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631B1 - 바디의 구조가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 Google Patents

바디의 구조가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631B1
KR101188631B1 KR1020120022106A KR20120022106A KR101188631B1 KR 101188631 B1 KR101188631 B1 KR 101188631B1 KR 1020120022106 A KR1020120022106 A KR 1020120022106A KR 20120022106 A KR20120022106 A KR 20120022106A KR 101188631 B1 KR101188631 B1 KR 101188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ost
battery
nut
battery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식
권세문
Original Assignee
태성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성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2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바디 구조를 갖는 포스트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은 적어도 일단에 절개된 부위를 갖는 원통 형상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와, 상기 절개된 부위의 양단 외측으로 나란하게 각각 연장 형성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 조임용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와,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연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바디; 및 상기 볼트에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간격이 좁혀져서 상기 배터리 삽입구의 직경이 축소되게 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상화되며,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의 원주면에는 복수의 홈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홈은 원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배터리 포스트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바디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의 상부에 다수의 홀을 형성시킴으로써 이의 제작 후 경사진 상태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바디의 구조가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POST TERMINAL WITH IMPROVED BODY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 포스트에 장착되고 케이블 연결단자를 고정하는 포스트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개선된 바디 구조를 갖는 포스트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이나 차량 내부의 전기장치들이 필요로 하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차량 내에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는 엔진을 통해 생성되는 에너지를 알터네이터(alternator)를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용 배터리는 영구 사용이 가능하지 않아 시간이 지날수록 자체 충전되는 양이 감소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이 차량에서 필요한 적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배터리의 교체가 불가피하게 된다.
이때, 차량의 배터리는 차체 내부의 복잡한 장치들로 인하여 공간이 협소하여 배터리의 교체를 위한 볼트의 제거 또는 조임 조작이 쉽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포스트 터미널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배터리의 포스트에 결합되는 포스트 터미널은 플러스와 마이너스 극성에 따라 케이블 단자를 서로 접지한 다음에 배터리의 포스트에 장착되는데, 양자를 관통하도록 볼트를 장착하고 이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는 것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단자 결합부를 가진 포스트 터미널은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너트의 조임이 풀릴 수 있고 너트의 조임이 풀림에 따라 단자간에 생긴 미세한 틈이 전압을 상승시켜 전기적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볼트와 너트의 조임 방향이 수평으로 이루어지는데 차량의 보닛 내부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작업자가 쉽게 장착하지 못하여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2532호에서 경사부 조임부를 갖는 배터리 포스트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매니지먼트 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이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평 방향으로 볼트와 너트가 결합되는 경사각을 가진 결합 형태를 제공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볼트와 너트의 체결과 해체하는 데 있어서, 옆으로 몸을 심하게 비틀지 않아도 되게 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포스트 터미널은 이의 경사각의 방향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위치가 결정되므로 가끔 작업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2532호 (발명의 명칭 "경사조임부를 갖는 배터리 포스트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매니지먼트 장치")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디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의 구조가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기적 연결부와 션트레지스터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류량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개선된 구조의 포스트 터미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포스트에 포스트 터미널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의 장착과 탈착이 용이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볼트와 너트를 결합하는 포스트 터미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포스트와 포스트 터미널의 결합 강도를 높임으로써 차량의 운행 중에 진동으로 인해 너트의 조임이 풀려 발생한 미세한 틈에 의한 전기적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구조의 포스트 터미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와 연결되는 포스트 터미널에 있어서,
적어도 일단에 절개된 부위를 갖는 원통 형상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와, 상기 절개된 부위의 양단 외측으로 나란하게 각각 연장 형성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 조임용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와,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연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바디; 및
상기 볼트에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간격이 좁혀져서 상기 배터리 삽입구의 직경이 축소되게 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상화되며,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의 원주면에는 복수의 홈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홈은 원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터미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제1패널부와 제2패널부를 관통하여 제공되되, 적어도 양단의 일부가 상기 패널부들과 나란하게 형성된 부분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끝단과 상기 제1패널부 사이의 공간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공간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조임 조작에 따라 상기 바디의 제1패널부 방향으로 변위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 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상단, 하단 또는 이들 모두에 상호 내측으로 만곡된 각각의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너트의 최대 조임 조작 이전에 상기 제1만곡부와 상기 제2만곡부가 접촉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연결부에는 탄성 재질의 보호캡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연결부에는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에 상응하는 상기 보호캡의 내부에는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에 상기 보호캡이 결합될 때 상기 연결부측 돌기와 상기 보호캡측 홈이 상호 치합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배터리 포스트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바디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의 상부에 다수의 홀을 형성시킴으로써 이의 제작 후 경사진 상태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디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션트레지스터간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류량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배터리의 포스트에 장착되는 포스트 터미널의 단자결합구를 제거하거나 장착할 때, 너트를 수직 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장착과 탈착이 용이하여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너트가 풀리는 힘의 방향과 바디가 벌어지려는 방향이 상호 수직이므로 연결 단자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너트의 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전압의 상승과 이로 인한 전기적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보호캡이 생략된 상태의 바디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보호캡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B 단면도이다.
도 12는 보호케이스가 생략된 상태의 바디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종래의 포스트 터미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이 도시되어 있다. 포스트 터미널은 차량의 배터리 포스트에 연결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은 배터리 포스트에 직접적으로 결속되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직경을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바디(110)가 차량의 배터리 포스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바디(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절개된 부위를 갖는 포스트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를 포함한다.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는 차량의 배터리 포스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삽입되기 쉽게 대체로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의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포스트 삽입구(111)는 후술되어 있는 클램핑부에 의한 조임 조작에 의해 그 직경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차량의 배터리 포스트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또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에는 이의 상측 원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홈(11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홈(112)들은 이의 제작 시 경사진 원주면을 용이하게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만약, 이러한 홈(112)이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에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바디(110)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를 제작한 후 경사진 원주면을 형성시키게 되면 하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의 상부가 원위치 복원되려는 성향이 강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의 상부에 다수의 홈(112)이 마련되면 그 직경이 축소된 후에도 원위치 복원력이 상기한 경우보다 훨씬 작아져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바디(110)에 형성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의 절개 부위의 양단 외측으로는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를 조이기 위한 각각의 패널(114)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널(114)을 구분하여 도면부호 114a의 제1패널부와 도면부호 114b의 제2패널부라 칭하고, 이들을 함께 패널부(114)라 칭한다.
상기 제1패널부(114a)와 제2패널부(114b)에는 도 4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15a, 115b)이 각각 형성된다(도 2 참조). 따라서 상기 관통공(115a, 115b)의 형상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삽입측 형상을 따른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자 형상으로 관통공(115a, 11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0)에 형성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에는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118)가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연결부(118)의 끝단에는 도면상 하부로 단차진 션트레지스터 접합부(117)가 상기 연결부(118)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바디(110)의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도 1에 박스 형태로 도시된 보호케이스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션트레지스터 접합부(117)에는 션트레지스터(shunt resistor)(170)의 제1구리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션트레지스터(1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리단자(171), 망간인(manganin)(173) 및 제2구리단자(172)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연결부(118)에는 펀칭기 등의 압착 수단에 의해 2개의 홈(119a)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그 반대면에는 돌기(119b)가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이러한 바디(110)는 판금재를 사용하여 제조되거나 단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110)의 패널부(114)에 형성된 "I" 자 모양의 관통공(115)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설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후단에 T 형태의 면으로 형상화된 배리어(121)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리어(121)가 T 형태의 면으로 형상화되어 있으나, 바디(110)의 제2패널부(114b)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후단측 배리어(121)는 상기 패널부(114)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형성되어 있는 배리어(121)는 제2패널부(114b)를 지지하며 클램프의 조임 조작에 의해 상기 제2패널부(114b)를 안쪽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앞쪽에 형성된 구멍(124)을 통해 볼트(130)가 제공된다. 도 5에 이러한 볼트(130)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볼트(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나사산 부분(131a)을 가지며, 이의 하부에 원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131b)을 갖는다. 볼트(130)의 원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131b)은 이의 원주면을 따라 각각의 클램프들이 그 면을 따라 쉽게 이동하거나 무리 없이 쉽게 변형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볼트(130)는 이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132)와 이의 끝단에 수직 상방으로 형상화된 수직부(133)를 갖는다. 상기 볼트(130)의 수직부(133)는 볼트(13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구멍(124)을 통해 제공될 때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양 모서리 부분 중의 어느 한 부분과 접할 수 있도록 수평부(132)로부터 연장되어 수직화되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볼트(130)의 수직부(133)에 의해 너트(140)의 조임 조작에 의해서도 볼트(130)가 겉도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형상의 볼트(130)는 하부에서 상부로 제공된다. 이는 너트(140)를 위에 설치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너트(140)를 쉽게 조작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끝단과 상기 바디측 제1패널부(114a) 사이의 공간에는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램프(150)가 제공된다. 이러한 클램프(150)의 내부에는 볼트(13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51)이 대체로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홈(151)은 볼트(130)가 수용되는 쪽으로 개방된다.
상기 클램프(15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51)의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경사진 방사상 경사면(152)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15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방사상 경사면(152)의 규격은 적어도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너트(140)의 하부에 마련된 깔때기 모양의 테이퍼링부(140c)의 규격을 따른다.
상기 클램프(15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51)의 반대쪽은 상기 제1패널부(114a)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이와 면접촉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홈(124)에 볼트(130)가 끼워지고 상기한 클램프(150)가 이에 형성된 볼트의 수용홈(151)의 도움으로 볼트(130)에 끼워진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140)가 체결된다.
이러한 너트(140)는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부(140a)와 이의 하부에 플랜지(140b)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너트(140)는 상기한 플랜지(140b)의 하부로 깔때기 모양의 테이퍼링부(140c)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포스트 터미널은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와 연결된다. 이때, 포스트 터미널은 도 1의 A-A 단면도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작과 그 조작에 따른 형상 변형에 의해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위에서 아래로 너트(140)를 볼트(130)에 삽입한 후, 이들의 체결을 위해 너트(140)를 조이게 되면, 너트(140)의 하부에 형성된 테이퍼링부(140c)가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클램프(150)의 방사상 경사면(152)을 타고 내려오면서 클램프(150)를 도면상 우측으로 밀게 된다.
이때, 볼트(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124)에 구속되어 있고 바디(110)에 형성된 제2패널부(114b)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후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배리어(121)에 구속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클램프(150)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바디(110)의 제1패널부(114a)를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밀게 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배리어(121)는 바디(110)의 제2패널부(114b)를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밀게 된다.
즉, 클램프(150)의 방사상 경사면(152)으로 너트(140)의 테이퍼링부(140c)가 진입함에 따라 바디(110)에 형성된 제1패널부(114a)와 제2패널부(114b)는 상호 좁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체결되어 있는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가 조여지면서 배터리 포스트와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 간의 결속력이 강화되는 것이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널부(214)의 상단과 하단에 내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만곡부(116a, 116b, 116a', 116b')의 간격(a)이 고려의 대상이 된다. 즉, 너트(140)가 볼트(130)의 나사산 부분(131a)에 최대로 체결되기 전에 이들 만곡부(116a, 116b, 116a', 116b')가 서로 그 거리를 좁혀 접촉되게 구성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더 이상의 체결이 요구되지 않는 한계에 이르게 되어 너트(140)의 오버토크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만곡부(116a, 116b, 116a', 116b')가 바디(110)의 제1패널부(114a)와 제2패널부(114b)의 상하단 모두에 제공되므로 상단에 문제가 있거나 하단에 문제가 있는 어느 경우에도 오류 없이 작동하게 되는 장점이 제공된다.
다시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110)에 형성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118)가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연결부(118)의 끝단에는 하부로 단차진 션트레지스터 접합부(117)가 상기 연결부(118)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션트레지스터(170)는 배터리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온도에 따라 저항 변화가 작은 소자로 제작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110)의 끝단에 형성된 션트레지스터 접합부(1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구리단자(171)와 이의 반대편에 제2구리단자(172)를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 망간인(manganin)(173)이 구성된다. 도 1에서는 노출되어 도시된 션트레지스터(170) 부분이 제2구리단자(172)에 해당한다. 트레지스터(170)의 제1구리단자(171)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피씨비(PCB) 터미널이 접합된다. 이때, 션트레지스터(170)의 제1구리단자(171)와 상기한 션트레지스터 접합부(117)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지만 바디(110)의 연결부(118)와 션트레지스터(170)의 제2구리단자(172)는 서로 접속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이의 제작 공정 및/또는 접합 공정 중 판재형상의 연결부(118)가 변형을 일으켜 원치 않게도 바디(110)의 연결부(118)와 션트레지스터(170)의 제2구리단자(172)가 상호 접속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들은 보호케이스에 의해 보호되므로 이의 원치 않는 전기적 접속으로 오작동을 일으켜도 배터리의 사용 상태를 확인할 수 없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고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캡(160)이 바디(110)의 연결부(118), 즉, 도 2의 도면부호 119a로 도시되어 있는 연결부(118) 근처에 결합된다. 즉, 바디(110)의 하부로 단차진 션트레지스터 접합부(117)에 션트레지스터(170)의 제1구리단자(171) 부분이 결합되고, 바디(110)의 연결부(118)와는 연결부 보호캡(160)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어 바디(110)의 연결부(118)와 션트레지스터(170)의 제2구리단자(172)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캡(160)을 상기 바디(110)의 연결부(118)의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안착 및 유지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바디(110)의 연결부(118)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펀칭기 등의 압착 수단에 의해 2개 홈(119b)을 형성시킴으로써 그 반대면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기(119b)가 형성되게 하였으며, 상기 돌기(119b)와 대응되는 상기 보호캡(160)의 내측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62)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호캡(160)의 재질로서 탄성재질을 선택하여 상기 바디(110)의 연결부(118)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바디측 연결부(110)에 형성된 홈 형성에 의한 2개의 돌기(119b)와 보호캡(16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2개의 홈(162)이 이들의 결합 도중에 상호 결합되므로 원하는 위치에 보호캡(160)을 정확하고 견고하게 안착 및 유지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디측 연결부(118)에 홈 형성에 의한 2개의 돌기(119b)는 도 13에 잘 나타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이 차량이 배터리 포스트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바디, 111 :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 114 (114a, 114b) : 패널부 (제1패널부, 제2패널부); 116 : 만곡부
120 : 베이스 플레이트, 121 : 배리어, 122 : 바닥면, 124 : 구멍,
130 : 볼트, 131a : 나사산 부분, 131b :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132 : 수평부, 133 : 수직부
140 : 너트, 140a : 너트부, 140b : 플랜지, 140c : 테이퍼링부
150 : 클램프, 151 : 볼트 수용홈, 152 : 방사상 경사면
160 : 보호캡, 161 : 연결부 수용 공간, 162 : 홈
170 : 션트레지스터, 171 : 제1구리단자, 172 : 제2구리단자, 173 : 망간인

Claims (5)

  1.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와 연결되는 포스트 터미널에 있어서,
    적어도 일단에 절개된 부위를 갖는 원통 형상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와, 상기 절개된 부위의 양단 외측으로 나란하게 각각 연장 형성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 조임용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와,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연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바디; 및
    볼트에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간격이 좁혀져서 상기 배터리 삽입구의 직경이 축소되게 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제1패널부와 제2패널부를 관통하여 제공되되, 적어도 양단의 일부가 상기 패널부들과 나란하게 형성된 부분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끝단과 상기 제1패널부 사이의 공간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공간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조임 조작에 따라 상기 바디의 제1패널부 방향으로 변위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상화되며,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의 원주면에는 복수의 홈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홈은 원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에는 탄성 재질의 보호캡이 설치되되, 상기 연결부에는 1개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에 상응하는 상기 보호캡의 내부에는 1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에 상기 보호캡이 결합될 때 상기 연결부측 돌기와 상기 보호캡측 홈이 상호 치합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터미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상단, 하단 또는 이들 모두에 상호 내측으로 만곡된 각각의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너트의 최대 조임 조작 이전에 상기 제1만곡부와 상기 제2만곡부가 접촉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터미널.
  4. 삭제
  5. 삭제
KR1020120022106A 2012-03-05 2012-03-05 바디의 구조가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KR101188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106A KR101188631B1 (ko) 2012-03-05 2012-03-05 바디의 구조가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106A KR101188631B1 (ko) 2012-03-05 2012-03-05 바디의 구조가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631B1 true KR101188631B1 (ko) 2012-10-09

Family

ID=4728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106A KR101188631B1 (ko) 2012-03-05 2012-03-05 바디의 구조가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6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6494A (zh) * 2017-11-02 2018-04-20 浙江天能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析锂电池盖帽结构的方法
CN112805578A (zh) * 2018-10-12 2021-05-14 大陆汽车有限责任公司 电池传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660Y1 (ko) * 2006-06-05 2006-09-19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축전지용 접속단자
JP2010003583A (ja) * 2008-06-20 2010-01-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660Y1 (ko) * 2006-06-05 2006-09-19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축전지용 접속단자
JP2010003583A (ja) * 2008-06-20 2010-01-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6494A (zh) * 2017-11-02 2018-04-20 浙江天能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析锂电池盖帽结构的方法
CN112805578A (zh) * 2018-10-12 2021-05-14 大陆汽车有限责任公司 电池传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591B1 (ko)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EP2940758B1 (en) Structure for fixing battery post terminal
KR101188637B1 (ko)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회전 및 교차 홀딩력이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KR102092268B1 (ko) 클램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US20140322982A1 (en) Battery wiring module
US9755367B2 (en) Charging inlet
KR20130069858A (ko) 전류 센서 결합형 배터리 단자
KR101188631B1 (ko) 바디의 구조가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JP2017212077A (ja) バスバー組付構造及び電池モジュール
US20160111799A1 (en) Battery Terminal
JP6605227B2 (ja) バッテリー・センサ・クランプ・アセンブリ
KR101188629B1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포스트에 수직 결합이 가능한 포스트 터미널
US10608230B2 (en) External connection busbar holding module and connection module
KR101188625B1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포스트에 수직 결합이 가능한 포스트 터미널
KR20160054685A (ko) 케이블 레이스 웨이용 조인트
KR20130013940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수직결합이 가능한 배터리 포스트 터미널 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20130122756A1 (en) Wire locking structure
US9368779B2 (en) Cover of battery wiring module, battery wiring module, and battery module
KR20130011659A (ko) 착탈식 터미널
JP2014165044A (ja) 接続部材および配線モジュール
KR20140068399A (ko) 차량의 필러넥 조립용 브라켓
KR102016349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체결장치
KR200451959Y1 (ko) 정션박스 결합구조
KR100445149B1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연결구조
US20170012276A1 (en)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