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772Y1 - 파우치 낱장 분리 피커를 갖는 트랜스미터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 낱장 분리 피커를 갖는 트랜스미터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772Y1
KR200478772Y1 KR2020140008035U KR20140008035U KR200478772Y1 KR 200478772 Y1 KR200478772 Y1 KR 200478772Y1 KR 2020140008035 U KR2020140008035 U KR 2020140008035U KR 20140008035 U KR20140008035 U KR 20140008035U KR 200478772 Y1 KR200478772 Y1 KR 200478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rotary
picker
transmitt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관석
Original Assignee
(주)주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팩 filed Critical (주)주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7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4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from supply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3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ackag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터리 트랜스퍼(transfer)의 각 로터리암 단부에 구비된 그립부재의 집게로 파우치를 전달하도록 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를 도입하되, 공급매거진의 배출구에서 낱장의 파우치를 정확하게 분리하는 피커(picker)를 도입하고, 피커에 흡착된 낱장의 파우치를 그리퍼(gripper)로 집어 트랜스퍼의 그립부재로 전달하도록 그리퍼를 움직이는 복수의 스윙암을 도입한 중계체를 추가 구성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파우치의 전달을 가능하도록 한, 파우치 낱장 분리 피커를 갖는 트랜스미터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포장장치는 파우치 공급매거진(magazine); 상기 공급매거진에서 직선 공급되는 파우치를 전달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 테이블;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전달된 파우치를 클램핑하는 그랩부재를 각각 갖고, 테이블에 축설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로터리암을 포함하는 로터리 트랜스퍼(transfer); 및 어느 한 로터리암 일측에 구비되고, 그랩부재에 클램핑된 파우치를 벌리는 개방부재를 포함하는 포장물 충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트랜스미터는 공급매거진에서 배출되는 파우치를 낱장으로 분리하도록 흡착하는 피커(picker)와, 파우치를 흡착한 피커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우치 낱장 분리 피커를 갖는 트랜스미터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ROTARY PACKING MACHINE FOR POUCH EQUIPPED WITH TRANSMITTER}
본 고안은 트랜스미터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매거진(magazine)에서 로터리 트랜스퍼(transfer)의 각 로터리암 단부에 구비된 그립부재의 집게로 파우치를 전달하도록 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를 도입하되, 공급매거진의 배출구에서 낱장의 파우치를 정확하게 분리하는 피커(picker)를 도입하고, 피커가 장착된 승강체의 상승시 피커에 흡착된 낱장의 파우치를 그리퍼(gripper)로 집어 트랜스퍼의 그립부재로 전달하도록 그리퍼를 움직이는 복수의 스윙암을 도입한 중계체를 추가 구성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파우치의 전달을 가능하도록 한 로터리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우치에 내용물을 충진한 후 개구를 실링하여 배출하는 다양한 로터리 포장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일례로 특허등록 제10-1067454호(등록일자 2011년09월19일) [듀얼 그립퍼형 포장장치의 봉지 개봉용 버큠장치]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봉지의 앞, 뒤면을 흡착하고 있는 진공 흡착부가 회동 그립퍼에 의해 봉지가 벌어지게 되면서 발생하는 위치변화에 대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봉지의 개봉이 원활히 이루어져 봉지 내부로 내용물 충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회전하는 진공 흡착부에 의해 봉지 및 진공 흡착부의 진공컵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프링을 형성하여 로드의 회전 후 최초의 자리로 복귀하도록 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한 듀얼 그립퍼형 포장장치의 봉지 개봉용 버큠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1288787호(등록일자 2013년07월17일) [로터리형 자동포장기의 그립퍼 작동장치]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복수의 그립퍼들이 장착된 턴테이블이 대형으로 되어서 보다 많은 수의 그립퍼들을 장착한 대형의 턴테이블을 구비한 자동포장기에 있어서 그립퍼의 작동을 원할하게 할 수 있고, 또 간단한 구조로 포장백의 입구 벌림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로터리형 자동포장기의 그립퍼 작동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특허등록 제10-1253510호(등록일자 2013년04월05일) [로터리 포장기용 파우치 그립 장치]가 있는데,
이 특허는 로터리 포장기의 턴테이블에 구비된 주요부인 사이드 그립퍼와 단일의 센터 그립퍼에 의해 적어도 두 개 열의 파우치를 그립핑하여 파우치의 내부에 내용물을 충전하여 포장하도록 구성하되, 복수개의 열로 지지된 파우치 중에서 정상적으로 지지된 파우치만을 선택하여 내용물의 충전 및 포장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파우치를 사이드 그립퍼와 센터 그립퍼에 의해 그립핑되도록 공급할 때에 파우치와 그립퍼가 충돌하지 않고 제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파우치를 두 개 열로 잡아서 지지하는 센터 그립퍼의 사이즈가 최대한 콤팩트한 사이즈로 구축되어 로터리 포장기 자체의 사이즈가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제한된 공간에서 로터리 포장기 설치시의 어려움이 해소되며 운반이나 수출 등의 취급에 있어서도 곤란함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고, 로터리 2열 포장기 또는 4열 포장기 또는 그 이상의 짝수 배열 [0002] 로터리 포장기에서 파우치 공급 트레이로부터 턴테이블로 파우치를 공급한 상태에서 파우치를 물어서 지지하는 로터리 포장기용 파우치 그립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1256350호(등록일자 2013년04월15일) [로터리형 자동포장기]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생산성이 향상되고 비스듬히 겹쳐져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포장 봉지들로부터 최상부에 위치하는 포장 봉지만을 흡착하여 그립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로터리형 자동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종래 로터리 포장장치들은 모두 공급매거진(magazine)에서 로터리 트랜스퍼(transfer)의 각 로터리암 단부에 구비된 그립부재의 집게로 파우치를 전달하도록 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를 도입하되, 공급매거진의 배출구에서 낱장의 파우치를 정확하게 분리하는 피커(picker) 및 피커에 흡착된 낱장의 파우치를 그리퍼(gripper)로 집어 트랜스퍼의 그립부재로 전달하도록 그리퍼를 움직이는 복수의 스윙암을 도입한 중계체를 추가 구성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파우치의 전달을 가능하도록 기술특성과는 무관한 기술에 해당한다.
이에 본 고안은 공급매거진(magazine)에서 로터리 트랜스퍼(transfer)의 각 로터리암 단부에 구비된 그립부재의 집게로 파우치를 전달하도록 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를 도입함에 있어 공급매거진의 배출구에서 낱장의 파우치를 정확하게 분리하는 피커(picker)와, 이 피커가 장착된 승강체를 도입한, 파우치 낱장 분리 피커를 갖는 트랜스미터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승강체의 상승시 피커에 흡착된 낱장의 파우치를 그리퍼(gripper)로 집어 트랜스퍼의 그립부재로 전달하도록 그리퍼를 움직이는 복수의 스윙암을 도입한 중계체를 추가 구성한 로터리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또 상기 중계체가 그리퍼를 구비한 제1스윙암과, 테이블에 구비된 기동에 고정된 제2스윙암의 연계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파우치의 정확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로터리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공급매거진의 배출구에 구비되어 파우치를 밀어 피커쪽으로 전진시키는 회전마찰체를 더 포함하여 낱장 파우치의 분리 확실성을 강화한 로터리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 낱장 분리 피커를 갖는 트랜스미터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는
파우치 공급매거진(magazine);
상기 공급매거진에서 직선 공급되는 파우치를 전달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
테이블;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전달된 파우치를 클램핑하는 그랩부재를 각각 갖고, 테이블에 축설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로터리암을 포함하는 로터리 트랜스퍼(transfer); 및
어느 한 로터리암 일측에 구비되고, 그랩부재에 클램핑된 파우치를 벌리는 개방부재를 포함하는 포장물 충진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트랜스미터는
공급매거진에서 배출되는 파우치를 낱장으로 분리하도록 흡착하는 피커(picker)와,
파우치를 흡착한 피커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체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 낱장 분리 피커를 갖는 트랜스미터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에서
상기 트랜스미터는 승강체에 의하여 상승된 피커에 흡착된 파우치를 상기 트랜스퍼의 그랩부재로 전달하는 중계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 낱장 분리 피커를 갖는 트랜스미터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에서
상기 중계체는
피커의 파우치를 전달 받는 그리퍼(gripper)와,
상기 그리퍼가 단부에 구비되고 호(弧)운동 제1축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제1스윙암과,
상기 테이블에 구비된 기둥에 호(弧)운동 제2축을 통하여 연결되어 움직이고, 제1스윙암과 제1축을 통하여 연결된 제2스윙암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트랜스미터는 상기 공급매거진의 배출구에 구비되어 파우치를 밀어 피커쪽으로 전진시키는 회전마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 낱장 분리 피커를 갖는 트랜스미터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는 공급매거진(magazine)에서 로터리 트랜스퍼(transfer)의 각 로터리암 단부에 구비된 그립부재의 집게로 파우치를 전달하도록 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를 도입함에 있어 공급매거진의 배출구에서 낱장의 파우치를 정확하게 분리하는 피커(picker)와, 이 피커가 장착된 승강체를 도입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파우치의 전달을 보장하며, 또 상기 승강체의 상승시 피커에 흡착된 낱장의 파우치를 그리퍼(gripper)로 집어 트랜스퍼의 그립부재로 전달하도록 그리퍼를 움직이는 복수의 스윙암을 도입한 중계체를 추가 구성하여 낱장 파우치 전달의 정확성을 제고하고, 나아가 상기 중계체가 그리퍼를 구비한 제1스윙암과, 테이블에 구비된 기동에 고정된 제2스윙암의 연계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파우치의 정확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공급매거진의 배출구에 구비되어 파우치를 밀어 피커쪽으로 전진시키는 회전마찰체를 더 포함하여 낱장 파우치의 분리 확실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각각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 본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포장장치의 전체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포장장치에서 파우치 공급매거진(maganzine)에 대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포장장치에서 파우치 공급매거진(maganzine)에서 트랜스퍼(transfer)의 그립부재의 집게로 파우치를 전달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 중 피커 및 승강체에 대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포장장치에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로터리암들의 각 마운팅바 단부에 구비된 그립부재의 집게를 포함하는 트랜스퍼(transfer) 및 트랜스미터 중 피커에서 그립부재의 집게로 파우치를 전달하는 중계체에 대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의 요부 중 하나인 작동부에 대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포장장치(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5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파우치(P)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공급매거진(a)의 투입구(a15)쪽을 후방, 배출구(a17)쪽을 전방으로 정하며, 기타 방향성은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다양한 방향에서 관찰한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포장장치의 전체 도면인 도 1 내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도 1은 상부 관찰 사시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정면도, 도 4는 우측면도),
본 로터리 포장장치(A)는 크게
파우치 공급매거진(magazine)(a),
상기 공급매거진에서 공급되는 파우치를 전달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b),
프레임 내지 기초 좌대에 해당하는 테이블(T),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전달된 파우치를 클램핑하는 그랩부재를 각각 갖고, 테이블에 축설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로터리암을 포함하는 로터리 트랜스퍼(transfer)(c),
그리고 어느 한 로터리암 일측에 구비되고, 그랩부재에 클램핑된 파우치를 벌리는 개방부재를 포함하는 포장물 충진부(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충진부에서 액체, 분말, 과립, 곡식이나 밤, 기타 가공물 등의 포장물 내지 내용물 충진 후 파우치(P)의 개구를 폐쇄하는 실링부(e), 실링된 개구의 빠른 안정화 및 경화를 위한 냉각부(f), 박스 포장 등을 위한 방출부(g)가 추가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우치 공급매거진(a)과 트랜스미터(b)는 기본적으로 샤프트(c1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로터리암(c20)이 배열된 로터리 테이블(로터리암이 설치된 테이블이라는 의미임)(T) 외측의 장착받침대(T2)에 구성되어 있고, 나머지 구성요소(c,d,e,f,g)는 로터리 테이블(T) 영역에 배열되어 있다.
공급매거진(a)의 베이스(a10)는 단면이 'ㄴ'자인 설치브라켓(ab)(도 5 [B] 참조)을 통하여 장착받침대(T2)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포장장치(A)를 파우치(P)의 포장 순서에 따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 및 도 5 내지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우치(P)는 번들 형태로 개구부가 일정하게 전방 배출구(a17)를 향하도록 다량으로 공급매거진(a)에 적재된다.
이 공급매거진(a)은 로터리 포장장치(A)의 테이블(T)과 연결된 장착받침대(T)에 설치된 베이스(a10)를 갖고, 이 베이스의 후방 투입구(a15)에서 전방 배출구(a17)를 향하여 양편에 이격된 두 가이드패널(a11)이 구비된다.
두 가이드패널(a11)에 적재된 파우치(P)의 순차적 이송을 위하여 하(下)이송부(a20) 및 상(上)이송부(a30)가 구비된다.
하이송부(a20)는 하부 마찰부재(A21)를 갖는데, 특히 도 2의 하부 일점 쇄선 원 내 도면 대용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고무, 실리콘 등 마찰특성이 높은 오링으로 구성된 복수의 밴드(초록색, 4개)(도 6에서는 서포트패널(a23)의 확실한 확인을 위하여 서포트패널 하부의 오링 밴드만을 도시하고 서포트패널 상부의 밴드는 편의상 생략하였고, 도 1, 도 2, 도 5에서도 오링 밴드는 도시하지 않고 있다)가 구비되며, 이 밴드는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게 된다.
또 베이스(A10)의 투입구(a15)에는 적재된 파우치 뭉치의 후방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a15a)이 구비되어 있다.
상이송부(a30)는 하향 경사 배열된 프레임(a33)의 상하에 축설된 안내롤러(a35a)(a35b)와, 이 상하 안내롤러 사이를 움직이고 하부 안내롤러(a35b)에서 하부 마찰부재(a21)와 접하여 낱장의 파우치를 배출구(a17)로 이송하도록 하는 상부 마찰부재(a31)로 구성되며,
상부 마찰부재는 나일론 등의 질긴 섬유로 구성된 벨트이며, 모터 등의 동력원에 의하여 무한궤도 형태로 상하 안내롤러 사이를 움직이고, 외면에는 마찰특성을 높일 수 있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연질소재가 코팅되거나 함께 직조되어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하 안내롤러(a35a)(a35b) 사이에는 프레임(a33)에 축설되고 상하 안내롤러 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된 텐션롤러(a35c)가 더 구비되어 있어, 상부 마찰부재(a31)의 팽팽함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프레임(a33)은 상부 안내롤러(a35a)를 회전하는 모터(다양한 방식으로 상부 마찰부재의 무한궤도 움직임을 일으킬 수 있다)가 내장된 역(逆, 도 5 [A] 기준)'ㄱ'자형 하우징(a30h)(도 5 [A] 및 도 6 참조)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이송부는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파우치 크기에 무관하게 로터리 포장장치(A)를 활용하는데 일조하도록 되어 있는바, 특히 상이송부는 전후 이동은 역(逆)'ㄱ'자형 하우징(a30h)과 베이스(a10) 하부에 가이드레일(미도시됨)을 구성하여 소정 힘 이상으로 하우징을 가압할 경우 가이드레일 따라 하우징 및 프레임(a33)이 전후 이동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파우치의 크기에 무관하게 범용성을 갖고 실패 없이 연속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은 상이송부(a30)의 전후 이동형 구성 외에,
가이드패널(a11)의 이격거리, 즉 폭 조절, 하이송부(a20) 측에 구비된 서포트패널(a23)의 간격 조절, 그리고 분체화된 프레임(a33)의 텔레스코픽(telescopic)타입 길이 조절 기능도 일조한다.
먼저 가이드패널(a11)의 이격거리, 즉 폭 조절은 이격거리 조절부재(a13)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는 베이스(a10)에 배열되며 제자리 선회가 가능하고 핸들(a13h)을 갖는 볼트바(a13a)와, 각 가이드패널(a11)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a13b)로 구성된다.
이 너트에 나사결합된 볼트바(a13a)는 핸들(a13h)의 회전방향에 따라 가이드패널(a1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작용하며,
이를 위하여 가이드패널의 너트(a13b)는 암나사 방향이 각각 왼나사 및 오른나사 방향으로 다르게 형성되고 볼트바(a13a)의 수나사 방향은 한 방향(예: 오른나사)으로 형성되거나,
너트(a13b)는 암나사 방향은 한 방향(예: 오른나사)이고, 볼트바(a13a)의 수나사 방향은 분반하여 좌우 양측에 왼나사 및 오른나사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할 필요가 있다.
또 이송부(a20) 측에 구비된 서포트패널(a23)의 간격 조절은 도 5, 도 6, 도 2(특히 하부 일점 쇄선 원 내 도면 대용 사진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a10)의 상면, 특히 가이드패널(a11) 사이에 배열되고 전후 두 분체패널(a23b)(a23a)로 구성되고,
전후 두 분체패널(a23b)(a23a)의 접면 형상은 각각 '요(凹)'자 및 '철(凸)'자 형상을 갖는 형태이며, 베이스 상면에 구속된 상태에서 두 분체패널(a23b)(a23a)의 간격이 슬라이딩 이동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패널(a23)은 베이스에는 상하 마찰부재(a31)(a21)의 접면(하부 안내롤러(a35b) 하면 위치의 상하 마찰부재의 접면)에 구비되어 상하 마찰부재(a31)(a21)에 낀 파우치(P)가 보다 확실하게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부 마찰부재(a21) 및 낀 파우치를 지지한다.
다음으로 분체화된 프레임(a33)의 텔레스코픽(telescopic)타입 길이 조절 기능은 상이송부(a30)의 프레임을 분체화 하여 길이를 조절하고자 한 개념으로, 이는 하부 안내롤러(a35b) 부위에서 상하 마찰부재(a31)(a21)가 파우치(P)의 폭 및 길이에 따라 하부 안내롤러의 특정 부위에 의하여 상호 접하도록 프레임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의도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파우치의 길이가 짧으면 프레임을 짧게 하여 프레임을 완만하게 경사 배열되도록 하고,
파우치의 길이가 길면 프레임을 길게 변형하여 프레임이 수평인 베이스 및 하이송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파르게 경사 배열되도록 한다(통상적으로 파우치의 길이가 길면 폭도 넓은 것이 일반적이나, 프레임의 길이 조절은 파우치의 길이를 기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전방 선두에 배열된 파우치부터 부분 중첩된 형태로 퇴적 적재된 파우치 다발에서 최선두의 파우치만을 선택적으로 트랜스미터(b), 특히 피커(b10) 하부로 정확하게 낱장 이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6 및 하부 일점 쇄선 원 내 도면 대용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a33)의 하부 분체(a33b)가 구비되고, 프레임(a33) 바디에 구비된 너트 및 이 너트를 관통하여 분체(a33b) 상부에 절곡 돌설된 브라켓에 관통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볼트로 구성된 조절부재(a33d)를 도입하고 있어,
볼트의 회전에 따라 너트와의 상대적인 이동으로 하부 분체(a33b)가 프레임 바디에 대하여 위치 조절됨으로써, 전체 프레임의 길이가 조절되고,
하부 분체(a33b)에는 하부 안내롤러(a35b)가 축설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라 상하 안내롤러(a35a,a35b)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며, 이에 맞춰 벨트 형 상부 마찰부재(a31)의 교체 또는 길이 조절이 필요하다.
따라서 '프레임의 텔레스코픽(telescopic)타입 길이 조절'은 보다 본질적으로는 상하 안내롤러 및 상부 마찰부재의 거리 및 길이가 조절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에서 파우치의 크기(특히 길이)에 따라 하부 분체(a33b)의 이동으로 프레임의 길이 및 상하 안내롤러(a35a,a35b) 사이의 거리 조절과 함께 텐션롤러(a35c)의 위치조절을 통하여 상부 마찰부재(a31)의 장력 조절, 특히 하부 마찰부재(a21)와 접하는 하부 안내롤러(a35b) 부위에서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상부 분체(a33a)를 더 도입하고, 이 상부 분체의 장공과, 이 장공 부위에서 프레임(a33) 바디와 상부 분체를 관통 체결하는 볼트로 구성된 조절부재(a33c)를 통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즉 상부 분체(a33a)에는 하방 돌출된 돌기에 텐션롤러(a35c)가 축설되어 있는바, 장공에 결합된 볼트를 풀고 상부 분체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면 장공의 구간 내에서 볼트 및 프레임 바디와의 상대 위치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텐션롤러의 위치도 이동하여 상부 마찰부재(a31) 내측과 접하는 텐션롤러의 위치 이동으로 상부 마찰부재와 하부 마찰부재 사이에 위치한 파우치에 대한 마찰특성이 변화되고, 이를 토대로 파우치의 낱장 이송 특성의 최적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파우치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a33)의 위치이동(하우징(a30h)을 통한 이동), 이격거리 조절부재(a13)를 이용한 가이드패널(a11)의 이격거리 조절,
하이송부(a20) 측에 구비된 서포트패널(a23)의 위치조절, 특히 분체패널(a23a,a23b)의 간격 조절,
그리고 분체화된 프레임(a33)의 텔레스코픽(telescopic)타입 길이 조절, 특히 하부 안내롤러(a35b) 및 텐션롤러(a35c)가 각각 축설된 하부 분체(a33b) 및 상부 분체(a33a)의 위치 이동에 따른
프레임의 길이 조절, 즉 상하 안내롤러 사이의 거리 조절 및 텐션롤러의 위치 조절에 따른 상부 마찰부재(a31)의 장력 및 마찰특성 조절
을 통하여 파우치의 크기에 무관하게 최적의 이송, 특히 파우치 낱장의 트랜스미터(b)의 피커(b10) 위치로의 정확하고 신속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공급매거진(magazine)(a)에서 로터리 트랜스퍼(transfer)(c)의 각 로터리암(c20) 단부에 구비된 그랩부재(c30)의 집게(c31)로 파우치(P)를 전달하도록 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b)를 살펴본다.
도 1 및 도 2, 도 5 및 도 6, 도 7 및 도 8, 그리고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랜스미터(b)는 공급매거진(a)의 배출구(a17), 특히 프레임(a33)의 하부 안내롤러(a35b) 위치에서 접하는 상하 마찰부재(a31,a21)에 의하여 낱장의 파우치(P)는 흡반 형태의 피커(picker)(b10) 위치로 이동한다.
트랜스미터(b)는 기본적으로 공급매거진(a) 베이스(a10)의 배출구(a17) 측에 배열되어 있고(특히 피커와 승강체), 이 피커(b10), 피커의 승하강을 위한 승강체(b20)를 포함하고, 또 승강체에 의하여 상승된 피커에 흡착된 파우치를 상기 트랜스퍼(c)의 그랩부재(c30)로 전달하는 중계체(b30)(중계체는 테이블(T)의 배출구(a17) 측에 인접한 기둥(T1)에 설치된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체(b20)는 'ㄷ'자형 제1승강바(b21)가 공급매거진(a)의 배출구(a17) 측 베이스(a10) 측벽에 형성된 축설부(bs)(도 6 참조)에 결합된 축핀에 해당하는 들림축(b21a)에 의하여 베이스에 장착된다.
'ㄷ'자형 제1 및 제2 승강바(b21)(b27)의 배열을 위하여 공급매거진의 가이드패널(a11)의 배출구측 단부 각각에는 두 요홈이 형성된 것을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급매거진(a)에서 배출되는 파우치(P)를 낱장으로 분리하도록 흡착하는 피커(picker)(b10)는 승강바(b21)의 상부 패널에 형성된 장공형 설치부(b21b)에 픽서(b11)(도 7 참조)를 통하여 고정되고, 장공형 설치부(b21b)를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파우치의 크기에 따른 두 피커의 간격 조절에 활용됨).
또 상기 공급매거진(a)의 배출구(a17)에 구비되어 파우치(P)를 밀어 피커(b10)쪽으로 보다 확실하게 전진시키기 위하여 회전마찰체(b27a)가 더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 회전마찰체(b27a)는 특히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마찰특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성되고 복수의 방사상 마찰날개를 구비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마찰체(b27a)는 'ㄷ'자형 제2승강바(b27)의 수평바를 구성하는 회전축(b27b)에 축설되어 있고, 이 회전축(b27b)은 회전부재(b27c)인 벨트를 통하여 모터(미도시됨, 도 7에서 작용바(b21c) 좌측의 박스 내에 모터가 내장됨)의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한다.
공급매거진의 상하 이송부(a30,a20) 및 회전마찰체(b27a)에 의하여 이송된 낱장의 파우치(P)는 베이스(a10)의 배출구(a17) 단부에 구비된 걸림턱(미지시됨)에 부딪쳐 멈추며, 이는 센서(b27b)
(이의 센싱 신호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마이컴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에 전달됨, 제어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테이블(T) 하부의 수납부에 내장되며, 필요에 따라 테이블 상부에 노출된 디스플레이, 특히 터치 패널 타입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조작될 수 있다)
에 의하여 감지되고, 이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하 이송부(a30,a20) 또는 회전마찰체(b27a), 또는 이들 모두의 동작 또는 정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ㄷ'자형 제1 및 제2 승강바(b21)(b27)는 들림축(b21a)과 동축상에 배열된 작용바(b21c)에 함께 구속되어 있고,
작용바(b21c)의 회전에 따라 전단이 이격된 상태 그대로의 각도로 제1 및 제2 승강바(b21)(b27)는 승하강하면서 스윙 운동을 하며,
제2승강바(b27)의 하강시 회전마찰체(b27a)의 회전으로 낱장의 파우치(P)가 보다 정확하고 확실하게 피커(b10)의 하부로 이송되고,
또 이와 함께 제1승강바(b21)의 하강시 피커(b10) 흡반에 흡입력(컴프레서 및 밸브가 구비된 공압 분배블록과 배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구성됨)을 제공하여 파우치(P)가 흡착되면,
제1 및 제2 승강바(b21)(b27)는 작용바(b21c)에 연결된 레버(b21d)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들림축(b21a)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각 승강바가 그대로 들리게 되어 도 9의 상부 좌측 일점 쇄선 원내 사진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회전마찰체(b27a)의 회전은 정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승강바(b21)(b27)의 승강을 위한 작용바(b21c)의 움직임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바(b21c)의 중앙 부위에 연결된 알파벳 'L'자형 레버(b21d)의 하단에 축핀에 의하여 이어진 연결바(b21e)와, 이 연결바 하단에 축핀으로 연결된 시소바(b23), 이 시소바를 시소축(b23a)을 중심으로 시소운동 하도록 연결도니 회전캠(b25)으로 구성되며, 회전캠의 선회를 위한 모터는 생략되어 있다.
회전캠의 회전으로 시소바가 시소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함에 따라 연결바(b21e)가 승하강하여 레버(b21d)를 움직이고, 이에 의하여 작용바(b21c)가 소정 각도(예:50~100도)로 좌회전(제1 및 제2 승강바(b21)(b27)의 상승) 및 우회전 (제1 및 제2 승강바의 하강)을 반복하게 되고, 이에 맞춰 흡입력이 피커(b10)에 작용하여 파우치 낱장의 분리 상승 동작을 진행한다.
제1 및 제2 승강바(b21)(b27)의 하강시에는 베이스(b10) 측면과 제2승강바(b27)를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신속한 하강 동작을 보조할 수 있고,
또 하강시 가이드패널(a11), 특히 배출구측 단부 각각에는 두 요홈에 제1 및 제2 승강바(b21)(b27)가 충돌하여 소음 및 부품 파손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베이스(b10) 측면에는 완충체(b27d)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완충체는 도 5 [B], 도 7 및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도 7 및 도 8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실제로는 베이스에 장착되는 완충체를 제2승강바(b27)의 양측에 부착된 것처럼 도시하고 있다.
이어 도 9를 살펴보면,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포장장치(A)는 정확하고 신속한 파우치의 전달, 특히
승강체(b20)의 상승시 피커(b10)에 흡착된 낱장의 파우치(P)를 트랜스퍼(c)의 그랩부재(c30)로 전달하도록 하는 중계체(b20)를 통한 파우치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트랜스미터(b)를 추가 구성하였다.
이 중계체(b30)는 피커(b10)에 흡착된 파우치(P)를 전달 받는 그리퍼(gripper)(b31)와,
상기 그리퍼가 단부에 구비되고 호(弧)운동 제1축(b33a)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제1스윙암(b33)과,
상기 테이블(T)에 구비된 기둥(T1)에 호(弧)운동 제2축(b35a)을 통하여 연결되어 움직이고, 제1스윙암(b33)과 제1축(b33a)을 통하여 연결된 제2스윙암(b35)을 포함한다.
또 기둥(T1)에 일단부가 제2축(b35a)을 통하여 축설되어 모터(미도시됨, 기둥에 내장되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됨)에 의하여 소정 각도(예: 90도 내외)로 움직이는 제2스윙암(b35)과,
제1축(b33a)을 통하여 제2스윙암(b35)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제1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예: 90도 내외) 움직이는(제1스윙암의 하우징에 내장됨, 모터(미도시됨)에 의하여 구동됨) 제1스윙암(b33)
의 동작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제3축(b37a)을 통하여 제1스윙암(b33)과 연결되어 구속하고, 타단부가 제4축(b37b)을 통하여 상기 기둥(T1), 특히 기둥에 장착된 서포트브라켓(T1a)에 연결된 제3스윙암(b37)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상부 좌측 일점 쇄선 원 내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승강체(b20)의 상승시 피커(b10)에 흡착된 낱장의 파우치(P)는 제2축(b35a)을 중심으로 하강(반시계방향 회전)한 제2스윙암(b35)과, 제1축(b33a)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하강(시계방향 회전)한 제1스윙암(b33)의 동작에 이어(이때 제3스윙암(b37)도 제4축(b37b)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
제1스윙암의 단부에 구된 그리퍼(b31)의 동(제1스윙암 하우징에 구비된 모터 등에 의하여 동작되거나 공압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구성 가능함)으로 그리퍼로 전달되며, 이때 피커(b10)의 흡착력은 해소된다.
파우치를 전달한 피커(b10) 및 승강체(b20)는 다음 파우치의 흡착, 상승, 전달(흡입력 해소) 동작을 위하여 하강하며,
파우치(P)를 클램핑한 그리퍼(b31)는 단부에 구비한 제1스윙암(b33)은 제1축(b33a)을 중심으로 선회·상승(반시계방향 회전)하고, 제2스윙암(b35)은 제2축(b35a)을 중심으로 선회·상승(시계방향 회전)하여
(이때 제3스윙암(b37)도 제4축(b37b)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
도 9 및 상부 중앙 및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랜스퍼(c)의 그랩부재(c30)로 파우치를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공급매거진(magazine)(a)과 피커(picker)(b10)를 포함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b)를 거쳐 연속 공급되는 파우치(P)를 정확하게 클램핑하여 포장물 내지 내용물 충진부(d)로 이송하도록 복수의 로터리암(c20)을 포함하는 로터리 트랜스퍼(transfer)(c)를 살펴본다.
먼저, 로터리 트랜스퍼(transfer)(c)는 도 9 및 상부 중앙 및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랜스미터(b) 중계체(b30)의 그리퍼(b31)가 클램핑한 파우치(P)를 전달받도록 파우치(P), 특히 파우치의 개구부측 좌우 양측면을 클램핑하는 그랩부재(c30), 특히 한 쌍의 그랩부재를 포함하고,
각 그랩부재는 로터리암(c20) 단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로터리암이 테이블(T)에 축설된 샤프트(c10)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열되어 구성된다.
또 도 9 및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터리 트랜스퍼(c)의 그랩부재(c20)는
로터리암(c20)의 마운팅바(c21) 단부에 구비된 내측 고정형 제1클램퍼(c31a)와, 이 제1클램퍼와 스윙축(c31c)을 통하여 결합된 작동형 제2클램퍼(c31b)로 구성된 파우치 집게(c30a)와,
상기 제2클램퍼를 가압하는 프레스바와, 이 프레스바의 프레스포인트를 가압하여 프레스바의 직선운동 및 제2클램퍼의 스윙운동을 일으키는 작동부(c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도 10 및 상부 중앙 일점 쇄선 원 내 마운팅바의 부분 절개 사시도, 좌측 일점 쇄선 원 내 평면도,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저면 관찰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스바(c33)는 로터리암(c20)의 마운팅바(c21)를 관통하여 배열되고,
상기 프레스바(c33)의 프레스포인트(c33a)는 내측단에서 하향 돌출된 돌기이고, 파우치(P)의 양 측단을 클램핑하기 위하여 집게(c30a)는 이격 배열되어 2개 구비되고,
상기 프레스바(c33)의 외측단은 스윙축(c31c)과 어긋난 위치에서 제2클램퍼(c31b)와 연결된 유격축(c33b)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마운팅바(c21)를 관통하여 배열된 프레스바(c33)를 통하여 별도의 프레스바 가이드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성이 단순해지고 프레스바의 정확한 직선운동에 의한 제2클램퍼의 클램핑 동작 확실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 마운팅바(c21)의 중공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프레스바(c33)에 대하여 제2클램퍼(c31b)는 스윙축(c31c)을 중심으로 호(弧)운동을 하므로 프레스바의 직선운동과 제2클램퍼의 호운동에 따른 충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스바의 단부가 제2클램퍼와 연결되지 않고 단순히 가압만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동작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프레스바와 제2클램퍼는 유격축(c33b), 즉 축핀에 비하여 축핀 삽입공을 크게 하여 프레스바의 직선운동과 제2클램퍼의 호운동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유격축(c33b)의 축핀 보다 큰 축공은 프레스바의 단부 또는 제2클램퍼의 상응 부위,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마운팅바(c21)에 삽입된 프레스바(c33)는 도 10 상부 중앙 일점 쇄선 원 내 마운팅바의 부분 절개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c33s)에 내삽되어 있어 제1 및 제2 클램퍼(c31a,c31b)의 벌림 상태에서 수축된 코일스프링이 두 클램퍼의 맞물림을 위한 프레스바의 후진시 보다 신속하게 프레스바의 후진과 두 클램퍼의 맞물림을 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1 및 제2 클램퍼(c31a,c31b)의 접면에는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구성된 마찰패드가 개재되어 있어 파우치가 미끄러짐 없이 정확하게 클램핑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11(측면도) 및 도 12(사시도)와 도 10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랩부재(c30)의 작동부(c40)는
테이블(T) 하부에 구비된 승강수단(c41)과,
이 승강수단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제1링커(c42)와,
제1링커와의 연결을 위한 하단 제1-1축핀(c43a) 및 상단 제1-2축핀(c43b)을 갖고, 테이블(T) 장착부(T3), 특히 장착바(T3a)에 스윙운동을 하도록 하는 중앙 제1-3축핀(c43c)을 갖는 리버스(reverse)'L'자형(우측면 관찰 기준) 제2링커(c43)와,
제2링커와 제1-2축핀(c43b)을 중앙 축핀으로 공유하는 형태로 제2링커와 연결되어 있고, 하단 제2축핀(c44a)을 갖는'L'자형 제3링커(c44)와,
상기 제3링커의 상단에 구비되어 프레스바(c33)의 프레스포인트(c33a)를 가압하는 프레스패널(c46)과,
상기 제3링커의 제2축핀(c44a)에 연결된 상단부와, 제1-3축핀(c43c)의 후방에 배열된 제3축핀(c45a)을 통하여 테이블의 장착부(T3)에 연결되어 프레스패널(c46)의 가압 동작 안내기능의 제공하는 제4링커(c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테이블(T) 하부에 구비된 승강수단(c41)은 시소링커(c41a)와, 이 시소링커의 시소운동을 일으키고 모터(미도시됨)와 연결된 캠드럼(c41b)로 구성되어 있다.
캠드럼(c41b)과 시소링커(c41a)에 의한 제1링커(c42)의 승하강운동은 제2링커(c43)의 제1-3축핀(c43c)을 중심으로 한 시소 운동과, 제3링커(c44)의 운동으로 이어지고,
제4링커(c45)가 제3축핀(c45a)에 구속되어 호(弧)운동을 하게 되므로 제3링커(c44)는 전후로 움직이는 제1-2축핀(c43b) 및 제2축핀(c44a)과 고정된 제1-3축핀(c43a) 및 제3축핀(c45a)의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호(弧)운동 보다는 전후진 직선운동에 유사한 동작을 보이고,
이에 따라 프레스패널(c46)의 전후진 운동이 발생되어 프레스바(c33)의 프레스포인트(c33a)에 대한 가압동작이 이루어지고, 프레스바의 직선 전진 동작(도 12 기준시, 좌측방향 직진운동)이 발생된다.
한편, 내측단에서 하향 돌출된 돌기형 프레스포인트(c33a)는 손상 및 소음 발생 방지를 위하여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소재 등의 완충외피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3링커(c44)에는 파우치 요동방지부(c47)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요동방지부는 제3링커(c44), 특히 그 상부바디에 연결된 링크바(c47a)와, 이 링크바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집게(c30a) 하부에 배열된 파우치 요동방지패널(c47b)로 구성된다.
도 11 및 도 12는 각 일점 쇄선 원 내 사진 및 다른 도면과 달리 링크바(c47a)가 제3링커(c44)의 좌측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편의상 다른 연결예를 나타낸 것이다. 링크바(c47a)에는 제3링커(c44)와 볼트로 연결되는 경우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장공 형태여서 링크바에 연결된 요동방지패널(c47b)의 돌출 정도를 파우치 크기 등의 변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요동방지패널(c47b)의 높이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9 및 상부 중앙 및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사진과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승강체(b20)의 피커(b10)에 흡착된 낱장의 파우치(P)를 클램핑하여 전달받은 그리퍼(b31)가 제1, 제2, 제3 스윙암(b33,b35,b37)의 연속동작에 의하여
파우치를 그랩부재(c30)의 집게(c30a) 위치로 이동하면
제1 내지 제4링커(c42,c43,c44,c45)의 연속 동작에 의하여 프레스패널(c46)이 프레스포인트(c33a)를 가압하고 프레스바(c33)가 전진하여 제2클램퍼(c31b)의 유격축(c33b)을 통하여 전달되어 스윙축(c31c)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고정형 제1클램퍼(c31a)와 벌어진 상태에서
두 클램퍼(c31a,c31b) 사이에 파우치의 개구부 양 측면이 위치하면
다시 작동부(c40)의 제1링커(c42)의 하강에 이은 연속동작으로 프레스패널(c46)이 후진(도면 기준 우측 이동)하고
프레스바(c33)는 코일스프링(c33s)의 팽창·복원으로 후진하고 집게(c30a)의 제2클램퍼(c31b)는 스윙축(c31c)을 중심으로 움직여 두 클램퍼(c31a,c31b)의 교합으로 두 클램퍼 사이의 파우치를 압지하게 되고,
중계체(b30)의 그리퍼(b31)는 벌어져 파우치 클램핑 상태를 해제하며 제1, 제2, 제3 스윙암은 다시 움직여 그리퍼를 피커(b10)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연속동작이 반복되어
파우치가 공급매거진(a)에서 트랜스미터(b)를 거쳐 트랜스퍼(c)의 그랩부재(c30)로 연속 이송된다.
이처럼 트랜스퍼(c)의 그랩부재(c30)에서 파우치가 집게(c30a), 제1 및 제2 클램퍼(c31a,c31b) 사이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파우치가 흔들리는 경우 전달 동작이 매끄럽게 두 클램퍼로 이어지지 않고 파우치가 추락하거나 클램핑 위치가 원하는 위치가 되지 않고 비뚤어지거나 한 쌍의 집게(c30a) 중 한 집게에만 클램핑이 되는 비정상 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바,
이때 요동방지패널(c47b)이 그랩부재(c30)에서 집게(c30a)로 전달되는 파우치(P)의 좌측(도면 기준) 하부와 접촉·지지하여 파우치의 정확한 전달을 보조한다.
다음으로 한 쌍의 로터리암(c20)의 각 마운팅바(c21) 단부에 구비된 집게(c30a)에 클램핑된 파우치는 로터리암(c20)이 샤프트(c10)를 중심으로 회전(도 2 평면도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충진부(d)로 이송된다.
도 2 및 도 2의 상부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사진, 그리고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충진부(d)는 충진 내용물을 파우치의 개구부를 통하여 파우치에 채우는 호퍼형 충진노즐(d20) 이전에 파우치의 개구부를 벌리는 개방부재(d10)를 구비한다.
이 개방부재는 컴프레서 등을 이용하여 흡입력을 전달받고 파우치의 개구부 양측 시트에 달라붙는 흡착패드(d11)를 포함하며, 흡착패드는 모터의 동력이나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하여 동작하는 지지암(미지시됨)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또 개방부재는 파우치(P)의 개구부 상부에 구비되어 개구부를 벌리는 바람을 제공하는 블로어(d13)를 더 포함한다.
이후 로터리암(c20)의 회전에 따라 분상, 액상, 입상 등의 다양한 포장물 내지 내용물이 충진노즐(d20)을 통하여 공급되어 정량 충진되면 파우치는 실링부(e)로 이송하여 히터가 내장된 두 가열접합판(일종의 다리미와 같은 구성임)의 맞물림으로 개구부가 가엽 접합된다.
다시 로터리암(c20)의 회전에 따라 개구부가 접합된 파우치는 냉각부(f)로 이송되어 접합부가 굳어져 안정화되는데, 냉각부는 공랭 방식(찬 공기 바람 이용)으로 구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온 또는 저온(물 또는 냉매가 유통되도록 유로 구성 가능)의 냉각판이 움직여 파우치 개구부 양측을 눌러 냉각을 하는 접촉 냉각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부(f)를 거친 파우치는 방출부(g)로 이송되어 포장박스 등에 포장되는 최종 공정으로 이송되는데, 이때 다시 작동부(c40) 및 프레스바(c33)의 동작으로 집게(c30a)의 클램퍼(c31,c31b)는 벌어져 파우치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방출부(g)는 컨베이어벨트 등의 추가 구성이나 미끄럼틀 방식의 자중 이송 방식을 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트랜스퍼의 샤프트의 회전 방식이나 공급매거진의 상하 이송부, 승강체, 중계체, 작동부의 모터 등 동력 전달 구체 구조 및 구성, 기타 포장 내용물에 따른 추가 구성요소, 피커, 개방부재의 흡착패드, 블로어 등에 흡입력이나 바람을 형성하는 에어 플로우(air flow) 발생을 위한 수단(컴프레서 및 공기압 또는 흡착력 배분을 위한 밸브 구성), 각종 밸브의 개폐 방식, 제어부를 구성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마이컴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와의 연결관계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성을 갖는 로터리 포장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로터리 포장장치 P: 파우치
T: 테이블 T1: 기둥
T2: 장착받침대 T3: 장착부
a: 파우치 공급매거진 b: 트랜스미터
c: 트랜스퍼 d: 충진부
e: 실링부 f: 냉각부
g: 방출부
a10: 베이스 a20:하(下)이송부
a30: 상(上)이송부
b10: 피커 b20: 승강체
b30: 중계체
c10: 샤프트 c20: 로터리암
c30: 그랩부재 c40: 작동부

Claims (4)

  1. 파우치 공급매거진(magazine);
    상기 공급매거진에서 직선 공급되는 파우치를 전달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
    테이블;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전달된 파우치를 클램핑하는 그랩부재를 각각 갖고, 테이블에 축설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로터리암을 포함하는 로터리 트랜스퍼(transfer); 및
    어느 한 로터리암 일측에 구비되고, 그랩부재에 클램핑된 파우치를 벌리는 개방부재를 포함하는 포장물 충진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트랜스미터는
    공급매거진에서 배출되는 파우치를 낱장으로 분리하도록 흡착하는 피커(picker)와,
    파우치를 흡착한 피커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체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터는 승강체에 의하여 상승된 피커에 흡착된 파우치를 상기 트랜스퍼의 그랩부재로 전달하는 중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계체는
    피커의 파우치를 전달 받는 그리퍼(gripper)와,
    상기 그리퍼가 단부에 구비되고 호(弧)운동 제1축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제1스윙암과,
    상기 테이블에 구비된 기둥에 호(弧)운동 제2축을 통하여 연결되어 움직이고, 제1스윙암과 제1축을 통하여 연결된 제2스윙암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포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터는
    상기 공급매거진의 배출구에 구비되어 파우치를 밀어 피커쪽으로 전진시키는 회전마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포장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체는
    일단부가 제3축을 통하여 제1스윙암과 연결되어 구속하고, 타단부가 제4축을 통하여 상기 기둥에 장착된 서포트브라켓에 연결된 제3스윙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포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트랜스퍼의 그랩부재는
    로터리암의 마운팅바 단부에 구비된 내측 고정형 제1클램퍼와, 이 제1클램퍼와 스윙축을 통하여 결합된 작동형 제2클램퍼로 구성된 파우치 집게와,
    상기 제2클램퍼를 가압하는 프레스바와,
    이 프레스바의 프레스포인트를 가압하여 프레스바의 직선운동 및 제2클램퍼의 스윙운동을 일으키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스바는 로터리암의 마운팅바를 관통하여 배열되고,
    상기 프레스바의 프레스포인트는 내측단에서 하향 돌출된 돌기이고, 파우치의 양 측단을 클램핑하기 위하여 집게는 이격 배열되어 2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프레스바의 외측단은 스윙축과 어긋난 위치에서 제2클램퍼와 연결된 유격축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포장장치.
KR2020140008035U 2014-10-02 2014-11-04 파우치 낱장 분리 피커를 갖는 트랜스미터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 KR20047877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3509 2014-10-02
KR1020140133509 2014-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772Y1 true KR200478772Y1 (ko) 2015-11-13

Family

ID=5461029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436A KR101568993B1 (ko) 2014-10-02 2014-11-04 파우치 공급매거진을 포함하는 로터리 포장장치
KR1020140152437A KR101568996B1 (ko) 2014-10-02 2014-11-04 직선운동 프레스바에 의하여 스윙운동을 하는 파우치 집게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
KR2020140008035U KR200478772Y1 (ko) 2014-10-02 2014-11-04 파우치 낱장 분리 피커를 갖는 트랜스미터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436A KR101568993B1 (ko) 2014-10-02 2014-11-04 파우치 공급매거진을 포함하는 로터리 포장장치
KR1020140152437A KR101568996B1 (ko) 2014-10-02 2014-11-04 직선운동 프레스바에 의하여 스윙운동을 하는 파우치 집게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5689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373B1 (ko) * 2018-06-05 2018-10-05 주식회사 지씨에이 포장용 파우치 트랜스퍼
KR20190006391A (ko) * 2017-07-10 2019-01-18 박화춘 Iot 기반의 로터리형 자동 포장시스템
KR20190064742A (ko) *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리팩 로터리 자동 포장기용 파우치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029B1 (ko) 2015-12-28 2016-07-11 주식회사 풍산 탄포 수납공정이 자동화된 탄약 포장장치
KR102109809B1 (ko) * 2018-04-09 2020-06-16 (주)더내추럴코스메틱 마스크팩 포장용기의 충전 및 밀봉 장치
KR102061432B1 (ko) * 2018-11-28 2019-12-31 박화춘 진공 포장기
CN110182413A (zh) * 2019-07-01 2019-08-30 合肥三冠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m袋夹边撑袋上袋装置
KR102075162B1 (ko) * 2019-10-23 2020-02-07 배대주 충진 및 포장시스템
KR102323186B1 (ko) * 2020-03-16 2021-11-05 박양순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JP2023017613A (ja) * 2021-07-26 2023-02-07 Pacraft株式会社 袋処理システム
KR20230148609A (ko) 2022-04-18 2023-10-25 주식회사 솔팩 로터리 자동포장기의 파우치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3360B2 (ja) * 2004-05-27 2011-01-19 株式会社インターパック 商品の自動段積包装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391A (ko) * 2017-07-10 2019-01-18 박화춘 Iot 기반의 로터리형 자동 포장시스템
KR101969734B1 (ko) * 2017-07-10 2019-04-17 박화춘 Iot 기반의 로터리형 자동 포장시스템
KR20190064742A (ko) *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리팩 로터리 자동 포장기용 파우치 공급장치
KR102015328B1 (ko) * 2017-12-01 2019-08-28 주식회사리팩 로터리 자동 포장기용 파우치 공급장치
KR101905373B1 (ko) * 2018-06-05 2018-10-05 주식회사 지씨에이 포장용 파우치 트랜스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993B1 (ko) 2015-11-13
KR101568996B1 (ko) 2015-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772Y1 (ko) 파우치 낱장 분리 피커를 갖는 트랜스미터를 구비한 로터리 포장장치
KR101679277B1 (ko) 더블파우치 로터리 포장장치
JP5107171B2 (ja) 空袋供給方法及び空袋供給装置
JP5897999B2 (ja) コンベアマガジン式空袋供給装置
EP1612147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roducts from a first conveying line to a second conveying line, in particular for feeding a boxing machine
KR101838949B1 (ko) 로터리 포장장치
US7073312B2 (en) Device for transferring articles in a controlled configuration from a feeding line to a receiving line
CN108791978B (zh) 用一定量松散产品填充可热封材料制成的袋的自动包装机
KR102048248B1 (ko) 제품 자동 정렬 투입시스템
WO2016185862A1 (ja) 箱詰め装置
KR100505747B1 (ko) 부착물을 갖는 백의 자동 공급장치
JP2016520496A (ja) 積重ね可能な物品を処理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50140993A (ko) 건빵 포장장치
CN106467182B (zh) 用于插放阀口袋的设备和操作方法
KR20170053188A (ko) 지퍼 파우치용 로터리 포장장치
JP5048416B2 (ja) 一種以上の医薬製品をカプセルに充填するための機械で物品を搬送する方法と装置
KR101314040B1 (ko) 래핑장치
KR20100117933A (ko) 파우치 제품 공급 및 적재장치
JP2014108492A (ja) 吸着搬送装置および吸着搬送方法
JP4162741B2 (ja) 回路部品装着システム
JP5474672B2 (ja) 物品把持装置
EP3231742B1 (en) Device and method for stacking articles
KR20160123723A (ko) 로터리형 자동포장기의 봉지 공급장치
JP7474515B2 (ja) ロボット供給装置
JP6324929B2 (ja) 箱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