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394B1 -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394B1
KR101843394B1 KR1020150183090A KR20150183090A KR101843394B1 KR 101843394 B1 KR101843394 B1 KR 101843394B1 KR 1020150183090 A KR1020150183090 A KR 1020150183090A KR 20150183090 A KR20150183090 A KR 20150183090A KR 101843394 B1 KR101843394 B1 KR 10184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amplifier
capacitor
output terminal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065A (ko
Inventor
최태천
Original Assignee
최태천
(주)옴니허브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천, (주)옴니허브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최태천
Priority to KR102015018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394B1/ko
Priority to PCT/KR2016/014123 priority patent/WO2017111344A1/ko
Publication of KR20170074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B01F15/02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06Multi-stag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 F04D17/12Multi-stag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2Multi-stag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체가 유입되어 고압으로 유입된 혼합체(액체와 유체의 혼합물)를 배출시키기 위한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구동유닛을 구비하여 동력을 발생하고, 상기 유입되는 혼합체의 압력을 증가시킨 후 서로 혼합하여 배출부로 이송하도록 승압임펠라와 믹싱임펠라를 포함하는 케이싱을 더 구비하여, 유입되는 혼합체를 와류를 형성하여 서로 혼합시킬 수 있는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PUMP ASSEMBLY}
본 발명은 유체와 기체가 유입되어 고압으로 유입된 혼합체(유체와 기체의 혼합물)를 배출시키기 위한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구동유닛을 구비하여 동력을 발생하고, 상기 유입되는 유체와 기체의 압력을 증가시킨 후 서로 혼합하여 배출부로 이송하도록 승압임펠라와 믹싱임펠라를 포함하는 케이싱을 더 구비하여, 유입되는 액체와 유체를 와류를 형성하여 서로 혼합할 수 있는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유입되는 유체의 승압하여 배출하는 것으로서, 다단식으로 이루어져 승압 효과를 향상시키는 펌프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203019호 『다단 건식 진공펌프의 불활성 가스 공급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불활성 가스 공급장치가 불황성 가스 유입구, 불활성 가스 유출구 및 불활성 가스 라인을 가진 모듈러 장치로 이루어지고, 블록으로 구성되며, 유속 결정, 유량 모니터링, 유량 측정, 압력 결정, 압력 모니터링, 압력 측정을 위한 부품 및 상이한 용도에 진공펌프를 맞추기 위한 수단이 상기 블록의 구성 부분이며, 블록내의 보어가 불활성 가스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건식 진공펌프의 불활성 가스 공급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15358호 『다단형 수중펌프』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유체유입부와 유체토출부를 갖고 있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설치공간 내에 위치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임펠러 중 상기 유입부에 근접한 임펠러에서부터 상기 토출부를 향해 배열된 임펠러들의 직경이 점차 증가되는 다단형 수중펌프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765474호 『침수형 다단원심펌프의 펌프 축 지지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모터의 하부에는 펌프몸체가 설치되고, 그 펌프몸체의 내부에서는 모터 축과 펌프 축이 커플링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펌프 축에는 임펠러 및 안내깃본체가 설치된 케이싱이 베어링을 매개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는 흡입챔버가 설치되며, 그 흡입챔버의 하부 펌프 축의 끝단에는 내부에 필터가 설치된 유체흡입체가 베어링을 매개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펌프축에 설치되는 케이싱, 흡입챔버, 유체흡입체는 밴드로 일체화시켜 된 침수형 다단원심펌프의 펌프 축 지지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88958호 『입형 다단 원심 펌프』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원통형의 아웃 슬리브에 적절한 기울기를 부여하여 유체역학적으로 승압작용을 하도록 하고, 아웃 슬리브와 펌프헤드 및 펌프바디 조인트를 폴리팅이 되도록 하여 펌프의 회전에 의한 진동을 감쇄하고자 하며, 임페라와 샤프트의 고정 방법을 스프라인 고정 방식에서 스리브와 로크너트를 이용한 소프트 터치 조인트 방식으로 하여 펌프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볼 수 있는 입형 다단 원심 펌프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유입되는 유체를 승압시켜 배출시키기 위한 펌프로서 다단형으로 구성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유체의 압력을 올릴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단순히 유체의 압력을 높일 수 있을 뿐, 액체와 유체를 혼합하는 경우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별도의 믹싱 장치를 따로 구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에 있어서,
구동유닛이 구비되는 하우징에 유체를 승압하고 유입되는 액체와 유체를 서로 혼합시킬 수 있는 케이싱을 구비하여, 펌프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믹싱장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승압챔버와 믹싱챔버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유입 초기에는 승압챔버를 통하여 압력을 상승시키고, 그 후에 믹싱챔버를 이용하여 액체와 유체를 서로 혼합하여 혼합체를 만들어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는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승압챔버에 구비되는 승압임펠라는 디스크와 디스크 일면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와류돌기로 이루어져 회전력에 의한 압력 상승에 효과적이고,
믹싱임펠라는 디스크와 디스크 양면에 복수개로 구비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와류돌기를 구성하여 와류 형성에 의해 액체와 유체가 서로간의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는
액체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액체와 유체를 혼합하는 혼합부 및 상기 혼합부에 의해 혼합된 혼합체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부에 위치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상기 혼합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액체와 유체를 승압시킨 후 혼합하여 상기 배출부로 이송하는 케이싱;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싱은 유입되는 액체와 유체의 압력을 승압하도록 복수개로 적층되는 승압챔버와, 상기 승압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승압임펠라로 이루어지는 승압부재와,
상기 승압부재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믹싱챔버와, 상기 믹싱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믹싱임펠라를 포함하는 믹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는 하우징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케이싱을 구비함에 있어,
상기 케이싱을 승압챔버와 믹싱챔버로 구성하여 유입되는 액체와 유체의 혼합체의 압력을 상승 시킨 후, 와류 형성에 의하여 서로의 믹싱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믹싱챔버를 통하여 승압과 믹싱 기능에 따른 효과를 모두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압챔버에 구성되는 승압임펠라는 디스크 일측에 구비되는 와류돌기에 의해 유로를 형성하며, 이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압력상승에 보다 효과적이고, 승압챔버 상부에 구성되는 믹싱챔버에는 믹싱임펠라에는 디스크 양측에 구비되도록 와류돌기를 형성하여 유체의 배출 및 유입시에 발생되는 회전방향을 반대로 구성함에 따라 와류 형성에 의해 액체와 유체의 혼합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의 배출부에는 상기 케이싱에서 나온 혼합체를 한번 더 혼합시키기 위한 믹싱돌기를 구비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으로 액체와 유체를 혼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의 임펠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A)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구동유닛(20), 상기 하우징(10)내에 구비되어 액체와 유체를 승압시키고 믹싱하는 케이싱(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혼합체는 액체와 유체가 혼합된 것을 말하며, 이러한 액체와 유체의 종류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A)는 하우징(1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하우징(1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혼합체가 유입되는 유입부(11)가, 타측에는 유입된 혼합체가 배출되는 배출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가 흐르는 경로상에서 유입부(11)와 배출부(15) 사이에는 혼합부(13)가 구비되어 혼합체가 승압 및 혼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유입부(11)는 상기 하우징(10)의 저면 중심으로 연결되고, 혼합부(13)는 하우징(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된 혼합체는 혼합부(13)에 구비되는 케이싱(30)을 따라 상승하여 승압 및 믹싱 되고, 승압 및 믹싱이 완료된 혼합체는 다시 하우징(10)의 내측 외각, 즉 케이싱(30)의 외부면과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부(15)를 따라 하강하여 배출되게 된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하우징(10)에는 구동유닛(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유닛(20)은 별도의 전원부 또는 외부전원장치와 연결되는 구동유닛(20)과, 상기 구동유닛(20)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연동됨으로서, 후술하는 임펠라를 회전시키기 위한 샤프트(2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21)는 상기 혼합부(13) 상부에 위치하고, 샤프트(23)는 혼합부(13) 중앙에 구비되어 임펠라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자명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특징인 케이싱(30)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케이싱(30)은 상기 혼합부(13)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혼합체를 상승시켜 압력을 상승시키고 혼합체를 서로 믹싱하여 배출부(15)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케이싱(30)은 복수개의 승압챔버(311)가 적층되는 승압부재(31)와, 상기 승압부재(31) 상부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믹싱챔버(331)가 적층되는 믹싱부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승압부재(31)와 믹싱부재(33)의 중앙에는 상기 구동유닛(20)의 샤프트(23)가 관통하고, 유체가 상승할 수 있는 유로공(35)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먼저 승압부재(31)는 유입된 혼합체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먼저 상기 복수개의 승압챔버(311)가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승압챔버(311) 하단에는 베이스챔버(315)가 구비되어 유입부(11)로 유입된 혼합체를 승압챔버(311)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유입부(11)를 통하여 유입되는 혼합체는 상기 베이스챔버(315) 중앙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혼합체는 상기 복수번 적층되는 승압챔버(311)를 따라 상승하게 되는데, 단일의 승압챔버(311)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승압챔버(311)는 서로 적층되는 구조로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승압챔버(311)의 하단에는 유로형성날개(311A)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유로형성날개(311A)는 승압챔버(311) 내부의 유로공(35)을 향하도록 나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임펠라에 구비되는 와류돌기(313B)와 동일한 형상으로, 하기에 임펠라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대체하도록 한다.
이렇게 유입된 유체는 복수번 중첩되는 승압챔버(311)를 거치면서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승압챔버(311) 하부에 구비되는 유로형성날개(311A)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혼합체가 회전하여 상승함에 따라 회전력에 의한 압력상승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압력상승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승압챔버(311)에는 각각 승압임펠라가 더 구비되게 된다.
상기 승압임펠라(313)는 샤프트(23)가 체결되는 구동홀(313AB)이 구비된 디스크(313A)와, 상기 디스크(313A) 일면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와류돌기(313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승압임펠라(313)는 한 쌍의 디스크(313A)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313A)는 상기 샤프트(23)에 체결되어 샤프트(23)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313A)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와류돌기(31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류돌기(313B)는 곡선형으로 구성되어 디스크(313A) 내측의 구동홀(313AB) 방향으로 나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와류돌기(313B)의 내측은 사선부(313BA)가 형성되어 혼합체가 자연스럽게 외측에서 중앙으로 유입되어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류돌기(313B)의 바깥쪽에는 와류날개(313BB)가 더 구비되어 회전에 의하여 혼합체를 회오리치게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와류날개는 디스크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승압임펠라(313)는 상기 베이스챔버(315)에도 구비되어 혼합체의 회전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혼합체는 베이스챔버(315) 중앙으로 유입되고, 승압임펠라(313)에 의해 다시 적층되는 승압챔버(311) 중앙으로 유입되며, 이 때 승압챔버(311) 하부에 구비되는 유로형성날개(311A)에 의해 회전력이 상승되며 유체가 중앙으로 유입되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압력이 상승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2개의 승압챔버(311)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2개 이상의 승압챔버(311)가 적층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상기 승압부재(31) 상부에는 믹싱부재(33)가 구비되어 유입되는 혼합체를 믹싱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믹싱부재(33)는 믹싱챔버(331)와 상기 믹싱챔버(331) 내부에 구비되는 믹싱임펠라(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믹싱챔버(331)는 상기 승압챔버(31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승압챔버(311)와 믹싱챔버(331)의 차이점으로는 상기 믹싱챔버(331)의 하부에는 승압챔버(311) 하부에 구비되는 유로형성날개(311A)가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상기 믹싱챔버(331)는 승압의 효과보단 믹싱의 효과를 보기 위한 것으로서, 믹싱챔버(331) 중앙으로 혼합체를 보낼 때 회전력을 가하지 않기 위함이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승압효과를 함께 나타내기 위해 유로형성날개(311A)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믹싱챔버(331) 내부에는 믹싱임펠라(333)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믹싱임펠라(333)는 구동홀(333AB)이 구비되는 디스크(333A)와 상기 디스크(333A) 양면에 구비되는 와류돌기(333B)로 구성된다.
상기 믹싱임펠라(333)는 상기 승압임펠라(313)와 동일한 형상의 와류돌기(333B)를 갖고 있고, 상기 와류돌기(333B)에는 사선부(333BA)와 와류날개(333BB)가 승압임펠라(313)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믹싱임펠라(333)는 디스크(333A)가 단일로 구성되고, 와류날개(333BB)가 디스크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믹싱임펠라(333)의 와류돌기(333B)는 디스크(333A) 양면에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디스크(333A) 양면에 구비되는 와류돌기(333B)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선형을 이루고 있어, 믹싱임펠라(333)의 회전에 따라, 디스크(333A) 상부와 하부의 혼합체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여 서로 충돌하여 섞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여기서 상부와 하부는 도 1을 기준으로 한다.)
즉, 이러한 충돌에 의해 혼합체를 이루는 혼합체는 보다 효율적으로 혼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혼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믹싱챔버(331)도 도면에는 2개를 도시하였으나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믹싱부재(33)와 승압부재(31)의 순서가 뒤바뀌는 것도 가능하며, 각각의 챔버가 서로 엇갈려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나아가 이렇게 케이싱(30)을 통하여 승압되고 혼합된 혼합체는 배출부(15)를 통하여 하우징(10)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배출부(15)에는 하향 경사지게 사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믹싱돌기(151)를 더 구비하여, 혼합체가 낙하하면서 상기 믹싱돌기(151)에 부딪혀 혼합률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향 경사지게 사선형으로 구성하여 혼합체의 낙하를 방해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모터(21)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구동모터(2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에 있어서, 이러한 제어신호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 등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이 각 구성의 동작에 맞도록 조정하고,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여 제어스위치를 통한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신호생성수단(5)을 추가로 도입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 4 및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수단(5)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수단(5)은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 및,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고하여 각 부 별로 살펴보면, 먼저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51),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512),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513),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출력단회로(5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회로(51)는 입력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출력단회로(514)를 구성하는 npn트랜지스터(Q101)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스위칭회로(51)의 구성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나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입력단회로(512)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1) 및 일단은 캐패시터(C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1)(R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접지단회로(513)는 트랜지스터(Q10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02) 및 저항(R10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06)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출력단회로(514)는 npn트랜지스터(Q101)와 트랜지스터(Q10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103)(R104) 및 캐패시터(C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두 병렬 저항(R103)(R104)은 입력단회로(512)의 저항(R101)과 연결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레벨조정부(51)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낮을 경우 스위칭회로(5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01)에 전원을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101)를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만큼 상승시킨다.
또한 레벨조정부(51)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위칭회로(5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0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트랜지스터(Q101)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만큼 하강시킨다.
이 때 입력단회로(512), 접지단회로(513) 및 출력단회로(514)의 저항(R101 내지 R106)과 캐패시터(C101 내지 C103)는 트랜지스터(Q101)의 이득을 결정하여 설정 전압 레벨을 세팅하는데, 특히 입력단회로(512)의 캐패시터(C101)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고, 출력단회로(514)의 캐패시터(C103)는 조정된 레벨을 갖는 제어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는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521), 제1증폭회로(521)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522), 제2증폭회로(522)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523) 및,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5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증폭회로(521)는 앰프(A101)와, 일단은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07), 일단은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8) 및 캐패시터(C104), 앰프(A10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10), 그리고 앰프(A10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9) 및 캐패시터(C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증폭회로(522)는 앰프(A102)와, 앰프(A10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6), 이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1), 상기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2) 및 캐패시터(C107), 그리고 앰프(A10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3) 및 캐패시터(C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2증폭회로(522)의 (+)단은 제1증폭회로(521)의 출력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증폭회로(521) 및 제2증폭회로(522)는 제어신호를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검출회로(523)는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제1비교기(A103)의 (+)단에는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5)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7) 및 캐패시터(C110)가 연결되고, 제1비교기(A103)의 (-)단에는 제2증폭회로(522)의 앰프(A102)와 제2비교기(A104)의 (+)단이 연결된다.
또한 제2비교기(A104)의 (+)단은 제1비교기(A103)의 (-)단과 연결되고, 제2비교기(A104)의 (-)단에는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4)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6) 및 캐패시터(C109)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1비교기(A103)는 하이패스필터로, 제2비교기(A104)는 로우패스필터로 동작하여 설정된 레벨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특히 이러한 노이즈 신호의 레벨 기준 범위 설정은 제1비교기(A103)의 (+)단에 연결된 저항(R115)(R117) 및 캐패시터(C110), 제2비교기(A104)의 (-)단에 연결된 저항(R114)(R116) 및 캐패시터(C109)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이를 위해 두 저항(R116)(R117)을 가변저항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역류방지회로(524)는 검출회로(523)의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01)(D10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역류방지회로(524)는 검출회로(523)를 통과하는 전류가 역류하여 재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후술하는 필터구동부(53)로부터 노이즈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는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531), 딜레이회로(531)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532),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구동회로(532) 및 바이어스회로(533)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5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딜레이회로(531)는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18)과 역방향 다이오드(D10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531)는 릴레이회로(534)가 빠르게 온/오프를 반복하여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 번 릴레이회로(534)가 동작하고 난 후에는 일정시간동안 릴레이회로(534)를 오프시키지 않으며 노이즈 검출 시 마다 다시 시간을 리셋시켜, 딜레이 설정을 통한 안정적 구동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구동회로(532)는 제1앰프(A105), 제2앰프(A106) 및 트랜지스터(Q102), 그리고 다수의 저항(R119 내지 R126) 및 캐패시터(C111 내지 C113)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트랜지스터(Q10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534)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106)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일단이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20) 및 캐패시터(C111)가 병렬로 연결된다.
아울러 제1앰프(A105)의 (-)단에는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이 연결된다.
또한 제2앰프(A106)의 (+)단에는 바이어스회로(533)와 제1앰프(A10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특히 제1앰프(A105)의 출력단과 제2앰프(A10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104)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저항(R122)과, 일단이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124) 및 캐패시터(C112)가 병렬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바이어스회로(533)는 일단은 릴레이회로(534)에 타단은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105)의 출력단 및 제2앰프(A106)의 (+)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25)(R126) 및 캐패시터(C113)로 이루어진다.
릴레이회로(534)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성으로, 간략하게 생략하여 표현하여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터구동부(53)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이어스회로(533)는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105) 및 제2앰프(A106)에 인가되는 전압의 동작점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바이어스회로(533)에 의해 결정된 전압이 제1앰프(A105)와 제2앰프(A106)에 인가된다.
또한 제2앰프(A106)의 (-)단에 연결된 저항(R122)(R123)(R124)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2앰프(A106)는 구동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 노이즈검출부(52)로부터 딜레이회로(531)와 제1앰프(A105) 그리고 역방향 다이오드(D104)를 통해 작동신호(노이즈검출부(52)가 노이즈를 검출한 후 출력하는 신호)가 주어지면 구동 대기 상태인 제2앰프(A106)가 구동하여 트랜지스터(Q102)를 작동시키고, 트랜지스터(Q102)는 릴레이회로(534)를 구동시킨다.
이 후 릴레이회로(534)는 필터링부(54)를 구동하여 제어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다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회로(534)에 의해 구동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는 릴레이회로(534)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회로(541), 신호입력회로(541)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메인필터회로(542) 및,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입력회로(541)는 필터구동부(53)의 릴레이회로(534)에 연결되어 필터링회로(542)(543)의 구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아울러 제어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필터링회로(542)(543)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입력회로(541)는 일 예로, 멀티플랙서와 같은 선택기로 이루어져, 구동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메인필터회로(542)의 입력단이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 즉 두 경로를 선택하여 입력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호입력회로(541)와 관련한 도면의 도시 및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메인필터회로(542)는 신호입력회로(541)의 출력단에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D105), 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 이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순방향 다이오드(D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순방향 다이오드(D105)는 전류의 일 방향 흐름을 차단하여, 메인필터회로(542)로부터 신호입력회로(541)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다이오드(D106)는 노이즈 제거 효율을 보다 높여준다.
다음으로,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는 앰프(A107)와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 그리고 바이어싱된 저항(R128 내지 R135) 및 캐패시터(C116, C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브필터회로(543)를 살펴보면, 앰프(A107)의 (+)단에는 3개의 저항(R128)(R129)(R130)이 연결되어 있는데, 하나(R128)는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둘(R129)(R130)은 이에 병렬로 연결되며, 앰프(A107)의 (+)단은 두개의 저항(R129)(R130) 사이에 연결된다.
앰프(A107)의 (-)단에는 캐패시터(C116)와 이에 상호 병렬을 이루며 연결된 두개의 저항(R131)(R132) 및 기준 전압 입력단(Sref)이 연결되어 있는데, 두개의 저항(R131)(R132) 중 하나(R131)는 기준 전압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R132)는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캐패시터(C116)는 두개의 저항(R131)(R13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앰프(A107)의 출력단에는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가 연결되는데, 제1트랜지스터(Q103)와 앰프(A107) 사이에는 저항(R133)이 구비되어 앰프(A107)의 출력 전압을 일정 강하하여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의 구동을 위한 동작점을 생성한다.
제1트랜지스터(Q103)는 npn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한 앰프(A107)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제2트랜지스터(Q104)의 베이스와 연결된다.
제2트랜지스터(Q104)는 pnp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트랜지스터(Q103)의 컬렉터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된다.
특히 제2트랜지스터(Q104)와 제어신호의 출력단 사이에는 직렬 배치된 두 저항(R134)(R135)과 둘 사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17)가 구비된다.
이러한 서브필터회로(543)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앰프(A107)의 (-)단에 구비된 두 저항(R131)(R132) 및 캐패시터(C116)는 기준 전압 입력단(Sref)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해 기준 전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기준 전압은 노이즈의 제거를 위한 기준이 되고, 기준 전압보다 높거나 낮은 전압 레벨은 모두 노이즈로 간주되어 제거된다.
다음으로 앰프의 (+)단에 구비된 세 개의 저항(R128)(R129)(R130)은 메인필터회로(542)를 통과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준 전압과 비교 가능하도록 강하시키는데,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 전압 레벨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앰프(A107)는 비교기로 동작하여, 기준 전압 레벨과 제어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잔존 노이즈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서브필터회로(543)의 제1트랜지스터(Q103)와 제2트랜지스터(Q104)는 제어신호가 잔존 노이즈를 포함하여 기준 전압보다 순간적으로 높거나 낮을 때(일반적인 경우 노이즈에 의해 전압이 상승된다.) 온 되어 노이즈만큼 상승한 전압을 캐패시터(C117)에 충전시키고 이에 하강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은 기준 전압 레벨만큼이 된다.
이 후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에 해당하면 제1트랜지스터(Q103) 및 제2트랜지스터(Q104)는 턴 오프되고, 이 후 캐패시터(C117)에 저장된 전압은 병렬 연결된 저항(R135)을 통해 방전되어 원상 복구 된다.
이러한 필터링부(54)의 구성은 메인필터회로(542)를 통해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남은 잔존 노이즈와 순간 유입되는 노이즈를 서브필터회로(543)를 통해 2차적으로 제거하여 노이즈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클린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각 구성의 오작동 및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물론 필터링부(54)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한 레벨조정부(51)는 안정된 신호의 전압 레벨을 설정하여 주기 때문에 제어신호를 일정 레벨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52)를 통해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보다 민감하게 노이즈를 검출해내고, 필터구동부(53)를 통해 필터링부(54)의 구동이 노이즈 검출에 따른 선택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여 필터링부(54)의 수명, 특히 필터링부(54)에 구비된 캐패시터(C114 내지 C117)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아울러 필터링부(54)가 항시 구동하지 않고, 노이즈 검출 여부에 따라 선택적 구동된다는 점은 전력 소모 감소에 있어서도 현저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펌프 어셈블리 10 : 하우징
11 : 유입부 13 : 혼합부
15 : 배출부 151 : 믹싱돌기
20 : 구동유닛 21 : 구동모터
23 : 샤프트 30 : 케이싱
31 : 승압부재 311 : 승압챔버
311A : 유로형성날개 313 : 승압임펠라
313A : 디스크 313AB : 구동홀
313B : 와류돌기 313BA : 사선부
313BB : 와류날개 315 : 베이스챔버
33 : 믹싱부재 331 : 믹싱챔버
333 : 믹싱임펠라 333A : 디스크
333AB : 구동홀 333B : 와류돌기
333BA : 사선부 333BB : 와류날개
35 : 유로공 5 : 신호생성수단

Claims (4)

  1. 혼합체가 유입되는 유입부(11)와, 상기 유입부(11)로 유입된 혼합체를 혼합하는 혼합부(13) 및 상기 혼합부(13)에 의해 혼합된 혼합체가 배출되는 배출부(15)가 구비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부(13)에 위치하는 샤프트(23)를 포함하는 구동유닛(20);
    상기 혼합부(13)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혼합체를 승압시킨 후 혼합하여 상기 배출부(15)로 이송하는 케이싱(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싱(30)은 유입되는 혼합체의 압력을 승압하도록 복수개로 적층되는 승압챔버(311)와, 상기 승압챔버(311) 내부에 구비되어 샤프트(2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승압임펠라(313)로 이루어지는 승압부재(31)와,
    상기 승압부재(31)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믹싱챔버(331)와, 상기 믹싱챔버(331) 내부에 구비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믹싱임펠라(333)를 포함하는 믹싱부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제어부에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 및, 노이즈 검출 시 상기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를 포함하는 신호생성수단(5)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조정부(51)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511),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512),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513) 및,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101)를 구비한 출력단회로(514)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단회로(512)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1) 및 일단은 상기 캐패시터(C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01)(R1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단회로(513)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02) 및 저항(R10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0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력단회로(514)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103)(R104) 및 캐패시터(C10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두 병렬 저항(R103)(R104)은 입력단회로(512)의 저항(R101)과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52)는 상기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521), 제1증폭회로(521)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522), 제2증폭회로(522)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523) 및,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524)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521)는 앰프(A101),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07),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8) 및 캐패시터(C104), 상기 앰프(A10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10) 및, 상기 앰프(A10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9) 및 캐패시터(C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증폭회로(522)는 앰프(A102), 상기 앰프(A10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6), 이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1), 상기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2) 및 캐패시터(C107) 및, 상기 앰프(A10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3) 및 캐패시터(C108)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증폭회로(522)의 (+)단은 상기 제1증폭회로(52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회로(523)는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5)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7) 및 캐패시터(C110)가 연결되고, (-)단에는 상기 제2증폭회로(522)의 앰프(A102)가 연결된 제1비교기(A103)와, (+)단은 상기 제1비교기(A103)의 (-)단과 연결되고,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4)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6) 및 캐패시터(C109)가 연결된 제2비교기(A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류방지회로(524)는 상기 검출회로(523)의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01)(D10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구동부(53)는 상기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531),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532),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533) 및, 바이어스회로(533)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534)를 포함하되,
    상기 딜레이회로(531)는 상기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18)과 역방향 다이오드(D103)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회로(532)는 제1앰프(A105), 제2앰프(A106) 및 트랜지스터(Q102), 그리고 다수의 저항(R119 내지 R126) 및 캐패시터(C111 내지 C113)로 이루어지되,
    상기 트랜지스터(Q102)의 컬렉터는 상기 릴레이회로(534)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상기 제2앰프(A106)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일단이 상기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20) 및 캐패시터(C111)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상기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상기 바이어스회로(533)와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과 상기 제2앰프(A10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104)가 개재되며,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저항(R122)과, 일단이 상기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124) 및 캐패시터(C112)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바이어스회로(533)는 일단은 상기 릴레이회로(534)에 타단은 상기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105)의 출력단 및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25)(R126) 및 캐패시터(C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링부(54)는 상기 릴레이회로(534)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회로(541), 신호입력회로(541)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메인필터회로(542) 및,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필터회로(542)는 상기 신호입력회로(541)의 출력단에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D105), 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 이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순방향 다이오드(D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필터회로(543)는 앰프(A107)와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 그리고 바이어싱된 저항(R128 내지 R135) 및 캐패시터(C116, C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앰프(A107)의 (+)단에는 3개의 저항(R128)(R129)(R130)이, 하나(R128)는 상기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둘(R129)(R130)은 이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앰프(A107)의 (+)단은 두개의 저항(R129)(R130)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앰프(A107)의 (-)단에는 캐패시터(C116)와 이에 상호 병렬을 이루며 연결된 두개의 저항(R131)(R132) 및 기준 전압 입력단(Sref)이 연결되되, 두개의 저항(R131)(R132) 중 하나(R131)는 기준 전압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R132)는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상기 캐패시터(C116)는 두개의 저항(R131)(R13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앰프(A107)의 출력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가 연결되되, 상기 제1트랜지스터(Q103)와 상기 앰프(A107) 사이에는 저항(R133)이 구비되어 상기 앰프(A107)의 출력 전압을 일정 강하하여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의 구동을 위한 동작점을 생성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03)는 npn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 앰프(A107)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Q104)의 베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제2트랜지스터(Q104)는 pnp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Q103)의 컬렉터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104)와 제어신호의 출력단 사이에는 직렬 배치된 두 저항(R134)(R135)과 둘 사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1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임펠라(313)는
    샤프트(23)가 체결되는 구동홀(313AB)이 구비된 한 쌍의 디스크(313A)와 상기 디스크(313A) 사이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곡선형의 와류돌기(31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임펠라(333)는
    샤프트(23)가 체결되는 구동홀(313AB)이 구비된 디스크(333A)와, 상기 디스크(333A) 양면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곡선형의 와류돌기(33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배출부(15)에는 하향 경사지게 사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믹싱돌기(151)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KR1020150183090A 2015-12-21 2015-12-21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KR10184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090A KR101843394B1 (ko) 2015-12-21 2015-12-21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PCT/KR2016/014123 WO2017111344A1 (ko) 2015-12-21 2016-12-02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090A KR101843394B1 (ko) 2015-12-21 2015-12-21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065A KR20170074065A (ko) 2017-06-29
KR101843394B1 true KR101843394B1 (ko) 2018-03-29

Family

ID=5909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090A KR101843394B1 (ko) 2015-12-21 2015-12-21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3394B1 (ko)
WO (1) WO2017111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534B1 (ko) * 2017-06-30 2019-04-09 김영환 산업용 윤활제 제조용 유화기 유닛
KR102090754B1 (ko) * 2018-01-05 2020-04-28 최태천 펌프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임펠라
KR102338013B1 (ko) * 2020-08-31 2021-12-10 아륭기공(주)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293B1 (ko) * 2007-10-08 2009-03-19 주식회사 금호펌프 액체와 가스의 혼합물용 원심펌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308Y1 (ko) * 1990-07-27 1992-10-12 세일기술산업 주식회사 직립식 원심다단펌프의 와류장치
KR940001933A (ko) * 1992-07-27 1994-02-16 이경진 에멀존 혼합펌프
KR200388330Y1 (ko) * 2005-03-22 2005-06-30 유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오존 혼합형 펌프
DE102009011082A1 (de) * 2009-02-28 2010-09-02 Oerlikon Leybold Vacuum Gmbh Multi-Inlet-Vakuumpum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293B1 (ko) * 2007-10-08 2009-03-19 주식회사 금호펌프 액체와 가스의 혼합물용 원심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065A (ko) 2017-06-29
WO2017111344A1 (ko)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394B1 (ko)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EP3514389B1 (en) Pump apparatus, test operation method of pump apparatus, motor assembly and method for identifying abnormal vibration of motor assembly
US4511312A (en) Method of driving the impeller of a liquid pump by means of a brushless a.c. motor; and a liquid pump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rndt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rotor-stator interaction in a centrifugal pump with several vaned diffusers
JPS6361506B2 (ko)
JP3964664B2 (ja) 縦型多段遠心ポンプ
JP5323796B2 (ja) ポンプ装置
KR200480489Y1 (ko) 제동 성능이 향상된 모터장치
KR101708376B1 (ko) 비드 밀
CN107735117B (zh) 用于利用泵输送介质的方法及带有转子、壳体和驱动部的泵
JP2006063895A (ja) 遠心圧縮機
KR101746213B1 (ko) 정풍량 환기팬
JP6571811B2 (ja) 自吸式ポンプの運転装置、液体供給装置、及び自吸式ポンプの運転方法
JPH0861246A (ja) 可変速ポンプ装置
SE501165C2 (sv) Pumphus för virvelströmspump
JP6374998B2 (ja) 自吸式ポンプの運転装置、液体供給装置、及び自吸式ポンプの運転方法
JP2017089422A (ja) ポンプ装置
JP2005152624A (ja) 歯科用吸引装置の流体分離器用の制御装置
KR101644147B1 (ko) 엔코더가 구비된 모터 어셈블리
JP2005226457A (ja) 軸流ポンプ
JP3179672B2 (ja) 自己制御機能を有するポンプ装置
FR2300919A1 (fr) Pompe centrifuge
KR20170023555A (ko) 진공강자흡식스크류펌프
JP3502428B2 (ja) ポンプの運転制御装置
JP2005291179A (ja) ポ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