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470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470B1
KR101767470B1 KR1020150172346A KR20150172346A KR101767470B1 KR 101767470 B1 KR101767470 B1 KR 101767470B1 KR 1020150172346 A KR1020150172346 A KR 1020150172346A KR 20150172346 A KR20150172346 A KR 20150172346A KR 101767470 B1 KR101767470 B1 KR 101767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up
circuit
amplifier
terminal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470B9 (ko
KR20170065942A (ko
Inventor
이대근
Original Assignee
이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근 filed Critical 이대근
Priority to KR1020150172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4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470B1/ko
Publication of KR10176747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47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30Network data restoration; Network data reliability; Network data fault tole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를 백업 및 복구하는 백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중 소정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백업해두거나, 미리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백업해두고, 데이터의 소실 등에 의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으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고, 백업과 복구를 위한 백업관리서버와 백업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통신의 패킷량을 줄여주어 백업 및 복구 속도를 향상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압축하여 백업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백업데이터생성부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백업파일을 압축해제하여 복구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는 복구데이터생성부와, 상기 백업데이터생성부 및 복구데이터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백업어플리케이션;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접속모듈과, 초기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영체제를 식별하여 해당하는 백업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접속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식별모듈과, 상기 접속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의 백업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의 복구요청신호가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백업파일을 상기 저장모듈에서 검색하고, 이를 상기 접속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검색모듈과, 상기 접속모듈, 식별모듈, 저장모듈 및 검색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백업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Back-up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를 백업 및 복구하는 백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중 소정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백업해두거나, 미리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백업해두고, 데이터의 소실 등에 의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으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고, 백업과 복구를 위한 백업관리서버와 백업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통신의 패킷량을 줄여주어 백업 및 복구 속도를 향상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즉, 이동통신 단말기)이 고성능/고용량화 되어 감에 따라, 휴대폰 내부의 중요 데이터들에 대한 보호 및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최근의 휴대폰에는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운영체제(OS)가 탑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휴대폰 상에서 구현되고 있다. 또한, 각종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관리하기 위한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가 휴대폰에 탑재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폰상에서 생성 및 관리되는 기존의 전화번호부, 단문 메시지 송/수신 정보, 통화 이력 및 휴대폰 설정 값을 포함한 데이터 및, 각종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인 음악파일, 사진, 동영상, 다운로드 컨텐츠, 특히 휴대폰 또는 USIM 칩에 탑재되는 DBMS에 관한 대용량 데이터를 백업해 두고, 사용자가 필요로 할때, 백업 받아둔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시점으로 휴대폰의 데이터를 복구 또는 특정 파일만을 복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의 각종 데이터를 백업하는 시스템에 관한 종래기술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0343호 "스마트폰용 데이터 백업 장치", 등록특허 제10-0845000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복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백업관리서버" 등이 개시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백업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모두를 기존 백업파일과의 중복에 상관없이 백업파일로하여 송수신하는 관계로 데이터 통신 패킷량이 커서 백업 속도가 느리고, 최근의 휴대폰, 즉, 스마트폰의 운영체제는 애플사가 제공하는 iPone OS와 구글사가 제공하는 안드로이드로 구분되는데, iPone OS와 안드로이드는 운영체제를 달리하여 백업을 위해서 각각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어느 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만을 위한 백업 프로그램(즉, 백업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백업을 위한 데이터 통신의 패킷량을 최소화하여 백업 속도를 향상시키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영체제에 따른 백업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어느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백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백업관리서버를 내장하는 함체 내부로 각종 이물질과 물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백업관리서버가 장기간 신뢰성있게 안정적으로 백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압축하여 백업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백업데이터생성부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백업파일을 압축해제하여 복구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는 복구데이터생성부와,
상기 백업데이터생성부 및 복구데이터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백업어플리케이션;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접속모듈과,
초기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영체제를 식별하여 해당하는 백업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접속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식별모듈과,
상기 접속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의 백업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의 복구요청신호가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백업파일을 상기 저장모듈에서 검색하고, 이를 상기 접속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검색모듈과,
상기 접속모듈, 식별모듈, 저장모듈 및 검색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백업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백업관리서버의 검색모듈은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에서 백업요청신호가 있는 경우에 대응되는 백업파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의 백업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백업관리서버가 전송한 백업파일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추가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가백업파일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백업관리서버의 저장모듈은 추가백업파일과 이의 기초가 된 기저장 백업파일을 재구성하여 신규 백업파일을 생성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백업관리서버를 내장하는 함체;
상기 함체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함체의 전방 테두리와 접촉되어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하는 방진패드;
상기 방진패드가 상기 도어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도어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방진패드가 안착되는 안착홈를 형성하는 한 쌍의 돌출부와,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중에서 어느 한 돌출부에 형성되는 개방슬릿과,
상기 개방슬릿을 오가고, 내측에는 상기 방지패드의 외면을 접촉 가압하는 쐐기부가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들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판이 상기 안착홈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쐐기부가 방진패드 가압하도록 하는 스프링과,
상기 회전봉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버와,
상기 회전봉을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및 복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의 패킷량이 최소화되어 신속한 양질의 백업 및 복구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영체제가 달라지더라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백업관리서버는 장기간 신뢰성 있게 백업 및 복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백업관리서버를 내장하여 보호하는 함체의 개략적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에 구비되는 방진 및 방수수단의 요부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어모듈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안정화시키는 신호생성수단의 회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백업어플리케이션(10)과, 백업어플리케이션(10)을 제공하며 백업파일을 관리하고 복구를 위해 백업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어플리케이션(10)에 제공하는 백업관리서버(20)의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10)이 탑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대방과 무선 통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정보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콜(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를 백업 및 복구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 상이 구비되는 백업관리서버(20)로 접속한다.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10)은 상기 백업관리서버(20)가 제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고, 백업을 위한 백업파일을 생성하여 백업관리서버(20)로 전송하고, 복구를 위한 백업파일을 전송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10)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통신모듈을 통해 인터넷 상에 구비되는 상기 백업관리서버(20)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화면을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입력수단(버튼, 터치입력 등)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백업관리서버(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및 복구 서비스를 위해 백업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백업파일을 전송받아 저장 관리하여, 복구 요청시에는 해당 백업파일을 백업어플리케이션(10)으로 전송한다.
상기 백업관리서버(20)는 인터넷 상에 구비되어 회원으로 가입한 불특정 다수인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운영관리한다.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10)은 백업파일을 생성하는 백업데이터생성부(11)와, 백업한 백업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여 복구시키는 복구데이터생성부(13)와, 백업어플리케이션(10)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5)를 포함한다.
상기 백업데이터생성부(11)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니터를 통해 백업명령을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백업을 주기적으로 하도록 설정한 시간이 되거나, 백업관리서버(20)로부터 백업요청이 있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예 ;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사용자가 다운로드한 각종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화면설정 상태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 사진, 동영상 등)를 압축하여 백업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백업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모듈을 통해 백업관리서버(20)로 전송한다.
이때, 백업파일로 생성할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하지 아니하는 경우로서 처음 백업파일을 생성할 때에는 모든 데이터를 백업파일화하고, 두 번째 이후로 백업파일을 생성할 때에는 제어부(15)가 먼저 백업관리서버(20)로 백업요청신호를 전송하여 백업관리서버(20)로부터 저장되어 있는 대응 백업파일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백업파일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대응 백업파일(즉, 백업관리서버(20)에 기저장된 백업파일)에 추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백업파일화(추가백업파일 생성)하여, 백업관리서버(20)로 전송되는 통신 데이터의 패킷량을 최소화함으로써 백업 작업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복구데이터생성부(13)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니터와 입력수단을 통해 복구명령을 입력(복구명령의 입력은 백업관리서버(20)에 접속하여 저장모듈에 저장된 시기를 달리하는 다수의 백업파일 중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백업파일을 선택한 후에 하게 된다.)하여, 백업관리서버(20)가 해당 백업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모듈을 통해 백업파일을 수신하고, 수신된 백업파일의 압축을 해제하여 복구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이를 이동통신단말기의 해당 장소에 설치 및 저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복구시킨다.
상기 제어부(15)는 백업어플리케이션(10)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여 백업어플리케이션(10)을 실행시키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니터에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통해 명령을 입력하면 이를 분석하여 백업데이터생성부(11)가 백업파일을 생성하도록 하거나 복구데이터생성부(13)가 백업파일을 백업관리서버(20)로부터 전송받아 복구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백업관리서버(20)는 접속모듈(21), 회원가입및인증모듈(22), 식별모듈(23), 저장모듈(24), 검색모듈(25), 제어모듈(26)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모듈(21)을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원가입및인증모듈(22)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접속한 불특정 다수인이 회원으로 가입하는 것을 안내하며,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를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인증하여 백업 및 복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별모듈(23)은 사용자가 초기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하며,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영체제를 식별하고, 식별된 운영체제에 해당하는(즉, 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동될 수 있는) 백업어플리케이션(10)을 상기 접속모듈(21)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여러 종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가 바뀔 수도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영체제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확인하는 고유번호도 함께 식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바뀐 경우에는 이를 제어모듈(26)로 알려, 사용자에게 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바뀐것인지 추가된 것인지를 확인하고, 추가된 경우에는 서비스 이용을 위한 추가요금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장모듈(24)은 상기 접속모듈(21)을 통해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10)이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파일을 저장한다.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백업파일은 하나만 있을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시기를 달리하는 여러개의 백업파일을 있을 것이므로, 저장모듈(24)은 백업파일을 저장할 때에 파일명에 시기, 용량 등의 정보를 부가하여 사용자가 복구시에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백업어플리케이션(10)이 전송하는 백업파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데이터가 아닌 추가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생성한 추가백업파일이 전송될 때에는, 추가백업파일을 그대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백업파일의 기초가 된 기저장 백업파일과 재구성하여 신규백업파일(재구성된 신규백업파일은 그때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데이터가 압축되어 백업파일화 된것에 해당)을 생성 저장한다.
상기 검색모듈(25)은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복구요청신호가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백업파일을 상기 저장모듈(24)에서 검색하고, 이를 상기 접속모듈(21)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백업어플리케이션(1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검색모듈(25)은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백업요청신호가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백업파일(즉, 이동통신단말기의 백업어플리케이션(10)이 그 이전에 저장모듈(24)에 저장한 백업파일)에 대한 정보(즉, 백업파일을 구성하는 데이터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떤 프로그램과 데이터들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검색 추출하여 상기 접속모듈(21)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백업어플리케이션(1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백업어플리케이션(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 백업관리서버(20)에 저장해 놓은 데이터를 제외하고 추가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추가백업파일을 생성한다.
상기 제어모듈(26)은 백업관리서버(20)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접속모듈(21)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이를 해당하는 식별모듈(23)이나 저장모듈(24)이나 검색모듈(25) 등에 전송하여 처리되도록 하고, 검색모듈(25)이 검색하여 추출한 백업파일이나 추가백업파일을 위한 백업파일에 대한 정보 등이 접속모듈(21)을 통해 송신되도록 하고, 백업파일을 저장하거나 백업파일을 전송하는 때에 그 수행률을 백업어플리케이션(1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운영관리하는 백업관리서버(20)는 수많은 각종 전자부품들로 이루어지고, 전자부품들은 먼지와 물기 등에 취약하다.
따라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백업관리서버(20)는 이들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즉, 방진 및 방수 기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리고 방진 및 방수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작동 상태를 작업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도2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백업관리서버를 내장하여 보호하는 함체를 구비하고, 함체(B)에는 투시창을 갖는 도어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백업관리서버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도어에는 방진 및 방수 수단을 구비하여 먼지와 물기의 침투를 방지한다.
도2 및 도3를 참조하면, 백업관리서버를 내장하는 함체(B)의 전방에는 도어(30)가 구비되어 함체(B)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도어(30)에는 함체(B)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도록 투시(50)창이 구비되고, 방진 및 방수를 위해 도어에는 방진패드(60)가 구비된다.
상기 방진패드(60)는 상기 도어(30)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도어(30)의 폐쇄시에 함체(B)의 전방 테두리와 접촉되어 틈새를 밀폐함으로써 함체(20)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차단한다. 즉, 방진 및 방수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3을 참조하여, 상기 도어(30)에 구비되는 방진 및 방수 수단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도어(30)의 중앙부에는 상기 투시창(50)이 배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30)의 내면에는 상기 개구부(31) 주변으로 상기 투시창(50)인 안치되도록 하는 안치홈(33)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33)에는 다수의 조임핀(35)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조임핀(35)에는 조임너트부재(37)가 스크류결합되어 투시창(50)을 안치홈(33)으로 가압하여 조인다.
상기 안치홈(33)과 투시창(50) 사이에는 밀착패드(90)가 개재되어 그 틈새를 밀폐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의 유입과 물기의 침투를 방지하며, 투시창(50)이 강하게 조여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조임너트부재(37)는 조임핀(35)이 관통하는 투시창(50)의 관통홀(51) 틈새를 밀폐하여 이물질과 물기의 침투를 방지하고 조임너트부재(37)가 조이는 조임력에 의해 투시창(50)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조임핀(35)이 삽입되어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홀(38)은 일측이 막히고, 투시창(50)과 접촉되는 접촉면에는 스크류홀(38)의 입구 주변으로 밀착날개(39)들이 환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밀착날개(39)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과 같이 부드러우면서 탄성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서, 조임너트부재(37)를 돌려서 조이면 한쪽으로 눕혀지면서 투시창(50)에 밀착 가압된다. 밀착날개(39)는 밀착 가압되면서 틈새를 밀폐하고, 가압됨에 따른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조임너트부재(37)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어(30)에는 도어(30)와 함체(B)의 틈새를 밀폐하는 상기 방진패드(60)가 도어(30)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수단(100)이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100)은
상기 도어(30)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방진패드(60)가 안착되는 안착홈(102)를 형성하는 한 쌍의 돌출부(101)와,
상기 한 쌍의 돌출부(101) 중에서 어느 한 돌출부(101)에 형성되는 개방슬릿(103)과,
상기 개방슬릿(103)을 오가고, 내측에는 상기 방지패드(60)의 외면을 접촉 가압하는 쐐기부(105)가 형성된 회전판(104)과,
상기 회전판(104)들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회전봉(106)과,
상기 회전판(104)이 상기 안착홈(102)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쐐기부(105)가 방진패드(60) 가압하도록 하는 스프링(107)과,
상기 회전봉(106)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버(108)와,
상기 회전봉(106)을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109)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홈(102)에 강제로 억지끼움식으로 밀어넣은 방진패드(60)는 장기간이 경과하면 안착홈(102)에서 그 일부가 분리 이탈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고, 일부가 분리이탈되면 방진 및 방수 기능이 약화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이탈방지수단(100)은 탄성력으로 방진패드(60)를 안착홈 쪽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눌러줌으로써 장기 사용에도 방진패드(60)가 안착홈(102)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100) 구성요소들 상호 간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기 힌지부(109)에는 상기 회전봉(106)이 강제로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104) 및 레버(108)가 상기 회전봉(106)에 걸림결합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봉(106)에는 걸림돌기(106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104) 및 레버(108)에는 각각 상기 걸림돌기(106a)가 수용되어 걸림결합되는 걸림홈(104a, 108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봉(106)의 걸림돌기(106a)는 상기 개방슬릿(103)에 매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104)들이 배치고정되어야 할 자리에 주의를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전판(104)의 걸림홈(104a)에는 젖혀져 상기 걸림돌기(106a)에 걸림으로써 회전판(104)이 그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젖힘부(104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108)는 상기 회전봉(106)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레버(108)에는 상기 스프링(107)의 일측이 결합되는 고리(108c)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107)의 타측은 상기 돌출부(101)에 형성된 또 다른 고리(101c)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107)은 길이가 줄어들고자하는 압축력으로 상기 레버(108)를 잡아당겨서 회전판(104)이 안착홈(102)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107)은 상기 레버(108)의 회전 이동범위의 중간지점에서 그 길이가 최대로 늘어나도록(이 지점이 사점이 됨)하여, 사용자가 레버를 잡고 돌릴 때 이 사점까지만 젖혀서 돌리면 그 뒤로는 스프링(107)의 탄성력으로 레버(108)가 자동 회전하여 회전판(104)의 쐐기부(105)가 방진패드(60)를 가압하면서 눌러주거나 회전판(104)이 안착홈(102)을 벗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어모듈(26)부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 등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이 각 구성의 동작에 맞도록 조정하고,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여 제어부를 통한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신호생성수단(5)을 추가로 도입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수단(5)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수단(5)은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 및,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고하여 각 부 별로 살펴보면, 먼저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51),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512),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513),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출력단회로(5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회로(51)는 입력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출력단회로(514)를 구성하는 npn트랜지스터(Q101)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스위칭회로(51)의 구성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나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입력단회로(512)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1) 및 일단은 캐패시터(C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1)(R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접지단회로(513)는 트랜지스터(Q10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02) 및 저항(R10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06)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출력단회로(514)는 npn트랜지스터(Q101)와 트랜지스터(Q10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103)(R104) 및 캐패시터(C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두 병렬 저항(R103)(R104)은 입력단회로(512)의 저항(R101)과 연결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레벨조정부(51)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낮을 경우 스위칭회로(5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01)에 전원을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101)를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만큼 상승시킨다.
또한 레벨조정부(51)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위칭회로(5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0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트랜지스터(Q101)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만큼 하강시킨다.
이 때 입력단회로(512), 접지단회로(513) 및 출력단회로(514)의 저항(R101 내지 R106)과 캐패시터(C101 내지 C103)는 트랜지스터(Q101)의 이득을 결정하여 설정 전압 레벨을 세팅하는데, 특히 입력단회로(512)의 캐패시터(C101)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고, 출력단회로(514)의 캐패시터(C103)는 조정된 레벨을 갖는 제어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는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521), 제1증폭회로(521)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522), 제2증폭회로(522)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523) 및,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5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증폭회로(521)는 앰프(A101)와, 일단은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07), 일단은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8) 및 캐패시터(C104), 앰프(A10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10), 그리고 앰프(A10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9) 및 캐패시터(C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증폭회로(522)는 앰프(A102)와, 앰프(A10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6), 이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1), 상기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2) 및 캐패시터(C107), 그리고 앰프(A10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3) 및 캐패시터(C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2증폭회로(522)의 (+)단은 제1증폭회로(521)의 출력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증폭회로(521) 및 제2증폭회로(522)는 제어신호를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검출회로(523)는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제1비교기(A103)의 (+)단에는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5)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7) 및 캐패시터(C110)가 연결되고, 제1비교기(A103)의 (-)단에는 제2증폭회로(522)의 앰프(A102)와 제2비교기(A104)의 (+)단이 연결된다.
또한 제2비교기(A104)의 (+)단은 제1비교기(A103)의 (-)단과 연결되고, 제2비교기(A104)의 (-)단에는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4)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6) 및 캐패시터(C109)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1비교기(A103)는 하이패스필터로, 제2비교기(A104)는 로우패스필터로 동작하여 설정된 레벨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특히 이러한 노이즈 신호의 레벨 기준 범위 설정은 제1비교기(A103)의 (+)단에 연결된 저항(R115)(R117) 및 캐패시터(C110), 제2비교기(A104)의 (-)단에 연결된 저항(R114)(R116) 및 캐패시터(C109)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이를 위해 두 저항(R116)(R117)을 가변저항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역류방지회로(524)는 검출회로(523)의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01)(D10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역류방지회로(524)는 검출회로(523)를 통과하는 전류가 역류하여 재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후술하는 필터구동부(53)로부터 노이즈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는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531), 딜레이회로(531)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532),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구동회로(532) 및 바이어스회로(533)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5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딜레이회로(531)는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18)과 역방향 다이오드(D10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531)는 릴레이회로(534)가 빠르게 온/오프를 반복하여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 번 릴레이회로(534)가 동작하고 난 후에는 일정시간동안 릴레이회로(534)를 오프시키지 않으며 노이즈 검출 시 마다 다시 시간을 리셋시켜, 딜레이 설정을 통한 안정적 구동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구동회로(532)는 제1앰프(A105), 제2앰프(A106) 및 트랜지스터(Q102), 그리고 다수의 저항(R119 내지 R126) 및 캐패시터(C111 내지 C113)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트랜지스터(Q10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534)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106)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일단이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20) 및 캐패시터(C111)가 병렬로 연결된다.
아울러 제1앰프(A105)의 (-)단에는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이 연결된다.
또한 제2앰프(A106)의 (+)단에는 바이어스회로(533)와 제1앰프(A10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특히 제1앰프(A105)의 출력단과 제2앰프(A10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104)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저항(R122)과, 일단이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124) 및 캐패시터(C112)가 병렬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바이어스회로(533)는 일단은 릴레이회로(534)에 타단은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105)의 출력단 및 제2앰프(A106)의 (+)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25)(R126) 및 캐패시터(C113)로 이루어진다.
릴레이회로(534)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성으로, 간략하게 생략하여 표현하여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터구동부(53)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이어스회로(533)는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105) 및 제2앰프(A106)에 인가되는 전압의 동작점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바이어스회로(533)에 의해 결정된 전압이 제1앰프(A105)와 제2앰프(A106)에 인가된다.
또한 제2앰프(A106)의 (-)단에 연결된 저항(R122)(R123)(R124)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2앰프(A106)는 구동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 노이즈검출부(52)로부터 딜레이회로(531)와 제1앰프(A105) 그리고 역방향 다이오드(D104)를 통해 작동신호(노이즈검출부(52)가 노이즈를 검출한 후 출력하는 신호)가 주어지면 구동 대기 상태인 제2앰프(A106)가 구동하여 트랜지스터(Q102)를 작동시키고, 트랜지스터(Q102)는 릴레이회로(534)를 구동시킨다.
이 후 릴레이회로(534)는 필터링부(54)를 구동하여 제어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다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회로(534)에 의해 구동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는 릴레이회로(534)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회로(541), 신호입력회로(541)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메인필터회로(542) 및,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입력회로(541)는 필터구동부(53)의 릴레이회로(534)에 연결되어 필터링회로(542)(543)의 구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아울러 제어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필터링회로(542)(543)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입력회로(541)는 일 예로, 멀티플랙서와 같은 선택기로 이루어져, 구동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메인필터회로(542)의 입력단이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 즉 두 경로를 선택하여 입력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호입력회로(541)와 관련한 도면의 도시 및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메인필터회로(542)는 신호입력회로(541)의 출력단에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D105), 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 이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순방향 다이오드(D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순방향 다이오드(D105)는 전류의 일 방향 흐름을 차단하여, 메인필터회로(542)로부터 신호입력회로(541)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다이오드(D106)는 노이즈 제거 효율을 보다 높여준다.
다음으로,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는 앰프(A107)와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 그리고 바이어싱된 저항(R128 내지 R135) 및 캐패시터(C116, C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브필터회로(543)를 살펴보면, 앰프(A107)의 (+)단에는 3개의 저항(R128)(R129)(R130)이 연결되어 있는데, 하나(R128)는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둘(R129)(R130)은 이에 병렬로 연결되며, 앰프(A107)의 (+)단은 두개의 저항(R129)(R130) 사이에 연결된다.
앰프(A107)의 (-)단에는 캐패시터(C116)와 이에 상호 병렬을 이루며 연결된 두개의 저항(R131)(R132) 및 기준 전압 입력단(Sref)이 연결되어 있는데, 두개의 저항(R131)(R132) 중 하나(R131)는 기준 전압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R132)는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캐패시터(C116)는 두개의 저항(R131)(R13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앰프(A107)의 출력단에는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가 연결되는데, 제1트랜지스터(Q103)와 앰프(A107) 사이에는 저항(R133)이 구비되어 앰프(A107)의 출력 전압을 일정 강하하여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의 구동을 위한 동작점을 생성한다.
제1트랜지스터(Q103)는 npn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한 앰프(A107)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제2트랜지스터(Q104)의 베이스와 연결된다.
제2트랜지스터(Q104)는 pnp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트랜지스터(Q103)의 컬렉터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된다.
특히 제2트랜지스터(Q104)와 제어신호의 출력단 사이에는 직렬 배치된 두 저항(R134)(R135)과 둘 사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17)가 구비된다.
이러한 서브필터회로(543)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앰프(A107)의 (-)단에 구비된 두 저항(R131)(R132) 및 캐패시터(C116)는 기준 전압 입력단(Sref)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해 기준 전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기준 전압은 노이즈의 제거를 위한 기준이 되고, 기준 전압보다 높거나 낮은 전압 레벨은 모두 노이즈로 간주되어 제거된다.
다음으로 앰프의 (+)단에 구비된 세 개의 저항(R128)(R129)(R130)은 메인필터회로(542)를 통과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준 전압과 비교 가능하도록 강하시키는데,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 전압 레벨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앰프(A107)는 비교기로 동작하여, 기준 전압 레벨과 제어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잔존 노이즈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서브필터회로(543)의 제1트랜지스터(Q103)와 제2트랜지스터(Q104)는 제어신호가 잔존 노이즈를 포함하여 기준 전압보다 순간적으로 높거나 낮을 때(일반적인 경우 노이즈에 의해 전압이 상승된다.) 온 되어 노이즈만큼 상승한 전압을 캐패시터(C117)에 충전시키고 이에 하강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은 기준 전압 레벨만큼이 된다.
이 후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에 해당하면 제1트랜지스터(Q103) 및 제2트랜지스터(Q104)는 턴 오프되고, 이 후 캐패시터(C117)에 저장된 전압은 병렬 연결된 저항(R135)을 통해 방전되어 원상 복구 된다.
이러한 필터링부(54)의 구성은 메인필터회로(542)를 통해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남은 잔존 노이즈와 순간 유입되는 노이즈를 서브필터회로(543)를 통해 2차적으로 제거하여 노이즈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클린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각 구성의 오작동 및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물론 필터링부(54)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한 레벨조정부(51)는 안정된 신호의 전압 레벨을 설정하여 주기 때문에 제어신호를 일정 레벨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52)를 통해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보다 민감하게 노이즈를 검출해내고, 필터구동부(53)를 통해 필터링부(54)의 구동이 노이즈 검출에 따른 선택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여 필터링부(54)의 수명, 특히 필터링부(54)에 구비된 캐패시터(C114 내지 C117)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아울러 필터링부(54)가 항시 구동하지 않고, 노이즈 검출 여부에 따라 선택적 구동된다는 점은 전력 소모 감소에 있어서도 현저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성으로 이루어진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백업어플리케이션
11 : 백업데이터생성부 13 : 복구데이터생성부
15 : 제어부
20 : 백업관리서버
21 : 접속모듈 22 : 회원가입및인증모듈
23 : 식별모듈 24 : 저장모듈
25 : 검색모듈 26 : 제어모듈
30 : 도어
50 : 투시창
60 : 방진패드
B : 함체

Claims (3)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압축하여 백업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백업데이터생성부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백업파일을 압축해제하여 복구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는 복구데이터생성부와,
    상기 백업데이터생성부 및 복구데이터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백업어플리케이션;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접속모듈과,
    초기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영체제를 식별하여 해당하는 백업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접속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식별모듈과,
    상기 접속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의 백업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의 복구요청신호가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백업파일을 상기 저장모듈에서 검색하고, 이를 상기 접속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검색모듈과,
    상기 접속모듈, 식별모듈, 저장모듈 및 검색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백업관리서버;
    상기 제어모듈이 생성하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와,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와,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와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를 포함하는 신호생성수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벨조정부(51)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 및,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101)를 구비한 출력단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단회로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1) 및 일단은 상기 캐패시터(C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01)(R1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02) 및 저항(R10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0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력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103)(R104) 및 캐패시터(C10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두 병렬 저항(R103)(R104)은 입력단회로의 저항(R101)과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52)는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제1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 제2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 및,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는 앰프(A101),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07),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8) 및 캐패시터(C104), 상기 앰프(A10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10) 및, 상기 앰프(A10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9) 및 캐패시터(C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증폭회로는 앰프(A102), 상기 앰프(A10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6), 이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1), 상기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2) 및 캐패시터(C107) 및, 상기 앰프(A10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3) 및 캐패시터(C108)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증폭회로의 (+)단은 상기 제1증폭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회로는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5)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7) 및 캐패시터(C110)가 연결되고, (-)단에는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A102)가 연결된 제1비교기(A103)와,
    (+)단은 상기 제1비교기(A103)의 (-)단과 연결되고,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4)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6) 및 캐패시터(C109)가 연결된 제2비교기(A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류방지회로는 상기 검출회로의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01)(D10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구동부(53)는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및, 바이어스회로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딜레이회로는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18)과 역방향 다이오드(D103)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회로는 제1앰프(A105), 제2앰프(A106), 트랜지스터(Q102), 다수의 저항(R119 내지 R126) 및, 캐패시터(C111 내지 C113)로 이루어지되,
    상기 트랜지스터(Q10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106)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일단이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20) 및 캐패시터(C111)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상기 바이어스회로와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과 제2앰프(A10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104)가 개재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저항(R122)과, 일단이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124) 및 캐패시터(C112)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바이어스회로는 일단은 상기 릴레이회로에 타단은 상기 구동회로의 제1앰프(A105)의 출력단 및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25)(R126) 및 캐패시터(C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링부(54)는 상기 릴레이회로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회로, 신호입력회로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메인필터회로 및, 메인필터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신호입력회로는 상기 메인필터회로 및 서브필터회로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단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필터회로는 상기 신호입력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D105), 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 이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순방향 다이오드(D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필터회로는 앰프(A107)와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 바이어싱된 저항(R128 내지 R135) 및 캐패시터(C116, C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앰프(A107)의 (+)단에는 상기 메인필터회로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128), 이에 병렬로 연결된 두 저항(R129)(R130)이 연결되고, 상기 앰프(A107)의 (+)단은 두개의 저항(R129)(R130)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앰프(A107)의 (-)단에는 캐패시터(C116), 이에 상호 병렬을 이루며 연결되며 기준 전압 입력단(Sref)에 연결된 저항(R131), 그라운드에 연결된 저항(R132)이 연결되되, 상기 캐패시터(C116)는 두개의 저항(R131)(R13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는 npn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 앰프(A107)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Q104)의 베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104)는 pnp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Q103)의 컬렉터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104)와 제어신호의 출력단 사이에는 직렬 배치된 두 저항(R134)(R135)과 둘 사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1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관리서버의 검색모듈은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에서 백업요청신호가 있는 경우에 대응되는 백업파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상기 백업어플리케이션의 백업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백업관리서버가 전송한 백업파일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추가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가백업파일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백업관리서버의 저장모듈은 추가백업파일과 이의 기초가 된 기저장 백업파일을 재구성하여 신규 백업파일을 생성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
  3. 삭제
KR1020150172346A 2015-12-04 2015-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 KR101767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346A KR101767470B1 (ko) 2015-12-04 2015-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346A KR101767470B1 (ko) 2015-12-04 2015-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942A KR20170065942A (ko) 2017-06-14
KR101767470B1 true KR101767470B1 (ko) 2017-08-11
KR101767470B9 KR101767470B9 (ko) 2023-10-19

Family

ID=59218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346A KR101767470B1 (ko) 2015-12-04 2015-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4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0959A1 (en) * 2011-07-05 2013-01-10 Shih Sheng-Yuan Data backup device for smart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0959A1 (en) * 2011-07-05 2013-01-10 Shih Sheng-Yuan Data backup device for smart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470B9 (ko) 2023-10-19
KR20170065942A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559B1 (ko) 휴대전자기기 및 무선통신장치
US201501722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ient-side analytic data collection
US7532571B1 (en) Providing online connectivity across a range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systems
EP1693750B1 (en) Data transmission management system, a mobile device and a server used therein
US20080005380A1 (en) Integrated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of hardware devices
US8848947B2 (en) Low-noise microphone pre-amplifier with active load element
FR2948401A1 (fr) Systeme de securite avec fonction d'economie d'energie et procede associe
CN104267799A (zh) 一种网络服务器、处理电子设备耗电的方法及系统
US20130254586A1 (en) Fault recovery
KR101934378B1 (ko) 유해성 차단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방법
CN111367698B (zh) 应用程序闪退的检测及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9254809B (zh) 基于人脸识别的差异化应用加载方法、装置和终端设备
FR2865586A1 (fr) Detecteur de phase/frequence de boucle a phase asservie avec pompe a charge de sortie completement differentielle
CA2781981C (en) Low-noise microphone pre-amplifier with active load element
US20120163393A1 (en) Method for placing in standby and waking up a residential gateway according to programmable time slots
KR1017674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백업 시스템
CN114089714A (zh) 便携式电子装置
KR200480489Y1 (ko) 제동 성능이 향상된 모터장치
HUT61144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line feeded coin-operated telephone set, further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telephone connection b line-feeded telephone set
CN110431557B (zh) 用于执行安全备份和恢复的方法和装置
CN107124311A (zh) 一种数据服务系统
EP3672359A1 (fr) Equipement electrique qui accede, dans un mode de fonctionnement alternatif, a un reseau de telephonie mobile
EP3516851B1 (fr) Procédés d'échange de messages et de gestion de messages, terminal et serveur de messagerie
Abusair et al. An empirical approach for determining context of mobile systems
KR102433641B1 (ko) 안정적인 P2P IoT 통신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