는 화면 촬영을 통해 수행했던 것에 대비하였을 때, 육안으로 감시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디스플레이(1)의 작동상태를 판별할 수 있음은 물론, 화면 촬영을 위한 카메라의 구비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모니터링 보드(20)가 A/D 보드(11)와 TCON 보드(13) 간의 신호, 즉 영상데이터를 SERDES 함으로써 케이블 전송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부가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M)은 모니터링 보드(20)가 일단은 A/D 보드(11)의 전원공급회로와 타단은 TCON 보드(13)의 전원공급회로에 연결된 전원감시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어, 통신부(23)로부터 분석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감시센터는 디스플레이(1)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을 통해 본 발명은 원격에서 디스플레이(1)의 전원공급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육안 또는 화면 촬영을 통해 디스플레이(1)의 전원공급상태를 판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에 전원은 제대로 공급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1)의 메인보드에 불량이 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1)의 각 보드 간에 영상데이터가 제대로 전송되지 않는 등에 의해 화면이 켜지지 않는 경우에 디스플레이(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오판할 우려가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한 전원감시부(25)의 구비를 통해 디스플레이(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제대로 판단하여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M)은 모니터링 보드(20)가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한 수신부(21), 처리부(22), 통신부(23)를 포함, 송신부(24)와 전원감시부(25)를 총괄 제어하는 제어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어부(26)는 중앙처리장치(CPU, MCU 등)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부(26)는 처리부(22)와 그룹화되어 구성될 수 있는 바, 도 1에서는 처리부(22)와 제어부(26)를 함께 표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26)는 제어신호를 통해 각 구성(수신부(21), 처리부(22), 통신부(23)를 포함, 송신부(24)와 전원감시부(25))의 동작을 제어한다는 것을 상기한 바 있다.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온도, 습도, 먼지 등)에 의한 영향 등, 각종 외부요인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이즈의 유입 가능성을 원천 배제한 클린 상태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모듈(100)을 구비하여, 제어신호에 유입될 노이즈를 사전에 검출 및 제거하고, 이를 통해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신호생성모듈(100)은 여러 단계를 거쳐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며, 최종적으로 제어신호 출력에 앞서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모듈(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모듈(100)은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110),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120),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30),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140),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150) 및, 생성된 제어신호를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호생성모듈(100)은 노이즈증폭부(110)에서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함으로써 이에 포함된 노이즈 역시 증폭시켜 검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12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며, 필터부(130)에서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되, 필터구동부(140)를 통해 노이즈 검출 시에만 노이즈 제거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동작 과부하를 방지하고, 신호생성부(15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신호출력부(160)에서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한다.
또한 신호생성모듈(100)은 상기한 모니터링 보드(20)에 통합 구비될 수도 있고, 착탈식으로 결속 구비될 수도 있으며, 케이블 연결을 통해 독립적인 보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신호생성모듈(100)의 각 부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 및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노이즈증폭부(110)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111)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증폭회로(111)와 제2증폭회로(112)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한다.
제1증폭회로(111) 및 제2증폭회로(112)의 동작 및 효과를 제1증폭회로(111)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앰프(A101)는 분배저항(R101)(R102)과 피드백저항(R106), 그리고 접지 저항에 의해 비반전 증폭기로 동작하여 신호용 전원의 전압 레벨을 증폭시킴에 따라 노이즈 역시 함께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피드백 캐패시터(C105)는 앰프(A101)의 발진을 방지한다.
제2증폭회로(112)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신호용 전원의 증폭이 이루어진다.
또한 노이즈증폭부(110)는 제1증폭회로(111)의 앰프 출력단과 제2증폭회로(112)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신호용 전원이 제1증폭회로(111)에서 1차로 증폭되고, 그 출력이 제2증폭회로(112)로 전송되어 2차 증폭됨에 따라 신호용 전원을 2중으로 보다 현저하게 증폭시켜 노이즈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노이즈검출부(120)는 비교기(121), 이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122),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가회로(122)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한다.
또한 기준회로(123)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노이즈검출부(120)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인가회로(122)는 노이즈증폭부(11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을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를 통해 직류성분을 제거하고 노이즈 성분만 남긴다. 이 후 노이즈 성분을 저항(R202)에 인가한다.
이 후 기준회로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에 의해 기준전압을 생성하고, 비교기(121)가 기준전압과 저항(R202)에 인가된 노이즈 전압을 비교함으로써 노이즈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노이즈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필터부(130)를 구동함으로써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 미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아 필터부(130)를 구동시키지 않고, 신호용 전원이 바로 신호생성부로 전달되도록 한다.(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실시의 선택은 필터구동부(14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필터구동부(14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사항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무리가 없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검출부(120)는 릴레이로 전송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회로(1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딜레이회로(124)는 상호 병렬 배치되는 역방향 다이오드(D201) 및 저항(R206)과,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124)의 구비를 통해 필터구동부(14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노이즈는 연속적, 주기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간헐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필터구동부(140)가 구동 및 비구동을 반복하면서 수명 저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딜레이회로(124)를 구비하여 필터구동부(140)의 작동 후 일정 시간 경과 전까지는 계속하여 필터구동부(140)를 구동하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필터부(130)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131)(132)(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필터링회로(131)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필터링회로(132)는 제1필터링회로(131)와 동일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제3필터링회로(133)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제2필터링회로(132)와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필터부(130)를 통해, 3단에 걸쳐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어 종래의 노이즈필터에 비해 노이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노이즈의 제거 후 직류에 가까운 일정한 파형을 갖는 신호용 전원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류나 직류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신호생성부(150)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02)(C503)(C5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는 도 2에서는 2개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복수로만 구비하면 되고, 필요한 전압 강하 정도에 따라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150)의 동작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이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를 통과하면서 제어신호에 알맞은 전압 레벨로 변환되고, 변환 과정에서 유입 또는 생성되는 잡음에 대해서는 필터링용 인덕터(L501)와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02)(C503)(C504)에 의해 제거되어,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출력부(16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신호출력부(160)는 제어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소자(161), 이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안정화회로(162),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출력제어소자(161)로 피드백하는 감지회로(163) 및, 출력제어소자(1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회로 별로 동작 및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안정화회로(162)는 직렬 연결된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와,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601)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정화회로(162)는 전달된 제어신호를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를 통해 캐패시터(C601)에 저장함으로써 신호 유입에 대한 완충을 제공하여 제어신호의 끊김을 억제하고, 출력제어소자(161)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다음 감지회로(163)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2)과 저항(R603) 및 필터링용 캐패시터(C602)(C603)를 포함한다.
이러한 감지회로(163)는 제어신호의 전류를 저항(R602)을 통해 전압으로 변환하고, 저항(R603)에 인가되며, 캐패시터(C602)(C603)를 통해 필터링되어 출력제어소자(161)로 전달한다. 이 후 출력제어소자(161)는 감지회로(163)를 통해 최종적으로 출력될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어신호의 재 필터링을 명령하게 된다.
다음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604)(C605)(C606)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6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출력제어소자(161)는 제어신호의 출력 상태를 최종적으로 점검하고 출력하기 위한 소자로 항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제품 전체에 공급되는 전원은 물론 비상상황을 대비한 추가적인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회로(164)가 신호용 전원을 적절하게 처리하여 출력제어소자(16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별도로 공급하게끔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을 통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을 캐패시터(C604)(C605)(C606)에 저장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 시에도 출력제어소자(161)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이 때 다이오드(D604)를 통해 캐패시터(C604)(C605)(C606)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지 않도록 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출력제어소자(161)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각 회로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소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본 시스템
1: 디스플레이
11: A/D 보드 13: TCON 보드
2: 모니터링수단 20: 모니터링 보드
21: 수신부 22: 처리부
23: 통신부 24: 송신부
25: 전원감시부 26: 제어부
100: 신호생성모듈

Claims (4)

  1. 영상기기에서 취득한 영상을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보드와, 상기 A/D 보드에서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액정 출력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TCON 보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A/D 보드의 상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 공급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모니터링수단은
    상기 A/D 보드에 연결되어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생성된 분석데이터를 감시센터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처리부를 통과한 영상데이터를 TCON 보드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일단은 상기 A/D 보드의 전원공급회로와 타단은 상기 TCON 보드의 전원공급회로에 연결된 전원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분석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감시센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DC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수단은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수신부, 처리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생성모듈은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생성된 제어신호의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증폭부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 및 상기 제2증폭회로는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증폭회로의 앰프 출력단과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는 비교기, 이 비교기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 비교기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인가회로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회로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링회로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고,
    상기 제2필터링회로는 상기 제1필터링회로와 동일 구조를 갖고,
    상기 제3필터링회로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상기 제2필터링회로(132)와 상기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생성부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502)(C503)(C504)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출력부는 제어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소자, 이 출력제어소자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안정화회로, 출력제어소자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출력제어소자로 피드백하는 감지회로 및, 출력제어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안정화회로는 직렬 연결된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와,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601)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회로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2)(R603) 및 필터링용 캐패시터(C602)(C603)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회로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604)(C605)(C606)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6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29040A 2016-10-06 2016-10-06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68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040A KR101768185B1 (ko) 2016-10-06 2016-10-06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040A KR101768185B1 (ko) 2016-10-06 2016-10-06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185B1 true KR101768185B1 (ko) 2017-08-17

Family

ID=5975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040A KR101768185B1 (ko) 2016-10-06 2016-10-06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378B1 (ko) 2022-11-22 2023-03-09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하이브리드 제어 카드를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 전광판 캐비닛 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1286A (ja) 2008-10-03 2010-04-22 Fujitsu Ten Ltd 表示装置の異常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1286A (ja) 2008-10-03 2010-04-22 Fujitsu Ten Ltd 表示装置の異常検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378B1 (ko) 2022-11-22 2023-03-09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하이브리드 제어 카드를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 전광판 캐비닛 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0215B1 (en) Endoscope image-processing device and endoscopic system
EP2591714A1 (en) Endoscope device
WO2016176765A1 (en) Modular power supply with hot swappable portion
KR101623089B1 (ko)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
EP3404645B1 (en) Intermittent display issue monitoring system
US20050156537A1 (en) Flicker detecting system for detecting lamp life differing from lamp to lamp
KR101768185B1 (ko)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81533B1 (ko) 단선 감지 장치
CN108604993B (zh) 对于dc电力供给设备的电力下垂补偿
CN107810422A (zh) 用于检测和指示局部放电和电压的系统
JP2016034111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1773524B1 (ko) 피감시자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응급안전 정보알리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취약계층 관리 시스템
EP2645621A1 (en) Network apparatus
KR101708380B1 (ko) 온도감응형 쿨링파워 컨트롤 랙 시스템
JP2020137220A (ja) 故障検出装置
US20170357087A1 (en) Optical protection element replacement system of the security camera device and method thereof
JPH06114004A (ja) 電子内視鏡のコネクタ抜け検出装置
US20220148392A1 (en) Smar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914144B1 (ko) 전력선 통신 장치
CN114175485A (zh) 电子设备
KR20180025793A (ko) 피감시자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응급안전 정보알리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취약계층 관리 시스템
KR0152868B1 (ko) 고압 검상 장치
CN102045512B (zh) 多计算机切换器、信号延伸器及音视频信号检测方法
JP2005124903A (ja) 生体情報モニタ、セントラルモニタ及び患者監視システム
JP4201176B2 (ja) 監視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