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354Y1 -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354Y1
KR200477354Y1 KR2020130004542U KR20130004542U KR200477354Y1 KR 200477354 Y1 KR200477354 Y1 KR 200477354Y1 KR 2020130004542 U KR2020130004542 U KR 2020130004542U KR 20130004542 U KR20130004542 U KR 20130004542U KR 200477354 Y1 KR200477354 Y1 KR 200477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battery
battery terminal
elastic body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258U (ko
Inventor
유정선
Original Assignee
유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선 filed Critical 유정선
Priority to KR2020130004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35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62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2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3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포스트와 결합하는 삽입부 내주면에 돌기를 형성시키고, 배터리 포스트 상면에 안착되는 연결부에 지지편을 구비하며, 조임탄성체 상부와 조임너트 하부에 회전방지턱이 형성된 와셔 및 조임부 홀버링을 개재함으로써, 조임부재면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배터리 터미널과 배터리 포스트의 결속력 및 복원력을 향상시킨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바디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 포스트로 부터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가 이탈되는 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가로 방향으로 이탈 억제력이 형성되게 돌기 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배터리 포스트에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연결부에 지지판이 형성됨과 동시에 배터리 터미널을 경사지게 결합시키는 조임부가 구비됨으로써,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체결 작업을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임너트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방지턱이 형성된 와셔 및 조임부 홀버링을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터미널이 배터리 포스트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배터리 포스트를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터미널의 조임부재면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Battery Terminal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포스트와 결합하는 삽입부 내주면에 돌기를 형성시키고, 배터리 포스트 상면에 안착되는 연결부에 지지편을 구비하며, 조임탄성체 상부와 조임너트 하부에 회전방지턱이 형성된 와셔 및 조임부 홀버링을 개재함으로써, 조임부재면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배터리 터미널과 배터리 포스트의 결속력 및 복원력을 향상시킨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자체 내장되는 차량용 배터리를 통해 차내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받아 사용되며, 엔진을 통해 생성되는 에너지는 알터네이터(alternator)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된 다음, 차량용 배터리를 재충전시킴으로써 내장된 배터리가 항상 적정 수준으로 충전되게 하고 있다.
이때 차량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기 위해 내장된 배터리에 각각 플러스 포스트와 마이너스 포스트에 각각 전선이 연결된 단자 즉, 배터리 터미널을 장착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체 충전되어 사용되는 차량용 배터리는 영구 사용 가능한 것이 아닌 소모성 제품이기 때문에 수명이 오래될수록 자체 충전되는 양이 감소 되고, 결과적으로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이 차량에서 필요한 적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배터리를 교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터리는 차체 내부의 복잡한 장치들로 인해 비교적 협소한 위치에 장착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플러스와 마이너스 포스트에 결합된 배터리 터미널을 장착(체결)하는데 이용되는 공구가 차량 내부 장치와 간섭이 발생하여 쉽게 장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대부분의 배터리 터미널이 도 1과 같이 배터리 포스트를 조이기 위해 측면으로 수평 관통되는 볼트(110)와 너트(120)를 통해 조여지고 풀리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 조임 방식의 배터리 터미널(100)은 볼트(110)와 너트(120)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 공구가 측면으로 결합되어야 하므로 각종 내부 장치와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더불어 작업자 또한 공구를 배터리 터미널에 결합하기 위해 몸을 구부린 후 옆으로 비틀어야 하므로 조립 작업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한국공개특허 제2009-0122532호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4-185979호에는 배터리 터미널을 배터리 포스트에 체결 시, 작업자가 측면에서 손쉽게 너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측면 경사 조임부를 갖는 배터리 터미널을 개시하였으나, 이들 문헌에서 개시하고 있는 배터리 터미널들은 배터리 포스트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면적이 좁고, 너트를 조이거나 풀 경우에 가해진 힘을 유지시킬 수 있는 면적이 또한 좁아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배터리 터미널의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배터리 포스트와의 접촉불량, 배터리 터미널의 파손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기존 자동차의 배터리 터미널은 배터리 포스트를 결속시키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조여지는 부분이 오랜 기간의 결속과, 배터리 터미널의 재질 및 두께, 그리고 조립시 가해지는 힘 등의 여러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한 복원력 저하로 서로 달라붙어 배터리 교체시 배터리 터미널을 배터리 포스트로부터 탈거시키기가 어려워 배터리 포스트를 교체하거나 폐기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배터리 포스트가 연질성이고, 탄력성이 없는 납 재질이므로, 사용도중에 배터리 터미널의 접촉상태가 자연 이완되기 때문에 상기 접촉을 위하여 배터리 터미널을 수시로 때려 박아서 접촉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한 상기 배터리의 파손이 종종 발생되고,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배터리 포스트와 결합하는 삽입부 내주면에 돌기를 형성시키고, 배터리 포스트 상면에 안착되는 연결부에 지지편을 구비하며, 조임탄성체 상부와 조임너트 하부에 회전방지턱이 형성된 와셔 및 조임부 홀버링을 개재할 경우, 배터리 터미널이 배터리 포스트에서 이탈되는 현상, 접촉불량 및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터미널의 조임부재면의 변형을 최소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배터리 터미널이 배터리 포스트에서 이탈되는 현상, 접촉불량 및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배터리 터미널의 교체가 용이하고 배터리 터미널 조임부재면의 변형을 최소화시키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 정도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반원형 탄성체 한 쌍으로 이루어져 배터리 포스트에 결합되고, 상기 반원형 탄성체 내주면에 돌기 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
상기 반원형 탄성체의 일측 단부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반원형 탄성체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조임탄성체와 상기 조임탄성체의 중앙에 구비된 조임홀을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조임탄성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볼트 및 조임너트로 이루어진 조임부;
상기 조임너트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에 회전방지턱이 형성되어 있고, 조임탄성체 상부와 조임너트 하부에 개재되는 와셔; 상기 삽입부와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삽입부의 반원형 탄성체 하단에 각각 일체 연장되어 배터리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편이 구비된 연결부; 및 배터리의 전원을 차량 내로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반원형 탄성체 타측의 연결부와 일체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접속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바디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 포스트로부터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가 이탈되는 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가로 방향으로 이탈 억제력이 형성되게 돌기 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배터리 포스트에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연결부에 지지판이 형성됨과 동시에 배터리 터미널을 경사지게 결합시키는 조임부가 구비됨으로써,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체결 작업을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임너트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방지턱이 형성된 와셔 및 조임부 홀버링을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터미널이 배터리 포스트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배터리 포스트를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터미널의 조임부재면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터미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조임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확대도로, (a)는 삽입부 및 돌기의 확대도이고, (b)는 홀버링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과 배터리 포스트와의 조립 각도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8은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개략도로, (a)는 종래 배터리 터미널이고, (b)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이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은 일정 정도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반원형 탄성체 한 쌍으로 이루어져 배터리 포스트에 결합되고, 상기 반원형 탄성체 내주면에 돌기 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 상기 반원형 탄성체의 일측 단부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반원형 탄성체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조임탄성체와 상기 조임탄성체의 중앙에 구비된 조임홀을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조임탄성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볼트 및 조임너트로 이루어진 조임부; 상기 조임너트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에 회전방지턱이 형성되어 있고, 조임탄성체 상부와 조임너트 하부에 개재되는 와셔; 상기 삽입부와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삽입부의 반원형 탄성체 하단에 각각 일체 연장되어 배터리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편이 구비된 연결부; 및 배터리의 전원을 차량 내로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반원형 탄성체 타측의 연결부와 일체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접속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조임부 확대도이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크게 삽입부(10), 조임부(20), 연결부(30) 및 케이블 접속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0)는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정도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내주면에 돌기 또는 세레이션(Serration, 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로 방향으로 돌기 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한 쌍의 반원형 탄성체(12)(13)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반원형 탄성체(12)(13) 내부로 배터리 포스트(15)가 삽입되어 결속된다. 이때 상기 돌기(11)는 배터리 포스트(15) 내부로 결속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이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삽입부(10)로 배터리 포스트(15)가 결속되면, 상기 조임부(20)로 조여져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조임부(2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반원형 탄성체(12)(13)의 일측 단부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반원형 탄성체(12)(13)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조임탄성체(21)(22), 상기 조임탄성체(21)(22)의 중앙에 형성된 조임홀(2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임탄성체(21)(2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볼트(24) 및 조임너트(25)로 구성된다. 이때, 조임부는 작업자가 측면에서 손쉽게 조임너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30°~ 45°로 경사져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수평면에 대하여 30°~ 35°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32°로 경사져 있다(도 7). 만약, 30°미만이나, 45°를 초과하여 경사진 경우에는 조립시 가해진 힘의 방향에 의해 배터리 터미널이 배터리 포스트(15)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하고 들떠 있는 상태가 되므로 배터리 터미널(15)과 배터리 포스트의 안정적인 체결이 어렵다.
아울러, 조였을때 상부 조임탄성체(22)가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조임시 좌우 조임부재의 회전움직임을 고려해서 좌우 회전면에 대하여 1°~ 10°로 각이 져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좌우 회전면에 대하여 5°의 각이 주어져 있어 시각적인 효과 또한 극대화된다.
상기 조임탄성체(21)(22)는 상기 조임볼트(24)의 두부가 안착되는 하부 조임탄성체(21) 및 상기 조임너트(25)가 안착되는 상부 조임탄성체(22)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 조임탄성체(21)는 상기 조임볼트(24)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상기 조임볼트(24)의 두부 측면을 따라 하향 절곡된 회전방지편(21a) 및 상기 조임볼트(24)와 조임너트(25)로 조임탄성체(21)(22)를 체결할 때 과도한 힘에 의해 후술되는 상부 조임볼트 커버편(22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방지편(21a)의 타측 말단과 조임부의 변형 및 뒤틀림을 방지하고, 들뜸 방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조임볼트(24)의 몸체부를 따라 상향 절곡된 하부 조임볼트 커버편(21b)(21c)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조임탄성체(22)는 상부 조임탄성체의 일측 말단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조임너트(25)와의 사이에 개재된 와셔(Washer, 26)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와셔(26)의 회전방지턱(27)이 걸리도록 상향 절곡된 한쌍의 회전방지편(22a) 및 상기 하부 조임탄성체(21)와 상부 조임탄성체(22)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조임부재의 변형 및 홀변형을 최소화 및 과 토그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임볼트(24)의 몸체부를 따라 각각 하향 연장된 상부 조임볼트 홀버링(28)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와셔(washer)(26)는 일측에 회전방지턱(27)이 형성되어 있고, 조임탄성체 상부와 조임너트 하부에 개재된다. 이때, 와셔의 회전방지턱(27)은 상부 조임탄성체(22)의 회전방지편(22a)에 걸려 와셔(26)의 회전을 차단하고, 회전이 차단된 와셔는 조임너트와 조임볼트의 조임시 조임너트의 공회전을 방지하여 조임너트와 조임볼트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며, 조임상태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삽입부의 반원형 탄성체 사이에 배터리 포스트(15)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설치된 조임부(20)의 조임너트(25)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반원형 탄성체(12)(13)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삽입부(10)와 배터리 포스트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때, 상기 반원형 탄성체(12)(13)의 내면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배터리 포스트와의 결합이 용이하며, 상기 반원형 탄성체(12)(13)의 하부에 지지편(14)이 구비되어 삽입부(10)가 배터리의 상면과 수평한 상태로 되도록 설치할 수 있고, 견고하게 조임부로 체결되도록 힘을 받는다.
그리고, 상기 조임부(20)가 상기 삽입부(10)에 대하여 일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도 조임부(20)의 조임너트(25)를 회전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조임부(20)의 조임탄성체(21)(22)에 상기 조임볼트(24)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편(21a)과 와셔의 회전방지턱을 걸림되도록 하는 한 쌍의 와셔 회전방지편(22a)이 구비됨에 따라 차체의 진동에 의하여 조임볼트(24) 및 와셔(26)가 회전되어 조임 상태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볼트 헤드부는 터미널에 맞게 형상 제작하여 균일한 응력 분포로 홀딩력 향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배터리 터미널의 조임부(21')(22')는 너트와 볼트 체결로 상부 조임부(22')의 하면과 하부 조임부(21')의 상면이 접촉하여 체결된다. 이러한 조임부의 체결이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상부 조임부(22')와 하부 조임부(21')가 결착되어 배터리 교체시 배터리 터미널을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없어 배터리 포스트를 교체시키거나 폐기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의 조임부는 상부 조임탄성체(22)에 상부 조임볼트 홀버링(28)을 구비하여 배터리 터미널이 배터리 포스트에 결합되어 조여질 때 하부 조임탄성체(21) 상면에 상부 조임볼트 홀버링(28)이 접촉되게 체결됨으로써, 배터리 교체시 배터리 터미널을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다(도 8b).
아울러, 상기 상부 조임볼트 홀버링(28)은 배터리 터미널이 배터리 포스트에 결합되어 조여질 때 토크 전달되지 않는 범위로 좌우 평행운동의 방해가 되어 조임부 각도가 유지가 되지 않아 발생하는 뒤틀림 현상, 들뜸현상, 홀 밀림형상 및 조임부재 전체면의 변형을 최소화 함으로써 홀 변형을 개선하고, 복원력 향상 및 과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30)는 포스트 폴 안착부를 컷팅하고, 상기 삽입부(10)와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후술되는 케이블 접속부(40)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10)의 반원형 탄성체 하단에 각각 일체 연장되어 배터리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편(14)이 구비되어, 홀딩력이 향상되고 복원력을 증대시킨다. 특히, 연결부(30)의 지지편(14)은 나비의 날개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3).
상기 연결부(30)는 전반적으로 사이즈를 배터리 포스트 터미널 전선규격 30SQ로 증가시켜 허용전류 용량을 최대 400A까지 증대하였으며, 연결부(30)의 지지편(14)은 배터리 터미널의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배터리 포스트(15)와의 넓은 접촉면을 가져 배터리 포스트(15) 상면에 배터리 터미널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고, 배터리 포스트(15)에 본 고안의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을 결합시켜 체결시에도 상기 연결부의 넓은 접촉면에 힘이 가해지므로 더욱 견고하게 배터리 포스트와 배터리 터미널을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의 중앙부는 구조상 취약부로 비딩(beading) 가공으로 돌출부(31)를 형성시켜 조임부의 체결시 기존 배터리 터미널에서 발생되고 있는 배터리 터미널의 비틀림 변형 및 파손을 방지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케이블 접속부(40)는 배터리의 전원을 차량 내로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반원형 탄성체 타단측의 연결부(30)와 일체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케이블 접속부(40)는 판형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체결공(미도시)이 구비된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의 체결공(미도시)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고정부재(42)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부재(42) 및 고정판(41)를 포함하는 케이블 접속부(40)의 역할이나 구조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전체적인 사이즈를 축소하여 최적화 실형으로 제작하였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삽입부의 내주면에 가로 방향으로 돌기 또는 세레이션을 형성시킴으로써 배터리 포스트에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 지지판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터미널 배터리를 경사지게 결합시키는 조임부를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터미널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체결 작업 또한 좁은 공간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균등 범위의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삽입부 11: 돌기
12: 반원형 탄성체 13: 반원형 탄성체
14: 지지편 15: 배터리 포스트
20: 조임부 21: 하부 조임탄성체
22: 상부 조임탄성체 23: 조임홀
24: 조임볼트 25: 조임너트
26: 와셔 27: 회전방지턱
28: 홀버링 30: 연결부
31: 돌출부 40: 케이블 접속부
41: 고정판 42: 고정부재

Claims (4)

  1. 다음을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일정 정도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반원형 탄성체 한 쌍으로 이루어져 배터리 포스트에 결합되고, 상기 반원형 탄성체 내주면에 돌기 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
    상기 반원형 탄성체의 일측 단부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반원형 탄성체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조임탄성체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조임탄성체의 중앙에 구비된 조임홀을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조임탄성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볼트 및 조임너트로 이루어진 조임부;
    상기 조임볼트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상기 조임볼트의 두부 측면을 따라 하향 절곡된 한 쌍의 회전방지편 및 상기 조임볼트의 몸체부를 따라 상향 절곡된 하부 조임볼트 커버편을 포함하는 조임볼트의 두부가 안착되는 하부 조임탄성체;
    상부 조임탄성체의 양측 말단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조임너트와의 사이에 회전방지 및 홀딩력 향상시키기 위해 개재된 와셔의 회전방지턱이 걸리도록 형성된 회전방지편 및 상기 하부 조임탄성체와 상부 조임탄성체의 간격 유지, 조임부재면의 홀 변형개선 및 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임시 좌우 회전면에 대하여 1~ 10로 각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조임너트가 안착되는 상부 조임탄성체;
    상기 조임너트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에 회전방지턱이 형성되어 있고, 조임탄성체 상부와 조임너트 하부에 개재되는 와셔;
    상기 삽입부와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삽입부의 반원형 탄성체 하단에 각각 일체 연장되어 배터리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편이 구비된 연결부; 및
    배터리의 전원을 차량 내로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반원형 탄성체 타측의 연결부와 일체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접속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반원형 탄성체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형태로, 내주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돌기 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수평면에 대하여 30°~ 45°로 경사져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포스트 폴 안착부를 컷팅하고, 사이즈를 증대시켜 허용전류를 증가시키고, 비드의 추가 및 지지편을 나비의 날개형상으로 하여 배터리 폴 안착성 증대 및 비틀림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2020130004542U 2013-06-05 2013-06-05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200477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542U KR200477354Y1 (ko) 2013-06-05 2013-06-05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542U KR200477354Y1 (ko) 2013-06-05 2013-06-05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58U KR20140006258U (ko) 2014-12-15
KR200477354Y1 true KR200477354Y1 (ko) 2015-06-04

Family

ID=5246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542U KR200477354Y1 (ko) 2013-06-05 2013-06-05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35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200A (ja) * 1995-02-14 1996-08-30 Yazaki Corp バッテリーポスト用ターミナルの締付け構造
JP2007207489A (ja) * 2006-01-31 2007-08-16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KR200442760Y1 (ko) * 2007-09-05 2008-12-05 김환창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130057005A (ko) * 2011-11-23 2013-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200A (ja) * 1995-02-14 1996-08-30 Yazaki Corp バッテリーポスト用ターミナルの締付け構造
JP2007207489A (ja) * 2006-01-31 2007-08-16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KR200442760Y1 (ko) * 2007-09-05 2008-12-05 김환창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130057005A (ko) * 2011-11-23 2013-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58U (ko) 201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6761A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100821591B1 (ko)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MX2008005066A (es) Dispositivo conector de cable para bateria.
KR101434960B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1188637B1 (ko)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회전 및 교차 홀딩력이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US20170352964A1 (en) Battery connector
KR200477354Y1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20130004483U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20130000662U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20130013940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수직결합이 가능한 배터리 포스트 터미널 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0473119Y1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WO2016080173A1 (ja) バッテリ端子
KR101792045B1 (ko) 배터리 포스트 단자 클램프
KR101377048B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CN209972679U (zh) 一种平衡车用轮轴固定装置、平衡车车轮及平衡车
US20170264031A1 (en) Vertical type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KR100986424B1 (ko)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KR101188631B1 (ko) 바디의 구조가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KR200474306Y1 (ko) 측면 및 상향 체결식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CN113285153A (zh) 一种滑板车的电池装置及其电池盒
CN206077163U (zh) 一种外接电容的单相振动电机
KR101769850B1 (ko)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468582Y1 (ko) 완철용 접지클램프
CN218085855U (zh) 摩托车
KR101776328B1 (ko)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